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 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 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 阿 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 西 | 土 | 墨 | 阿 根 廷 | 巴 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 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
/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 太 | 滿 | 加 州 | 羅 城 | 桑 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 盛 頓 | 莫 斯 科 | 伯 林 | 羅 馬 | 倫 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阿 언덕 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阜,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ア
|
||||||
일본어 훈독
|
おもね-る, くま
|
||||||
-
|
|||||||
표준 중국어
|
ā, ē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阿는 '언덕 아'라는 한자로, ' 언덕', '호칭', '아첨하다'를 뜻한다. 하지만 '언덕'이란 뜻으로 사용된 단어는 거의 대부분이 사어가 되었고, 음차용 한자로 사용된 경우가 많다. 특히 불교 용어.가타카나 ア 의 유래이기도 하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언덕 | |
음 | 아 | ||
중국어 | 표준어 | ē | <colbgcolor=#fff,#1f2023>ā |
광동어 | o1 | aa3 | |
객가어 | ô | â | |
민동어 | ŏ̤ | ă | |
민남어 | o͘, o | o, a | |
오어 | u (T1) | a (T1) | |
일본어 | 음독 | ア | |
훈독 | おもね-る, くま | ||
베트남어 | a |
유니코드에는 U+963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MNR(弓中一弓口)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阜(언덕 부)와 음을 나타내는 可(옳을 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 다음자로, 표준중국어의 ē에 대응되는 독음은 문독, ā에 대응되는 독음은 백독이다. 문독은 주로 '언덕'과 같은 본래 뜻으로 쓰일 때 불리는 발음이고, 백독은 감탄사로 쓰이거나, 아형(阿兄)·아두(阿斗) 등 사람의 호칭 앞에 쓸 때 불리는 발음이다. 아(阿)는 중국어에서 많이 쓰이는 애칭이기도 해서 중화권 미디어물에서는 자주 나오는 명칭이다.
3. 용례
3.1. 단어
주의: 음역/음차 분류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하시고 열람하십시오.3.1.1. 음역(音譯)한 경우
' 아'에 해당하는 음을 이 글자로 음차한 경우가 꽤 많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 耨 多 羅 三 藐 三 菩 提)
- 아미(阿 媚)
- 아미타(阿 彌 陀)
- 나무아미타불( 南[1] 無阿 彌 陀 佛)
- 아몽(阿 蒙) - 중국어에서의 '아몬' 음역.
- 아수라(阿 修 羅)[2]
- 아승지, 아승기(阿 僧 祇, 阿 僧 祈)[3]
- 아자관(阿 字 觀)[5]
- 아편(阿 片) - 익지 않은 양귀비 열매의 진액을 말린 마약의 일종이다. [6]
3.1.2. 음역이 아닌 경우
- 아몽(阿 蒙) - 어린이를 일컫거나, 발전이나 학식이 없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 아위(阿 魏) - 이쪽은 흥거가 산스크리트어 힝구((हिङ्गु)의 음차자이다.
- 아구(阿 丘)
- 아첨(阿 諂)
- 아부(阿 附)
- 아두(阿 斗)
- 아편(阿 偏) - 마약 아편이 아니라, 아첨하여 한 쪽으로 편향된다는 의미이다.
3.2. 고사성어/ 숙어
- 곡학아세( 曲 學阿 世)
- 아비규환(阿 鼻 叫 喚) [음차]
- 아수라장(阿 修 羅 場) [음차]
- 아유구용(阿 諛 苟 容) - 사기(史記)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구차하게 아첨하는 것을 의미한다.
- 어이아이( 於 異阿 異) [음차]
- 오하아몽( 吳 下阿 蒙)
3.3. 인명
자세한 내용은 아(성씨) 문서 참고하십시오.- 가리엽특 아연( 珂 里 叶 特 阿 妍)
- 사묘아리( 斜 卯阿 里)
- 색탁륜 아약( 索 绰 伦 阿 箬)
- 소아고지( 蕭阿 古 只)
- 아바라이 렌지(阿 散 井 恋 次)
- 아바라이 이치카(阿 散 井 苺 花)
- 아비루 칸타[阿 蒜 寛 太)
- 아비지(阿 非 知)
- 아신왕(阿 莘 王)
- 아지타니 히후미(阿 慈 谷 ヒフミ)
- 히에다노 아레( 稗 田 阿 礼)
- 히에다노 아큐( 稗 田 阿 求)
- 아로공주(阿 老 公主)
- 아효부인(阿 孝 夫人)
3.4. 지명
- 아불리가(阿 弗 利 加) - 아프리카를 음차한 것. 구라파, 불란서 등과 비슷한 케이스이다.
