傷 다칠 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きず, いた-む, いた-める, そこ-なう
|
||||||
伤
|
|||||||
표준 중국어
|
shā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傷은 '다칠 상'이라는 한자로, '다치다', '해치다', '상(傷)하다', '상처(傷處)'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0B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OAH(人人日竹)로 입력한다.人(사람 인)과 矢(화살 시), 昜(볕 양)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人을 의부로 하고 昜을 성부로 하는 형성자라는 설도 있으나, 이 글자의 갑골문 형태 중에 화살 모양이 그려진 형태가 발견되어 현재는 이 글자에서 𠂉 부분이 矢의 생략형이라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감상( 感傷)
- 경상( 輕傷)
- 고상( 枯傷)
- 과상( 過傷)
- 낙상( 落傷)
- 내상( 內傷)
- 달상( 怛傷)
- 동상( 凍傷)
- 부상( 負傷)
- 사상( 死傷)
- 사상( 私傷)
- 살상( 殺傷)
- 상기(傷 氣)
- 상달(傷 怛)
- 상목(傷 目)
- 상분(傷 憤)
- 상심(傷 心)
- 상은(傷 恩)
- 상이(傷 痍)
- 상자(傷 者)
- 상처(傷 處)
- 상풍(傷 風)
- 상한(傷 寒)
- 상해(傷 害)
- 상흔(傷 痕)
- 손상( 損傷)
- 식상( 食傷/ 植傷)
- 애상( 哀傷)
- 열상( 熱傷/ 裂傷)
- 외상( 外傷)
- 자상( 自傷)
- 자상( 刺傷)
- 재상( 災傷)
- 조상( 凋傷/ 爪傷)
- 좌상( 挫傷)
- 중상( 中傷)
- 중상( 重傷)
- 창상( 創傷)
- 촉상( 觸傷)
- 치명상( 致 命傷)
- 파상( 破傷)
- 타박상( 打 搏傷)
- 화상( 火傷)
3.2. 고사성어/ 숙어
- 감상화기( 減傷 和 氣)
- 기감훼상( 豈 敢 毁傷)
- 모략중상( 謀 略 中傷)
- 벌성상은( 伐 性傷 恩)
- 병풍상서( 病 風傷 暑)
- 불감훼상( 不 敢 毁傷)
- 상궁지조(傷 弓 之 鳥)
- 상재지탄(傷 哉 之 歎)
- 상풍패속(傷 風 敗 俗)
- 양패구상( 兩 敗 俱傷)
- 이욕상생( 以 欲傷 生)
- 이효상효( 以 孝傷 孝)
- 조무상( 曹 無傷)
- 중상모략( 中傷 謀 略)
- 촉목상심( 觸 目傷 心)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䵰(검을 상)
- 慯(근심할 상)
- 漡(물흐를 상)
- 𧐀(뽕나무하늘소 상)
- 鬺(삶을 상)
- 殤(어려서죽을 상)
- 觴/ 𨢩(잔 상)
- 𩞃(점심 상)
- 𥛙(길제사 양, 힘센귀신 상)
- 塲(마당 장)[2]
- 𤳈(마당 장)
- 𥏻(상처 창)
- 𨄆(넘어질 탕)
- 偒(방탕할 탕)
- 摥(배열할 탕)
- 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