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8:45:41

흉노

흉노匈奴 선비鮮卑
파일:흉노 문장.svg
흉노 관련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관련 각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시베리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서 시베리아 동·중앙 시베리아 극동
<rowcolor=#FFF>
북부
남부
남부
북부
고대 고대 북유라시아인
시베리아 원주민
우랄계 제족 | 튀르크 | 퉁구스 고시베리아인
튀르크 | 퉁구스 니브흐 | 축치인
중세
우랄 | 튀르크
{{{#!wiki style="margin: -16px -10px" 킵차크 칸국
}}}
근세 루스 차르국 시비르 칸국 오이라트 | 타타르 사하(야쿠트) 연맹
한갈라스 울루스
루스 차르국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약사
근현대 제정 러시아
러시아 공화국
러시아 SFSR 러시아 SFSR
소련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러시아 연방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흉노 동호
선비 · 오환
철륵 선비
유연 북위 서위 ·동위
돌궐 제국 북주· 북제
동돌궐
돌궐 2제국
위구르 카간국
중세
요나라
서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CC; background: #376c95; font-size: 0.9em" 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일 칸국 | 차가타이 칸국 원나라
오이라트 | 티무르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 잘라이르 왕조 | 추판 왕조 북원
준가르 칸국 | 크림 칸국 청나라 치하 몽골
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 복드 칸국 중화민국
몽골 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중화민국
몽골국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유목 정주 근현대
몽골 유라시아 스텝 스텝 이란 아나톨리아
흉노 돌궐 제국 서돌궐 제국 오구즈 오구즈 야브구국 셀주크 제국 룸 술탄국 아나톨리아 베이국 오스만 제국 튀르키예 공화국 }}}}}}}}}

만주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FF,#121212>


산융
동호
고조선 예맥 숙신
고조선 고리국
흉노 부여
~
4
세기초
고구려 {{{#!wiki style="margin:30px -10px -16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65px -10px 4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6A544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부여 읍루
(부여)
오환
선비
서진 읍루
4
~
6
세기
물길
   
거란 실위 고구려 두막루 말갈
(고구려)
7
~
9

말갈
발해 말갈
(발해)
10
~
12세기
{{{#!wiki style="margin:-5px -10px -2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발해부흥운동 여진
오국부
{{{#!wiki style="margin:-2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0px -10px -2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B82647><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13세기
동요
후요
동하
몽골 제국

요양행성 · 동방 3왕가 · 심왕
14
~
16세기
북원 여진족
고려 요동 군벌 우량카이 삼위
여진족
17
~
18
세기
후금
 
 
 
 
19세기
{{{#!wiki style="margin:-60px -10px -1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20세기
일본 제국 관동주
중화민국 임시정부
중화민국
봉천군벌
러시아 공화국
중화제국
중화민국
봉천군벌
극동 공화국
중화민국 소련
만주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 동북3성
러시아 연방 | 극동 연방관구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관련 사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
사기(史記)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2권 「하본기(夏本紀)」 3권 「은본기(殷本紀)」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펼치기 · 접기 ]
^^
하나라
^^
우왕 · 익왕 · 계왕 · 태강
중강 · 상왕 · 후예 · 한착
소강 · 저왕 · 괴왕 · 망왕
설왕 · 불강 · 경왕 · 근왕
공갑 · 고왕 · 발왕 · 걸왕
[ 펼치기 · 접기 ]
^^
선은 先殷
^^
· 소명 · 상토 · 창약 · 조어
· 왕해 · 왕항 · 상갑미 · 보을
보병 · 보정 · 주임 · 시계
^^
조은 早殷
^^
성탕 · 외병 · 중임 · 태갑 · 이윤
옥정 · 태경 · 소갑 · 옹기 · 태무
중정 · 외임 · 하단갑 · 조을 · 조신
옥갑 · 조정 · 남경 · 양갑
^^
만은 晩殷
^^
반경 · 소신 · 소을 · 무정 · 조경
조갑 · 늠신 · 경정 · 무을 · 태정
제을 · 제신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5권 「진본기(秦本紀)」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펼치기 · 접기 ]
^^
서백 西白
^^
후직 · 부줄 · · 공류· 경절
황복 · 차불 · 훼유 · 공비 · 고어
아어 · 주공 · 태왕 · 왕계 · 문왕
^^
서주 西周
^^
무왕 · 성왕 · 강왕 · 소왕 · 목왕
공왕 · 의왕 · 효왕 · 이왕 · 여왕
주정공 · 소목공 · 공백화
선왕 · 유왕 · 휴왕
^^
동주 東周
^^
평왕 · 환왕 · 장왕 · 희왕 · 혜왕
폐왕 · 양왕 · 후폐왕 · 경왕(頃王) · 광왕
정왕 · 간왕 · 영왕 · 경왕(景王) · 도왕
서왕 · 경왕(敬王) · 원왕 · 정정왕 · 애왕
사왕 · 고왕 · 위열왕 · 안왕 · 열왕
현왕 · 신정왕 · 난왕
[ 펼치기 · 접기 ]
^^
진(秦)나라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장공 · 양공 · 문공 · 헌공(憲公)
출자 · 무공 · 덕공 · 선공
성공 · 목공 · 강공 · 공공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영공 · 간공 · 후혜공 · 출공
헌공(獻公) · 효공 · 혜문왕 · 무왕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항우 유방 여치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유항 유계 유철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복희 · 여와 · 신농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세가(世家)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 ||

한서(漢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1권 「고제기(高帝紀)」 2권 「혜제기(惠帝紀)」 3권 「고후기(高后紀)」
유방 유영 여치
4권 「문제기(文帝紀)」 5권 「경제기(景帝紀)」 6권 「무제기(武帝紀)」
유항 유계 유철
7권 「소제기(昭帝紀)」 8권 「선제기(宣帝紀)」 9권 「원제기(元帝紀)」
유불릉 유순 유석
10권 「성제기(成帝紀)」 11권 「애제기(哀帝紀)」 12권 「평제기(平帝紀)」
유오 유흔 유간
※ 13권 ~ 20권은 表에 해당. 21권~30권은 志에 해당. 한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tablewidth=100%><tablebgcolor=#a11><width=33%> 31권 「진승항적전(陳勝項籍傳)」 ||<-2><width=33%> 32권 「장이진여전(張耳陳餘傳)」 ||<width=33%> 33권 「위표전담한왕신전(魏豹田儋韓王信傳)」 ||
진승 · 항적 장이 · 진여 위표 · 전담 · 한신
34권 「한팽영노오전(韓彭英盧吳傳)」 35권 「형연오전(荊燕吳傳)」 36권 「초원왕전(楚元王傳)」
한신 · 팽월 · 경포 · 노관 · 오예 유고 · 유택 · 유비 초원왕
37권 「계포난포전숙전(季布欒布田叔傳)」 38권 「고오왕전(高五王傳)」 39권 「소하조참전(蕭何曹參傳)」
계포 · 난포 · 전숙 제왕 · 조왕 · 조왕 · 조왕 · 연왕 소하 · 조참
40권 「장진왕주전(張陳王周傳)」 41권 「번역등관부근주전(樊酈滕灌傅靳周傳)」 42권 「장주조임신도전(張周趙任申屠傳)」
장량 · 진평 · 왕릉 · 주발 번쾌 · 역상 · 하후영 · 관영
부관 · 근흡 · 주설
장창 · 주창 · 조요 · 임오 · 신도가
43권 「역육주유숙손전(酈陸朱劉叔孫傳)」 44권 「회남형산제북왕전(淮南衡山濟北王傳)」 45권 「괴오강식부전(蒯伍江息夫傳)」
역이기 · 육고 · 주건 · 유경 · 숙손통 유장 · 유사 · 유발 괴통 · 오피 · 강충 · 식부궁
46권 「만석위직주장전(萬石衞直周張傳)」 47권 「문삼왕전(文三王傳)」 48권 「가의전(賈誼傳)」
석분 · 위관 · 직불의 · 주인 · 장구 양왕 · 대왕 · 양왕 가의
49권 「원앙조조전(爰盎晁錯傳)」 50권 「장풍급정전(張馮汲鄭傳)」 51권 「가추매노전(賈鄒枚路傳)」
원앙 · 조조 장석지 · 풍당 · 급암 · 정당시 가산 · 추양 · 매승 · 노온서
52권 「두전관한전(竇田灌韓傳)」 53권 「경십삼왕전(景十三王傳)」 54권 「이광소건전(李廣蘇建傳)」
두영 · 전분 · 관부 · 한안국 임강민왕 · 하간왕 · 임강애왕 · 노왕 · 강도왕
우왕 · 조왕 · 중산정왕 · 장사왕 · 광천왕
교동왕 · 청하왕 · 상산왕
이광 · 소건
55권 「위청곽거병전(衛靑霍去病傳)」 56권 「동중서전(董仲舒傳)」 57권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위청 · 곽거병 동중서 사마상여
58권 「공손홍복식예관전(公孫弘卜式兒寬傳)」 59권 「장탕전(張湯傳)」 60권 「두주전(杜周傳)」
공손홍 · 복식 · 예관 장탕 두주
61권 「장건이광리전(張騫李廣利傳)」 62권 「사마천전(司馬遷傳)」 63권 「무오자전(武五子傳)」
장건 · 이광리 사마천 여태자 · 제왕 · 연왕 · 광릉왕 · 창읍왕
64권 「엄주오구주보서엄종왕가전(嚴朱吾丘主父徐嚴終王賈傳)」
엄조 · 주매신 · 오구수왕 · 주보언 · 서악 · 엄안 · 종군 · 왕포 · 가연지
65권 「동방삭전(東方朔傳)」 66권 「공손유전왕양채진정전(公孫劉田王楊蔡陳鄭傳)」
동방삭 공손하 · 유굴리 · 전천추 · 왕흔 · 양창 · 채의 · 진만년 · 정홍
67권 「양호주매운전(楊胡朱梅云傳)」 68권 「곽광김일제전(霍光金日磾傳)」 69권 「조충국신경기전(趙充國辛慶忌傳)」
양왕손 · 호건 · 주운 · 매복 · 운창 곽광 · 김일제 조충국 · 신경기
70권 「부상정감진단전(傅常鄭甘陳段傳)」 71권 「준소우설평팽전(雋疏于薛平彭傳)」
부개자 · 상혜 · 정길 · 감연수 · 진탕 · 단회종 준불의 · 소광 · 우정국 · 설광덕 · 평당 · 팽선
72권 「왕공양공포전(王貢兩龔鮑傳)」 73권 「위현전(韋賢傳)」 74권 「위상병길전(魏相丙吉傳)」
왕길 · 공우 · 공승 · 공사 · 포선 위현 위상 · 병길
75권 「수양하후경익이전(眭兩夏侯京翼李傳)」 76권 「조윤한장양왕전(趙尹韓張兩王傳)」
수홍 · 하후시창 · 하후승 · 경방 · 익봉 · 이심 조광한 · 윤옹귀 · 한연수 · 장창 · 왕존 · 왕장
77권 「갑제갈유정손무장하전(蓋諸葛劉鄭孫毋將何傳)」 78권 「소망지전(蕭望之傳)」
갑관요 · 제갈풍 · 유보 · 정숭 · 손보 · 무장륭 · 하병 소망지
79권 「풍봉세전(馮奉世傳)」 80권 「선원육왕전(宣元六王傳)」
풍봉세 회양왕 · 초효왕 · 동평왕 · 중산왕 · 정도왕 · 중산왕
81권 「광장공마전(匡張孔馬傳)」 82권 「왕상사단부희전(王商史丹傅喜傳)」 83권 「설선주박전(薛宣朱博傳)」
광형 · 장우 · 공광 · 마궁 왕상 · 사단 · 부희 설선 · 주박
84권 「적방진전(翟方進傳)」 85권 「곡영두업전(谷永杜鄴傳)」
적방진 곡영 · 두업
86권 「하무왕가사단전(何武王嘉師丹傳)」 87권 「양웅전(揚雄傳)」
하무 · 왕가 · 사단 양웅
88권 「유림전(儒林傳)」
정관 · 시수 · 맹희 · 양구하 · 비직 · 복생 · 구양생 · 임존 · 주감 · 장산부 · 왕식 · 후창 · 호모생 · 엄팽조 · 안안락
89권 「순리전(循吏傳)」 90권 「혹리전(酷吏傳)」
문옹 · 오성 · 황패 · 주읍 · 공수 · 소신신 질도 · 영성 · 조우 · 의종 · 왕온서 · 윤제 · 양복 · 감선 · 전광명 · 전연년 · 엄연년 · 윤상
91권 「화식전(貨殖傳)」 92권 「유협전(游俠傳)」
백규 · 정정 주가 · 전중 · 극맹 · 곽해 · 우장 · 누호 · 진준 · 원섭
94권 「흉노전(匈奴傳)」 95권 「서남이양월조선전(西南夷兩粤朝鮮傳)」
흉노 · 남월 · 민월 · 동해국 · 조선
96권 「서역전(西域傳)」
선선국 · 저말국 · 소완국 · 정절국 · 융로국 · 서미국 · 거륵국 · 우전국 · 피산국 · 아타국 · 서야국 · 포리국 · 의내국 · 무뢰국 · 난두국 · 계빈국
아익산리국 · 대월지국 · 강거국 · 대완국 · 동저미국 · 도괴국 · 효순국 · 언독국 · 사거국 · 소륵국 · 울두국 · 오손국 · 고묵국 · 온숙국 · 구자국
울리국 · 위수국 · 언기국 · 아탐자리국 · 비륙국 · 비륙후국 · 욱립사국 · 선환국 · 포류국 · 포류후국 · 서저미국 · 동저미국 · 겁국 · 호호국 · 산국
차사전국 · 차사후국 · 차사도위국 · 차사후성장국
97권 「외척전(外戚傳)」
효혜황후 · 효문태후 · 두의방 · 효경황후 · 왕지 · 진아교 · 무사황후 · 효소태후 · 효소황후 · 사양제 · 왕부인 · 허평군 · 곽성군 · 효선황후 · 효성황후
반염 · 조비연 · 소의 부씨 · 정도정희 · 효애황후 · 효원소의 · 중산위희 · 효평황후
98권 「원후전(元后傳)」 99권 「왕망전(王莽傳)」
왕정군 왕망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 ||

