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22:06:01

중고한어

'''[[중국티베트어족|중국티베트어족
Sino-Tibetan Languages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중국티베트조어† 한어파 중국제어 관화 ( 표준 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티베트버마어파 보도나가어군 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히말라야어군 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창어군 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롤로버마어군 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카친어군 카친어 · 농어 · 삭어
카렌어군 파오어 · 풔어
기타 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관화 - 진어 관화
(官話)
북경관화( 표준 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진어
(晉語)
오어 - 휘어 오어
(吳語)
북부오어( 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휘어
(徽語)
상어
(湘語)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감어 - 객어 감어
(竷語)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객가어
(客家語)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월어 - 평어 월어
(粤語)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평어
(平語)
민어
(閩語)
민남어
(閩南語)
복건어
(福建語)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조주어
(潮州語)
민북어
(閩北語)
건구어 · 건양어
민동어
(閩東語)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민중어
(閩中語)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보선어
(莆仙語)
소장어
(邵將語)
경뢰어
(瓊雷語)
해남경어
(海南瓊語)
뇌주어
(雷洲語)
한문(漢文) }}}}}}}}}


1. 개요2. 상세3. 상고음과 조기중고음 사이의 변화4. 성모
4.1. 조기중고음 성모
4.1.1. 순음4.1.2. 설음4.1.3. 치음4.1.4. 아음4.1.5. 후음4.1.6. 반설음·반치음
4.2. 만기중고음 성모
5. 운모6. 성조7. 들어보기

1. 개요

중고한어()는 대략적으로 위진남북조시대(기원후 3세기)부터 남송 시대(13세기)까지 사용한 한어(중국어)를 말한다.

2. 상세

중고한어 음운 재구에 우선 사용된 자료는 601년에 발간된 운서(韻書) 《 절운(切韻)》 초판 및 개정, 확장판이었다. 그러나 《절운》에서 음을 표기하는 데 쓴 반절이란 방법은 이전의 방식보다는 나았으나 정확하게 소리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따라서 재구과정에서 칠운의 음운체계를 좀더 정교하게 분석한 12세기 중반의 《운경(韻鏡)》등 다른 사료도 이용하였다.《운경》은《절운》이 발간된 지 수 세기가 지난 뒤 쓰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음운변화를 반영하였다. 몇몇 언어학자들은 《절운(Qieyun)》이 쓰일 당시의 중국어를 조기중고한어(Early Middle Chinese)로, 그리고 《운경(韻鏡)》이 쓰일 당시의 중국어를 만기중고한어(Late Middle Chinese)로 구분하기도 한다.

중고한어가 쓰이던 시기(특히 당나라~ 북송)는 중원의 문화적 영향력이 매우 컸기에 한자문화권의 한자 발음이 대부분 이 시기에 유래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유튜브에서 상고한어와 중고한어, 기타 시기 중국어 발음으로 같은 시를 읽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중고한어가 비교적 한국어 한자 발음과 비슷하다. 또한 한족이 본격적으로 장강 이남을 넘어 우이산맥~난링산맥 이남까지 이주했기에 객가어, 광동어 방언에는 중고한어의 흔적이 비교적 더 남아있다. 그래서 한국어와 객가어의 한자 발음이 가장 유사하다고도 한다. 또한 여기엔 딱히 특별한 이유가 있진 않다. 중세 한국어의 흔적이 경기 방언( 서울 방언)보다 제주 방언, 동북 방언, 경상 방언 등에 더 많이 남았음과 비슷한 이치이다. 다양한 (지역)언어와 접촉할수록 당연히 더 빠르게 언어가 변화하기 때문에, 예부터 다양한 집단이 혼거했던 관화를 바탕으로 하는 표준 중국어는 옛 시절과 비교해서 발음이 더 많이 변했음이 당연하다.[1][2]

