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9:24:57

양서(역사책)

중국의 정사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이십사사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 송서
사마천 반고 범엽 진수 방현령 심약
남제서 양서 진서 위서 북제서 주서
소자현 요사렴 요사렴 위수 이백약 영호덕분
수서 남사 북사 구당서 신당서 구오대사
위징 이연수 이연수 장소원 구양수 설거정
신오대사 송사 요사 금사 원사 명사
구양수 토크토아 토크토아 토크토아 송렴 장정옥
기타
동관한기 신원사 청사고
유진 커샤오민 자오얼쉰 등
}}}}}}}}}}}}}}} ||
<colbgcolor=#00c499><colcolor=#fff> 양서
梁書
Book of Liang
파일:external/Book_of_Liang.png
저자 요사렴
시기 7세기
언어 한문
권 수 56권
분량 502년 ~ 557년 (55년)
양무제 원년 ~ 양경제 3년

1. 개요2. 구성
2.1. <본기>(本紀)
2.1.1. <무제본기>(武帝本紀)2.1.2. <간문제본기>(簡文帝本紀)2.1.3. <원제본기>(元帝本紀)2.1.4. <경제본기>(敬帝本紀)
2.2. <열전>(列傳)
3. 관련 고사성어

[clearfix]

1. 개요

파일:양서.png

남북조시대 양나라를 다룬 사서(史書)다. 다른 역사서로는 현재 실전된 중서사인(中書舍人) 공소안(孔紹安)[1]이 편찬한 《양사》(梁史)가 있다. 이외에는 허형(許亨)의 《양서》(梁書)와 심약(沈約)의 <무제본기>(武帝本紀)가 있다.《 북제서》나 《 진서》등과 함께 정관 5사(貞觀五史)의 하나로 사마천(司馬遷)의 《 사기》(史記)와 함께 2대에 걸쳐 편찬된 사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구양수(歐陽修)의《 신당서》(新唐書)에서는 요찰(姚察)의《양서》와 요사렴(姚思廉)의《양서》를 아예 별개의 사서로 취급했으나《양서》의 구성을 보면 별개의 사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서》는 진나라의 건국 이후 편찬을 시작했으나 이것이 수십년을 거쳐 당나라 때 아들 요사렴에 의해 오늘날의《양서》가 되었다.

