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어조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近, 㞐, 䢎, 居, 䢋, 凥, 㝒(어조사 기) · 那(어조사 내) · 啦(어조사 랍/라) · 嘞(어조사 륵) · 哩(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呵(어조사 아) · 耶, 也(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於, 扵 (어조사 어) · 歟(어조사 여) · 啘(어조사 완) · 于, 亏, 亐(어조사 우) · 粤(어조사 월) · 矣(어조사 의) · 哉,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諸(어조사 저) · 之, 㞢(어조사 지) · 馨(어조사 형) · 兮, 侯(어조사 혜) · 乎, 虖(어조사 호) | |
그 외 | |
却, 卻, 㕁(물리칠 각) · 個, 箇, 㐰(낱 개) · 其, 亓(그 기) · 己(몸 기) · 頭(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了(마칠 료) · 聊(애오라지 료) · 嘍(시끄러울 루) · 麽,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思,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殺· 煞(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啊(사랑할 아) · 若(같을 약/반야 야) · 邪(그런가 야) · 與(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云(이를 운) · 攸(바 유) · 惟(생각할 유) · 唯(오직 유) · 有(있을 유) · 聿,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爾, 尒, 尔, 厼(너 이) · 子, 㜽(아들 자) · 且(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只, 祗(다만 지) · 旨, 恉, 㫖, 㫑(뜻 지) · 知(알 지) · 取(가질 취) · 誕(거짓 탄/낳을 탄) · 吧(아이 다툴 파) · 許(허락할 허) · 休(쉴 휴) · 興(일 흥) | }}}}}}}}} |
也 어조사 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乙,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중학교
|
3급
|
||||||
-
|
|||||||
일본어 음독
|
ヤ
|
||||||
일본어 훈독
|
か, なり, また, や
|
||||||
-
|
|||||||
표준 중국어
|
yě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획순
|
[clearfix]
1. 개요
也는 '이끼/어조사 야'라는 한자로, 어조사로 쓰인다. 천자문의 마지막 글자이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4E5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PD(心木)로 입력한다.금문 | 금문 | 소전( 설문해자) |
설문해자에서는 소전의 자형에 근거해 여성의 음문 모양을 본뜬 것이라 했으나, 금문을 보면 상당히 다르다. 뱀의 형상이라고도 하고 주전자 형상이라고도 하나 정확히는 알 수 없다. 어찌됐든 가차하여 어조사로 쓰이게 되었다.
고전 한문에서는 무언가를 강조하거나 "~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쓰였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는 "~도", "또한"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이다"라는 의미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구지가 문서 참조.
가나 문자의 や와 ヤ가 바로 이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일본어에서는 である의 고전식 문어 표기(ラ행변격동사 あり에 に가 결합한 것이 다시 축약된 것) なり의 한자 표기로 쓰인다. 이 なり 어미는 현대 일본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키테레츠 대백과의 주인공 코로스케의 상징격 말투로 여겨져서, 일본에서 なり체를 쓰면 십중팔구 코로스케 패러디한다는 소리를 듣게 된다. 코로스케가 말할 때는 가타카나인 ナリ로 쓴다.
훈의 '이끼'는 지의류가 아니라 토씨, 어조사를 뜻하는 '입겻'을 가리킨다. 광주천자문, 석봉천자문, 신증유합 등에는 '입겻 야'라고 적혔고, 후대 판본으로 가면 '입계 야'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잇기 야'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끼'와 표기만 다를 뿐 똑같이 입겻이란 뜻이고, 현대 한국어에서 쓰이는 '맞대어 붙인다'는 의미와는 전혀 무관하다. 네이버한자사전에서는 이 잇기를 '맞대어 붙인다'는 뜻으로 멋대로 해석해 놓았다.[1]
- 광주천자문(1575): 입겻 야
- 신증유합(1576): 입겻 야
- 석봉천자문(1601): 입겻 야
- 영장사판유합(1700): 잇겻 야
- 주해천자문중간본(1804): 입긔 야
- 국한문신옥편(1908): 잇기 야
- 자전석요(1909): 어조사 야
- 신자전(1915): 잇기 야
- 초학요선(1918): 익기 야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대체로 준야, 켄야처럼 や(야)로 끝나는 일본 남성 이름에서 や라는 음을 나타내기 위해 哉(어조사 재)와 더불어 많이 쓰인다.3.3.1. 실존인물
- 나카하라 츄야( 中 原 中也)
- 누리 카즈야( 塗 和也)
- 누마타 세이야( 沼 田 誠也)
- 마츠모토 히로야( 松 本 寛也)
- 무타구치 렌야( 牟 田 口 廉也)
- 아사다 테츠야( 阿 佐 田 哲也)
- 야마가미 데쓰야( 山 上 徹也)
- 오오하시 카즈야( 大 橋 和也)
- 오카다 가쓰야( 岡 田 克也)
3.3.2. 가상인물
- 도주중 그레이트 미션 - 토무라 소야(トムラ 颯也)
- 듀라라라!! - 오리하라 이자야( 折 原 臨也)
- 목소리의 형태 - 이시다 쇼야( 石 田 将也), 이시다 미야코(石田 美也 子)
- 문호 스트레이독스 - 나카하라 츄야( 中 原 中也)[2]
- 블리치 - 아자시로 소야( 痣 城 双也)
- 휴먼버그대학교 - 누에 토모야( 鵺 智也), 스나가 히사야( 須 永 陽 咲也), 아가츠마 쿄야( 我 妻 京也), 타카하시 슈야( 鷹 橋 修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