후한서(後漢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권 「광무제기(光武帝紀)」 2권 「명제기(明帝紀)」 3권 「장제기(章帝紀)」
유수 유장 유달
4권 「화제상제기(和帝殤帝紀)」 5권 「안제기(安帝紀)」 6권 「순제충제질제기(順帝沖帝質帝紀)」
유조 · 유륭 유호 유보 · 유병 · 유찬
7권 「환제기(桓帝紀)」 8권 「영제기(霊帝紀)」 9권 「헌제기(獻帝紀)」
유지 유굉 유협
10권 「황후기(皇后紀)」
곽성통 · 음여화 · 명덕황후 · 장덕황후 · 효화황후 · 등수 · 염희 · 양납 · 양여영 · 등맹녀 · 두묘 · 효인황후 · 효령황후 · 영사황후 · 복수 · 조절 · 무양장공주 · 열양공주 · 관도공주 · 육양공주 · 역읍공주 · 획가장공주 · 평양공주 · 융려공주 · 평지공주 · 심수공주 · 평고공주 · 준의공주 · 무안공주 · 노양공주 · 낙평공주 · 성안공주 · 무덕장공주 · 평읍공주 · 음안공주 · 수무장공주 · 공읍공주 · 임영공주 · 문희공주 · 무양장공주 · 관군장공주 · 여양장공주 · 양안장공주 · 영음장공주 · 양적장공주 · 만년공주
※ 사마표의 속한서는 志에 해당. 후한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3><tablewidth=100%><tablebgcolor=#a11><width=50%> 11권 「유현유분자열전(劉玄劉盆子列傳)」 ||<-3><width=50%> 12권 「왕유장이팽노열전(王劉張李彭盧列傳)」 ||
유현 · 유분자 왕창 · 유영 · 방맹 · 장보 · 왕굉 · 이헌 · 팽총 · 노방
13권 「외효공손술열전(隗囂公孫述列傳)」 14권 「종실사왕삼후열전(宗室四王三侯列傳)」
외효 · 공손술 유인 · 유량 · 유지 · 유흡 · 유사 · 유순 · 유가
15권 「이왕등내열전(李王鄧來列傳)」 16권 「등구열전(鄧寇列傳)」 17권 「풍잠가열전(馮岑賈列傳)」
이통 · 왕상 · 등신 · 내흡 등우 · 구순 풍이 · 잠팽 · 가복
18권 「오갑진장전(吳蓋陳臧列傳)」 19권 「경엄열전(耿弇列傳)」 20권 「요기왕패채준열전(銚期王霸祭遵列傳)」
오한 · 갑연 · 진준 · 장궁 경엄 요기 · 왕패 · 채준
21권 「임이만비유경열전(任李萬邳劉耿列傳)」 22권 「주경왕두마유부견마열전(朱景王杜馬劉傅堅馬列傳)」
임광 · 이충 · 만수 · 비동 · 유식 · 경순 주우 · 경단 · 왕량 · 두무 · 마성 · 유륭 · 부준 · 견담 · 마무
23권 「두융열전(竇融列傳)」 24권 「마원열전(馬援列傳)」 25권 「탁노위유열전(卓魯魏劉列傳傳)」
두융 , 두헌, 마원 탁무 · 노공 · 위패 · 유관
26권 「복후송채풍조모위열전(伏侯宋蔡馮趙牟韋列傳)」 27권 「선장이왕두곽오승정조열전(宣張二王杜郭吳承鄭趙列傳)」
복담 · 후패 · 송홍, 송유, · 채무 · 풍근 · 조희 · 모융 · 위표 선병 · 장담 · 왕담 · 왕량 · 두림 · 곽단 · 오량 · 승궁 · 정균 · 조전, 조계,
28권 「환담풍연열전(桓譚馮衍列傳)」 29권 「신도강포영질운열전(申屠剛鮑永郅惲列傳)」 30권 「소경양후낭의양해열전(蘇竟楊厚郞顗襄楷列傳)」
환담 · 풍연 신도강 · 포영, 포욱, · 질운 소경 · 양후 · 낭의 · 양해
31권 「곽두공장염왕소양가육열전(郭杜孔張廉王蘇羊賈陸列傳)」 32권 「번굉음식열전(樊宏陰識列傳)」
곽급 · 두시 · 공분 · 장감 · 염범 · 왕당 · 소장 · 양속 · 가종 · 육강 범굉 · 음식
33권 「주풍우정주열전(朱馮虞鄭周列傳)」 34권 「양통열전(梁統列傳)」 35권 「장조정열전(張曹鄭列傳)」
주부 · 풍방, 풍석, , 유희, · 우연 · 정홍 · 주장 양통 장순 · 조포 · 정현
36권 「정범진가장열전(鄭范陳賈張列傳)」 37권 「환영정홍열전(桓榮丁鴻列傳)」 38권 「장법등풍탁양열전(張法滕馮度楊列傳)」
정흥 · 범승 · 진원 · 가규 · 장패 환영, 환언, , 주총, · 정홍 장종 · 법웅 · 등무 · 풍곤 · 도상 · 양선
39권 「유조순우강유주조열전(劉趙淳于江劉周趙列傳)」 40권 「반표열전(班彪列傳)」
유평 · 조효 · 순우공 · 강혁 · 유반, 유개, · 주반 · 조자 반표
41권 「제오종리송한열전(第五鍾離宋寒列傳)」 42권 「광무십왕열전(光武十王列傳)」
제오륜 · 종리의 · 송균 · 한랑 유강 · 유보 · 유강 · 유연 · 유언 · 유영 · 유창 · 유형 · 유형 · 유경
43권 「주악하열전(朱樂何列傳)」 44권 「등장서장호열전(鄧張徐張胡列傳)」 45권 「원장한주열전(袁張韓周列傳)」
주휘 · 악회 · 하창 등표 · 장우 · 서방 · 장민 · 호광 원안 · 장포 · 한릉 · 주영
46권 「곽진열전(郭陳列傳)」 47권 「반양열전(班梁列傳)」
곽궁 · 진총 반초 · 양근
48권 「양이적응곽원서열전(楊李翟應霍爰徐列傳)」 49권 「왕충왕부중장통열전(王充王符仲長統列傳)」
양종 · 이법 · 적포 · 응봉 · 곽서 · 원연 · 서구 왕충 · 왕부 · 중장통
50권 「명제팔왕열전(明帝八王列傳)」 51권 「이진방진교열전(李陳龐陳橋列傳)」
유건 · 유선 · 유공 · 유당 · 유연 · 유창 · 유병 · 유장 이순 · 진선 · 방참, 시연, · 진귀 · 교현
52권 「최인전(崔駰傳)」 53권 「주황서강신도열전(周黃徐姜申屠列傳)」 54권 「양진열전(楊震列傳)」
최인 주섭 · 황헌 · 서섭 · 강굉 · 신도반 양진, 사마포, , 마영,
55권 「장제팔왕열전(章帝八王列傳)」
유항 · 유전 · 유경 · 유수 · 유개(劉開) · 유숙 · 유만세 · 유승
56권 「장왕충진열전(張王种陳列傳)」 57권 「두난유이유사열전(杜欒劉李劉謝列傳)」 58권 「우부갑장열전(虞傅蓋臧列傳)」
장호 · 왕공 · 충고 · 진구 두근 · 난파 · 유도 · 이운 · 유유 · 사필 우후 · 부섭 · 갑훈 · 장홍
59권 「장형열전(張衡列傳)」 60권 「마융채옹열전(馬融蔡邕列傳)」 61권 「좌주황열전(左周黃傳)」
장형 마융 · 채옹 좌웅 · 주거 · 황경
62권 「순한종진열전(荀韓鍾陳列傳)」 63권 「이두열전(李杜列傳)」 64권 「오연사노조열전(吳延史盧趙列傳)」
순숙 · 한소 · 종호 · 진식 이고, 이섭, , 조준, · 두교 오우 · 연독 · 사필 · 노식 · 조기
65권 「황보장단열전(皇甫張段列)」 66권 「진왕열전(陳王列傳)」
황보규 · 장환 · 단경 진번 · 왕윤
67권 「당고열전(黨錮列傳)」
유숙 · 이응, 이수, · 두밀 · 유우 · 위영 · 하복 · 종자 · 파숙 · 범방 · 윤훈, 윤목, · 채연 · 양척 · 장검 · 진상 · 공욱 · 원강 · 유유 · 가표 · 하옹
68권 「곽부허열전(郭符許列傳)」 69권 「두하열전(竇何列傳)」 70권 「정공순열전(鄭孔荀列傳)」
곽태 · 부융 · 허소 두무 · 하진 정태 · 공융 · 순욱
71권 「황보숭주준열전(皇甫嵩朱儁列傳)」 72권 「동탁열전(董卓列傳)」 73권 「유우공손찬도겸열전(劉虞公孫瓚陶謙列傳)」
황보숭 · 주준 동탁 유우 · 공손찬 · 도겸
74권 「원소유표열전(袁紹劉表列傳)」 75권 「유언원술여포열전(劉焉袁術呂布列傳)」
원소 , 원담 · 원상, · 유표 유언 · 원술 · 여포
76권 「순리열전(循吏列傳)」
위립 · 임연 · 왕경 · 진원 · 왕환 · 허형 · 맹상 · 제오방 · 유구, 유광, · 유총 · 구람 · 동회
77권 「혹리열전(酷吏列傳)」
동선 · 번엽 · 이장 · 주우 · 황창 · 양구 · 왕길
78권 「환자열전(宦者列傳)」
정중 · 채륜 · 손정 · 조등 · 선초 · 서황 · 구원 · 좌관 · 당형 · 후람 · 조절 · 여강 · 장양 · 조충
79권 「유림열전(儒林列傳)」
유곤 · 규단 · 임안 · 양정 · 장흥 · 대빙 · 손기 · 구양흡 · 모장 · 송등 · 장순 · 윤민 · 주방 · 공희 · 양륜 · 고후 · 포함 · 위응 · 복공 · 임말 · 경란 · 설한 · 두무 · 소순 · 양인 · 조엽 · 위굉 · 동균 · 정공 · 주택 · 손감 · 종흥 · 견우 · 누망 · 정증 · 장현 · 이육 · 하휴 · 복건 · 영용 · 사해 · 허신 · 채현
80권 「문원열전(文苑列傳)」
두독 · 왕륭 · 하공 · 부의 · 황향 · 유의 · 이우 · 소순 · 유진 · 갈공 · 왕일 · 최기 · 변소 · 장승 · 조일 · 유량 · 변양 · 역염 · 후근 · 고표 · 장초 · 예형
81권 「독행열전(獨行列傳)」
초현 · 이업 · 유무 · 온서 · 팽수 · 삭로방 · 주가 · 범식 · 이선 · 왕돈 · 장무 · 육속 · 대봉 · 이충 · 무융 · 진중 · 뇌의 · 범염 · 대취 · 조포 · 상허 · 양보 · 유익 · 왕열
82권 「방술열전(方術列傳)」
임문공 · 곽헌 · 허양 · 고획 · 왕교 · 사이오 · 양유 · 이남 · 이합 · 단예 · 요부 · 절상 · 번영 · 당단 · 공사목 · 허만 · 조언 · 번지장 · 선양 · 한열 · 동부 · 곽옥 · 화타 · 서등 · 비장방 · 소자훈 · 유근 · 좌자 · 허자훈 · 해노고 · 장초 · 왕진 · 학맹절 · 유화평
83권 「일민열전(逸民列傳)」
상장 · 봉맹 · 주당 · 왕패 · 엄광 · 정단 · 양홍 · 고봉 · 대동 · 한강 · 교신 · 대량 · 법진 · 한음노보 · 진류노보 · 방공
84권 「열녀전(列女傳)」
환소군 · 조아(趙阿) · 반소 · 이목강 · 조아(曹娥) · 여영 · 마륜 · 조아(趙娥) · 순채 · 조원강 · 숙선웅 · 채염
85권 「동이열전(東夷列傳)」 86권 「남만서남이열전(南蠻西南夷列傳)」 87권 「서강전(西羌傳)」
부여국 · 읍루 · 고구려 · 북옥저 · · 남만 · 서남이 서강
88권 「서역전(西域傳)」
구미국 · 우전국 · 서야국 · 자합국 · 덕약국 · 안식국 · 대진국 · 대월지국 · 고부국 · 천축국 · 동리국 · 율과국 · 엄국 · 엄채국 · 사거국 · 소륵국 · 언기국 · 포류국 · 이지국 · 동저미국
89권 「남흉노열전(南匈奴列傳)」 90권 「오환선비열전(烏桓鮮卑列傳)」
남흉노 오환 · 선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 ||