2. 구성

양서(梁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2·3권 「무제기(武帝紀)」 4권 「간문제기(簡文帝紀)」 5권 「원제기(元帝紀)」 6권 「경제기(敬帝紀)」
소연 소강 소역 소방지
7권 「황후기(皇后紀)」
장상유 · 치휘 · 왕영빈 · 정영광 · 완영영 · 서소패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00c499> 8권 「소명태자등전(昭明太子等傳)」 ||<-2> 9권 「왕무등전(王茂等傳)」 ||<-2> 10권 「소영달등전(蕭穎達等傳)」 ||
소통 · 소대기 · 소방구 왕무 · 조경종 · 유경원 소영달 · 하후상 · 채도공 · 양공칙 · 등원기
11권 「장홍책등전(張弘策等傳)」 12권 「유담등전(柳惔等傳)」 13권 「범운등전(范雲等傳)」
장홍책 유역 · 정소숙 · 여승진 유담 · 석천문 · 위예 범운 · 심약
14권 「강엄등전(江淹等傳)」 15권 「사비전(謝朏傳)」 16권 「왕량등전(王亮等傳)」
강엄 · 임방 사비 , 사람, 왕량 · 장직 · 왕형
17권 「왕진국등전(王珍國等傳)」 18권 「장혜소등전(張惠紹等傳)」 19권 「종쾌등전(宗夬等傳)」
왕진국 · 마선병 · 장제 장혜소 · 풍도근 · 강현 · 창의지 종쾌 · 유탄 · 악애
20권 「유계련등전(劉季連等傳)」 21권 「왕첨등전(王瞻等傳)」
유계련 · 진백지 왕첨 · 왕지 · 왕준 · 왕간 , 왕훈, · 왕태· 왕빈· 장충· 유운 · 채준· 강천
22권 「태조오왕전(太祖五王傳)」 23권 「소업등전(蕭業等傳)」 24권 「소경전(蕭景傳)」
소굉 · 소수 · 소위 · 소회 · 소담 소업 · 소백유 · 소원간 · 소상 소경 , 소창 소앙 소욱,
25권 「주사등전(周捨等傳)」 26권 「범수등전(范岫等傳)」 27권 「육수등전(陸倕等傳)」
주사 · 서면 범수 · 부소 · 소침 · 육고 육수 · 도흡 · 명산빈· 은균· 육양
28권 「배수등전(裴邃等傳)」 29권 「고조삼왕전(高祖三王傳)」 30권 「배자야등전(裴子野等傳)」
배수 · 하후단 · 위방 소적 · 소속 · 소윤 배자야 · 고협 · 서리 · 포천
31권 「원앙전(袁昻傳)」 32권 「진경지등전(陳慶之等傳)」 33권 「왕승유등전(王僧孺等傳)」
원앙 진경지 · 난흠 왕승유 · 장솔 · 유효작 · 왕균
34권 「장면전(張緬傳)」 35권 「소자각전(蕭子恪傳)」 36권 「공휴원등전(孔休源等傳)」
장면 , 장찬 장관, 소자각 , 소자범 소자현 소자운, 공휴원 · 강혁
37권 「사거등전(謝擧等傳)」 38권 「주이등전(朱異等傳)」
사거 · 하경용 주이 · 하침
39권 「원법승등전(元法僧等傳)」 40권 「사마경등전(司馬褧等傳)」
원법승 , 원수 원원달, · 왕신념 · 양간 · 양아인 사마경 · 도개 · 유현 · 유지린 · 허무
41권 「왕규등전(王規等傳)」
왕규 · 왕승 · 저상 · 소개 · 저구 · 유유 · 유잠 · 은운 · 소기(幾)
42권 「장순등전(臧盾等傳)」 43권 「위찬등전(韋粲等傳)」
장순 · 부기 위찬 · 강자일 · 장승 · 심준(浚) · 유경례
44권 「태종십일왕・세조이자전(太宗十一王・世祖二子傳)」
소대련 · 소대심 · 소대림 · 소대춘 · 소대아 · 소대장 · 소대균 · 소대위 · 소대구 · 소대흔 · 소대지 · 소방등 · 소방제
45권 「왕승변전(王僧辯傳)」 46권 「호승우등전(胡僧祐等傳)」
왕승변 호승우 · 서문성 · 두즉 · 음자춘
47권 「효행전(孝行傳)」
등담공 · 심숭소 · 순장 · 유검루 · 길분 · 견염 · 한회명 · 유담정 · 하형 · 유사미 · 강부 · 유제 · 저수 · 사린
48권 「유림전(儒林傳)」
복만용 · 하동지 · 범진 · 엄식지· 하창 · 사마균 · 변화 · 최령은 · 공첨 · 노광 · 심준(峻) · 태사숙명 · 공자거· 황간
49·50권 「문학전(文學傳)」
도항 · 구지 · 유포 · 원준 · 유어릉 · 유소(昭) · 하손 · 종영 · 주흥사 · 오균 · 유어릉 · 유준 · 유소(沼) · 사기경 · 유협 · 왕적 · 하사징 · 유묘 · 사징 · 장엄 · 복정 · 유중용 · 육운공 · 임효공 · 안협
51권 「처사전(處士傳)」
하점 , 하윤, · 완효서 · 도홍경 · 제갈거 · 심의 · 유혜비 · 범원염 · 유우 · 유효 · 유선 · 장효수 · 유승선
52권 「지족전(止足傳)」 53권 「양리전(良吏傳)」
고헌지 · 도계직 · 소시소 유필 · 심우 · 범술증 · 구중부 · 손겸 · 복환 · 하원
54권 「제이전(諸夷傳)」
임읍 · 부남· 반반국 · 단단국 · 간타리국 · 낭아수국· 파리국 · 중천축국 · 사자국 · 고구려· 백제 · 신라 · · 문신국· 대한국 · 부상국 · 하남왕국 · 고창· 활국 · 주고가국 · 아발단국 · 호밀단국· 백제 · 쿠처 · 우전국· 갈반타국 · 저말국 · 파사국 · 탕창국· 등지 · 무흥국 · 예예국
55권 「소종등전(蕭綜等傳)」
소종 · 소기(紀) · 소정덕 · 소예
56권 「후경전(侯景傳)」
후경 , 왕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c499><tablebgcolor=#00c499> ||
}}}}}} ||