가끔 중국 남부 사람들은 자기들 방언이 '중세의 발음을 더 보존하였으니 우리가 진짜'라고도 주장한다. 그러나 중세의 언어가 태초의 모습도 아니고, 언어는 빠르든 느리든 계속 변하기 때문이다. 당장 수십 년 전 뉴스 영상만 보더라도 현재와는 억양이 다르다. 우이산맥~난링산맥 이남으로 이주한 한족은 토착민과 교류하고 통혼하며 유전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사회 문화적 주류는 여전히 한족이었기에 언어적 주도권은 유지했겠지만 변화가 없지는 않았다. 언어 권력을 쥐고 있었기에 상대적으로 변화가 느렸을 뿐이다. # 다만 객가어는 북중국 관화(Mandarin) 계통이고, 객가인은 유전자 풀의 대부분이 북중국인 혈통이다.[3] 사실 객가인은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물론 토착민과 교류하고 통혼했겠지만, 상대적으로 빈도가 적었다.

한국 한자음 역시 중고한어, 특히 당나라 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일본 역시 그렇지만, 한국은 초/중/종성을 나누어 들여와 상대적으로 원음을 보존했다. 물론 한국식 한자음도 이후 한국어의 음운 변화의 영향을 받았기에 처음 들여올 때의 그 한자음을 그대로 보존한 것은 아니다.

중고한어 시대부터는 중국에 음운학 개념이 어느 정도 정립되어, 음절구조를 성모(聲母), 운모(韻母), 성조(聲調)로 분류하였다.[4] 더 나아가서 운모는 다시 운두(韻頭), 운복(韻腹), 운미(韻尾)로 나뉜다. 중고음을 재구한 대부분의 모델에는 보통 활음 /j/와 /w/, 연속된 /jw/ 모두 다 들어가나, /i/ 혹은 이중모음 /ie/을 활음으로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운미로서 /j/, /w/, /m/, /n/, /ŋ/, /p/, /t/, /k/는 널리 받아들여지는데 때때로 /wk/나 /wŋ/ 같은 추가적인 종성이 포함되기도 한다.[5] 칠운에서 같은 운율로 짝지어진 음절들은 운복과 운은 같되 많은 경우 운두는 달랐다고 여긴다.

중고음의 재구에서 자음은 거의 합의에 도달한 반면 모음은 차이가 크다.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칼그렌의 설을 수정한 리팡구이의 재구와 윌리엄 백스터의 재구이다.

아래에서 중고한어 및 현대 중국 제어(諸語) 및 인접 언어(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한자 발음 10종류를 비교해볼 수 있다.
https://ai.glossika.com/free-download/glossika-ten-language-dictionary-of-chinese-characters

3. 상고음과 조기중고음 사이의 변화


각 글자의 발음을 알고 싶다면 아래에 있는 링크를 참고하자. 중문 사이트인데 상고음과 각 학자들의 재구를 볼 수 있다.

http://www.kaom.net/ny_word.php[7]

4. 성모

4.1. 조기중고음 성모

조기중고한어의 성모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추정 음가는 Baxter(1992)를 따른다.
<colbgcolor=#eee,#555> 오음 전청 차청 전탁 차탁
순음
脣音

