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5 21:59:30

미상 한자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주음부호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


1. 개요2. 생기는 이유3. 목록
3.1. 훈을 알 수 없는 한자3.2. 음을 알 수 없는 한자3.3. 음훈 모두 알 수 없는 한자

[clearfix]

1. 개요

한자 벽자로 등재되어 있거나, 국자(한자)로 분류된 자들 중에서 음과 훈을 알 수 없는 한자들을 정리한 문서.

대다수의 미상 한자의 출전이 강희자전, 옥편 등, 중국 역사 상 왕조들이 편찬한 사전에 기원을 두고 있다만 음이 미상인 한자들의 경우 주로 일본에서 전거된 한자들이 많이 있다.

2. 생기는 이유

이는 한자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전세계의 문자체계 중 매우 드문 열린 집합에 속하는 문자다.[1] 제자 원리만 안다면 누구나 새 한자를 뚝딱 만들어낼 수 있고, 개중에는 '자기 혼자 쓰려고 만든 글자'도 정말로 있기 때문에[2] 후세의 고고학자들에게 큰 빡침을 선사한다.

벽자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는 것으로, 현존하는 한자들 중에는 이러한 미상 한자들이 매우 많은데, 이는 중국의 넓은 영토와 산맥, 사막 등으로 타 지방과 단절되기 쉬운 지리적 특성상, 일부 지방에서만 사용하였던 방언자, 혹은 좡족 좡어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한자인 고장자[3], 월어를 표현하는 쯔놈, 혹은 순전히 작성자의 악필(...)로 추가된 오탈자[4] 또한 옥편, 오음편해, 강희자전 등, 역대 중국 왕조에서 편찬한 한자를 집대성한 사전들에 실렸기 때문이다.

추가로, 한국의 국자와, 일본의 와세이칸지 중에서도 음훈미상의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며, 이 중에도 이름자로 사용되어 아예 유니코드 등재조차 되지 않은 한자들이 매우 많은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3. 목록

3.1. 훈을 알 수 없는 한자

3.2. 음을 알 수 없는 한자

3.3. 음훈 모두 알 수 없는 한자



[1] 비슷한 성격으로 서하 문자가 있다. [2] 사람 이름 완/만이나, 중산왕 착의 이름자가 이런 케이스로 추정된다. [3] 예시 중 하나로, 벌레 이름 뢰는 𧒽(⿰虫雷)로 표기하지만, 좡족에서는 𬠵(⿰虫蜜, 파일:벌레이름뢰-고장자이체.png )로 표기한다. [4] 음훈미상 한자 중, 𤪠의 경우, 질나팔 훈의 오자로 추정되며, 중세-근대의 사례는 아니지만, 일본의 출전 미상의 음훈미상 한자를 칭하는 유령 문자 중, 가 이런 케이스로 출전된 오타로 추정된다. [5] 모퉁이라는 말이다. [6] 파일:⿱次⿰次次.svg [7] 파일:200px-U2b679.svg.png [8] 파일:U3156d.svg.png [9] 파일:𡸫.svg [10] 파일:91827272737477474747473747373626151515255227.png [11] 파일:⿱𠂉昜.png [12] 파일:⿱九⿰九九.svg [13] 파일:U+2CEC5.png [14] 파일:U+2D073.png [15] 파일:Taito_2.svg [16] 파일:2c6a9.png [17] 파일:⿱艹昔.sv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