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21:39:46

번역노걸대

<colbgcolor=#AA8443><colcolor=#fff> 번역노걸대
飜譯老乞大
파일:번역 노걸대.jpg
출간 1517년 (중종 12) 이전
편저 최세진
권수 2권 2책 (상, 하)
소장 성암고서박물관

1. 개요2. 원문 및 해석
2.1. 상권
3. 참고 사이트

[clearfix]

1. 개요

훈몽자회를 지은 것으로 유명한 최세진(崔世珍)이 고려 시대부터 전해온 중국어 학습서 《 노걸대》의 원문에 중국어 독음을 한글로 달고 언해한 서적으로, 총 2권 2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간행 연도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최세진의 《 사성통해(1517)》에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가 실려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517년( 중종 12년)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

원 책에서는 제목이 '노걸대'라고만 쓰여 있지만 원본 《 노걸대》와 후대의 《 노걸대언해(1670)》와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번역노걸대'라고 부르고 있다. 번역노걸대는 원전인 《노걸대》와 마찬가지로 고려 상인들이 , 인삼, 모시 등의 특산품을 싣고 중국 북경으로 가서 판 뒤 그곳의 특산품을 사서 돌아올 때까지의 줄거리를 담고 있다.

번역박통사》와 더불어 당시 통용되었던 중국어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한 최초의 문헌이라는 점[1]에서 음운학적으로 큰 의의가 있으며 《 노걸대》가 행상인들의 여행과 교역을 다룬 회화집이라 당시 조선인들이 썼던 구어체의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후대에 간행된 《 노걸대언해》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의 변천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2. 원문 및 해석

