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00:16:41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문 어조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㞐, 䢎, , 䢋, 凥, 㝒(어조사 기) · (어조사 내) · (어조사 랍/라) · (어조사 륵) · (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어조사 아) · , (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 扵 (어조사 어) · (어조사 여) · (어조사 완) · , 亏, 亐(어조사 우) · (어조사 월) · (어조사 의) · ,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어조사 저) · , 㞢(어조사 지) · (어조사 형) · , (어조사 혜) · , 虖(어조사 호)
그 외
, 卻, 㕁(물리칠 각) · , , 㐰(낱 개) · , 亓(그 기) · (몸 기) · (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마칠 료) · (애오라지 료) · (시끄러울 루) · ,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사랑할 아) · (같을 약/반야 야) · (그런가 야) · (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이를 운) · 攸(바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있을 유) · ,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 尒, 尔, 厼(너 이) · , (아들 자) · (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 祗(다만 지) · , 恉, 㫖, 㫑(뜻 지) · (알 지) · (가질 취) · (거짓 탄/낳을 탄) · (아이 다툴 파) · (허락할 허) · (쉴 휴) · (일 흥) }}}}}}}}}
갈 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丿,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この, これ, の, ゆ-く
-
표준 중국어
z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之획순.gif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之는 '갈 지'라는 한자로, '가다'라는 뜻을 가진다. 그 외에 3인칭 지시 대명사[1], 어조사[2] 등의 의미가 있다. 주로 한국어 조사 ''에 대응하는 속격 어조사로 많이 쓰였는데, 현대에는 흔히 쓰이지는 않으며[3] 문어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4]

또한 중국 남북조시대에 이름으로 흔히 쓰이던 한자이기도 했다.[5]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갈
중국어 표준어 zhī
광동어 zi1
객가어 chṳ̂
민동어
민남어 chi
오어 tsr (T1)
일본어 음독
훈독 この, これ, , ゆ-く
베트남어 chi

유니코드에는 U+4E4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弓人(INO)으로 입력한다.

갑골문 상에서는 발을 나타내는 (그칠 지)자 밑에 가로선 하나()가 그어져 있는 모습인 로 나타난다. 가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로 볼 수 있고, 止에 一을 하나 그은 지사자로도 볼 수 있다.

止자와 기원이 같다 보니 어떤 글자 내에 자나 자가 들어가 있을 경우 之로 뭉개 쓰는 경우도 흔하며, 이런 예는 비교적 오래된 문헌이나 건축물 등에서 많이 발견된다. 이 뭉개 쓰는 형태에서 히라가나 し와 가타카나 シ가 유래되었으며, 뭉개쓰는 형태 중에는 じ(心에서 맨 왼쪽 점이 빠진 것)도 있다.

이 한자가 다른 한자의 구성 요소로 올 때는 之 형태 그대로 오는 경우가 거의 없고, 㞢에서 유래한 ⺧, 土, 士 등으로 변형된다.

본래 뜻은 '가다'이지만 후에 이 글자는 문법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글자로 훨씬 더 많이 쓰인다. 상용하는 之 자의 용법은 주로 다음과 같다.

일본 사자성어에서는 之를 뜻이 같은 조사 の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중화권에서는 之를 3획으로 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아무래도 '~의'의 뜻으로 쓰이는 한자이니 사자성어에 쓰임새가 많으며, 특히 셋째 글자로 자주 등장한다.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그것' [2] '~의', 아무 의미 없이 말이 끊어지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용법(而와 비슷하다.) 등 [3] 현대 중국어에서는 소유격, 관형격 조사를 통합해 모두 '과녁 적' () 자를 쓴다. 한국어에서도 '물리적인', '화학적인' 같은 관형격 단어를 사용할 때 그 '적' 이라는 접미사가 바로 과녁 적 자다. [4] 고풍스러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외국 영화, 게임 등의 번역명칭 등에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서울의 봄'은 首爾的春이 아닌 首爾之春이다. [5] 주로 A之(A지) 식으로 많이 쓰였다. [6] [math(\dfrac1{10})] [7] 무협물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로, 무협물에선 "십분'지'일"이라고 읽는다. [8] 양수교지(兩手交之)가 변한 말이다. [9] 새발의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