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9:28:41

페르시아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이란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에 속한 어군에 대한 내용은 이란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도유럽어족
Indo-European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도유럽조어
켄툼제어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켈트이탈리아어파 켈트어파 도서켈트어군 게일어군
브리튼어군
대륙켈트어군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로망스어군
오스크움브리아어군
헬라어파
아나톨리아어파
루비아어군
토하라어파
사템제어 발트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서발트어군
동발트어군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
동슬라브어군
알바니아어파
아르메니아어파
트라키아어파
다키아어파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누리스탄어군
인도아리아어군
* † 표시는 사멸된 어파 혹은 어군 }}}}}}}}}

<colcolor=#191919,#ddd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da0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페르시아) · 엘람 · 메디아 · 아케메네스 왕조 · 파르티아 · 사산 왕조 · 다부이 왕조 · 알라비 왕조 / 타히르 왕조 / 사파르 왕조 · 지여르 왕조 / 사만 왕조 / 부와이 왕조 / 가즈니 왕조 / 살라르 왕조 / 카쿠이 왕조 / 고르 왕조 · 일 칸국 · 추판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인주 왕조 / 무자파르 왕조 / 카르트 왕조 · 티무르 제국 · 마라시 왕조 / 백양 왕조 / 흑양 왕조 · 사파비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잔드 왕조 · 카자르 왕조 · 팔레비 왕조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라흐바르 · 이란 대통령 · 이란 부통령( 이란 제1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이슬람 협력기구 · 상하이 협력 기구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이란 리알 · 넥스트 일레븐
사회 사회 전반 · 콩쿠르
국방 이란군 · 이란 해군 · 이란 공군 · 이란 방공군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바시즈 · 이란군/차량 · 이란군/기갑차량
문화 문화 전반 · 이란 신화 · 조로아스터교 · 노루즈 · 샤나메 · 요리 · 라바시 · 이란/성문화 · 12이맘파 · 이란/스포츠 · 이란 영화 · 이란/여행 및 출장 정보 · 관광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 페르시아어 · 할랄 인터넷 · 이란 방송 · 공휴일/이란
인물 키루스 2세 · 다리우스 1세 · 수레나스 · 샤푸르 1세 · 샤흐르바라즈 · 알 라지 · 오마르 하이얌 · 니잠 알 물크 · 이스마일 1세 · 아바스 1세 · 나디르 샤 ·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 알리 하메네이
지리 이란고원 · 자그로스 산맥 · 엘부르즈 산맥 · 루트 사막 · 카비르 사막 · 페르시아만 · 호르무즈 해협
민족 이란인 · 이란계 미국인 ·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 페르시아 유대인 · 이란계 독일인 · 이란계 프랑스인 · 이란계 러시아인
}}}}}}}}} ||
페르시아어 · 파사어
فارسی[1]
Persian language, Farsi
파일:Persian_Language_Location_Map.svg
<colcolor=#ffffff,#1f2023><colbgcolor=#65a7da,#65a7da>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서자방향 우횡서 (오른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페르시아 문자( 이란, 아프가니스탄)
키릴 문자( 타지키스탄)
페르시아 설형 문자(과거)
아베스타 문자(과거)
팔라비 문자(과거)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이란|]][[틀:국기|]][[틀:국기|]]

[[이라크|]][[틀:국기|]][[틀:국기|]]

[[바레인|]][[틀:국기|]][[틀:국기|]]

[[투르크메니스탄|]][[틀:국기|]][[틀:국기|]]

[[아제르바이잔|]][[틀:국기|]][[틀:국기|]]

[[아프가니스탄|]][[틀:국기|]][[틀:국기|]]( 다리어)

[[타지키스탄|]][[틀:국기|]][[틀:국기|]]( 타지크어)

[[우즈베키스탄|]][[틀:국기|]][[틀:국기|]](타지크어)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게스탄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타트어)
화자 약 1억 3,000만 명[2]
계통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서이란어군
서남이란어군
언어
코드
<colcolor=#ffffff,#1f2023><colbgcolor=#75b5e7,#75b5e7> ISO 639-1 fa
ISO 639-2 per(B)
fas (T)
ISO 639-3 fas
prs( 다리어)
tgk( 타지크어)
글로톨로그 fars1254