/p/

/pʰ/

/b/

/m/
설음
舌音
<colbgcolor=#eee,#555> 설두음
舌頭音

/t/

/tʰ/

/d/

/n/
설상음
舌上音

/ʈ/

/ʈʰ/

/ɖ/

/ɳ/
치음
齒音
치두음
齒頭音

/ts/

/tsʰ/

/dz/

/s/

/z/
정치음莊계
正齒音莊系

/tʂ/

/tʂʰ/

/dʐ/

/ʂ/

/ʐ/
정치음章계
正齒音章系

/tɕ/

/tɕʰ/

/dʑ/

/ɕ/

/ʑ/
아음
牙音

/k/

/kʰ/

/ɡ/

/ŋ/
후음
喉音

/ʔ/

/j/

/x/

/ɣ/

/ɣ/
반설음
半舌音

/l/
반치음
半齒音

/ȵ/

각각의 성모와 대응되는 현대한자음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모든 음운 변화가 다음 표대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속음 문서 참조.
중고한어 성모
Baxter(1992)
한국어 표준 중국어 광동어 일본어 베트남어
오음 한음
순음 幫 /p/ ㅂ/ㅍ b, f b, f は행 b, ph
滂 /pʰ/ p, f p, f ph
並 /b/ b/p, f b/p, f ば행 は행 b, ph
明 /m/ m, w m ま행 ば행 m, v
설두음 端 /t/ ㄷ/ㅌ, ㅈ/ㅊ d d た행 đ
透 /tʰ/ t t th
定 /d/ d/t d/t だ, ざ[di] た행 đ
泥 /n/ n n な행 だ, ざ[di] n
설상음 知 /ʈ/ ㄷ/ㅌ, ㅈ/ㅊ zh z た행 tr
徹 /ʈʰ/ ch c s
澄 /ɖ/ zh/ch z/c だ, ざ[di] た행 tr
娘 /ɳ/ n n な행 だ, ざ[di] n
치두음 精 /ts/ ㅈ/ㅊ z, j z さ행 t
淸 /tsʰ/ c, q c th
從 /dz/ z/c, j/q z/c ざ행 さ행 t
心 /s/ s, x s さ행
邪 /z/ s, x, z/c, j/q s, z/c ざ행 さ행
정치음
莊계
莊 /tʂ/ ㅈ/ㅊ zh z さ행 tr
初 /tʂʰ/ ch c s
崇 /dʐ/ zh/ch, sh z/c, s ざ행 さ행
生 /ʂ/ sh s さ행
[12] /ʐ/ s, ch z/c ざ행 さ행 ch
정치음
章계
章 /tɕ/ ㅈ/ㅊ zh z さ행 ch
昌 /tɕʰ/ ch c x
常 /dʑ/ sh, ch s ざ행 さ행 th
書 /ɕ/ sh さ행
船 /ʑ/ sh, ch ざ행 さ행
아음 見 /k/ ㄱ, ㅎ g, j g, gw か행 c~k~qu, gi
溪 /kʰ/ k, q h, k, kw kh
群 /ɡ/ g/k, j/q g/k, gw/kw が행 か행 c~k~qu
疑 /ŋ/ ∅, r ng, ∅, j が행 ng(h)
후음 影 /ʔ/
以 /j/ ㅣ, 재출자 j あ, や행 d
曉 /x/ ㅎ, ㄱ h, x h, ∅/f か행 h
匣 /ɣ/ あ, が행 か행
云 /ɣ/ ∅, h, x ∅, h h, v
반설음 來 /l/ l l ら행 l
반치음 日 /ɲ/ r j な행 ざ행 nh

아래 추정 음가는 이 사이트에서 갖고 왔다.

4.1.1. 순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p p p p p p p p p p p
b b b b b b b b b
m m m m m m m m m m m

4.1.2. 설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t t t t t t t t t t t
d d d d d d d d d
n n n n n n n n n n n
ȶ ʈ ȶ ʈ ȶ ȶ ȶ ȶ ʈ ʈ ʈ
ȶʰ ʈʰ ȶʰ ʈʰ ȶʰ ȶʰ ȶʰ ȶʰ ʈʰ ʈʰ ʈʰ
ȡʱ ɖ ȡ ɖ ȡ ȡʱ ȡ ȡ ɖ ɖ ɖ
n ɳ n ɳ n n n n ɳ ɳ ɳ

4.1.3. 치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dzʱ dz dz dz dz dzʱ dz dz dz dz dz
s s s s s s s s s s s
z z z z z z z z z z z
tʂʰ tʂʰ tʃʰ tʂʰ tʃʰ tʃʰ tʃʰ tʃʰ tʃʰ tʂʰ tʂʰ
dʐʱ dʒʱ
ʂ ʂ ʃ ʂ ʃ ʃ ʃ ʃ ʃ ʃ ʂ
dʐʰ ʒ ʐ ʒ ʒ ʒ ʒ ʐ ʐ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cçʰ
ʑ ʑ ʑ ʑ ʑ ʑ ɟʝ
ɕ ɕ ɕ ɕ ɕ ɕ ɕ ɕ ɕ ɕ ɕ
dʑʰ ʑ dʑʰ ʑ ʑ ʑ ʑ