진서(晉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기(帝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권 「선제기(宣帝紀)」 2권 「경제문제기(景帝文帝紀)」 3권 「무제기(武帝紀)」
사마의 사마사 · 사마소(昭) 사마염
4권 「혜제기(惠帝紀)」 5권 「회제민제기(懷帝愍帝紀)」 6권 「원제명제기(元帝明帝紀)」
사마충(衷) 사마치 · 사마업 사마예 · 사마소(紹)
7권 「성제강제기(成帝康帝紀)」 8권 「목제애재폐제기(穆帝哀帝廢帝紀)」
사마연(衍) · 사마악 사마담 · 사마비 · 사마혁
9권 「간문제효무제기(簡文帝孝武帝紀)」 10권 「안제공제기(安帝恭帝紀)」
사마욱 · 사마요 사마덕종 · 사마덕문
※ 11권 ~ 30권은 志에 해당. 진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 31·32권 「후비전(后妃傳)」 ||
[ 재기(戴記) ]
||<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width=33%> 101권 「유원해재기(劉元海戴記)」 ||<-2><width=34%> 102권 「유총재기(劉聰戴記)」 ||<width=33%> 103권 「유요재기(劉曜戴記)」 ||
유원해 , 유화 · 유선, 유총 , 유찬 · 진원달, 유요
104 · 105권 「석륵재기(石勒戴記)」 106 · 107권 「석계룡재기(石季龍戴記)」
석륵 , 석홍 · 장빈, 석계룡 , 석세 · 석준 · 석감 · 염민,
108권 「모용외재기(慕容廆戴記)」 109권 「모용황재기(慕容皝戴記)」
모용외 , 배억 · 고첨, 모용황 , 모용한 · 양유,
110권 「모용준재기(慕容儁戴記)」 111권 「모용위재기(慕容暐戴記)」
모용준 , 한항 · 이산 · 이적, 모용위 , 모용각 · 양무 · 황보진,
112권 「부홍등재기(苻洪等戴記)」 113 · 114권 「부견재기(苻堅戴記)」 115권 「부비등재기(苻丕等戴記)」
부홍 · 부건 · 부생 , 왕타, 부견 , 왕맹 · 부융 · 부랑, 부비 · 부등 , 삭반 · 서숭,
116권 「요익중등재기(姚弋仲等戴記)」 117 · 118권 「요흥재기(姚興戴記)」 119권 「요홍재기(姚泓戴記)」
요익중 · 요양 · 요장 요흥 , 윤위, 요홍
120권 「이특등재기(李特等戴記)」 121권 「이웅등재기(李雄等戴記)」
이특 · 이류 · 이상 이웅 ·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122권 「여광등재기(呂光等戴記)」
여광 · 여찬 · 여륭
123권 「모용수재기(慕容垂戴記)」 124권 「모용보등재기(慕容宝等戴記)」
모용수 모용보 · 모용성 · 모용희 · 모용운
125권 「걸복국인등재기(乞伏國仁等戴記)」
걸복국인 · 걸복건귀 · 걸복치반 · 풍발 , 풍소불,
126권 「독발오고등재기(禿髪烏孤等戴記)」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 독발녹단
127권 「모용덕재기(慕容徳戴記)」 128권 「모용초재기(慕容超戴記)」
모용덕 모용초 , 모용종 · 봉부,
129권 「저거몽손재기(沮渠蒙遜戴記)」 130권 「혁련발발재기(赫連勃勃戴記)」
저거몽손 혁련발발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0080><tablebgcolor=#800080> ||
}}} ||