1. 개요2. 역사3. 문자4. 문어체와 구어체의 발음 차이5. 문법적 특징6. 어휘7. 예술성8. 한국에서의 학습9. 들어보기10. 구사자
10.1. 캐릭터
11. 가까운 언어12. 언어별 명칭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페르시아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 1조[3]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ناموویکی، دِرَختِ دانِش که شُما با هَم رُشد می‌کُنید
이란( 페르시아)을 중심으로 타지키스탄( 타지크어), 아프가니스탄( 다리어), 바레인,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타트어) 등지에 화자 7~8천만 명 남짓 있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언어.

아랍어와 더불어 서아시아 지역의 주요 언어로 자리매김했다.

페르시아어의 본가라고 할 수 있는 이란의 인구가 8천만 정도이지만, 이란은 민족 구성이 매우 복잡한 다민족 국가로 현대 페르시아어를 모국어로 쓰는 이란인의 비중은 60%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에 이란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페르시아어 화자들까지 죄다 긁어 모아야 약 1억 3천만 명이라는 숫자가 나온다.

파사어(波斯語), Farsi라고도 한다. 하지만 Farsi는 이란 방언을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타 지역 방언을 동일 언어로 보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아 공적인 자리에서는 페르시아어(Persian)라고 부르는 게 옳다. 이란어라고도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이란어는 Iranian Languages라 하여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 이란어군'에 속하는 여러 언어들의 총칭이지 이란어군 언어 중 하나인 페르시아어를 가리키는 명칭이 아니다. 좁은 의미로 '이란의 공용어'라는 관점에서 '이란어'라고도 하는 모양이지만 Farsi와 마찬가지로 올바른 표현이라고 보기 어렵다. 하지만 윈도우 10의 언어 설정에 페르시아어가 떡하니 '이란어'로 표기되어 있다!

중근세 동아시아에서는 회회어(回回語)라고도 부르기도 했다. 회회(回回)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이슬람교도라는 것을 뜻하고, 이슬람교도들의 제1언어는 아랍어인 것을 생각하면 다소 의외이다. 이는 중근세 이슬람권의 지배자로 등장한 튀르크, 몽골계들이 통치했던 왕조들이 행정상으로 쓰던 언어가 아랍어가 아니라 페르시아어였기 때문이다. 이들 계통 국가의 지배를 받던 상인들이 주로 중국을 위시한 동아시아권과 교류를 하게 되면서 이슬람교도들은 페르시아어를 쓴다고 생각한 것. 이를 반영한 것인지 명나라에 공식 외국어 교육서로 발간된 화이역어(華夷譯語)의 회회어 편에는 아랍어가 아닌 페르시아어를 소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타지키스탄에서 사용되는 타지크어 아프가니스탄에서 사용되는 다리어도 페르시아어에 포함되는데, 그도 그럴 것이 세 언어는 방언 수준 차이밖에 없기 때문. 타지크어는 문법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나 다리어는 정말로 발음 몇 개와 단어 몇 개 차이라 서로 다른 언어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다리어와 페르시아어의 차이.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 있는 타트인이 쓰는 타트어도 페르시아어의 한 방언으로 보기도 하나 상호 의사 소통성이 낮다.

영어 독일어도 페르시아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전반적으로 페르시아어와 차이가 매우 크며 상호 의사 소통성은 0에 수렴한다.[4]

이상하게도 구글 번역에서 로마자 표기가 뜨지 않는다. 정작 비슷한 문자를 쓰는 아랍어는 로마자 표기가 뜬다.