4.1.4. 아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k k k k k k k k k k k
ɡ ɡʱ ɡ ɡ ɡ ɡʱ ɡ ɡ ɡ ɡ ɡ
ŋ ŋ ŋ ŋ ŋ ŋ ŋ ŋ ŋ ŋ ŋ

4.1.5. 후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x x x x x x x x h h h
ɣ ɣ ɣ ɣ ɣ ɣ ɣ ɣ ɦ ɦ ɦ
ʔ ʔ ʔ ʔ ʔ ʔ ʔ ʔ ʔ
ɣ j ɣ ɣ ɣ ɣ ɦ ɦ ɦ
j j j j j j

4.1.6. 반설음·반치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l l l l l l l l l l l
ȵʑ ȵʑ ȵʑ ȵʑ ȵʑ ȵ ȵ ȵʑ ȵ ȵ ȵ

4.2. 만기중고음 성모

만기중고한어의 성모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colbgcolor=#eee,#555> 오음 전청 차청 전탁 차탁
순음
脣音
<colbgcolor=#eee,#555> 중순음
重脣音

/p/

/pʰ/

/pʱ/

/m/
경순음
輕脣音

/f/

/fʰ/

/fʱ/

/ɱ/
설음
舌音
설두음
舌頭音

/t/

/tʰ/

/tʱ/

/n/
설상음
舌上音

/ʈ/

/ʈʰ/

/ʈʱ/

/ɳ/
치음
齒音
치두음
齒頭音

/t͡s/

/t͡sʰ/

/t͡sʱ/

/s/

/sʱ/
정치음
正齒音

/ʈ͡ʂ/
穿
/ʈ͡ʂʰ/

/ʈ͡ʂʱ/

/ʂ/

/ʂʱ/
아음
牙音

/k/

/kʰ/

/kʱ/

/ŋ/
후음
喉音

/ʔ/

/j/

/x/

/xʱ/
반설음
半舌音

/l/
반치음
半齒音

/ɻ/

이를 현대 음성학의 기준에 맞게 재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양순음 순치음 치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p