양서(梁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2·3권 「무제기(武帝紀)」 4권 「간문제기(簡文帝紀)」 5권 「원제기(元帝紀)」 6권 「경제기(敬帝紀)」
소연 소강 소역 소방지
7권 「황후기(皇后紀)」
장상유 · 치휘 · 왕영빈 · 정영광 · 완영영 · 서소패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00c499> 8권 「소명태자등전(昭明太子等傳)」 ||<-2> 9권 「왕무등전(王茂等傳)」 ||<-2> 10권 「소영달등전(蕭穎達等傳)」 ||
소통 · 소대기 · 소방구 왕무 · 조경종 · 유경원 소영달 · 하후상 · 채도공 · 양공칙 · 등원기
11권 「장홍책등전(張弘策等傳)」 12권 「유담등전(柳惔等傳)」 13권 「범운등전(范雲等傳)」
장홍책 유역 · 정소숙 · 여승진 유담 · 석천문 · 위예 범운 · 심약
14권 「강엄등전(江淹等傳)」 15권 「사비전(謝朏傳)」 16권 「왕량등전(王亮等傳)」
강엄 · 임방 사비 , 사람, 왕량 · 장직 · 왕형
17권 「왕진국등전(王珍國等傳)」 18권 「장혜소등전(張惠紹等傳)」 19권 「종쾌등전(宗夬等傳)」
왕진국 · 마선병 · 장제 장혜소 · 풍도근 · 강현 · 창의지 종쾌 · 유탄 · 악애
20권 「유계련등전(劉季連等傳)」 21권 「왕첨등전(王瞻等傳)」
유계련 · 진백지 왕첨 · 왕지 · 왕준 · 왕간 , 왕훈, · 왕태· 왕빈· 장충· 유운 · 채준· 강천
22권 「태조오왕전(太祖五王傳)」 23권 「소업등전(蕭業等傳)」 24권 「소경전(蕭景傳)」
소굉 · 소수 · 소위 · 소회 · 소담 소업 · 소백유 · 소원간 · 소상 소경 , 소창 소앙 소욱,
25권 「주사등전(周捨等傳)」 26권 「범수등전(范岫等傳)」 27권 「육수등전(陸倕等傳)」
주사 · 서면 범수 · 부소 · 소침 · 육고 육수 · 도흡 · 명산빈· 은균· 육양
28권 「배수등전(裴邃等傳)」 29권 「고조삼왕전(高祖三王傳)」 30권 「배자야등전(裴子野等傳)」
배수 · 하후단 · 위방 소적 · 소속 · 소윤 배자야 · 고협 · 서리 · 포천
31권 「원앙전(袁昻傳)」 32권 「진경지등전(陳慶之等傳)」 33권 「왕승유등전(王僧孺等傳)」
원앙 진경지 · 난흠 왕승유 · 장솔 · 유효작 · 왕균
34권 「장면전(張緬傳)」 35권 「소자각전(蕭子恪傳)」 36권 「공휴원등전(孔休源等傳)」
장면 , 장찬 장관, 소자각 , 소자범 소자현 소자운, 공휴원 · 강혁
37권 「사거등전(謝擧等傳)」 38권 「주이등전(朱異等傳)」
사거 · 하경용 주이 · 하침
39권 「원법승등전(元法僧等傳)」 40권 「사마경등전(司馬褧等傳)」
원법승 , 원수 원원달, · 왕신념 · 양간 · 양아인 사마경 · 도개 · 유현 · 유지린 · 허무
41권 「왕규등전(王規等傳)」
왕규 · 왕승 · 저상 · 소개 · 저구 · 유유 · 유잠 · 은운 · 소기(幾)
42권 「장순등전(臧盾等傳)」 43권 「위찬등전(韋粲等傳)」
장순 · 부기 위찬 · 강자일 · 장승 · 심준(浚) · 유경례
44권 「태종십일왕・세조이자전(太宗十一王・世祖二子傳)」
소대련 · 소대심 · 소대림 · 소대춘 · 소대아 · 소대장 · 소대균 · 소대위 · 소대구 · 소대흔 · 소대지 · 소방등 · 소방제
45권 「왕승변전(王僧辯傳)」 46권 「호승우등전(胡僧祐等傳)」
왕승변 호승우 · 서문성 · 두즉 · 음자춘
47권 「효행전(孝行傳)」
등담공 · 심숭소 · 순장 · 유검루 · 길분 · 견염 · 한회명 · 유담정 · 하형 · 유사미 · 강부 · 유제 · 저수 · 사린
48권 「유림전(儒林傳)」
복만용 · 하동지 · 범진 · 엄식지· 하창 · 사마균 · 변화 · 최령은 · 공첨 · 노광 · 심준(峻) · 태사숙명 · 공자거· 황간
49·50권 「문학전(文學傳)」
도항 · 구지 · 유포 · 원준 · 유어릉 · 유소(昭) · 하손 · 종영 · 주흥사 · 오균 · 유어릉 · 유준 · 유소(沼) · 사기경 · 유협 · 왕적 · 하사징 · 유묘 · 사징 · 장엄 · 복정 · 유중용 · 육운공 · 임효공 · 안협
51권 「처사전(處士傳)」
하점 , 하윤, · 완효서 · 도홍경 · 제갈거 · 심의 · 유혜비 · 범원염 · 유우 · 유효 · 유선 · 장효수 · 유승선
52권 「지족전(止足傳)」 53권 「양리전(良吏傳)」
고헌지 · 도계직 · 소시소 유필 · 심우 · 범술증 · 구중부 · 손겸 · 복환 · 하원
54권 「제이전(諸夷傳)」
임읍 · 부남· 반반국 · 단단국 · 간타리국 · 낭아수국· 파리국 · 중천축국 · 사자국 · 고구려· 백제 · 신라 · · 문신국· 대한국 · 부상국 · 하남왕국 · 고창· 활국 · 주고가국 · 아발단국 · 호밀단국· 백제 · 쿠처 · 우전국· 갈반타국 · 저말국 · 파사국 · 탕창국· 등지 · 무흥국 · 예예국
55권 「소종등전(蕭綜等傳)」
소종 · 소기(紀) · 소정덕 · 소예
56권 「후경전(侯景傳)」
후경 , 왕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c499><tablebgcolor=#00c499> ||
}}}}}} ||
}}}}}}}}}}}}
흉노
匈奴 | Xiongnu
파일:흉노 문장.svg
문장[1]
파일:흉노 지도.png
기원전 2세기경 흉노 제국의 세력권
남흉노 선비
기원전 400년경~439년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몽골어 <colbgcolor=#fff,#212121> ᠬᠣᠨᠨᠣ (Qunnu; 훈누)
Хүннү (Khunnu)[2]
상고한어 qʰoŋ naː (콩나, 정장상팡)
qʰ(r)oŋ nˤa 1 (크롱나[3], 벡스터-사가르)
hjuŋnag (흉나그, 리팡구이)
위치 <colbgcolor=#fff,#212121> 북아시아 스텝 지역
러시아 남부
몽골 고원
언어 흉노어
문자 흉노 문자(?)[4]
종교 텡그리 신앙(?)
국가원수 탱리고도선우(撑犂孤塗單于, 선우)
주요 선우 초대 두만
2대 묵돌
11대 호연제
14대 호한야
21대 오달제후
북흉노
1대 포노
2대 우유
남흉노
1대 혜락시축제
20대 호주천
성립 이전 훈육
험윤
월지
동호
멸망 이후 열반[5]
남흉노
선비족
오환족
철륵
전조
북하
훈족(추정)

1. 개요2. 역사
2.1. 초기2.2. 전성기2.3. 쇠퇴2.4. 소멸
3. 풍습4. 언어, 문자5. 전투6. 편제7. 문명
7.1. 유적과 유물
8. 인종
8.1. 다인종 혼혈 체제?8.2. 흉노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의 이질성
9. 흉노- 훈족 동계론10. 대외관계
10.1. 중국과의 관계10.2. 한민족 국가와의 관계( 흉노족 신라왕족설)10.3. 기타 국가와의 관계
11. 역대 탱리고도선우
11.1. 흉노11.2. 동흉노11.3. 서흉노11.4. 북흉노11.5. 남흉노
12. 흉노 소속 인물
12.1. 흉노 분열 이전12.2. 흉노 분열 시기12.3. 남흉노 멸망 이후
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흉노()는 기원전 4세기 말 전국시대부터[6] 기원후 5세기 중반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수백년 동안 주로 북아시아 지역에 존속했던 특정 유목민 집단 및 이들이 세운 국가를 가리킨다.

역사서에 기록된 세계 최초의 유목제국이었다.[7] 이 시절 중국의 여러 기록물 내에서 빠지지 않고 언급될 정도로 끊임없이 중화권 국가와 전쟁한 것으로 유명하다. 건조한 초원이 대부분이긴 했지만 기원전 3세기 무렵, 현재의 중국 북부, 몽골 고원에서부터 러시아 남쪽에까지 달하는 광활한 제국을 건설했고, 전성기에는 시베리아 남부, 만주 서부, 그리고 현재 중국 내몽골, 간쑤성, 토하리스탄까지 영향력이 미쳤다.