2. 역사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의 페르시아어는 현대와 상당히 달라서 고대 페르시아어(Ancient/Old Persian)이라고 부른다. 같은 고대 인도이란어파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와 유사한 부분이 꽤 많았다. 이외에 조로아스터교의 초기 경전 기록에 쓰인 언어인 아베스타어(Avestan Language)도 페르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의 페르시아어는 메소포타미아 문명 쐐기 문자에서 영향을 받은 페르시아 설형 문자를 사용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입으로 아케메네스 왕조가 패망한 뒤에는 헬레니즘 시대를 거쳐 이란계 종족 중 북방의 파르티아인들이 이란을 지배하게 되고, 그들의 언어인 파르티아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그 후 다시 페르시아계 사산 왕조가 득세하면서 중세 페르시아어(Middle Persian)가 완성되었다. 파르티아어는 그 후 페르시아어에 흡수되어 사멸했으나, 중세 페르시아어 기록에 쓰인 문자를 팔라비 문자(Pahlavi Script)라고 부르는 데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팔라브란 페르시아어로 파르티아를 가리키는 말이다. 팔라비 문자는 새로 창안된 문자가 아니라 아람 문자를 빌려 페르시아어 글을 쓰는 방식인데, 파르티아어 기록에도 같은 방식을 썼기 때문에 저런 이름이 붙었다.

사산 왕조가 아랍 이슬람 세력에 의해 멸망한 뒤에는 정부의 공식 언어가 아랍어였기 때문에 이란에서도 아랍어가 쓰이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란 사람들은 계속 페르시아어를 썼고[5], 9~10세기 경 이슬람 문명의 황금기를 주도한 이란 출신 학자와 문인들이 아랍 문자를 빌어 페르시아어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현대 페르시아어(New Persian)로 부활하였으며, 페르시아어는 튀르크어 계통의 언어와 파키스탄, 북인도의 언어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현대 페르시아어는 상당히 많은 차용어를 가지고 있는데,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아랍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일 칸국 시절에 차용한 몽골어 단어, 튀르크어 단어, 19세기 이후 프랑스어, 러시아어, 영어 등에서 차용한 단어도 있다.

인도 무굴 제국 시절에 페르시아어가 공용어로 쓰였고, 그 영향으로 힌디어와 우르두어에 다수의 페르시아어 차용용어가 남아 있다. 그러나 페르시아가 일반 민중들에게 널리 퍼진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영국의 팽창으로 무굴 제국이 멸망하고 무굴 제국에서의 페르시아어에 해당하는 위치를 영어가 차지함에 따라 페르시아어의 무굴 제국 방언은 사어가 되었다. 현대 인도에서 페르시아어는 이란 출신 이민자나 파르시가 쓰는 언어 정도로 위상이 하락했다.

3. 문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르시아 문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www.omniglot.com/persian.gif

4. 문어체와 구어체의 발음 차이

문어체 발음과 구어체의 발음 차이가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로 다음을 들 수 있다.
다만 است(ast) 바로 앞이 ā나 u인 경우에는 ست(st)로 발음한다. 더 나아가면 그냥 س(s)만 발음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e.g.) شنبه (šanbe → šambe, 토요일) / انبار (anbār → ambār / 창고) ···
(e.g.) زمین(zamin → zemin, 땅) / چشم(čashm → česhm, 눈[目]) / کشیدن(kašidan → kešidan, 당기다) ···

다만 구어체는 글로 쓸 때는 소설·만화와 같이 어감을 반드시 살려야 하는 경우가 아니면 모두 문어체로 표기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일상 생활에서 페르시아어를 사용할 때 문어체로 말할 경우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으나, “아, 저 사람 페르시아어를 책으로만 배웠나 보군.” 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구어체를 쓸 때는 구어체로 쓰고 문어체를 쓸 때는 문어체를 쓰는 등 상황에 맞는 알맞는 표현을 적절하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

5. 문법적 특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르시아어/문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어순이 S+O+V라는 점이다. 즉 주어, 목적어, 술어 순으로 문장이 이어진다[9]. 다만 이는 단문에서의 이야기이고, 복문에서는 영어와 비슷한 어순으로 나타난다.[10] 동사와 명사는 인칭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명사는 문법적 성이 없다. 인도유럽어족 중 영어와 더불어 굴절이 적은 언어에 속한다. 과거 아베스타어 및 고대 페르시아어 시대에는 성이 있었지만 중세 페르시아어(팔라비어) 이후 사라졌다.

특이한 점으로 OV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어의 de 처럼 -e 라는 어미를 붙여서 속격을 만드는 우분지 수식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속격의 의미보다 훨씬 넓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의 구조도 명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와 똑같기 때문에 더욱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 수식구조의 기본 형태는 'A의 B'를 'B-e A'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에저페'라고 한다.

