撮 모을/사진찍을 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サツ
|
||||||
일본어 훈독
|
と-る, つま-む
|
||||||
-
|
|||||||
표준 중국어
|
cuō, zuǒ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撮은 '모을/사진찍을 촬'이라는 한자로, '모으다', '사진을 찍다', ' 촬영(撮影)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4A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ASE(手日尸水)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最(가장 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의학에서는, 옛날에 한약의 용량의 단위로 쓰였다. '촬(撮)'이란 자밤(세 손가락 끝으로 한 번 잡는 양)을 말한다.
한국 한자음으로 '촬'로 읽는 글자는 거의 이 글자뿐이다. 사실 합구-입성 계열의 음 자체가 한국 한자음으로는 '괄, 왈, 활, 촬' 정도뿐이다. 오늘날의 용례는 절대 다수가 ( 사진) ' 촬영'이다.[1]
3. 용례
3.1. 단어
- 일촬( 一撮)
- 촬구(撮 口)
- 촬도(撮 島)
- 촬발(撮 髮)
- 촬상관(撮 像 管)
- 촬상소자(撮 像 素 子)
- 촬서(撮 書)
- 촬영(撮 影)
- 공기뇌실촬영( 空 氣 腦 室撮 影)
- 공기뇌촬영( 空 氣 腦撮 影)
- 단층촬영( 斷 層撮 影)
- 도촬( 盜撮)
- 불법촬영( 不 法撮 影)
- 촬영가(撮 影 家)
- 촬영기(撮 影 機)
- 촬영대(撮 影 臺)
- 촬영법(撮 影 法)
- 촬영소(撮 影 所)
- 촬영실(撮 影 室)
- 촬영장(撮 影 場)
- 촬영차(撮 影 車)
-
촬요(撮
要)
중요한 것(要)을 잡아쥐었다(撮)는 뜻으로, 어떠한 내용의 핵심을 요약한 책에 이러한 제목을 붙였다. ' 요절/절요'(要節/節要)와 양상이 비슷하다. 문헌 명은 아래 참고. - 촬토(撮 土)
- 촬통(撮 痛)
- 특촬( 特撮)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촬요
- 고금역대촬요( 古 今 歷 代撮 要)
- 고사촬요( 攷 事撮 要)
- 문헌촬요( 文 獻撮 要)
- 사문촬요( 事 文撮 要)
- 성리연원촬요( 性 理 淵 源撮 要)
- 시헌촬요( 詩 獻撮 要)
- 약산호고종방촬요( 若 山 好 古 腫 方撮 要)
- 양잠경험촬요( 養 蠶 經 驗撮 要)
- 어의촬요( 御 醫撮 要)
- 여재촬요( 輿 載撮 要)
- 융서촬요( 戎 書撮 要)
- 의림촬요( 醫 林撮 要)
- 의방촬요( 醫 方撮 要)
- 임신촬요방( 姙 娠撮 要 方)
- 잠상촬요( 蠶 桑撮 要)
- 장용영촬요( 壯 勇 營撮 要)
- 창진방촬요( 瘡 疹 方撮 要)
- 촬요신서(撮 要 新 書)
- 통색촬요( 通 塞撮 要)
- 재수 없는 그 녀석, 여자가 된 나를 덮쳐버렸다(オレのそんなトコ撮るなぁッ!~女体化イケメンの受難~)
3.6. 일본어
3.6.1. 훈독
- 撮(と)る: (사진을) 찍다.
- 写真(しゃしん)を撮る: 사진을 찍다
3.6.2. 음독
サツ.- 撮影(さつえい): 촬영
3.7. 중국어
4. 유의자
- 㪉/ 敆(모을 갑/협)
- 夠/ 勼(모을 구)
- 九/ 乣(모을 규)
- 𢺈[⿰扌䜌](모을 란)
- 募(모을/뽑을 모)
- 踾(모을 복)
- 裒/ 抙(모을 부)
- 社(모일 사)
- 蒐(모을 수)
- 揑(모을 열)
- 蕹(모을 옹)
- 綜(모을 종)
- 揍(모을 주)
- 寯(모을 준)
- 搸(모을 진)
- 集/ 輯/ 緝(모을 집)
- 纂/ 躦/ 欑/ 儹(모을 찬)
- 賶(모을 창)
- 揫/ 揂(모을 추)
- 蓄(모을 축)
- 萃(모을 췌)
- 聚/ 𥣙[⿰禾聚](모을 취)
- 䝰/ 𠊷(모을 치)
- 翕(모을 흡)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㵊(움직일 녑)
- 熶(불땔 찬)[2]
- 𪒙[⿰黑最](검을 촬)
- 繓(맺을 촬)
- 襊(치포관 촬, 시침질할 최)
- 𨅎[⿰𧾷最](가는모양 최)
- 樶(나무마디 최)
- 嘬(물 최)
- 䴝(소금 최)
- 𪙦[⿰齒最](이뽑을 최)
- 𦦣[⿰臼最](작은절구 최)
- 𥕸[⿰石最](잔돌 최)
- 𨣅[⿰酉最](장 최)
- 𣩡[⿰歹最](파리해지는병 최)
- 𨼥[⿰⻖最](구석 추)[3]
- 穝(최)
- 𢄸[⿰巾最]
- 𡡔[⿰女最]
- 𱗸[⿰土最]
- 𱝂[⿰年最]
- 𢢇[⿰忄最]
- 𣋁[⿰日最]
- 𣠏[⿰枲最]
- 𤩛[⿰⺩最]
- 𬓙[⿰示最]
- 𥪳[⿰立最]
- 𥊴[⿰目最]
- 𲇤[⿰金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