2. 역사

사마천의 사서 《 사기》에는 하나라의 후손으로 서주를 밀어버린 훈육 험윤이 이들의 조상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사실 전국시대 이전의 북방 이민족들은 제대로 된 유목민이 아니었다고 한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성과로 보면, 이후의 유목민족들처럼 제대로 된 유목문화는 기원전 10세기에 우크라이나 초원에서 시작되어[8], 기원전 8~7세기가 되어야 비로소 중국 북방에 유입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즘엔 춘추시대 후기에서 전국시대 초기 사이에 등장하는 (胡)라는 이름의 족속이 중화권 사람들이 최초로 조우한 기마 유목민이라고 보는 학설이 힘을 얻었다. 고고학 연구로 밝혀진 바에 의하면, 고대에도 몽골 고원에 사람이 살긴 했지만, 적어도 기원전 8~7세기까지는 이곳에 살던 민족들이 를 키워서 먹고 살던 유목민[9]이나 수렵채집민이었다고 한다.[10]

전한 초기엔 한나라를 군사적으로 압박하면서 한고조 유방 백등산 포위전에서 사로잡을 뻔한 기염도 토했으나, 이후 화친으로 돌아섰고, 전한의 형님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정기적으로 전한이 재화를 바치는 것에 만족했다. 한무제 시절엔 전한과의 데스매치 끝에 결국 막북으로 밀려나 다섯 명의 탱리고도선우가 난립하는 혼란기를 거쳐 두 차례 국가가 분열되는 등 중원에서의 패권을 완전히 상실했다.

이후 후한시대에 흉노가 분열한 남흉노 등은 후한의 제후격으로 떨어지기도 했고, 오호십육국시대 서진(西晉)을 멸망시킨 후( 영가의 난) 화북지방에 한조, 북하 등 유목왕조를 세우기도 했지만 이때부터 중국 내부에 들어오면서 문화적으로는 중화권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그러다가 선비족에게 된통 얻어맞고 점점 세력이 약화되더니 끝내 흉노의 정체성이 사라지고 역사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하지만 이렇게 수백 년 이상 중화제국과 충돌한 경력 때문인지 지금도 '북방민족'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유목민족 중 하나로, 중국 문화에도 흉노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다. 천고마비, 만리장성, 왕소군 등이 대표적이다. 흉노에 대한 기억은 흉노가 소멸된 후에도 중국인들의 뇌리에 박혔기 때문에 흉노가 소멸된지 한참 지난 남송 시대에도 만강홍에서 여진족 금나라를 흉노로 호칭했다.[11]

2.1. 초기

흉노가 중국 역사서에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기원전 4세기 말의 전국시대이다. 흉노는 가끔 진나라에 대항하는 각국의 연합에 참가하여 진나라를 공격했지만 매번 참패로 끝났다. 그후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이 기원전 215년에 몽염을 보내 오르도스 지역의 흉노를 축출하고, 만리장성을 쌓았다.

2.2. 전성기

기원전 209년 묵돌 선우가 아버지 두만 선우를 죽이고 선우위에 올랐다. 묵돌은 동몽골을 공격해 동호를 멸망시켰고, 서쪽으로 알타이-준가르 분지-서고비-하서주랑의 광활한 영역을 가지고 있었던 월지를 공격해 대부분의 강역을 점유했다. 흉노의 세력이 강대해지자 여러 부족들도 흉노에 복속되었다.

한편 중원에서는 유방 초한전쟁을 수습하고 전한을 세웠다. 기원전 200년 흉노가 한나라의 변경을 공격하자, 유방이 친정하여 흉노군과 맞서 싸웠으나 백등산 포위전에서 처참하게 당하고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 기원전 177년 흉노의 우현왕이 한나라의 변경을 약탈했을 때, 한문제가 우현왕을 치도록 했으나 당시 실크로드 정책에 집중하고 있었던 목돌 선우가 흉노의 책임을 인정하고 물러났다. 이후 우현왕은 하서를 공격해 월지족을 천산산맥 너머로 축출하고 서역의 26개국을 복속시켰다. 이로 인해 실크로드는 흉노의 손에 넘어갔다.[12]

2.3. 쇠퇴

한나라는 백등산 포위전 이후 흉노에 굴복하여 반기를 들지 못했으나 한 무제가 즉위한 이후 정세가 완전히 반전되었다. 무제는 기원전 129년, 위청 곽거병을 파견해 서역으로의 통로에 해당하는 하서주랑 지역을 정벌하고 무위, 장액, 주천, 돈황의 하서 4군을 세웠다. 전세가 역전되자 한나라와의 조공무역이 끊어져 악화됐던 경제적 상황이 더욱 나빠졌다. 한나라와의 기나긴 전쟁으로 흉노는 막대한 피해를 입어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다.

그리고 기원전 60년에는 한나라가 타림분지의 서역 도시국가들에 대한 통제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서역도호부를 설치하면서 중앙아시아에 대한 패권을 완전히 빼앗겨버렸다. 또한 기원전 56년에는 형제간의 싸움으로 동•서흉노로 분열되었는데 동흉노의 호한야 선우가 기원전 51년에 한나라에게 신하의 예를 표하면서 직접 장안 한나라 황제를 알현하고 지원을 받아 흉노를 통일했으며, 서흉노의 질지선우는 중앙아시아로 이동해 세력을 확장하면서 한나라 사신들을 죽이는 등 대항하다가 기원전 36년 한나라 군대의 토벌로 모두 몰살당한다. 이후 흉노는 한나라와 화친을 맺게 되었다.

당시 흉노가 갑자기 약화된 이유로 몽골 고원이 한랭화된 것을 이유로 보기도 한다.[13] 또한 흉노가 약화되면서 정치적 불안성도 발생해서 이치사부터 호한야까지의 선우만 11명인데 같은 시기 한나라는 무제, 소제, 폐제, 선제, 원제까지 5명뿐이었다.

전한이 멸망하고, 왕망 신나라가 세워졌을 때, 왕망의 일관성 없는 대외정책에 흉노는 화친을 거두고 신나라를 침공하기도 했다.

이후 신나라가 멸망하고 후한이 세워졌을 때 흉노는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이때 남흉노는 오르도스 산시성에 정착하여 후한과 협력 관계가 되었고, 후한에 부정적인 북흉노는 몽골 고원에 남았다.

2.4. 소멸

서기 89년 후한은 북흉노를 공격해 멸망시켰다. 남흉노는 이후 중국의 변경이 되었다. 삼국시대에 남흉노 선우는 유명무실해지고 흉노는 조조와 그가 세운 위나라에 의해 5부로 재편되어 중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서진 말 팔왕의 난으로 중원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흉노족이자 남흉노 선우의 후손인 유연이 한나라(전조)를 건국하고 서진을 무너뜨려 5호16국시대를 열었다. 전조가 멸망한 뒤에는 407년에 산시성 주변에 흉노 국가인 북하가 세워지기도 했지만 이 역시 439년에 탁발 선비족 북위에게 멸망하면서 흉노는 역사 속에서 완전히 소멸하게 되었다.

한편 북흉노의 일부는 서쪽 제티수 일대로 이주하여 열반을 세우고, 그 중 처월(處月)족은 훗날 돌궐에 동화되며 사타족이란 이름으로 돌고 돌아 중원에 귀환한 끝에 거란, 한족 등에 동화되어 사라졌다.

3. 풍습

파일:Xiongnu Leather Robe, Han period, Henan Provincial Museum, Zhengzhou.jpg
한나라 시기 흉노족 가죽 상의

북아시아의 초원에서 유목생활을 했다고 한다. , 염소, , 당나귀 등을 주로 길렀고, 개중에는 낙타 같은 진귀한 가축도 있었다. 군주인 선우 이하 모든 백성들이 고기를 주식으로 했으며, 그 가죽으로 옷을 해 입었다고 한다.

농사는 짓지 않았으며 일정한 주거지가 없었다. 평화 시에는 목축과 수렵으로 생계를 이었고, 전쟁이 일어나면 부족 전원이 전투에 임해 약탈에 나섰다고 기록된 것이 중국측 기록이다.

그러나 정주민들에게서만 나오는 물산을 얻기 위해 그저 교역이나 약탈로 얻는 것을 넘어서, 정주민(주로 한나라 사람) 거주지를 대량으로 약탈하거나 자신들의 영향권 하에 두고 정주생활을 하게 하면서 흉노에게 봉사하게 했다. 이것 역시 중국 기록에 나오며, 흉노 유적들에서 보이는 정주 흔적은 이렇게 흉노에 끌려와 하층민이 된 한족 정주민들의 유산으로 주로 해석한다. 현대 러시아 학자들이 발굴한 러시아 흉노 유적지에 농사와 축산을 한 듯한 일정한 주거지 및 철기와 청동을 생산한 대장간 흔적 등이 있다.

이는 흉노 후대의 유목민족에게서도 자주 나타나는 형태로, 피지배계층이 농업과 공업을 하고, 지배계층은 목축과 수렵을 하는 체계를 수립한 경우일 가능성이 더 높아보인다. 가령 몽골 청나라 시대에 지금의 내몽골 지역에서 몽골인 지주들이 나름 비옥한 토지들을 골라서 한족 출신의 소작농들에게 소작을 맡기고, 지주 본인은 전통적인 목축업에 종사했다.[14]

더 이전 금나라에서는 맹안·모극제라 하여 한족 발해 유민들에게는 대규모 농경생활을 하게 하고, 지배층인 여진족에게는 반농반목생활을 유지할 것을 장려하기도 했다. 또, 고구려 역시도 초기에는 수렵을 병행하는 등 순수한 농업 위주의 정주문명은 아니었기에 어쨌든 농업을 주업으로 삼던 주변의 정주민들인 동예, 옥저 등을 정벌하여 조공을 받거나, 후한 등의 여러 중국 왕조와의 전쟁을 통해 잡아온 한족 농민들을 농지에 투입시키는 식으로, 하층민들에게 농사를 시켰다.