예를 들면 페르시아어로 장미는 گل سرخ (gol-e sorkh)인데, 여기서 '골'은 '꽃', '소르흐'는 빨간색이라는 뜻이다. 결국 영어로 직역하면 flower of red가 되는셈. 이런식으로 -e 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구문도 매우 흔하다.

예문들:
.دانشجویان دانشگاه تهران بسیار هوشمند هستند
Dānešjoyān-e dānešgāh-e Tehrāne bisyār hušmand hastand. [11]
테헤란 대학교의 학생들은 아주 똑똑하다.

آقای اسمیت؟ انگلیسی است؟
Āqā-ye esmit? engelisi-st? [12]
스미스씨는 영국인입니까?

.خیر، او آمریکایی است
Xeyr, u āmrikāiy-st. [13]
아닙니다, 그는 미국인입니다.

شما کجایی هستید؟
Šomā kojāi hastid? [14]
당신은 어디 사람입니까?

.من ایرانیم، اهل تهران هستم
Man irāniyam, ahl tehrān hastam. [15]
나는 이란인이고, 테헤란 사람입니다.

페르시아어의 명사는 인도유럽어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단순한 접두어와 접미어, 기초 명사들을 조합해서 어마어마하게 풍성한 어휘를 만들어낼 수 있다. 게다가 발음도 비슷비슷해서 시인들이 라임맞추는데도 매우 편리한 편이라고한다.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예문을 보자면 다음과 같다.

근원 동사: دان (던) - 알다

دانش (더네슈) - 지식, 앎 (알+음)
دانشمند (더네슈만드) - 과학자 (알+음+사람)
دانشگاه (더네슈거흐) - 대학교 (알+음+의 집)
دانشگاهی (더네슈거히) - 대학 학부의 (알+음+의 집+에서의)
هم‌دانشگاهی (함더네슈갸히) - 대학친구 (친한사람+알+음+의 집+에서의)
دانشکده (더네슈캬데) - 대학전공 (알+음+의 집+부분)
دانا (더너) - 현명한, 교육받은 (아+는)
دانایی (더너이) - 지혜 (아+는+것)

نادان (너던) - 바보같은, 멍청한 (~지 않은+알)
نادانی (너더니) - 무지 (~지 않은+알+음)

داننده (더난데) - 아는 누군가 (아+는+사람의)
دانندگی (더난데기) - 알고지냄 (아+는+사람)

6. 어휘

현대 이란에서 아랍 문자를 변형한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함)가 가까운 관계라는 오해를 많이 받지만, 사실 페르시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같은 인도유럽어족인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의 언어와 상당히 비슷한 기본어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우르두어, 힌디어에도 영향을 많이 주면서 힌디어에도 페르시아어 단어를 많이 볼 수 있고 문법도 비슷한 경우도 많다.
영어 페르시아어 한국어
mother مادر (mādar) 어머니
father[16] پدر (pedar) 아버지
brother برادر (barādar) 형제
daughter دختر (dokhtar)
door در (dar)
tooth دندان (dandān)[17] 치아
name نام (nām) 이름
cow گاو (gāw)
mouse موش (muš)
six شیش (šiš) 숫자 6
fairy پری (pari) 요정
thunder تندر (tondar) 천둥
column ستون (sotun)[18] 기둥
dark تاریک (tārik) 어두운
warm گرم (garm) 따뜻한
new نو (nou) 새로운
what چی (če)[19] 무엇
that که (ke)[20] 저것
who کی (ki)[21] 누구
die مردن (mordan)[22] 죽다
drive راندن (rāndan)[23] 운전하다
rob ربودن (robudan) 훔치다

이정도 비슷한 기초 어휘인데 많다면 많다고 말할 수 있고 같은 어족으로서 기초 어휘가 너무 적다면 적다고 말할 정도의 갯수이다. 당연히 훗날 이란으로 이슬람이 전파되면서 페르시아어에는 많은 아랍어 어휘가 차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몇몇 자음과 모음이 바뀌었다. 대표적인 예가 ض، ذ 가 페르시아어에서는 [z] 발음이 되고, و가 [v] 발음이 되었다. 그리고 튀르크인들이 페르시아어를 차용하는 과정에서 페르시아어에 차용된 아랍어 단어들도 많이 차용했다. 그래서 튀르크 언어들에 차용된 아랍어 어휘들은 아랍어 원래 발음과 차이가 나고, 페르시아어와 발음이 비슷하다. 대체적으로 ء،ع،ذ،ض 이 들어간 단어들의 발음이 크게 바뀐 편이다.