2.1. 상권

중국어 원문 언해 원문 현대어 풀이
大哥,伱從那裏來? 큰 혀ᇰ님, 네 어드러로셔브터 온다? 큰 형님, 그대는 어디에서부터 왔소?
我從高麗王京來。 내 高麗 王京으로셔브터 오라. 나는 고려 왕경에서부터 왔소.
如今那裏去? 이제 어드러 가ᄂᆞᆫ다? 이제 어디로 가오?
我往北京去。 내 北京 햐ᇰᄒᆞ야 가노라. 나는 북경을 향하여 가오.
伱幾時離了王京? 네 언제 王京의셔 ᄠᅥ난다? 그대는 언제 왕경에서 떠났소?
我這月初一日離了王京。 내 이 ᄃᆞᆳ 초ᄒᆞᄅᆞᆺ날 王京의셔 ᄠᅥ나라. 나는 이 달 초하룻날 왕경에서 떠났소.
旣是這月初一日離了王京,
到今半箇月,怎麼纔到的這裏?
이믜 이 ᄃᆞᆳ 초ᄒᆞᄅᆞᆺ날 王京의셔 ᄠᅥ나거니,
이제 반ᄃᆞ리로ᄃᆡ 엇디 앗가ᅀᅡ 예 오뇨?
이미 이 달 초하룻날 왕경에서 떠났으면,
이제 보름인데, 어찌 아까에야 여기 오오?
我有一箇火伴落後了來,
我沿路上慢慢的行着等候來,
因此上來的遲了。
내 ᄒᆞᆫ 버디 ᄠᅥ디여 올ᄉᆡ,
내 길 조차 날회여 녀 기들워 오노라 ᄒᆞ니,
이런 젼ᄎᆞ로 오미 더듸요라.
내 한 벗이 떨어져 오기에,
내가 길 좇아 천천히 걸어 기다려 오느라 하니,
이런 까닭으로 오는 것이 더디었소.
那火伴如今赶上來了不曾? 그 버디 이제 미처 올가, 몯 올가? 그 벗이 이제 뒤미처 올 수 있소?
這箇火伴便是,夜來纔到。 이 버디 곧 긔니, 어재 ᄀᆞᆺ 오다. 이 벗이 곧 그이니, 어제 갓 왔소.
伱這月盡頭到的北京麼到不得? 네 이 ᄃᆞᆳ 그믐ᄭᅴ 北京의 갈가, 가디 몯ᄒᆞᆯ가? 그대는 이달 그믐께 북경에 갈 수 있소?
知他,那話怎敢說?
天可憐見,身已安樂時,也到。
모로리로다. 그 마ᄅᆞᆯ 엇디 니ᄅᆞ리오.
하ᄂᆞᆯ히 어엿비 너기샤 모미 편안ᄒᆞ면 가리라.
모르겠소. 그 말을 어찌 하겠소.
하늘이 가엾게 여기시어 몸이 편안하면 갈 것이오.
伱是高麗人,
却怎麼漢兒言語說的好?
너ᄂᆞᆫ 高麗ㅅ 사ᄅᆞ미어시니,
ᄯᅩ 엇디 漢語 닐오미 잘 ᄒᆞᄂᆞ뇨?
그대는 고려 사람인데,
또 어찌 한어(漢語) 말하기를 잘 하오?
我漢兒人上學文書,
因此上些少漢兒言語省的。
내 漢兒人의손ᄃᆡ 글 ᄇᆡ호니,
이런 젼ᄎᆞ로 져그나 漢語 아노라.
내 중국인한테 글을 배우니,
이런 까닭으로 조금이나마 한어를 아오.
伱誰根底學文書來? 네 뉘손ᄃᆡ 글 ᄇᆡ혼다? 그대는 누구한테 글을 배웠소?
我在漢兒學堂裏學文書來。 내 되 ᄒᆞᆨ다ᇰ의셔 글 ᄇᆡ호라. 나는 중국 학당에서 글을 배웠소.
伱學甚麼文書來? 네 므슴 그를 ᄇᆡ혼다? 그대는 무슨 글을 배웠소?
讀 《論語》 《孟子》 《小學》。 論語, 孟子, 小學을 닐고라. 논어, 맹자, 소학을 읽었소.
伱每日做甚麼工課? 네 ᄆᆡᅀᅵᆯ 므슴 이력ᄒᆞᄂᆞᆫ다? 그대는 매일 무슨 공부를 하오?
每日清早晨起來,到學裏,
師傅上受了文書,放學,
到家裏喫飯罷,
却到學裏寫倣書,
寫倣書罷對句,
對句罷吟詩,
吟詩罷師傅前講書。
ᄆᆡᅀᅵᆯ 이른 새배 니러 ᄒᆞᆨ다ᇰ의 가
스스ᇰ님ᄭᅴ 글 듣ᄌᆞᆸ고, ᄒᆞᆨ다ᇰ의 노하든
지븨 와 밥 머기 ᄆᆞᆺ고,
ᄯᅩ ᄒᆞᆨ다ᇰ의 가 셔품 쓰기 ᄒᆞ고,
셔품 쓰기 ᄆᆞᆺ고 년구ᄒᆞ기 ᄒᆞ고,
년구ᄒᆞ기 ᄆᆞᆺ고 글 이피 ᄒᆞ고,
글 입피 ᄆᆞᆺ고 스스ᇰ님 앏픠 글 가ᇰᄒᆞ노라.