다만 고구려에선 초기에만 그랬던 것이고 제대로 된 농토를 얻으면서부터는 농업이 국가산업의 중심이 되었다. 이후에는 유목국가들과는 달리 오히려 농경민이 우위를 차지하고 수렵민인 말갈족을 하층민으로 두는 반대의 모습이 나타났다.[15] 하여튼 이는 유목민들 자신이 농사에 익숙하지 않아서, 농업을 통해 얻은 곡식에서 주로 섭취할 수 있는 탄수화물을 얻고자 택한 방법이었다. 본래는 이를 위해 정주민들을 수시로 침공해서 조공을 바치게 하거나,[16] 아예 대대적인 약탈을 하던 식이었는데, 이것을 자기들 땅에 정주민들을 정착시켜서 농사셔틀로 부리는 온건한 방법으로 바꾼 것이다.

흉노의 귀족들은 난제(攣鞮), 수복(須卜), 구림(丘林), 혁련(赫連), 호연(呼延) 등 성씨를 사용했다고 한다.

흉노 사회에서는 건장한 자가 존중되었고, 노약자는 비교적 천대받았다. 예컨대, 식사를 할 때도 맛좋은 살코기는 장정들이 먼저 먹었고, 노인들은 남은 것을 먹었다고 한다. 《사기》 <흉노 열전> 부분에서 나오는 중항열과 한나라 사신의 대화에서 이를 알 수 있는데, 한나라 사신은 흉노가 노인을 천대한다면서 왜 장정들이 맛있는 걸 먼저 먹고 남은 걸 노인에게 주지 않느냐고 물었다. 이에 중항열은 흉노는 전투를 자주 하는데 늙고 병든 사람이 싸울 수가 없어 젊고 힘센 장정들이 잘 먹어야 잘 싸울 수 있고 나아가 노인들을 지켜줄 수 있지 않느냐고 답했다.[17]

아버지나 다른 식구가 먼저 죽을 경우, 그의 부인과 첩을 취하는 풍습이 있었다. 그러나 여기서도 당연히 생모는 제외된다. 이는 대부분 유목민에게서 나타나는 제도이다. 과거 고구려 형사취수제라 하여 형이 죽으면 그 부인을 동생이 데리고 사는 풍습이 있었다. 토지를 소유하는 정주민족은 가장이 죽더라도 남은 유가족이 생활할 수 있지만, 유목민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딸렸던 식구들의 부양을 책임지워 노동력 감소를 방지하려는 사회적 의무이고 게르만을 포함한[18] 대부분 유목민족들에게서 나타난다. 역시 유목민족 느낌이 강했던 진(秦)나라에서도, 상앙의 변법이 있기 전까지 부자(父子), 형제가 처첩을 공유했다고 한다. 나중에 상앙이 자뻑 드립할 때 언급된다. 유동성이 강한 현재의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서도 형제의 처첩 공유는 흔했다.[19]

선우가 죽으면 측근 신하나 애첩이 ' 순장'당했는데 많을 경우 수백 명에서 수천 명을 넘기도 했다고 한다. 이외에 과 의복 등을 부장품으로 넣었으며 무덤에 봉분을 쌓지는 않았고, 상복도 입지 않았다. 장례 땐 망자를 애도하기 위해 얼굴에 칼로 상처를 내어 죽은 자의 이마를 흘리는 '이면'이라는 풍습이 있었고, 머리카락 일부를 베어 묻는 '전발' 풍습도 있었다. 이 풍습은 순장을 억제하여 노동력 감소를 막기 위한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시가 아닐 때 을 한 자 이상 뽑은 자는 사형에 처했고, 도둑질한 자는 재산을 몰수했다고 한다.

남아있는 기록이 중국의 고서뿐이어서 좀 더 연구가 필요한 분야긴 하다. 실제 발굴된 흉노의 유적은 중국 측 기록과 다른 점도 있었다.

중국 전통악기 얼후가 흉노에서 기원했다. 본래 흉노의 악기였던 호치르가 8세기 때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얼후란 이름이 붙었다.

4. 언어, 문자

흉노에 대한 기록은 중국의 사료에만 있기 때문에, 현대 중국어로 음역된 일부 지명이나 이름들을 제외하고는 흉노어의 재구는 거의 불가능하다.

2020년 몽골의 흉노 궁궐에서 한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3세기~2세기 흉노 상류층은 한자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링크. 뿐만 아니라, 기와에 " 天子 單于"라 새겨져 있기 때문에 중국 사료에서 흉노의 수장을 일컫는 말인 '單于(선우)'는 흉노인의 자체적 표기법을 차용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흉노인들도 한나라와 마찬가지로 자기 군주를 '천자'라고 생각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해당 논문의 저자 알렉산더 보빈은 이 天子單于라는 표기를 두고 탱리고도선우의 훈차일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탱리고도선우' 중 '탱리고도'는 '하늘의 자식'이라는 뜻이기 때문. 사실이라면 흉노에도 향찰과 비슷한 자국어 표기법이 있었다는 말이 된다.

가끔 웹에서 흉노가 자체적 문자가 있었다는 언급이 돌곤 하는데 확실한 근거는 없다. 동아일보에서 "탐가"라는 고유 문자를 사용했다는 기사를 낸 적이 있는데, '탐가'는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가 아니라 왕족을 상징하는 문양이므로 근거 없는 해석이다. 현재까지 흉노 유적에서도 한자와 별개의 문자 체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흉노어의 계통은 파악할 수 없다. 전통적으로 튀르크어족이나 몽골어족에 속했을 가능성이 가장 유력하다고 여겼으나, 이는 어떠한 확실한 근거를 토대로 한 가설이 아니라 당나라 이후 몽골 지역은 줄곧 튀르크나 몽골 계통 민족이 거주했으므로 흉노 시대에도 그랬을 것이라는 추측일 따름이었다. 예니세이어족 설이 대두하고 있으나, 해당 어족에 대한 연구가 워낙 빈약하기에 여전히 흉노어의 정체는 오리무중이다.

고대 중국어로 음역/번역된 단어로, 도기(屠耆)/현(賢), 약제(若鞮)/효(孝)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도기는 튀르키예어로 현명함을 뜻하는 단어 도기리의 어원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학자들의 재구에 따르면 낙타를 뜻하는 흉노어 어휘 *dada가 한나라 시대에 음차되어 전해졌다. 형태로만 보면 고대 튀르크어 *debe나 튀르키예어 deve, 몽골어 ᠲᠡᠮᠡᠭᠡ(temege) / тэмээ(temee, 티메)와도 비슷하지만, 연관성이 명확하게 검증되지는 않았다.

5. 전투

을 잘 다루었는데 어린이들도 양을 타고 다니면서 작은 짐승들을 사냥할 수 있었다고 한다. 활을 당길 만한 힘을 가진 남성 전원이 기병으로 활약했다. 접전시에는 칼과 짧은 을 사용했다고 한다. 기원전 2세기 중엽 전한 한경제 시절, 한 군관이 수십 기를 거느리고 사냥을 나갔다가 흉노 궁기병 단 3기를 만나 병사를 모두 잃고 본인도 중상을 입은 일이 있었다. 이 흉노족 궁기병들은 《사기》에서
"(하늘을 나는) 독수리를 쏘아 맞히는 명사수들."
이라고 칭송을 받았다.

싸움에 있어 후퇴를 불명예로 생각하지 않아서 싸움이 유리하면 전진하고, 불리하다 싶으면 사정없이 도망쳤다. 당연한 일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하지만, 당시 중국은 전국시대 군법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전투 중에 함부로 후퇴하는 군사들을 엄벌에 처했다. 진나라 시대 관료들이 참고용으로 지참했던 법률 문서를 보면, 당시 중국의 군사들이 명령을 따르지 않고 전투에서 뒤로 물러날 경우, 몇 발자국을 물러나느냐에 따라 처벌의 강도가 달라질 정도로 이 문제에 민감했다.[20][21]

적을 참수하거나 포로를 잡으면 상으로 한 잔을 받았다. 노획품이나 포로는 그대로 당사자의 소유가 되었다. 전사자의 시신을 거두어 돌아온 자는 그의 재산을 모두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눈 앞의 이익을 위해 맹렬히 싸웠고, 패색이 짙어지면 맹렬히 도망쳤다.

전쟁을 하거나 큰 일을 일으킬 때 의 모습을 보고 점을 치는 풍습이 있었다. 달이 차고 빛나면 좋은 징조이고, 흐릿하면 나쁜 징조였다고 한다. 실제로 달이 흐릿해지는 경우, 중 달무리가 지는 경우엔 다음날 비가 올 확률이 높으므로 흉노에 있어 궂은 날씨가 전투나 야외활동에 방해가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럴 듯한 부분이다.

일설에는 흉노가 중앙아시아 초원을 누비던 스키타이인들로부터 기마술을 전수받았고, 흉노의 동검인 경로(徑路) 역시 스키타이 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기마술 부분은 크게 설득력이 없는 것이 기마술은 모든 인류에게서 나타나는 공통된 문화적 소양이기 때문이다. 말이 없던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르쳐주지 않았는데도 탈주한 말을 길들여 타고 다녔던 북미 원주민들을 생각하면 쉽다.

6. 편제

사마천의 기록에 의하면 흉노족의 우두머리를 선우( 탱리고도선우)라 부르며, 선우 밑에 좌현왕, 우현왕, 좌록리왕, 우록리왕, 좌대장, 우대장, 좌대도위, 우대도위, 좌대당호, 우대당호, 좌골도후, 우골도후를 두었다. 이들은 크게는 1만 기, 작게는 병사 수천 기를 거느렸으며 그들을 둘러싸고 군단장 24명이 있었는데 이들을 만기라고 불렀다. 군단장들은 천인대장, 백인대장, 십인대장, 비소왕, 상, 봉, 도위, 당호, 저거 등의 관리를 두었다.