반대로 페르시아어가 다른 언어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중세시대 페르시아어는 사실상 튀르키예의 공용어나 마찬가지였다. 셀주크 왕조에서는 페르시아인 관료들을 중용했고 당대 페르시아어는 상업, 행정어이자 문학어로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페르시아어는 튀르키예어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특히 오스만어는 현대 튀르키예어와 달리 페르시아어의 영향이 매우 강했다.

몇 가지 예시> [24]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한국어
ateş آتش (ātaš)
aferin آفرين (āfarin) 훌륭해!, 잘했어! (감탄사)
ayna آيينه (āyine) 거울
pazar[25] بازار (bāzār) 시장
bahçe باغچه (bāqče) 정원
bahar بهار (bahār)
padişah پادشاه (pād-e šāh) 황제, 파디샤
pencere پنجره (panjere) 창문
can جان (jān) 생명, 생물
hane خانه (xâne) [26]
hurma خرما (xormā) 대추야자
hasta خسته (xaste) 질병, 아픔
düşman دشمن (došman) 적(敵)
dost دوست (dost) 친구
siyah سیاه (siyāh) 검은색
satranç شطرنج (šatranj) 체스
şehir شهر (šahr) 도시
sandalye صندلی (sandali) 의자
aşk عشق (ešq) 사랑
lale لاله (lāle) 튤립
lütfen لطفًا (lotfan) 부디, 아무쪼록(영어의 please)[27]
mum موم (mum) 양초
gül(귈) گل(gol, 골) 장미[28]
günah گناه (gonāh)
merdiven نردبان (nardabān) 계단
nargile نارگیله (nārgile) 물담배
renk رنگ(rang) 색깔

영어에도 페르시아어 어원의 단어가 꽤 많이 있는 편이다. 이들의 상당수는 튀르키예 인도를 거쳐서 들어온 단어.

그외에도 중앙아시아 지역의 여러 언어들이 페르시아어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우즈베크어와 투르크멘어는 발음이나 어휘에서 페르시아어의 특징이 많이 나타난다.

6.1.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페르시아어 단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예술성

중세 시대에 페르시아어는 본토 페르시아를 비롯하여 아프가니스탄, 북 인도, 중앙아시아, 아나톨리아, 캅카스 동부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무슬림 지식인의 문학어로 사용되었다. 튀르크어권에서조차 페르시아어를 문학의 언어(Dil-i edebiyat)[30]로 불렀다.[31] 많은 시인들이 국적을 떠나서 페르시아어로 시를 읊었으며, 특유의 아름다운 발음과 리듬감 있는 율격을 사용하기에 용이했기 때문에 노래도 많이 남겼다. 대표적인 페르시아어 시인은 잘랄루딘 루미로, 그의 《마스나위》는 '페르시아어로 된 쿠란'이라는 이명까지 누리고 있다.

또한 페르시아어로 쓴 서예도 유명한데, 페르시아에서 사용되는 글 자체는 중국에서 붓이 전래된 이래 훨씬 더 날렵해지고 부드러운 모습을 띠고 있다. '나스탈릭 체(خط نستعلیق)'라고 불리며 흔히 '불에 녹아흐른 듯한 모양'으로 정의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ehzad_timur_egyptian.jpg

15세기 헤라트 화풍의 거장, 카말 웃 딘 베흐저드(کمال‌الدین بهزاد)의 세밀화, <티무르의 전쟁도> 그림 상단의 글씨체가 바로 페르시아 특유의 나스탈릭체로 쓰여졌다.