매일 이른 새벽에 일어나 학당에 가서
스승님께 글을 배우고, 학당을 끝내면
집에 와서 밥 먹기를 마치고,
또 학당에 가 글씨 쓰기 하고,
글씨 쓰기가 끝나면 시 짓기를 하고,
시 짓기를 마치면 시를 읊고,
시 읊기가 끝나면 스승님 앞에서 글을 강독하오.
講甚麼文書? 므슴 그를 가ᇰᄒᆞᄂᆞ뇨? 무슨 글을 강독하오?
講 《小學》 《論語》 《孟子》。 小學, 論語, 孟子를 가ᇰᄒᆞ노라. 소학, 논어, 맹자를 강독하오.
說書罷又做甚麼工課? 글 사김ᄒᆞ기 ᄆᆞᆺ고 ᄯᅩ 므슴 고ᇰ부ᄒᆞᄂᆞ뇨? 글 새김을 마치고 또 무슨 공부를 하오?
到晩,
師傅前撤簽背念書。
背過的,師傅與免帖一箇,
若背不過時,
教當直的學生背起,打三下。
나죄 다듣거든,
스스ᇰ님 앏픠셔 사ᄉᆞᆯ ᄲᅢ혀 글 외오기 ᄒᆞ야
외오니란 스스ᇰ님이 免帖 ᄒᆞ나ᄒᆞᆯ 주시고,
ᄒᆞ다가 외오디 몯ᄒᆞ야든,
딕ᅀᅵᆯ 션븨 ᄒᆞ야 어피고 세 번 티ᄂᆞ니라.
저녁 다다르거든,
스승님 앞에서 제비를 뽑아 글 외우기를 하는데
외운 사람은 스승님이 면첩(免帖) 하나를 주시고,
만일 외우지 못하거든,
당직 선비를 시켜 엎드리게 하고 세 번 때리오.
怎的是撤簽背念書?
怎的是免帖?
엇디 ᄒᆞᆯ시 사ᄉᆞᆯ ᄲᅢ혀 글 외오기며,
엇디 ᄒᆞᆯ시 免帖인고?
어떠한 것이 제비를 뽑아 글을 외우는 것이며,
어떠한 것이 면첩이오?
每一箇竹簽上寫着一箇學生的姓名。
衆學生的姓名都這般寫着,
一箇簽筒兒裏盛着。
教當直的學生,將簽筒來搖動,
內中撤一箇,撤着誰的,
便着那人背書。
背念過的,師傅與免帖一箇。
那免帖上寫着 「免打三下」
師傅上頭畵着花押。
若再撤簽試不過,
將出免帖來毀了,
便將功
折過免了打。
若無免帖,定然喫打三下。
ᄆᆡ ᄒᆞᆫ 대ᄧᅩᆨ애 ᄒᆞᆫ 션븨 일훔 쓰고,
모든 션븨 일후믈 다 이리 써
ᄒᆞᆫ 사ᄉᆞᆯ 토ᇰ애 다마,
딕ᅀᅵᆯ 션븨 ᄒᆞ야 사ᄉᆞᆯ토ᇰ 가져다가 흔드러
그 듀ᇰ에 ᄒᆞ나 ᄲᅢ혀, "ᄲᅢ혀니 뉜고?" ᄒᆞ야
믄득 그 사ᄅᆞᆷ ᄒᆞ야 글 외오요ᄃᆡ,
외와든 스스ᇰ이 免帖 ᄒᆞ나흘 주ᄂᆞ니
그 免帖 우희 "세 번 마조ᄆᆞᆯ 면ᄒᆞ라." ᄒᆞ야 쓰고
스스ᇰ이 우희 쳐 두ᄂᆞ니라.
ᄒᆞ다가 다시 사ᄉᆞᆯ ᄲᅢ혀 외오디 몯ᄒᆞ야도,
免帖 내여 ᄒᆡ야ᄇᆞ리고
아ᄅᆡ 외와 免帖 타 잇던 고ᇰ오로
이번 몯 외온 죄를 마초와 티기를 면ᄒᆞ거니와,
ᄒᆞ다가 免帖곳 업스면 일뎌ᇰ 세 번 마조믈 니브리라.
매양 한 대쪽에 선비의 이름을 하나씩 쓰고,
모든 선비 이름을 다 이리 써서
한 제비통에 담아,
당직 선비로 하여금 제비통을 가져다가 흔들게 하여
그 중에 하나를 빼어 ”뽑힌 사람이 누군가?” 하여
문득 그 사람으로 하여금 글 외우게 하되,
외우거든 스승이 면첩 하나를 주니
그 면첩 위에는 “세 번 맞음을 면하라.” 라고 쓰고
스승이 위에 수결을 해 두오.
만일 다시 제비를 뽑아서 (글을) 외우지 못하여도,
면첩을 내어 (맞는 것을) 면하게 해주고,
전에 외워 면첩을 탄 공(功)으로
이번에 못 외운 죄를 맞추어서 치기를 면하거니와,
만일 면첩이 없으면 정한대로 반드시 세 번을 맞게 될 것이오.
伱是高麗人,
學他漢兒文書怎麼?
너ᄂᆞᆫ 高麗ㅅ 사ᄅᆞ미어시니,
漢人의 글 ᄇᆡ화 므슴 ᄒᆞᆯ다?