t

ʈ
ʈʰ
ʈʱ
k

ʔ
파찰음 t͡s
t͡sʰ
t͡sʱ
ʈ͡ʂ
ʈ͡ʂʰ
ʈ͡ʂʱ
마찰음 f
s
ʂ
ʂʱ
x
비음 m ɱ n ŋ
접근음 ɻ j
설측접근음 l

5. 운모

아래 표를 읽기 위한 몇 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중고한어의 운모를 모아둔 사이트[25]
/로 나뉜 발음은 중뉴 4등 / 중뉴 3등을 의미한다.
운모 Karlgren[26] 李榮 王力 Pulleyblank[27] Baxter 潘悟雲
1 [A] əwŋ uwng[əwŋ]
3+ iuŋ iuŋ ǐuŋ uwŋ juwng[jəwŋ] iuŋ
1 [A] uoŋ uoŋ awŋ owng[awŋ] uoŋ
3+ [A] i̯woŋ ioŋ ǐwoŋ uawŋ jowng[jawŋ] ioŋ
2 ɔŋ ɔŋ ɔŋ aɨwŋ æwng[ɹawŋ] ᵚɔŋ
3重 [B] ie / je ǐe iə̆ / jiə̆ jie / je[ɹie] iɛ / ᵚiɛ
wiě iue / jue ǐwe wiə̆ / jwiə̆ jwie / jwe[ɹiwe] ʷiɛ / ʷᵚiɛ
3重 i i / ji i i / ji jij / ij[ɹij] i / ᵚi
wi ui / jui wi wi / jwi jwij / wij[ɹwij] ʷi / ʷᵚi
3+ i ǐə ɨ i[jə] ɨ
3 ěi iəi ǐəi ɨj jɨj[jəj] ɨi
wěi iuəi ǐwəi uj jwɨj[jwəj] ʷɨi
3+ [A] i̯wo ǐo ɨə̆ jo
3+ [B] i̯u io ǐu uə̆ ju io
1 [A] uo o u ɔ u uo
4 iei ei iei ɛj ej ei
iwei uei iwei wɛj wej ʷei
[47] 3重 i̯ɛi iɛi / jɛi ǐɛi iaj / jiaj jiej / jej[ɹiej] iɛi / ᵚiɛi
i̯wɛi iuɛi / juɛi ǐwɛi wiaj / jwiaj jwiej / jwej[ɹiwej] ʷiei / ʷᵚiɛi
[50] 1 ɑi ɑi ɑi aj aj ɑi
wɑi uɑi uɑi waj waj ʷɑi
2 ai ɛ ai aɨj ɛ[ɹe] ᵚæ
wai wai waɨj [ɹwe] ʷᵚæ
2 ăi ɛi ɐi əɨj ɛj[ɹej] ᵚæi
wăi uɛi wɐi wəɨj wɛj[ɹwej] ʷᵚæi
[55] 2 ai ai æi aɨj æj[ɹaj] ᵚai
wai uai wæi waɨj wæj[ɹwaj] ʷᵚai
1 uɑ̌i uɒi uɒi wəj woj[wəj] uoi
1 ɑ̌i ɒi ɒi əj oj[əj] əi
[60] 3 i̯æi iɐi ǐɐi ɨaj joj[jaj] iɐi
i̯wæi iuɐi ǐwɐi uaj jwoj[jwaj] ʷiɐi
3重 i̯ĕn iĕn / jĕn ǐĕn in / jin jin / in[ɹin] in / ᵚin
[중B] i̯wĕn juĕn ǐwĕn jwin win[ɹwin] ʷᵚin
3重 [중A] i̯uĕn iuĕn ĭuĕn win jwin ʷin
3 i̯æn iĕn ĭen in in ɪn
3 i̯uən iuən ǐuən un jun[jwən] iun
3 i̯ən iən ǐən ɨn jɨn[jən] ɨn
1 u̯ən uən uən wən won[wən] uon
1 ən ən ən ən on[ən] ən
[71] 3 i̯æn iɐn ǐɐn ɨan jon[jan] iɐn
