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8:21

우정식 병음

우정식병음에서 넘어옴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92da>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1. 개요2. 표기 예3. 둘러보기

1. 개요

우정식 병음(郵政式拼音, Chinese postal romanization)은 중국어 병음의 일종으로, 중국 대륙에서 한어병음을 도입하기 전에 지명 표기에 썼던 로마자 표기법이다. 단어 그대로 청나라 말기에 우편과 전신에 사용하는 표준 로마자 표기법으로 도입된 것이다.

이 표기법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기초하되, 몇몇 지명들은 고어, 방언 등을 고려해서 케바케로 변형하여 정한 것이다. 이는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만다린보다 익숙했던 광동어 등의 남부 방언을 고려해 표기를 정하거나 서양 사람들이 이미 정착시킨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익숙하도록 표기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어 발음을 1:1로 로마자로 옮겨 적는 표기법은 아니다. 일반적인 '병음'이나 '로마자 표기법' 개념과는 차이가 있지만 일단은 편의상 우정식 '병음'이라고 부르고 있다.

베이징을 과거에 Peking으로 적은 것도 우정식 병음에 따른 것이다. j가 아니라 k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익숙한 광동어[1]나 민남어 등의 남부 방언 발음의 전사 표기나 만다린의 구개음화를 반영하지 않은 표기[2]가 우정식 병음에 그대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Peking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정작 北京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Pei³-ching¹이 된다.

대만에서는 아직도 일부의 지명을 이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룽(Keelung), 진먼(Kinmen/Quemoy), 단수이(Tamsui) 등이 있다. 한편 홍콩에서 중국 대륙 지명을 딴 길 이름의 영문 표기에서도 쓰인다. Peking Road라든지. 그리고 중국 본토에서도 베이징대학(Peking University)처럼 지명을 딴 역사가 깊은 고유명사에서 우정식 병음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들이 있다. 쑤저우대학도 Soochow University이며 이 대학의 동문과 교수진들이 대만에서 쑤저우대학의 원래 이름으로 설립한 둥우대학(東吳大學) 또한 Soochow University로 쓰고 있다.

우정식 병음의 표기법으로서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면 규칙이 없다는 것. 중국 대륙(본토)에서 우정식 병음을 폐지하게 된 것도 그 극심한 불규칙성 탓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규칙성이 너무 없으니 중국어 발음을 알아도 여기에 대응되는 우정식 병음 표기를 쉽게 짐작할 수가 없다. 그래서 따로 영문으로 주소를 써서 중국 내 각 지역으로 우편을 부치려면 중국어 지명 표기와 우정식 병음 간의 대응 관계를 정리한 자료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2. 표기 예