그대는 고려 사람인데,
한인의 글을 배워 무엇 하려 하오?
伱說的也是,
各自人都有主見。
네 닐옴도 올타 커니와,
각각 사ᄅᆞ미 다 읏듬오로 보미 잇ᄂᆞ니라.
그대가 이르는 것도 옳다 하거니와,
각각 사람이 다 으뜸으로 보는 것이 있는 법이오.
伱有甚麼主見?
伱說。我聽着。
네 므슴 읏듬 보미 잇ᄂᆞ뇨?
네 니ᄅᆞ라, 내 드로마.
그대가 으뜸으로 보는 것은 무엇이오?
그대가 이르면, 내가 듣겠소.
如今朝廷一統天下,
世間用着的是漢兒言語。
我這高麗言語,
只是高麗地面裏行的。
過的義州,漢兒地面來,
都是漢兒言語。
有人問着,一句話也說不得時,
別人將咱們做甚麼人看?
이제 됴뎌ᇰ이 텬하를 一統ᄒᆞ야 겨시니,
셰간애 ᄡᅳ노니 漢人의 마리니,
우리 이 高麗ㅅ 말소믄
다믄 高麗ㅅ ᄯᅡ해만 ᄡᅳᄂᆞᆫ 거시오,
義州 디나 中朝 ᄯᅡ해 오면
다 漢語 ᄒᆞᄂᆞ니,
아뫼나 ᄒᆞᆫ 마를 무러든 ᄯᅩ ᄃᆡ답디 몯ᄒᆞ면,
다ᄅᆞᆫ 사ᄅᆞ미 우리를다가 므슴 사ᄅᆞᄆᆞᆯ 사마 보리오?
이제 조정이 천하를 통일하였으므로,
세간에 쓰는 것은 한인의 말인데,
우리 이 고려말은
다만 고려 땅에서만 쓰는 것이요,
의주를 지나 중국 땅에 오면
다 한어로 말하니,
누가 한 마디 묻거든 또 대답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이 우리를 무슨 사람으로 여기겠소?
伱這般學漢兒文書時 ,
是伱自心裏學來?
伱的爺娘教伱學來?
네 이리 漢人손듸 글 ᄇᆡ호거니,
이 네 ᄆᆞᅀᆞ모로 ᄇᆡ호ᄂᆞᆫ다?
네 어버ᅀᅵ 너를 ᄒᆞ야 ᄇᆡ호라 ᄒᆞ시ᄂᆞ녀?
그대가 이렇게 중국인에게 한어를 배우는 것은,
그대가 배우고 싶어서 배우는 것이오?
아니면 그대의 부모의 뜻으로 배우는 것이오?
是我爺娘教我學來。 올ᄒᆞ니 우리 어버ᅀᅵ 나를 ᄒᆞ야 ᄇᆡ호라 ᄒᆞ시ᄂᆞ다. 옳소, 우리 부모님이 나에게 배우라고 하셨소.
你學了多少時節? 네 ᄇᆡ환 디 언머 오라뇨? 그대는 배운지 얼마나 오래되었소?
我學了半年有余。 내 ᄇᆡ환 디 반 ᄒᆡ 남즉 ᄒᆞ다. 나는 배운지 반 년 남짓 되었소.
省的那省不的? 알리로소녀 아디 몯ᄒᆞ리로소녀? (한어에 대해) 알겠소, 알지 못하겠소?
每日和漢兒學生們,
一處學文書來,
因此上些少理會的。
ᄆᆡᅀᅵᆯ 漢兒 션ᄇᆡᄃᆞᆯ콰 ᄒᆞ야,
ᄒᆞᆫ ᄃᆡ셔 글 ᄇᆡ호니,
이런 젼ᄎᆞ로 져기 아노라.
매일 중국 선비들과 더불어,
한 곳에서 글을 배우니,
이런 까닭에 조금 알겠소.
伱的師傅是甚麼人? 네 스스ᇰ이 엇던 사ᄅᆞᆷ고? 그대의 스승은 어떤 사람이오?
是漢兒人有。 이 漢人이라. 중국인이오.
多少年紀? 나히 언메나 ᄒᆞ뇨? 나이가 얼마나 되오?
三十五歲了。 설흔다ᄉᆞ시라. 서른 다섯이시오.
耐繁教那不耐繁教? 즐겨 ᄀᆞᆮᄂᆞ녀 즐겨 ᄀᆞᄅᆞ치디 아닛ᄂᆞ녀? 즐기며 가르치시오, 아니면 그렇지 않으시오?
我師傅性兒溫克,
好生耐繁教。
우리 스스ᇰ이 셔ᇰ이 온화ᄒᆞ야,
ᄀᆞ자ᇰ 즐겨 ᄀᆞᄅᆞ치ᄂᆞ다.
우리 스승의 성품이 온화하여,
아주 즐겨 가르치시오.
伱那衆學生內中,
多少漢兒人?多少高麗人?
네 모든 션ᄇᆡ 듀ᇰ에,
언메나 漢兒人이며 언메나 高麗ㅅ 사ᄅᆞᆷ고?
그대 학당의 모든 선비들중에,
중국인은 얼마나 되며 고려인은 얼마나 되오?