8. 한국에서의 학습

현재 대한민국의 정규 고등교육과정 중 학위과정으로 페르시아어를 가르치는 곳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32]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33] 단국대학교[34]에 개설되어 있다. 대한민국 내에서도 페르시아어책들이 발행되어 있지만, 수가 적은 편이다. 하지만 네이버 사전, 다음 사전에는 페르시아어 사전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페르시아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들 중의 하나이다.

8.1. 한국어의 페르시아어 출신 외래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페르시아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들어보기


ILoveLanguages!의 영상.


여기서 잘랄룻딘 루미의 시를 페르시아어와 영어로 들어볼 수 있다. 제목은 <삶과 사랑과 먼지의 시>


한국 음악교과서에도 나오는 노래다. 제목은 گل گندم (gol-e gandom, 소맥꽃)


이란 뉴스를 들어봅시다!
BBC Persian.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중.


Mohsen Yeganeh의 곡 بهت قول می‌دم (Behet Ghol Midam, 약속할께). 영어 자막이 제공된다.

10. 구사자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 포함)권 출신 인물은 제외. 한국에는 한국외대, 서울대에서 페르시아어를 가르치고 있지만 전문 통역가의 수는 많지 않다. 덕분에 큰 회의나 컨퍼런스가 있으면 한국 내 거의 모든 페르시아어 구사자들이 동원된다(…).

10.1. 캐릭터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페르시아어로 외치는 것은 제외, 페르시아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하프나 쿼터인 경우 등재. 하프나 쿼터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

11. 가까운 언어

11.1. 다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옛날에는 아프가니스탄 지역에서 쓰인 페르시아어라서 "아프간 페르시아어"라고도 불렸다. 아프간 북부 타지크인들이 사용하는 페르시아어의 한 방언이며, 문자도 타지키스탄의 타지크어와는 달리 페르시아 문자로 쓰여 페르시아어와 더 비슷하다. 다만 비슷하되 약간 다른 점도 있으며, 문자를 제외하면 타지크어와도 발음 등이 비슷하다. 1,250만명 정도의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쓰며, 주로 아프간 북부 및 북서부에 더 많이 쓰인다(특히 헤라트 등 북서부 일대에 더욱 많이 사용한다).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 중 하나이며, 파슈토어와도 비슷한 점이 약간 있다. 아프가니스탄에는 파슈툰인들도 같이 살다보니 파슈툰어의 영향도 받았고, 아프가니스탄과 접한 파키스탄의 우르두어의 영향도 받게 되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11.2. 타지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지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언어별 명칭

<colbgcolor=#65a7da,#65a7da> 언어별 명칭
한국어 페르시아어(Persia語)
페르시아어 پارسی ، فارسی
라틴어 Lingua Persica
러시아어 Персидкий язык
스페인어 Idioma persa
아랍어 اللغة الفارسية
영어 Persian language, Farsi
일본어 ペルシア語
중국어 波斯語/波斯语
타지크어 Форсӣ
튀르키예어 Farsça
프랑스어 Persan
히브리어 פרסית
힌디어 फ़ारसी भाषा