아래 표에서 광동어 월병으로, 민남어 백화자로 적었다.
지명 우정식 병음 표준 중국어 발음 비고
한어병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關東 관둥(관동)[3] Kwantung Guāndōng Kuan¹-tung¹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廣東 광둥(광동) Canton[4] Guǎngdōng Kuang³-tung¹ 영어 사용자가 적당히 비슷하게 옮긴 표기[5]
Kwangtung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6]
歸綏 구이쑤이(귀수) Kweisui Guīsuí[7] Kuei¹-sui²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貴州 구이저우(귀주) Kweichow Guìzhōu Kuei⁴-chou¹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南京 난징(남경) Nanking Nánjīng Nan²-ching¹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淡水 단수이(담수) Tamsui Dànshuǐ Tan⁴-shui³ 민남어 Tām-súi
迪化 디화(적화) Tihwa Díhuà Ti²-hua⁴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熱河 러허(열하) Jehol Rèhé Jê⁴-ho²
連江 롄장(연강) Lienkong Liánjiāng Lien²-chiang¹ 민동어 Lièng-gŏng
北京 베이징(북경) Peking Běijīng Pei³-ching¹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北平 베이핑(북평)*[8] Peiping Běipíng Pei³-ping² 관화 발음[9]
山西 산시(산서) Shansi Shānxi Shan¹-hsi¹ [10]
西는 보수적 관화 발음[西]
陝西 산시(섬서) Shensi Shǎnxi Shan³-hsi¹ [12]
西는 보수적 관화 발음[西]
汕頭 산터우(산두) Swatow Shàntóu Shan⁴-tʻou² 민남어 Sòaⁿ-thâu
廈門[14] 샤먼(하문) Amoy Xiàmén Hsia⁴-mên² 민남어 Ē-mûiⁿ
深圳 선전(심천) Shumchun Shēnzhèn Shên¹-chên⁴ 광동어 Sam1zan3
寶安 바오안(보안)[15] Poon Bǎo'ān Pao³-an¹ 광동어 Bou2on1
新疆 신장(신강) Sinkiang Xīnjiāng Hsin¹-chiang¹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16]
新京 신징(신경)*[17] Hsinking Xīnjīng Hsin¹-ching¹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18]
四川 쓰촨(사천) Szechwan Sìchuān Ssŭ⁴-chʻuan¹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佳木斯 자무쓰(가목사) Kiamusze Jiāmùsī Chia¹-mu⁴-ssŭ¹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만주어 Giyamusi에서 유래
湛江 잔장(잠강) Tsamkong Zhànjiāng Chan⁴-chiang¹ 광동어 Zaam3gong1
基隆 지룽(기륭) Keelung Jīlóng Chi¹-lung²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吉林 지린(길림) Kirin Jílín Chi²-lin² 만주어 Girin ula[19]의 축약에서 유래
金門 진먼(금문) Kinmen Jīnmén Chin¹-mên²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Quemoy 민남어 Kim-mûi + 포르투갈어 번역
錦州 진저우(금주) Kinchow Jǐnzhōu Chin³-chou¹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青島[20] 칭다오(청도) Tsingtao[21] Qīngdǎo Chʻing¹-tao³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22]
泉州 취안저우(천주) Chinchew Quánzhōu Chʻüan²-chou¹ 장저우(漳州)의 민남어 발음 Chiang-chiu가 와전
天津 톈진(천진) Tientsin Tiānjīn Tʻien¹-chin¹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23]
福州 푸저우(복주) Foochow Fúzhōu Fu²-chou¹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福建 푸젠(복건) Fukien Fújiàn Fu²-chien² 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Hokkien[24] 민남어 Hok-kiàn
河北 허베이(하북) Hopeh Héběi Ho²-pei³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25]
惠州 후이저우(혜주) Waichow Huìzhōu Hui⁴-chou¹ 광동어 Wai6zau1

1947년 발행된 중화민국 전도. 로마자 표기가 모두 우정식 병음이다.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을 변형해서 우정식 병음 표기로 채택한 경우, ssŭ()를 sze로 고치고 복합운모(複合韻母)에서 운두(韻頭)로 쓰인 u()와 운미(韻尾)로 쓰인 u[26]를 w로 고치는 대응 규칙이 확인된다. 오늘날도 대만에서 '중화(中華, 한어병음: Zhōnghuá,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Chung¹-hua², 주음부호: ㄓㄨㄥ ㄏㄚˊ)'를 음역할 때 Chunghwa[27]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는데(예: 중화우정=Chunghwa Post, 중화전신=Chunghwa Telecom) 이것도 우정식 병음의 표기 관행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28]

그리고 i 모음 앞에서 현행 표준 음이 아닌 노국음이나 아니면 그보다 더 고어형인 표기도 보이는데, 표준중국어 발음과 한국 한자음을 함께 안다면 우정식 병음 표기가 무엇일지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한국 한자음에서 치음(ㅅㅈㅊ) 계열인 경우 모음이 i로 시작해도 구개음화된 설면음 ch(ㄐ, 한어병음: j), chʻ(ㄑ, 한어병음: q), hs(ㄒ, 한어병음: x)이 아닌 구개음화되지 않은 설치음 ts(ㄗ, 한어병음: z), ts(←tsʻ; ㄘ, 한어병음: c), s(ㄙ, 한어병음도 s)로 적히는데 이것은 노국음을 반영한 것이다. 또, 한국 한자음에서 ㅣ 모음 앞에 ㄱ[29]이 오는 경우 역시 구개음화된 설면음 ch(ㄐ, 한어병음: j), chʻ(ㄑ, 한어병음: q) 대신 설근음 k(ㄍ, 한어병음: g), k(←kʻ; ㄎ, 한어병음도 k)을 써서 고어 형태를 유지한다. 단 한국 한자음에서 ㅣ 모음 앞에 ㅎ이 오는 경우 설면음 hs(ㄒ, 한어병음: x)는 설근음/후음[30] h(ㄏ, 한어병음도 h)으로 바꾸지 않는다[31]. 또한 Hopeh(허베이)처럼 -h 표기가 자주 보이는데, 이건 위 표의 주석에서 설명했듯이 노국음이나 난징 방언의 입성(入聲) 발음에 수반되는 성문 폐쇄음 [ʔ]을 역시 로마자의 성문음 기호인 h로 대용해서 표기한 것이다.