漢兒高麗中半。 漢兒와 高麗 반이라. 중국인과 고려인 반 씩이오.
裏頭也有頑的麼? 그 듀ᇰ에 ᄀᆞᆯ외ᄂᆞ니 잇ᄂᆞ녀? 그 중에 말썽 피우는 사람이 있소?
可知有頑的,
每日學長
將那頑學生
師傅上稟了,
那般打了時只是不怕。
漢兒小廝們
十分頑,
高麗小廝們較好些。
ᄀᆞᆯ외ᄂᆞ니 잇닷 마리ᅀᅡ 니ᄅᆞ려,
ᄆᆡᅀᅵᆯ 學長이
ᄀᆞᆯ외ᄂᆞᆫ 學生을다가
스스ᇰ님ᄭᅴ ᄉᆞᆲ고,
그리 텨도 다함 저티 아닌ᄂᆞ니라.
漢兒 아ᄒᆡᄃᆞᆯ히
ᄀᆞ자ᇰ ᄀᆞᆯ외거니와,
高麗ㅅ 아ᄒᆡᄃᆞᆯᄒᆞᆫ 져기 어디니라.
말썽 피는 사람이 없을 리가 있겠소,
매일 학장이
말썽 피는 학생들을
스승님께 이르고,
그렇게 때려도
여전히 두려워하지 않소.
중국 아이들이 매우 짓궃고,
고려 아이들은 좀 어지오.
大哥,
伱如今那裏去?
큰 혀ᇰ님,
네 이제 어듸 가ᄂᆞᆫ다?
큰 형님,
이제 어디로 가시오?
我也往北京去。 나도 北京 햐ᇰᄒᆞ야 가노라. 나도 북경을 향하여 가오.
伱旣往北京去時,
我是高麗人
漢兒地面裏不慣行,
伱好歹拖帶我
做火伴去。
네 ᄒᆞ마 北京 햐ᇰᄒᆞ야 가거니,
나ᄂᆞᆫ 高麗ㅅ 사ᄅᆞ미라
한 ᄯᅡ해 니기 ᄃᆞᆫ니디 몯ᄒᆞ야 잇노니,
네 모로매 나를 ᄃᆞ려
벋 지ᅀᅥ 가^고려.
그대가 장차 북경에 간다면,
나는 고려인이라
중국 땅에 익숙하게 다니지 못하니,
그대가 모름지기 나를 데리고
벗 삼아 가는 것은 어떻소.
這們時,
咱們一同去來。
이러면,
우리 ᄒᆞᆷ콰 가져.
그러면,
우리 함께 가오.
哥哥,
伱貴姓?
혀ᇰ님,
네 셔ᇰ은?
형님,
그대의 성은 무엇이오?
我姓王。 내 셔ᇰ이 王개로라. 내 성은 왕(王)이오.
伱家在那裏住? 네 지비 어듸셔 사ᄂᆞᆫ다? 그대는 어디서 사시오?
我在遼陽城裏住。 내 遼陽 잣 안해셔 사노라. 나는 요양성(遼陽城) 안에서 살고 있소.
伱京裏有甚麼勾當去? 네 셔울 므슴 일 이셔 가ᄂᆞᆫ다? 그대는 서울(북경)을 무슨 일이 있어서 가고 있소?
我將這幾箇馬賣去。 내 아니 여러 ᄆᆞᆯ 가져 ᄑᆞᆯ라 가노라. 나는 이 몇 필의 말을 팔러 가고 있소.
那般時最好,
我也待賣這幾箇馬去。
這馬上駞着的些少毛施布
一就待賣去。
그러면 ᄀᆞ자ᇰ 됴토다,
나도 이 여러 ᄆᆞᆯ ᄑᆞᆯ라 가며
이 ᄆᆞᆯ 우희 시론 아니 한 모시뵈도
이믜셔 ᄑᆞᆯ오져 ᄒᆞ야 가노라.
그러면 매우 잘 됐소,
나도 이 여러 필의 말을 팔러 가며
이 말 위에 실은 많지 않은 모시도
곧 팔고자 하여 가오.
伱旣賣馬去時.
咱們恰好做火伴去。
네 ᄒᆞ마 ᄆᆞᆯ ᄑᆞᆯ라 가거니,
우리 벋 지ᅀᅥ 가미 마치 됴토다.
그대가 이미 말을 팔러 가고 있으니,
우리가 벗 삼아 같이 가는 것이 마침 좋겠소.

3. 참고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번역노걸대
번역노걸대 원문 자료1
번역노걸대 원문 자료2


[1] 번역노걸대 이전에도 《 동국정운(1448)》이 간행된 바 있지만 원나라 이전 중국의 표준운서에 대응되는 한국 한자음을 설정하려고 했기 때문에 당시 조선에서 통용되던 한자음은 물론이고 동시대 중국에서 쓰이던 입말과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