태자는 좌왕이라 했고, 이를 좌도기왕이라고도 불렀는데, 흉노 말로 '도기'가 고대 중국어로 '현'에 대응했기 때문이다.

각 부족들은 각자의 영역을 가지고 그 안에서 이동하며 살았다. 이중 좌·우현왕과 좌·우록리왕의 영역이 가장 컸다.

매년 정월과 5월에 군단장들이 선우정에 모여서 회합을 가지고 제사를 지냈다. 가을에는 대집회를 열었는데 이때 백성과 가축의 수효를 점검했다.

7. 문명

흉노는 진나라나 한나라 시대보다 훨씬 이전인 전국시대부터 이미 흥기하여 철기시대에 진입했다. 춘추시대(春秋時代) 말기인 기원전 5세기부터 중국에서 을 생산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서아시아로부터 전해왔는지 또는 중국이 자체적으로 제철기술을 발전시켰는지 논란이 많다.

철은 서남아시아 아나톨리아 지방의 옛 국가인 히타이트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고,[22] 그곳에서 기원전 3000년 무렵부터 철기를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서역의 앞선 철기 문명을 일찍 접한 흉노가 당시의 중국보다 일찍 철기 문명을 가질 수 있었고, 철제 무기를 이용해서 군사력 역시 강력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실크로드 교역의 독점권을 가졌기 때문에, 앞선 서역의 문물을 중국에 전달할 수 있었다. 흉노의 무덤에서는 다량의 철촉, 철검, 철제 마구 등이 출토된다.

철기 문화는 흉노의 생산력을 크게 증대시켰다. 《 한서》를 비롯한 중국 사서에서는 흉노와 한나라 간에 교역이 활발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교역은 서로 교환할 물건이 확보되었을 때 가능한 것이다. 또한 흉노는 실크로드를 실질적으로 통제하여 무역권을 독점하고 있었는데 이는 흉노에 큰 경제적 이익을 주었다. 서역에는 화려한 물품이 많다는 장건의 보고를 읽은 한 무제가 이를 탐내기도 했다.

전한 초기 흉노의 위협에 직면해 이를 막아내기 버거웠던 한나라는 흉노와 화친하여 무역하는 방법을 택했다. 흉노에 패배한 직후였으므로 한나라에 불리한 조건의 화친이었지만 흉노에 정기적으로 바쳐야 하는 물자는 중국의 거대한 생산성으로 극복 가능한 정도였다. 그렇게 화친과 교역으로 흉노를 달래는 사이 문제 경제는 이른바 문경지치를 이뤘고, 내실을 쌓은 이후 무제가 다시금 흉노 정벌에 나서 승리하면서 흉노는 서역 지배권을 빼앗기고 쇠퇴하게 된다. 물론 대흉노전에 국력을 너무 쏟아부은 나머지 한나라도 이후 점차 쇠퇴해간 게 함정이지만, 흉노만큼 쇠퇴하진 않았다.

7.1. 유적과 유물

문화상으로 흉노는 한족의 중원문화에 필적할 만큼 빠르고 넓게 문화권을 형성했다. 흉노 문화권을 상징하는 몇 가지 심볼적인 유물이나 표징으로는 동복(청동솥), 동물문 장식의 금공 유물들이 대표적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그러한 고분 출토품을 통한 연구가 활발한 편이며 흉노와 한(漢)나라 간의 교류나 관계망의 형성에 대한 연구도 많다.

흉노 또한 중국의 유물을 받아들였는데 그중의 하나가 바로 동경(銅鏡)으로, 당시 동북아시아 사회에서 한나라 문화의 위치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자료이기도 하다. 그 밖에도 한나라로부터 책봉을 받음과 동시에 사여되었던 각종 인장(印章)과 중국식의 마차 구성품들 또한 동경 등과 함께 조사되기도 하여 당시 한나라의 외부 민족에 대한 통제 방식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주요한 유물로는 스키타이식 W형 화살촉, 아케메네스식 양인단검(兩刃短劍) · 칼 · 도끼 · 찰갑 · 고삐 · 마면(馬面) · 방울 · 각종 마차용구 · 대구(帶鉤) · 원경(圓鏡, 둥근 거울), 스키타이식 솥[23] 등이 있다. 이러한 유물들을 통해 북몽골 고원에 위치해 있던 튀르크계 철륵(퇼레스)이나 남러시아의 스키타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유물의 특징은 스키타이계 동물 문양을 수용한 점인데, 각종 장식물에 예외없이 동물 문양이 있다. 이러한 흉노의 스키타이계 청동기 문화는 전국시대부터 위진남북조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화북지역에 파급됨은 물론, 동쪽으로는 만주 고구려, 신라를 비롯한 한반도와 멀리 일본까지 영향을 미쳤다.

또한 흉노에 의한 동서교류는 호한문화(胡漢文化)의 창출에서 나타나고 있다. 흉노 문화는 오르도스 문화와 한(漢)문화가 융합된 이른바 '호한문화'이다. 이것은 오르도스 청동기 문화와 맥을 같이 하는 연속선상의 계승문화, 혹은 발전문화로서 한나라 문화적 요소가 뚜렷한 것이 특징인데, 대표적 유적지인 노인울라[24]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로 증명된다.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 사이 것으로 추정하는 노인울라 유적지는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 북쪽에서 약 100 km정도 떨어진 산중에 있는데, 1924년 소련 지리학회가 파견해 울란바토르에 체재 중이던 소련 · 몽골 · 티베트 탐험대가 고분들을 속속 발굴했다. 총 212기의 고분은 모두 수츠주크테(Sutszukte)를 비롯한 세 골짜기 경사면에 위치하는데, 외관상으로는 남러시아, 남시베리아의 쿠르간 형식과 점재한 소형 성토식분 형식, 그리고 작은 웅덩이식 묘 등 3가지 형태이다.

구조는 중국(전국시대와 진•한시대)과 한반도(낙랑고분)의 분묘와 유사한 절두방추형(截頭方錐形)이다. 즉 구조의 주체인 기실(基室)은 지하 광내(壙內)에 목재로 만들며[25], 그 위에 봉토를 씌우고 지하의 곽실(槨室)로 이어지는 갱도를 앞에서 파들어가는 형식이다.

그러나 중국이나 한국의 고총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지하분도, 주로 남측 위에 좁고 긴 봉토를 씌우는 전방구(前方丘)가 주구(主丘)와 이어 붙어 있는 것과 봉토의 기초나 측면 및 표면을 조약돌로 다진 점이다. 그밖에 곽실 내부 장식에서도 다른 점이 엿보이는바, 한국의 경우 기실 내를 벽화로 장식하지만 여기서는 벽화 대신 여러가지 문양의 자수 모직품이나 비단천으로 기둥이나 대들보를 장식한다.

스키타이 서아시아 소아시아 예술에서 자주 보이는 동물 투쟁 문양이 확인되며 노인울라 6호분에서 출토된 걸개 모직 카펫에는 티베트 중앙아시아에서 번식하는 야크 뿔사자와 싸우는 장면을 수놓았다. 또 다른 문양으로는 페르시아계의 대칭문양(對稱文樣)을 찾아볼 수 있다. 역시 6호분에서 출토된 으로 된 원형식판에는 중앙에 야크를 놓고 좌우에 나무[26]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끝으로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대 예술품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기하학 문양도 일부 유물에서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6호분에서 출토된 호피(虎皮) 문양의 카펫인데, 여기에는 방형, 피라미드형, 冂자형, 工자형 등 9가지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수놓았다. 이런 직물 유물들은 흉노에서 생산된 것만 있는 게 아니고, 중국이나 서역의 박트리아로부터 수입된 것들도 있다.[27]

흉노와 관련된 자료는 생각보다 많지만 국내에 그렇게 넓게 알려지지 않은 편이고, 흉노 유물들의 여러 요소들이 꽤 동북지역,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친 것에 대해서 간과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 흉노족 신라왕족설>과 같은 게 있기는 하지만 그렇게 직접적인 것은 아니고 모티브적인 차원에서의 영향을 생각보다 많이 받았다. 일단 흉노 자체가 고조선과 동맹이었다는 기록이 있다.[28]

특히 흉노는 한나라와 더불어 기승용 마구(馬具)를 보편적으로 사용했었으며 이로 인해서 기원전 1세기~기원후 3세기경의 동북아시아는 크게 중원계 마구와 흉노계 마구로 나뉘기도 한다.

대표적인 유적들은 대부분 고분 자료들이며 도르릭 나르스, 보르한 톨고이, 골모드, 노용올, 모린 톨고이 등이 유명한 고분이다. 이 가운데서 도르릭 나르스와 모린 톨고이 고분군은 국립중앙박물관이 공동 발굴한 유적이다.

동물문 장식이 많은 만큼 실제로 무덤에서도 동물과 관련된 유물들이 많은 편이다. 한국에서야 통상 일부 유물에서만 골각기가 확인되지만 흉노는 활부터 시작하여 화살촉이나 각종 장식 등으로 활용한 다양한 골각기를 사용했다. 뿐만 아니라 아예 무덤의 시신 안치 공간의 머리맡에 동물의 두개골을 고스란히 묻기도 하는 등 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유목민족'스러운 부장품을 매납했다.
파일:external/depts.washington.edu/fig_35.jpg
중국 내몽골 자치구 내 전시된 흉노의 유물
파일:external/static.newworldencyclopedia.org/Xiongnu_belt_buckle.jpg
흉노의 벨트 버클[29]
파일:보르한 톨고이 흉노 동복.jpg 파일:유수 노하심 부여 동복.jpg
보르한 톨고이 출토 동복 유수 노하심 출토 동복
▲흉노의 유적에서 출토된 동복과 부여 유적에서 출토된 동복
파일:SSI_20190909111435.jpg
투바 공화국 알라타이 저수지에서 발견된 벨트 버클 #

마치 현대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연상시키는 단촐한 디자인의 유물도 있다.