기전체 구성으로, <표>(表)와 <지>(志)는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본기>(本紀) 6권에 <열전>(列傳) 5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26권은 요찰이 지은 평가가 실려있으며 <경제기>(敬帝紀)에는 정국공(鄭國公) 위징(魏徵)이 지은 평가도 그와 함께 실려 있다.

2.1. <본기>(本紀)

《양서》 <본기>(本紀) 구성
1·2·3권 <무제기>(武帝紀) 고조(高祖) 무황제(武皇帝) 소연(蕭衍)
4권 <간문제기>(簡文帝紀) 태종(太宗) 간문황제(簡文皇帝) 소강(蕭綱)
5권 <원제기>(元帝紀) 세조(世祖) 효원황제(孝元皇帝) 소역(蕭繹)
6권 <경제기>(敬帝紀) 목종(穆宗) 경황제(敬皇帝) 소방지(蕭方智)

2.1.1. <무제본기>(武帝本紀)

남제(南齊)의 고종 명황제가 즉위한 494년부터 후경(侯景)이 수도 건강(建康)을 점령한 549년까지를 다루며, 무려 47년이라는 긴 시간에 걸맞게 3권이나 차지한다.[2] 그 안에는 양무제 소연의 일대기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인물들의 관직에 임명된 기록이나 사망한 기록, 조서를 내리거나 신하가 표를 올린 것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양나라 초중반기의 기록을 흩어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요찰이 《양서》를 편찬하기 시작했을 시기가 진나라 시기였기 때문에 <무제본기>(武帝本紀)나《양태청기》(梁太淸紀) 등 비교적 사료 수집이 쉬웠고, 다른 사서와는 다르게 양나라에 대해서 공정하게 서술되었기 때문에 그 사료적인 가치는 더욱 높다. 같은 시대에 편찬된 방현령(房玄齡)의 《 진서》(晉書)가 학자들로부터 좋지 않는 평가를 받은 것에 비해 《양서》는 학자들에게서 대부분 좋은 평가를 받았고, 공정하다는 평가를 받은 것은 당시 요찰이 양나라에서 관직을 지낸 인물이었던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본래 정사(正史)를 읽을 때는 먼저 <본기>를 읽어야만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데 <무제본기>(武帝本紀)는 양나라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2.1.2. <간문제본기>(簡文帝本紀)

후경이 건강을 함락하여 소강(蕭綱)을 옹립한 549년부터 예장왕 소동(豫章王 蕭棟)이 즉위한 551년까지를 다루며, 옹립된지 2년만에 폐위되었기 때문에 아버지 무제에 비해서는 기록이 부실한 편이다. 거기에다 후경의 난으로 한참 난리가 났던 상황에서 옹립되어 본인은 거의 한 것이 없기 때문에 《양서》에 실린 <본기>(本紀) 중 기록이 가장 짧다. <본기>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는 공정하고, 후경의 악행을 잘 표현했다는 대부분이지만 이는 <후경전>(侯景傳)에서도 실린 기록인데다가[3] 내용도 짧아서 위의 <무제본기>(武帝本紀)보다는 사료적 가치가 떨어진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전체적으로는 공정하고 최대한 충실하게 기록했으나, 다른 <본기>와는 다르게 사료적인 가치는 떨어지며, 차라리 소강을 옹립한 후경의 열전이 더 낫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2.1.3. <원제본기>(元帝本紀)

