散 흩을 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攴,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サン
|
||||||
일본어 훈독
|
ち-る, ち-らす, ち-らかす,
ち-らかる, ばら |
||||||
-
|
|||||||
표준 중국어
|
sǎn, s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散은 '흩을 산'이라는 한자로, '흩다', '흩어지다', '헤어지다', '풀어놓다' 등을 뜻하며, '한가롭다', '한가하다' 등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약 이름으로 쓰일 때는 가루약이라는 뜻이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563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廿月人大(TBOK)로 입력한다.이 글자는 자형의 변화를 꽤 많이 겪은 글자이다. 갑골문을 통해 알 수 있는 散의 원형은 㪔(U+3A94)이다. 이 글자는 林(수풀 림)과 비슷하게 생긴 글자와 攴(칠 복)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왼쪽의 林과 비슷하게 생긴 글자는 𣏟(한국 독음은 '파')로, 삼의 줄기를 나타낸다. 이 글자는 그 자체로는 전혀 사용되지 않으나 麻(삼 마)의 구성자로 쓰인다. 오른쪽의 攴는 갑골문에서 손에 막대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㪔은 삼의 줄기를 막대기로 때려 풀어 헤치는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며, 여기서 '풀다', '흩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다.( #) 고대부터 삼이 주요 섬유재질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금문에서는 어째선지 𣏟가 주로 竹(대 죽)의 형태로 쓰이고, 그 밑에 月(달 월)이 새로 추가되었다. 소전에서는 竹은 다시 𣏟 모양으로 회귀하고, 月은 그대로 남게 된다. 그리고 예서 이후에는 현재의 자형으로 정착된다.
카타카나 sa(サ) 의 원형이다.
3. 용례
일본의 상용한자표에는 살포(撒布), 살수(撒水) 등에 쓰이는 撒(뿌릴 살)이 실려있지 않기에 散으로 바꿔쓰곤 한다. 撒과 散의 음이 각각 サツ와 サン으로 다르기에 동음 대체는 아니다.3.1. 단어
- 각산( 各散)
- 거산( 擧散)
- 무산( 霧散)
- 발산( 發散)
- 분산( 分散/ 噴散/ 奔散)
- 비산( 飛散)
- 산개(散 開)
- 산란(散 亂)
- 산만(散 漫)
- 산망(散 亡)
- 산문(散 文)
- 산발(散 發/散 髮)
- 산보(散 步)
- 산분(散 糞)
- 산실(散 失)
- 산일(散 逸/散 佚/散 軼)
- 산재(散 在/散 材/散 財/散 齋)
- 산적(散 炙)
- 산책(散 策)
- 산탄(散 彈)
- 산포(散 布/散 脯)
- 이산( 離散)
- 집산( 集散)
- 한산( 閑散)
- 해산( 解散)
- 확산( 擴散)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모리시타 미치루( 森 下 未散)
- 산카 단이치로(散 華 団 一 郎)
- 산카 레아(散 華 礼 弥)
- 시로사키 미치루( 白 崎 未散)
- 아바라이 렌지( 阿散 井 恋 次)
- 하나치루사토( 花散 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