간혹 영어식 철자의 영향을 받아 i, u 대신 ee, oo로 바뀐 경우도 있다. Keelung, Foochow가 그 예.

대만에는 우정식 병음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 진먼현Kinmen, Quemoy[32]로 쓴다거나. 거의 대부분 지역의 지명이 우정식 병음을 기반으로 했는데, 2003년 대만 주요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명을 통용 병음으로 교체했다가 2009년 한어 병음으로 전부 교체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 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 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 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 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 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 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 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 비판) · 외교부 · 여권( 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 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 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 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 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 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 대한민국) · 반중( 대한민국) · 혐중( 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 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 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 계급) · 홍콩 보안국( 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 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 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 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 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 육전대) · 공군( 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 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 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 대장정) · 중일전쟁( 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 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 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 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 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 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 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 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 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 민족 · 한족) · 공휴일( 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 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 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 순위) · 구교연맹( 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 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 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 강주아오 대교) · 철도( 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 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 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 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 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 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 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 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 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동방명주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 1차 · 2차) · 국민혁명( 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 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 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 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 변검) · 잡극( 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 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 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 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 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1] 빳껭 이라고 읽는다. [2] ㄱ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발음이 많다. 즉 '지, 치'가 '기, 키'에 가깝게 발음되었다. 북방 만다린의 구개음화가 일어난 건 1세기 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관화의 일종인 산동 방언은 아직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3] 만주의 다른 이름. [4] 이 철자는 광저우 시를 가리킬 때 쓰기도 한다. 광동어를 뜻하는 영어 Cantonese가 여기서 파생된 어휘이다. [5] 마침 영어에 canton( 스위스의 주·州)이라는 단어가 있어서 여기에 이끌린 것으로 보인다. [6] 광동어로는 Gwong2dung1으로 읽힌다. [7] 대만에서는 Guīsuī로 읽는다. [8] 중화민국에서 난징을 수도로 삼게됨에 따라 베이징을 일반 도시로 강등시키고 쓰는 명칭. 