소동이 즉위한 551년부터 승성지변(承聖之變)이 일어난 554년까지를 다루며 <무제본기>(武帝本紀) 다음으로 분량이 많은 <본기>이다. 《양서》의 <열전>에 실리지 않은 소동의 전기 또한 일부 다루기 때문에 여러모로 중요한 사료이다. 거기에 소역이 저술한 《효덕전》(孝德傳), 《충신전》(忠臣傳), 《단양윤전》(丹陽尹傳), 《주한서》(注漢書) 또한 서술되어 있으므로 양나라의 사료 조사에 중요하다.

2.1.4. <경제본기>(敬帝本紀)

2.2. <열전>(列傳)

《양서》 <열전>(列傳) 구성
7권 <황후기>(皇后紀) 태조장황후(太祖張皇后), 고조치황후(高祖郗皇后), 태종왕황후(太宗王皇后), 고조정귀빈(高祖丁貴嬪), 고조완유용(高祖阮脩容), 세조서비(世祖徐妃)
8권 <소명태자등전>(昭明太子等傳) 소통(蕭統), 소대기(蕭大器), 소방구(蕭方矩)
9권 <왕무등전>(王茂等傳) 왕무(王茂), 조경종(曹景宗), 유경원(柳慶遠)
10권 <소영달등전>(蕭穎達等傳) 소영달(蕭穎達), 하후상(夏侯祥), 채도공(蔡道恭), 양공칙(楊公則), 등원기(鄧元起)
11권 <장홍책등전>(張弘策等傳) 장홍책(張弘策), 유역(庾域), 정소숙(鄭紹叔), 여승진(呂僧珍)
12권 <유담등전>(柳惔等傳) 유담(柳惔), 석천문(席闡文), 위예(韋叡)
13권 <범운등전>(范雲等傳) 범운(范雲), 심약(沈約)
14권 <강엄등전>(江淹等傳) 강엄(江淹), 임방(任昉)
15권 <사비등전>(謝朏等傳) 사비(謝朏), 사람(謝覽)
16권 <왕량등전>(王亮等傳) 왕량(王亮), 장직(張稷), 왕영(王瑩)
17권 <왕진국등전>(王珍國等傳) 왕진국(王珍國), 마선병(馬仙琕), 장제(張齊)
18권 <장혜소등전>(張惠紹等傳) 장혜소(張惠紹), 풍도근(馮道根), 강순(康絢), 창의지(昌義之)
19권 <종쾌등전>(宗夬等傳) 종쾌(宗夬), 유탄(劉坦), 악애(樂藹)
20권 <유계연등전>(劉季連等傳) 유계연(劉季連), 진백지(陳伯之)
21권 <왕첨등전>(王瞻等傳) 왕첨(王瞻), 왕지(王志), 왕준(王峻), 왕간(王暕), 왕태(王泰), 왕빈(王份), 장충(張充), 유운(柳惲), 채준(蔡撙), 강천(江蒨)
22권 <태조오왕전>(太祖五王傳) 임천정혜왕 소굉(臨川靖惠王 蕭宏), 안정강왕(安成康王) 소수(蕭秀), 남평원양왕(南平元襄王) 소위(蕭偉), 파양충렬왕(鄱陽忠烈王) 소회(蕭恢), 시흥충무왕(始興忠武王) 소담(蕭憺)
23권 <소업등전>(蕭業等傳) 소업(蕭業), 소백유(蕭伯游), 소원간(蕭元簡), 소상(蕭象)
24권 <소경전>(蕭景傳) 소경(蕭景)[4]
25권 <주사등전>(周捨等傳) 주사(周捨), 서면(徐勉)
26권 <범수등전>(范岫等傳) 범수(范岫), 부소(傅昭), 소침(蕭琛), 육고(陸杲)
27권 <육수등전>(王瞻等傳) 육수(陸倕), 도흡(到洽), 명산빈(明山賓), 은균(殷鈞), 육양(陸襄)
28권 <배수등전>(裴邃等傳) 배수(裴邃), 하후단(夏侯亶), 위방(韋放)
29권 <고조삼왕전>(高祖三王傳) 남강간왕 소적(南康簡王 蕭績), 여릉위왕 소속(廬陵威王 蕭續), 소릉휴왕 소윤(邵陵攜王 蕭綸)
30권 <배자야등전>(裴子野等傳) 배자야(裴子野), 고협(顧協), 서리(徐摛), 포천(鮑泉)
31권 <원앙전>(袁昻傳) 원앙(袁昻)
32권 <진경지등전>(陳慶之等傳) 진경지(陳慶之), 난흠(蘭欽)
33권 <왕승유등전>(王僧孺等傳) 왕승유(王僧孺), 장솔(張率), 유효작(劉孝綽), 왕균(王筠)
34권 <장면전>(張緬傳) 장면(張緬)
35권 <소자각전>(蕭子恪傳) 소자각(蕭子恪)
36권 <공휴원등전>(孔休源等傳) 공휴원(孔休源), 강혁(江革)
37권 <사거등전>(謝舉等傳) 사거(謝舉), 하경용(何敬容)
38권 <주이등전>(朱異等傳) 주이(朱異), 하침(賀琛)