i̯wæn iuɐn ǐwɐn uan jwon[jwan] ʷiɐn
1 ɑn ɑn ɑn an an ɑn
1 uɑn uɑn uɑn wan wan ʷɑn
2 an an an aɨn æn[ɹan] ᵚan
wan uan wan waɨn wæn[ɹwan] ʷᵚan
2 ăn ɛn æn əɨn ɛn[ɹen] ᵚæn
wăn uɛn wæn wəɨn wɛn[ɹwen] ʷᵚæn
4 ien en ien ɛn en en
iwen uen iwen wɛn wen ʷen
3重 i̯ɛn iɛn / jɛn ǐɛn ian jien / jen[ɹien] iɛn / ᵚiɛn
i̯wɛn iuɛn / juɛn ǐwɛn wian jwien / jwen[ɹiwen] ʷiɛn / ʷᵚiɛn
4 ieu eu ieu ɛw ew eu
3重 [80] i̯wɛu iɛu / jɛu ǐɛu iaw jiew / jew[ɹiew] iɛu / ᵚiɛu
2 au au au aɨw æw[ɹaw] ᵚau
1 ɑu ɑu ɑu aw aw ɑu
1 [C] ɑ ɑ ɑ a a ɑ
1 wa wa
3+ [84] i̯ɑ ǐɑ ɨa ja
i̯wɑ iuɑ ǐuɑ ua jwa ʷiɑ
2 a a a æ[ɹa] ᵚa
wa ua ǐwa waɨ [ɹwa] ʷᵚa
3+ i̯a ia ǐa ia [ɹia] ia
3+ i̯aŋ iaŋ ǐaŋ ɨaŋ jaŋ iɐŋ
i̯waŋ iuaŋ ǐwaŋ uaŋ jwaŋ ʷiɐŋ
1 ɑŋ ɑŋ ɑŋ ɑŋ
wɑŋ uɑŋ uɑŋ waŋ waŋ ʷɑŋ
2 æŋ ɐŋ ɐŋ aɨjŋ æng[ɹaŋ] ᵚaŋ
wæŋ uɐŋ wɐŋ waɨjŋ wæng[ɹwaŋ] ʷᵚaŋ
3 i̯æŋ iɐŋ ǐɐŋ iajŋ jæng[ɹiaŋ] ᵚiaŋ
i̯wæŋ iuɐŋ ǐwɐŋ wiajŋ jwæng[ɹiwaŋ] ʷᵚiaŋ
2 ɛŋ ɛŋ æŋ əɨjŋ ɛng[ɹeŋ] ᵚæŋ
wɛŋ uɛŋ wæŋ wəɨjŋ wɛng[ɹweŋ] ʷᵚæŋ
3重 i̯̯ɛŋ iɛŋ ǐɛŋ iajŋ / jiajŋ jieŋ/ jeng[ɹieŋ] - / iɛŋ
i̯wɛŋ| | iuɛŋ ǐwɛŋ wiajŋ / jwiajŋ jwieŋ/ jweŋ[ɹiweŋ] - / ʷiɛŋ
4 ieŋ ieŋ ɛjŋ
iweŋ ueŋ iweŋ wɛjŋ weŋ ʷeŋ
3+ i̯əŋ iəŋ ǐəŋ ing[jəŋ] ɨŋ
i̯wəŋ iuəŋ ǐwəŋ wiŋ wing[jwəŋ] ʷɨŋ
1 əŋ əŋ əŋ əŋ ong[əŋ] əŋ
wəŋ uəŋ uəŋ wəŋ wong[wəŋ] ʷəŋ
3+ iə̆u iu ǐəu uw juw[jəw] iu
1 ə̆u u əu əw uw[əw] əu
3 i̯ĕu iĕu iəu jiw jiw ɨu
3重 [C] i̯əm iəm / jəm ǐĕm im / jim jim / im[ɹim] im / ᵚim
1 ɑ̌m ɒm ɒm əm om[əm] əm
1 [C] ɑm ɑm ɑm am am ɑm
3重 [106] i̯ɛm iɛm / jɛm ǐɛm iam jiem / jem[ɹiem] iɛm / ᵚiɛm
4 iem em iem ɛm em em
2 ăm ɐm ɐm əɨm ɛm[ɹem] ᵚæm
2 [C] am am am aɨm æm[ɹam] ᵚam
3 [C] i̯æm iɐm ǐɐm ɨam jæm[jam][113] iɐm
3 i̯wæm iuɐm ǐwɐm uam jwom[jwam] iɐm