13. 관련 문서



[1] فَارسِی (fārsi), پارسی (pārsi). 사실 'pārsi'가 원래 어원에 가깝다. 아랍세력의 페르시아 점령 시대 때 아랍인들이 p를 발음하지 못해서 f로 옮긴 것을 다시 페르시아인들이 받아들인 표현이 فَارسِی (fārsi)이다. [2] 원어민은 약 7,200만 정도이다. 출처 [3] 한국어 해석: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4] 이는 같은 우랄어족에 속하는 핀란드어와 헝가리어와의 관계와도 비슷하다. "핀란드어와 헝가리어의 관계를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에 비유해서 말한다면, 대략 영어(혹은 독일어)와 페르시아어의 관계와 같이 아주 멀다고 할 수 있다." Fred Karlsson 저, 송기중 역주, <핀란드어 필수 문법> 중에서 인용 [5] 이것이 고유어( 콥트어)를 잃고 아랍어가 모국어가 된 이집트와의 결정적인 차이다. [6] 참고로 이 현상은 프랑스어에서도 일어났다. ast와 라틴어 est는 어원도 같고 뜻도 같은데, 라틴어가 프랑스어가 되는 과정에서 est의 발음이 /e/로 단순화 되었다. [7] 본래 보통명사로 용(龍, dragon)이라는 뜻이지만, 이 문장에서는 이름으로 쓰였으므로 고유명사처럼 번역한다. [8] 일본어도 ん이 /m/, /p/과 만나면 /m/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9] 한국어, 일본어 등과 같은 어순 [10] 특히 조동사가 쓰인 문장이나 관계대명사가 쓰인 문장 등이 그러하다. [11] 독음은 '더네슈조여네 더네슈거헤 테흐러네 비스여르 후슈만드 하스탐 [12] 어꺼예 에스밋? 엥겔리시스트? [13] 헤이르, 우 어므리커이스트 [14] 쇼머 코저이 하스티드? [15] 만 이라니얌, 아흘 테흐런 하스탐. [16] 영어의 마찰음이 페르시아어에서 파열음으로 나타나는 것은 그림의 법칙으로 설명되는 현상으로,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도 공유하는 특징이다. [17] dental과 같은 어원 [18] stone과 같은 어원 [19] 스페인어 qué, 이탈리아어 che와 비슷하다. [20] 스페인어 que, 프랑스어 que와 비슷하다. [21] 이탈리아어 chi, 프랑스어 qui와 비슷하다. [22] mortal, murder와 어원이 같다. [23] run과 어원이 같다. [24] 단어는 페르시아 알파벳 순서에 따라 실었으며, 페르시아어 특유의 'ㅓ' 발음은 ā로 표기했다. 즉 āzādi는 '어저디'가 된다. 튀르키예어 독음은 튀르키예어 문서 참고. [25] 일요일이라는 뜻도 있다. [26] 튀르키예어에서는 독립적으로 쓰지않고 meyhane(술집), postane(우체국)처럼 다른 명사를 붙여서 사용한다. [27] 아랍어에서 기원한 부사로, لطف(친절, lutf)에 탄윈이 붙어 لطفاً(친절을, lutfan)이라고 쓰이는 것을 페르시아어와 튀르키예어가 수용한 것이다. 페르시아어에는 탄윈을 달고 있는 아랍어 기원 부사들이 생각보다 많다. جداً(jeddan), تقریباً(taqriban), قبلاً(qablan) فعلاً(fe'lan)등이 그러한데, 표기상으로 탄윈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지만 절대 장음 ā나 ān으로 읽으면 안 된다. [28] 페르시아어로는 그냥 이라는 뜻인데, 튀르키예어로 건너오면서 장미라는 뜻으로 굳어진 경우이다. [29] 티그리스, 유프라테스강 하류지역과 페르시아만에서 북서쪽으로 부는 사막풍의 이름이기도 하다. [30] 오스만 튀르크어. [31] 오스만 제국 시절 튀르키예 속담에서는 이런 말이 전해져 온다. "군인들은 튀르키예어로, 율법학자들은 아랍어로, 시인들은 페르시아어로 말한다." 실제로 오스만어는 굉장히 많은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요소를 받아들였으므로 때문에 현대 튀르키예어와는 의미가 통하지 않을 정도로 이질적이다. [32] 1976년도 개설 [33] 2012년도 개설 [34] 대학원 과정에 개설, 학부에서는 교양으로만 개설 [35] 이란계 미국인 성우로 영어, 페르시아어, 독일어를 할 줄 안다. [36] 2020년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 미국 측 대표이자 일본통으로 일본어, 한국어, 인도네시아어, 독일어, 다리어(페르시아어), 핀란드어를 할 줄 안다. # [37] 모국어인 러시아어를 포함해서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를 구사할 줄 안다. # [38] 영어, 다리어,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우르두어, 힌디어를 구사할 줄 안다. [39] 부계는 사우디아라비아계, 모계는 스위스- 이란 혼혈이다(외조모가 이란인). 영어, 프랑스어, 페르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으나 아랍어는 구사하지 못한다고 한다. [40] 원래는 유대인이고 아는 페르시아어 단어는 '바바(아버지)'밖에 없었으나, 살아남기 위해 페르시아인인척 가짜 페르시아어를 만들며 생존한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