39권 <원법승등전>(元法僧等傳) 원법승(元法僧), 원수(元樹), 원원달(元願達), 왕신념(王神念), 양간(羊侃), 양아인(羊鴉仁)
40권 <사마경등전>(司馬褧等傳) 사마경(司馬褧), 도개(到漑), 유현(劉顯), 유지린(劉之遴), 허무(許懋)
41권 <왕규등전>(王規等傳) 왕규(王規), 왕승(王承), 저상(褚翔), 소개(蕭介), 저구(褚球), 유유(劉孺), 유잠(劉潛), 은예(殷芸), 소기(蕭幾)
42권 <장순등전>(臧盾等傳) 장순(臧盾), 부기(傅岐)
43권 <위찬등전>(韋粲等傳) 위찬(韋粲), 강자일(江子一), 장승(張嵊), 심준(沈浚), 유경례(柳敬禮)
44권 <태종십일왕・세조이자전>(太宗十一王・世祖二子傳) 심양왕 소대심(尋陽王 蕭大心), 남해왕 소대림(南海王 蕭大臨), 남군왕 소대련(南郡王 蕭大連), 안륙왕 소대춘(安陸王 蕭大春), 유암공 소대아(瀏陽公 蕭大雅), 신흥왕 소대장(新興王 蕭大莊), 서양왕 소대균(西陽王 蕭大鈞), 무령왕 소대위(武寧王 蕭大威), 건평왕 소대구(建平王 蕭大球), 의안왕 소대흔(義安王 蕭大昕), 수건왕 소대지(綏建王 蕭大摯), 충장세자 소방등(忠壯世子 蕭方等), 정혜세자 소방제(貞惠世子 蕭方諸)
45권 <왕승변전>(王僧辯傳) 왕승변(王僧辯)
46권 <호승우등전>(胡僧祐等傳) 호승우(胡僧祐), 서문성(徐文盛), 두즉(杜崱), 두안(杜岸), 두유안(杜幼安), 두감(杜龕), 음자춘(陰子春)
47권 <효행전>(孝行傳) 등담공(滕曇恭), 심숭소(沈崇傃), 순장(荀匠), 유검루(庾黔婁), 길분(吉翂), 견념(甄恬), 한회명(韓懷明), 유담정(劉曇淨), 하형(何炯), 유사미(庾沙彌), 강부(江紑), 유제(劉霽), 저수(褚脩), 사린(謝藺)
48권 <유림전>(儒林傳) 복만용(伏曼容), 하통지(何佟之), 범진(范縝), 엄식지(嚴植之), 하창(賀瑒), 사마균(司馬筠), 변화(卞華), 최영은(崔靈恩), 공첨(孔僉), 노광(盧廣), 심준(沈峻), 태사숙명(太史叔明), 공자거(孔子袪), 황간(皇侃)
49·50권 <문학전>(文學傳) 도항(到沆), 구지(丘遲), 유포(劉苞), 원준(袁峻), 유어릉(庾於陵), 유소(劉昭), 하손(何遜), 종영(鍾嶸), 주흥사(周興嗣), 유준(劉峻), 사기경(謝幾卿), 유협(劉勰), 왕적(王籍), 하사징(何思澄), 유묘(劉杳), 사징(謝徵), 장엄(臧嚴), 복정(伏挺), 유중용(庾仲容), 육운공(陸雲公), 임효공(任孝恭), 안협(顔協)
51권 <처사전>(處士傳) 하점(何点), 완효서(阮孝緖), 도홍경(陶弘景), 제갈거(諸葛璩), 심의(沈顗), 유혜비(劉慧斐), 범원염(范元琰), 유우(劉訏), 유효(劉歊), 유선(庾詵), 장효수(張孝秀), 유승선(庾承先)
52권 <지족전>(止足傳) 고헌지(顧憲之), 도계직(陶季直), 소시소(蕭眎素)
53권 <양리전>(良吏傳) 유필(庾蓽), 심우(沈瑀), 범술증(范述曾), 구중부(丘仲孚), 손겸(孫謙), 복환(伏暅), 하원(何遠)
54권 <제이전>(諸夷傳) 임읍국(林邑國), 부남국(扶南國), 반반국(盤盤國), 단단국(丹丹國), 간타리국(干陀利國), 낭아수국(狼牙脩國), 파리국(婆利國), 중천축국(中天竺國), 사자국(師子國), 고구려(高句驪), 백제(百濟), 신라(新羅), (倭), 문신국(文身國), 대한국(大漢國), 부상국(扶桑國), 하남국(河南國), 고창국(高昌國), 활국(滑國), 주고가국(周古柯國), 가발단국(呵跋檀國), 호밀단국(胡蜜丹國), 백제국(白題國), 구자(龜茲), 우전(于闐), 갈반타국(渴盤陀國), 말국(末國), 파사국(波斯國), 탕창국(宕昌國), 등지국(鄧至國), 무흥국(武興國), 예예국(芮芮國)
55권 <소종등전>(蕭綜等傳) 예장경왕 소종(豫章敬王 蕭綜), 무릉정헌왕 소기(武陵貞獻王 蕭紀), 임하왕 소정덕(臨賀王 蕭正德), 하동문환왕 소예(河東武桓王 蕭譽)
56권 <후경전>(侯景傳) 후경(侯景), 왕위(王偉)