입성이 아닐 때 현대 중국 관화, 현대 한국 한자음 운모와의 대응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중국어를 공부하면서 대응되는 패턴을 어느 정도는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예외들이 많으니 주의한다.
운모
東, 冬 1 eng, ong
東, 鍾 3 eng, iong 옹, 웅, 융
2 uang, iang
支, 脂, 微, 之 3 ei, i 이, 아, 의
支, 脂, 微 3 ui 우, 유, 웨, 위
1 u
3 u, ü 어, 여
3 u, ü 우, 유
泰, 咍 1 ai
泰, 灰 1 ui
佳, 皆, 夬 2 ai
2 uai 왜, 외
祭, 廢 3 i 에, 예
3 ui 예, 웨, 위
4 i
4 ui
1 en 안, 은
1 uen 온, 운
眞, 臻, 欣 3 en, in 은, 인
眞, 諄, 文 3 un, ün 운, 윤
1 an
1 uan 안, 완
刪, 山 2 an
2 uan 운, 완
元, 仙 3 an, ian 언, 연
3 uan, üan 연, 원
4 an, ian 언, 연
4 uan, üan 언, 연
1 ao
2 ao, iao 오, 요
3 iao 오, 요
4 iao 오, 요
1 e, uo
1 e, uo 아, 와
3 ie
3 üe
2 a, ia
2 ua 아, 와
3 e, ie 아, 야
1 ang
1 uang 앙, 왕
3 ang, iang 앙, 양
3 uang 앙, 왕, 양
庚, 耕 2 eng, ing 앵, 영
2 ong 앵, 영, 욍
庚, 淸 3 eng, ing 엉, 영
3 ing 엉, 영
4 eng, ing 엉, 영
4 ing 엉, 영
1 eng 응, 웅
1 ong 잉, 웅
3 eng, ing 응, 잉
3 ing 잉, 영
1 ou
尤, 幽 3 ou, iu 우, 유
3 en, in 음, 임
覃, 談 1 an
咸, 銜 2 an, ian
鹽, 嚴 3 an, ian 엄, 염
3 an
4 an, ian 엄, 염