지금도 대만에서 명목상 중국 대륙 설치해 둔 행정구역상으로도 베이징이 아니라 베이핑이다. 다만 냉전 시대에도 대만에서 나온 영문판 중국/세계 지도는 베이핑을 Peiping이 아닌 Peking으로 표기했다. [9] 베이징과 달리 베이핑은 현재의 관화 발음을 웨이드 자일스식 그대로 표기했다. 베이징보다 나중에 쓰이기 시작해 로마자화되었기 때문에 노국음이 아닌 현재의 표준 발음인 신국음대로 적힌 것이다. 다만 베이핑(북평)이라는 지명 자체는 고대부터 쓰였던 명칭이긴 하다. [10] 바로 아래의 산시성(섬서성)과 혼동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산시성 문서 참고. 참고로 오늘날 산시성(산서성)을 영어 등 외국어로 표기할 때 성조 부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Shanxi 그대로 적고(참고로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적으면 Shanshi로 적히는데 현재 이 표기는 잘 안 쓰인다), 산시성(섬서성)을 첫 음절만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쓴 Shaanxi로 적어서 양자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산시성(섬서성)의 표기에 대해서는 다음 주석 참고. [西]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hsi¹(한어병음: xī '씨'와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si¹(한어병음 응용: siī. 굳이 적자면 '씌'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12] 바로 위의 산시성(산서성)과 혼동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산시성 문서 참고. 참고로 오늘날 산시성(섬서성)을 영어 등 외국으로 표기할 때 첫 음절을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쓰고 두 번째 음절을 성조 부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표기대로 적어 Shaanxi로 적어서(참고로 모든 음절을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적으면 Shaanshi가 되는데 현재 이 표기는 잘 안 쓰인다), 한어병음에서 성조 부호만 뗀 Shanxi로 적는 산시성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西] [14] 중국 대륙의 번체자( 정체자)로는 厦門. 중국 대륙에서는 원칙적으로 간화자를 쓰지만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번체자의 표준 자형도 정해 놓고 있다. [15] 청대의 명칭인 신안(新安)은 유래를 짐작하기 쉽지 않은 Sunon(광동어로는 San1on1이라 발음한다)으로 표기되었다. [16] Sin은 옛 표준음인 노국음(老國音)에서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굳이 한글로 비슷하게 적자면 '씐')을 반영한 것이고, kiang은 고어에서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을 반영한 것이다. [17] 일본 제국 괴뢰국 만주국에서 창춘을 수도로 삼고 개칭한 이름. 물론 중화민국이나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만주국을 부정하므로 명칭 변경이 있었다는 것도 부정한다. [18] 노국음이 폐지되고 현재의 신국음이 쓰이던 시절에 로마자화된 탓에 新 부분은 노국음대로인 Sin이 아니라 신국음대로 Hsin으로 표기했다. 하지만 京 부분은 난징(Nanking), 베이징(Peking)의 사례를 그대로 따라서 고어 발음대로 king이라 적었다. 따라서 Hsinking이라는 표기 안에 현재 발음과 옛 발음이 혼재돼 있어서 표기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 [19] 중국어 음역으로는 吉林烏拉/吉林乌拉. 중국어 명칭의 유래도 이것이다. [20] 한국의 전산 처리에서 주로 쓰는 한자 표기, 강희자전체, 일본 구자체 표기는 靑島. [21] 칭따오 맥주도 이 표기를 쓴다. [22]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ʻing¹(한어병음: qīng '칭'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ʻing¹(한어병음 응용: cīng. 굳이 적자면 '칑'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중국 대륙 대만에 있는 두 (국립) 칭화대학도 같은 원리를 따르는데, 중국 대륙의 칭화대학은 Tsinghua University로, 대만의 국립칭화대학은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로 적힌다. [23]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ʻin¹(한어병음: qīn '친'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ʻin¹(한어병음 응용: cīn. 굳이 적자면 '칀'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24] 민남어의 영어 명칭도 Hokkien이다. [25]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두 번째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pê(한어병음: be)에 해당하는 발음을 입성(入聲)으로 읽은 음절이 된다. 그런데 관화의 입성에서는 음성적으로 성문 폐쇄음 [ʔ\]이 맨 뒤에 첨가돼서 발음된다. 로마자 표기에서 이것을 h로 옮기는 경우가 있다. 중국어의 어떤 방언에서든 음절 끝에서 ㅎ 발음([h\] 또는 [x\])이 나는 경우가 없으니 음절 말의 성문 폐쇄음을 표기하는 기호로도 사용한 것. 따라서 peh라는 표기는 pê( 보조 부호를 생략해서 pe)의 입성([ʔ\] h) 발음을 웨이드식을 응용하여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타이베이 독일어 표기 Taipeh도 같은 원리에 따라 나온 철자이다. [26] ou()의 마지막 음소. [27] 최근 대만의 범록연맹 일각에서 중화민국의 영문 국호를 Republic of China에서 Republic of Chunghwa로 바꾸자고 주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과 별개의 국가임을 강조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타이완 독립운동 문서의 절충안 단락을 참고할 것. [28] 단, 지명은 아니지만 칭화대학(중국 대륙)/국립칭화대학(대만)의 영문 표기인 Tsinghua Uniersity와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의 경우 운두 u를 w로 고치는 관행을 따르지 않았다. [29] 한국 한자음에서는 본래 /ㅋ/로 발음됐을 법한 초성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일제히 /ㄱ/로 통합되었다. 단 '쾌'(예: 快, 噲)라는 음절만 예외로 /ㅋ/를 유지하고 있다. [30] 역사적으로는 후음(喉音: 성문음)이었다. [31] 단, 몽골어 만주어 등 소수 민족 언어가 어원인 경우는 h로 적힐 수 있다. 이 점은 한어병음이 쓰이는 현재도 같다. 현재 중국 대륙에서 지명을 표기할 때 중국어라는 인식이 희박한 지명들은 한어병음에 의거하지 않고, 원어에 가깝게 표기한다. [32] Quemoy는 키모이라고 읽으며 포르투갈어에서 나왔다. 샤먼은 Amoy로 표기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