- 아라가야(阿 羅 伽 倻)
- 아리수(阿 利 水) - #
- 아방궁(阿 房 宮)
- 영아리( 靈阿 伊)[10]
- 아사달(阿 斯 達)
- 아오지(阿 吾 地)
- 아현동(阿 峴 洞)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아소시( 阿蘇 市)
3.5. 창작물
4. 유의자
- 墈(언덕 감)
- 崗/ 堈/ 罡(언덕 강)
- 𠩂(언덕 겁)
- 皐(언덕 고)
- 邛(언덕 공, 수고할 공)
- 丘/ 邱(언덕 구)
- 堜(언덕 련)
- 隴/ 壠/ 龍(언덕 롱)
- 塿(언덕 루)
- 坴(언덕 륙)
- 陵/ 夌(언덕 릉)
- 堥/ 𥓺(언덕 무)
- 𡊃(언덕 반)
- 坏/ 坯/ 𩎜(언덕 배)
- 阜/ 培(언덕 부)
- 岸/ 堓/ 𤰽(언덕 안)
- 崖/ 厓(언덕 애)
- 𢈂(언덕 엄)
- 原/ 𨘡(언덕 원)
- 阷(언덕 정)
- 峙(언덕 치)
- 埵/ 垞(언덕 타)
- 坡/ 𡶅(언덕 파)
- 阪/ 坂(언덕 판)
- 𡓊(언덕 폐)
- 陂(방죽 피, 언덕 파)
- 垾(언덕 한)
- 塂(언덕 항)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柯(가지 가)
- 鴚(거위 가)
- 跒(걸을 가)
- 䶗(깨물 가)
- 呵/ 訶(꾸짖을 가)
- 蚵(도마뱀 가)
- 䯊/ 胢(무릎뼈 가)
- 舸(배 가)
- 牁/ 牱(배말뚝 가)
- 魺(복어 가)
- 炣(불 가)
- 㞹(산이름 가)
- 軻(수레/사람이름 가)
- 酠(쓴술 가)
- 珂(옥이름 가)
- 𠵲[⿰后可](옳을 가)
- 𠳌[⿰去可](탄식하는소리 가)
- 坷(평탄하지않을 가)
- 𥩤[⿰立可](키작은사람 개)
- 砢(돌쌓일 라, 옥버금가는돌 가)
- 䋍(가는비단 아)
- 鈳(노구솥 아)
- 妸(아름다울 아)
- 𥎵(알 지)[12]
- 河(물 하)
- 袔(소매 하)
- 何(어찌 하)
- 𥘫[⿰示可](제사종류 하)
- 抲(지휘할 하, 움켜쥘 가, 체포할 나)
- 𧵛[⿰貝可](가)
- 𢘟[⿰心可](교)
- 𩈔[⿰面可](파)
- 𥞍[⿰禾可](하)
- 𪟡[⿰男可]
- 𡥚[⿰子可]
- 𠾟[⿰⿳口田八可]
- 𫮭[⿰堇可]
- 𪫧[⿰忄可]
- 𣧤[⿰歹可]
- 𪰏[⿰日可]
- 𰓎[⿰手可]
- 𣍳[⿰有可]
- 𭪋[⿰朵可]
- 𭭫[⿰武可]
- 𮐤[⿰苦可]
- 𰒚[⿰意可]
- 𪽎[⿰田可]
- 𭾨[⿰目可]
- 𭿋[⿰看可]
- 𧟫[⿰西可]
- 𰪲[⿰米可]
- 𲁚[⿰角可]
- 𧯶[⿰豈可]
- 𩊆[⿰革可]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䋪(가는비단 아)
- 𨵌[⿵門阿](기울 아)
- 錒(노구솥 아)
- 屙(똥눌 아)
- 痾(숙병 아)
- 婀/ 娿(아리따울 아)
- 啊(어조사 아)
- 㢌(아)
- 𠥍[⿷匚阿]
- 𡹣[⿰山阿]
- 𫮄[⿱阿土]
- 𱗊[⿰土阿]
- 𮥌[⿱阿下]
- 𭊎[⿱吅阿]
- 𫕖[⿱阿吟]
- 𨼼[⿱阿乳]
- 𬯜[⿱阿芮]
- 𲉢[⿱阿耶]
- 𬯣[⿰阿曾]
- 𲉤[⿱阿𨔍]
- 𬯩[⿱阿賴]
- 𲉦[⿱阿磊]
- 𣶰[⿰氵阿]
- 𱣲[⿰木阿]
- 𬁭[⿰曾阿]
- 𮀄[⿰矢阿]
- 𮀫[⿰石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