6. 성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성조는 평, 상, 거, 입의 4성조 체계였으나, 발음을 재구할 단서가 부족해 체계만 알 수 있을 뿐 발음은 재구하기 어렵다. 사실 '사성' 문서에서 언급된 자료들을 보다 보면, 성조에 대해서 음고(pitch)를 활용하는 현대적 물리학적 설명이 아니라, 불필요하게 현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설명으로 가득차 있어서 평상거입이 각각 어떻게 발음되었는지 도저히 알 수가 없다.

7. 들어보기


조기중고한어


[1] 쉽게 위키에 빗대어 설명하자면, 관심이 큰 문서일수록 열람이 잦고 편집 횟수가 많아져서 문서 내용이 더 많이 변할 것이다. 취소선 드립이나 (...)같은 특징적 서술이 비교적 많이 남은 문서도 관심이 적은 문서에 많다.. [2] 한서를 바탕으로 만든 기원후 2년경 중국 대륙 인구 밀도 지도 # 출처 [3] # # [4] 이 분류는 근고한어, 나아가 현대 중국어의 각 방언의 음절 구조를 설명할 때도 그대로 이용된다. [5] Norman, Jerry (1988), Chine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중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아래에 나오는 운모 문단 참조. [7] 위에 있는 검색창에 한자를 치고 옆에 있는 남색 버튼을 누르면 된다. [di] じ, ズ 한정 [di] [di] [di] [12] 해당 성모가 사용된 한자는 8개뿐이다. [13] 즉 常과 禪은 반절계련법에 의해 같은 성모를 가진다 [14] 다만 오어(吳語)는 이 무성음화를 피해갔다. 때문에 오어는 현재도 중국어의 방언 중 유일하게 중고음의 청탁의 대립을 유지하고 있다. [15] 백스터 체계는 r+a/o를 æ로 변화하고, r+e를 ɛ로 변화한 것으로 표현하였다. 더 원형태의 운모는 따로 삽입하였다. [16] 以모 제외 [17] 설상음, 정치음莊계 [18] 以모, 반치음, 정치음章계 [19] 地처럼 설두음에 3등이 오는 등의 예외가 몇 있다. [20] 권설정치음과 결합하면 가2등진3등, 치두음과 결합하면 가4등진3등으로 분류된다. [21] 여기에 가4등진3등과 3등을 더해 3등乙이라고 한다. 중뉴A는 순아후음에서만, 가4등진3등은 설치음에서만 차이가 나타난다. [22] 여기에 가2등진3등을 더해 3등甲이라고 한다. 중뉴B는 순아후음에서만, 가2등진3등은 설치음에서만 차이가 나타난다. [23] 다른 나라 한자음에서 /~je~/ 형태인 것이 한국어에서도 /~je~/(예: 견, 혈, 계)이면 중뉴4등, /~e~/(예: 건, 헐, 게) 등으로 변하면 중뉴3등이다. 단 과거에는 ~i 형태가 전자는 기, 히, 이였고 후자는 긔, 희, 의로만 쓰여 구분이 가능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긔/기는 ㅢ 모음을 붕괴시키는 쪽, 희/히는 '희'를 남기고 한자음 '히'가 잘 쓰이지 않는 쪽(屎의 독음이 시/히로 2가지인데 이 글자가 히 독음으로 쓰이는 경우는 지금은 없다시피 하다. 북한은 희를 없애고 히로 통일했다.)으로 정서법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현대 한국어로는 ~i 형태의 경우 이/의를 빼면 둘 간의 구분이 불가능하다.(한자음 예/에 구분의 경우 발음상으로는 무너져가긴 하나 정서법이 바뀌지 않아서 문자로 구분된다.) 그리고 'ㅓ'나 'ㅢ'가 중뉴에서만 쓰인 것은 아니었는데, 과거에는 븨, 싀 같은 한자음도 있었고 한국어의 음성 변동의 영향으로 치음에서 반모음 j가 표기상으로도 탈락해 ㅓ가 많이 등장했다. [24] 다른 나라 한자음에서 순음인 것이 베트남어에서도 순음이면 중뉴3등, 치음으로 변하면 중뉴4등이다. 똑같이 3등으로 분류되는 3등운과 3+등운도 일부 한자에서 순치음 형태로의 성모 전환을 보여준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 [25] 아래표에 없는 입성도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운모를 클릭하면 자세한 정보도 나온다. [26] 위 사이트에서는 高本漢이라고 써있다. [27] 위 사이트에서는 蒲立本이라고 써있다. [A] 운경에는 開라고 적혀 있는데 보통 논문에서는 합구호로 취급한다. [əwŋ] > əwŋ [jəwŋ] > jəwŋ [A] [awŋ] > awŋ [A] [jawŋ] > jawŋ [ɹawŋ] > ɹawŋ [B] 운경에는 開合이라고 적혀 있다. [ɹie] > ɹie [ɹiwe] > ɹiwe [ɹij] > ɹij [ɹwij] > ɹwij [jə] > jə [jəj] > jəj [jwəj] > jwəj [A] [B] [A] [47] 齊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 [ɹiej] > ɹiej [ɹiwej] > ɹiwej [50] 皆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 [ɹe] > ɹe [ɹwe] ɹwe [ɹej] > ɹej [ɹwej] > ɹwej [55] 齊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 [ɹaj] > ɹaj [ɹwaj] > ɹwaj [wəj] > wəj [əj] > əj [60] 灰운과 咍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 [jaj] > jaj [jwaj] > jwaj [ɹin] > ɹin [중B] 중뉴B만 있다. [ɹwin] > ɹwin [중A] 중뉴A만 있다. [jwən] > jwən [jən] > jən [wən] > wən [ən] > ən [71] 원래 元韻은 광운에서 欣韻과 魂韻 사이에 등재되어 있으나, 山攝에 속하기 때문에 뒤로 뺐다. [jan] > jan [jwan] > jwan [ɹan] > ɹan [ɹwan] > ɹwan [ɹen] > ɹen [ɹwen] > ɹwen [ɹien] > ɹien [ɹiwen] > ɹiwen [80] 운경에서 4等의 경우 合이라고 적혀 있다. [ɹiew] ɹiew [ɹaw] > ɹaw [C] 운경에는 合이라고 적혀 있는데 보통 논문에서는 개구호로 취급한다. [84] 운경에는 개구호에 해당하는 운이 없다. 원래 운모가 戈3開인 글자가 매우 적긴 하다. [ɹa] > ɹa [ɹwa] > ɹwa [ɹia] > ɹia [ɹaŋ] > ɹaŋ [ɹwaŋ] > ɹwaŋ [ɹiaŋ] > ɹiaŋ [ɹiwaŋ] > ɹiwaŋ [ɹeŋ] > ɹeŋ [ɹweŋ] >ɹweŋ [ɹieŋ] > ɹieŋ [ɹiweŋ] > ɹiweŋ [jəŋ] > jəŋ [jwəŋ] > jwəŋ [əŋ] > əŋ [wəŋ] > wəŋ [jəw] > jəw [əw] > əw [C] [ɹim] > ɹim [əm] > əm [C] [106] 운경에는 合도 합구호도 있다. [ɹiem] > ɹiem [ɹem] > ɹem [C] [ɹam] > ɹam [C] [jam] > jam [113] 개구호嚴 - 합구호凡의 차이인데 백스터의 체계로는 jom이 아닌 jæm이다. 단순 표기 오류인지 알 수 없다. [jwam] > jwam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