3. 관련 고사성어



[1] 당 고조의 칙서를 받들어 《양사》(梁史)를 편찬했으나 미완성으로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2] 당장 이연수(李延壽)의 《 남사》(南史)에서는 다른 군주들이 많게는 1권 분량을 차지할 때 혼자서 2권 분량을 차지하며, 사마광(司馬光)의 《 자치통감》(資治通鑑)에서는 <양기>(梁紀) 22권 중에 17권을 차지한다. [3] 다만 이는 저자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적신(賊臣)에게 옹립된 황제의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권신에게 옹립되었다가 얼마안가 폐위된 황제들의 <본기>(本紀)에서도 나타나는 단점이다. [4] 본래 이름은 소병(蕭昺)으로 무제 소연의 사촌동생이었다. 본래는 '경'이 아닌 '병'으로 표기되어야 하지만 편찬되는 시기가 당나라 시대였기 때문에 고조 이연(李淵)의 부친이었던 이병(李昺)의 휘를 피해야 했다. 때문에 남조(南朝)의 역사를 다룬《 남사》(南史)에도 '경'으로 표기되었으나, 양나라 시기에 편찬된《 남제서》(南齊書)와 북송 시기에 편찬된 《 자치통감》(資治通鑑)에서는 본래 이름인 소병으로 표기했다. 피휘로 인한 사례들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