乞 빌 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乙,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キツ, コツ
|
||||||
일본어 훈독
|
こ-う
|
||||||
-
|
|||||||
표준 중국어
|
qǐ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빌 걸(乞). '빌다', '구걸하다', '가난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빌다 |
음 | 걸 | |
중국어 | 표준어 | qǐ |
광동어 | hat1 | |
객가어 | khié, khiet | |
민북어 | kĭ | |
민동어 | ké̤ṳk | |
민남어 | khit | |
오어 | qiq(T4) | |
일본어 | 음독 | キツ, コツ |
훈독 | こ-う | |
베트남어 | khất |
유니코드에는 U+4E5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N(人弓)으로 입력한다.
원래 이 글자는 气(기운 기)와 같은 글자였다. 气는 원래 '공기', '기운' 등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였으나 가차되어 '빌다'라는 뜻도 나타내었는데, '빌다'라는 뜻만 따로 나타내기 위해 气에서 따로 떨어져 나온 글자가 乞이다.
3. 용례
3.1. 단어
- 간걸( 懇乞)
- 걸가(乞 暇)
- 걸개(乞 丐)
- 걸객(乞 客)
- 걸과(乞 科)
- 걸량(乞 糧)
- 걸립(乞 粒)
- 걸사(乞 士)
- 걸식(乞 食)
- 걸아(乞 兒)
- 걸호희(乞 胡 戲)
- 구걸( 求乞)
- 애걸( 哀乞)
- 풍걸( 豐乞)
- 행걸( 行乞)
3.2. 고사성어/ 숙어
- 걸불병행(乞 不 竝 行)
- 걸신(乞 神)
- 걸아득금(乞 兒 得 錦)
- 걸인연천(乞 人 憐 天)
- 걸해골(乞 骸 骨)
- 문전걸식( 門 前乞 食)
- 애걸복걸( 哀乞 伏乞)
- 요미걸련( 搖 尾乞 憐)
- 원걸종양( 願乞 終 養)
- 전전걸식( 轉 轉乞 食)
- 호전걸육( 虎 前乞 肉)
3.3. 인명
- 걸걸중상(乞乞 仲 象)
- 걸력서(乞 力 徐)
- 걸복건귀(乞 伏 乾 歸)
- 걸복국인(乞 伏 國 仁)
- 걸복리나(乞 伏 利 那)
- 걸복모말(乞 伏 慕 末/乞 伏 暮 末)
- 걸복우린(乞 伏 祐 隣)
- 걸복치반(乞 伏 熾 磐)
- 걸사비우(乞 四 比 羽)
- 걸사우(乞 四 羽)
- 걸탑대(乞 塔 歹)
- 걸해대왕(乞 解 大 王)
- 걸해 이사금(乞 解 尼 師 今)
- 김중걸( 金 仲乞)
- 논걸염( 論乞 髯)
- 사걸( 沙乞)
- 사사고이 토이치로( 笹乞 藤 一 郞)
- 선우걸( 鮮 于乞)
- 야율걸노( 耶 律乞 奴)
- 우문걸득귀( 宇 文乞 得 龜)
- 전걸( 田乞)
- 조수걸( 操 帥乞)
- 키츠가이 세세(乞 骸 セセ)
- 코이즈미 레이(乞 水 怜)
- 찰걸아( 察乞 兒)
- 취걸개( 醉乞 丐)
3.4. 지명
3.5. 창작물
- 걸수정당서오대사차자(乞 修 定 唐 書 五 代 史 劄 子)
- 노걸대( 老乞 大)
- 노걸대신석( 老乞 大 新 釋)
- 노걸대언해( 老乞 大 諺 解)
- 몽어노걸대( 蒙 語 老乞 大)
- 번역노걸대( 飜 譯 老乞 大)
- 중간노걸대( 重 刊 老乞 大)
- 청어노걸대( 淸 語 老乞 大)
- 乞い祈みの撫子( 간절한 기도의 나데시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