8. 인종

흉노의 발원지가 몽골고원인 만큼 초창기 흉노족의 절대다수는 현대의 몽골인과 비슷한 몽골로이드로 이루어져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다만, 흉노가 서쪽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제국에 코카시안계 인종이 일부 유입됐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원시 튀르크인도 원래는 몽골로이드였지만[30][31][32], 서쪽으로 진출한 집단이 혼혈되면서 현대의 튀르크인들이 형성된 것인 만큼 흉노도 초기에는 동북아 인종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후기로 갈수록 흉노의 서쪽 세력권에는 코카시안계 인종 혹은 그들과의 혼혈이 유의미하게 많아졌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 등지에는 마치 흉노가 처음부터 코카시안계 백인들로 이루어진 유목제국이었다는 식의 잘못된 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는 고고학적, 고인류학적으로 전혀 근거도 없을 뿐더러 애초에 불가능하다. 만약 정말 당시 몽골고원에 백인이 그만큼 많았다면 현대 몽골인과 백인의 유전적 거리가 그만큼 멀 수도 없을 뿐더러 내몽골과 만주에 존재했던 고대 유목민족의 유전자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어야 했는데, 전혀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몽골 북부에 위치하는 흉노 유적지인 노인울라 고분(Noin-Ula burial site)에서 발견된 카펫 자수화들을 근거로 흉노가 사실 백인과 비슷하게 생긴 집단이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노인울라 고분에서 발견된 카펫은 흉노가 만든 게 아니라 박트리아로부터 수입한 것이다.[33] 당연히 자수화로 묘사된 인물들도 흉노가 아니고, 페르시아화된 월지 혹은 그리스-박트리아인들이다. 당시 흉노에서 박트리아산 카펫은 사치스러운 명품으로 여겨졌다고 한다. #

일부 고분에서는 인도-유럽계 같기도 하고 몽골계 같기도 한 유골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유골이 정확히 어떤 계열인지는 학자마다 의견이 갈린다. 심지어 동양적인 형질을 띈 장두 인종 튀르크계가 그런 식으로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다만, 두형을 이용해 인종을 구분하는 것이 현재 학계에서는 시대착오적 내지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이 있는 데다가 흉노는 편두 풍습이 있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두개골을 변형했으므로 더욱 오리무중이다. 게다가 두개골 측정은 같은 인종이라도 시대와 개인차가 심하다는 한계가 있어서 불안정한 결과를 보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점도 있다. 이 때문에 튀르키예 몽골은 흉노의 역사를 놓고 여전히 줄다리기 중이지만[34] 자료가 거의 남지 않은 현재로선 그저 미궁일 뿐이다.

만약 흉노와 선비족을 강하게 연관 짓는다면 흉노의 주류 인종이 무엇이었느냐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로 북주 무제 우문옹의 DNA 분석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우문옹은 6세기 인물이지만, 혈통의 약 2/3가 선비족이었다. 그리고 그의 선비족 유전자는 현대의 몽골인 및 다우르족과 매우 유사했다. 2024년에는 우문옹의 DNA를 분석하여 그의 얼굴을 복원했는데, 전형적인 동북아시아인이었다. 이는 무제의 얼굴이 서구적이었을 거라고 추측했던 일부 학자들의 주장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결과였다. 물론 흉노와 선비족은 다르다고 보거나, 흉노에는 선비족 말고도 다른 집단이 공존했다고 주장한다면 반박의 여지는 존재한다.
파일:무제 복원.png
DNA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북주 3대 황제 무제 우문옹의 얼굴. 중국 황제의 유골을 생물학적으로 분석하여 만든 최초의 복원도이며 2024년에 발표되어 전세계 학계에 큰 이슈가 되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각국의 인류학자들도 매우 설득력이 있고 사실에 가까운 복원도라고 평가했다. 복원된 황제의 얼굴은 전형적인 동북아시아인이었으며, DNA 분석 결과 혈통의 약 2/3가 현대 몽골인 다우르족과 매우 유사했으며, 약 1/3은 북부 한족과 유사했다고 한다. 이 분석 결과에서 중요한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하나는 고대 선비족이 현대의 몽골인과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했으며 외모도 그만큼 비슷했다는 것이고, 하나는 선비족이 중국을 지배하는 과정에서 한족과 통혼했다는 것이다. # #

8.1. 다인종 혼혈 체제?

절충론 비슷하게 (오늘날 북미권마냥) 북아시아-중앙아시아의 다양한 유목민족의 집단 연합체가 흉노였다는 말도 나온다. 사마천은 <흉노 열전>에서 묵특 선우에 의한 건국 초기의 일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는데, 그 특징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십진법 군사, 정치, 사회 조직을 관통하고 있다.
  2. 남쪽으로 좌, 중, 우로 된 3대 분할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군주를 중앙에 둔 좌·우 양익체제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3. 영민과 분지를 가진 만기 24명이 모인 연합 권력체이다. 여기에 보충 설명을 가하고 있는 이성의 비소왕들이 인솔하는 제족 집단을 포함하여 흉노 국가는 다원, 다종족의 국가였다고 추측된다.

흉노를 민족명이면서 국가명으로 보면 설명 가능하다. 즉, 흉노란 유목민족의 여러 집단 중에서도 지배민족의 명칭이고[35], 이것이 동시에 흉노가 이끌던 국가의 이름으로도 쓰였다고 추측된다. 흉노족 자신들이 이끌던 국가명에 자신의 종족명을 붙임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그리고 이런 성향은 흉노 이후의 유목민족들도 중국으로 침투하여 한화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대로 답습했다. 후대의 유연, 돌궐, 위구르 등도 모두 이런 케이스에 해당한다. 이런 사례는 유럽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일시 서유럽을 통일한 프랑크 왕국 프랑크족이 건설했지만 실제론 프랑크족이 주류 민족이 아니라 지배층만을 이루었고, 다수 피지배층은 다른 게르만족이나 갈리아인 그라고 로마인들이었다.

그리고 흉노 국가 자체는 멸망했어도 흉노란 민족 자체는 살아남아 5호 16국시대에 다시 자신들만의 국가를 만든 것으로 보면 된다. 다만 이 당시의 흉노족은 많이 한화가 되었거니와 건국한 곳이 중국 땅이어서 한, 조, 하 같은 중국식 왕조명을 썼던 것이다.

흉노를 국가명과 민족명으로 구별하면 흉노족이 선비족 등의 다른 민족들과 세력다툼을 벌인 것이나 민족 단위로 분쟁이 끊이지 않은 오호십육국시대 혁련발발이 ' 북하' 같은 흉노족 국가를 세운 것 등을 설명하기 쉽다.

물론 확실한 자료가 남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것은 추측이지만, 다른 유목민족의 예를 보아도 흉노를 단일민족으로 보기는 힘들며, 여러 유목민족의 집단 연합체일 가능성이 제일 높다.

중앙대학교 연구진이 몽골 도르릭 나르스(Duurlig Nars)의 흉노 고분에서 출토한 고인골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흉노의 귀족층으로 보이는 60대 중반 남성 인골의 하플로그룹은 서유라시아 계통인 Y-DNA R1a1과 mtDNA U2e1이라고 한다.

2018년 5월 《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다섯 구의 흉노인 유골의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추출된 4개의 Y-DNA 하플로그룹은 R1, R1b, O3a 및 O3a3b2이며, 추출된 5개의 mtDNA는 D4b2b4, N9a2a, G3a3, D4a6, D4b2b2라고 한다. 이를 통해 흉노는 서유라시아계와 동아시아/시베리아계 혈통이 섞였고, 이웃한 오손, 강거, 샤카보다 동아시아계 혈통이 더 많이 섞였음을 알 수 있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집단유전학 교수인 정충원 교수가 발표한 2020년 12월 논문에 따르면 동부 유라시아 스텝의 신석기 후기부터 몽골 제국이 탄생한 13세기까지의 고인골을 분석하면서 얻어낸 데이터를 토대로 유전적 변화도를 구성했는데 이에 따르면 고대 동아시아인과 고대 시베리아인, 그리고 유라시아 스텝 서쪽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 스키타이 사르마티아인의 형질을 가진 사람이 혼혈 내지 공존했다고 한다.

원래 철기 시대 말엽까지만 해도 이들이 유전적으로 관계가 없었는데 갑자기 대략 2,000년 전을 기점으로 섞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는 흉노 제국의 탄생과 맞아떨어진다. 그리고 특히 몽골 고원 일대의 흉노인 유골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종합하면 Y-DNA 하플로그룹은 C2, E1b1b, J1, J1a, J2, N, N1c, O2, Q1a, R1a, R1b이며, mtDNA 하플로그룹은 B, C, D, F, G, H, HV, I, J, K, M, N9, T, U, X라고 한다. 즉 동아시아인과 시베리아인과 서유라시아인에게 나오는 집단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이 결과는 정충원 교수의 논문에 기록된 결과이며, 실제로 다른 학자들이 연구한 논문에 나와 있는 흉노 사람의 하플로그룹은 여기에 열거된 것보다 훨씬 다양하다.

정 교수는
몽골 고비사막 동남쪽에는 판석묘를 쓰는 고대 동아시아인 인류집단이, 북서쪽 바이칼호 부근에는 판석묘를 쓰는 고대 동아시아인과 그보다 훨씬 이전에 유라시아 북부에 살던 고대 북유라시아인 유전자가 섞인 인류집단이, 마지막으로 몽골 서쪽 알타이산맥 부근에는 유럽에서 스텝을 거쳐 온 전차를 사용하는 인류집단인 아파나시예보 문화인이 각각 살고 있었다.”
“1000년간 마치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았는데 이 시기에 갑자기 섞였다는 사실이 게놈 분석 결과로 처음 확인됐다”
고 말했다. 원래 기존 역사학계에서는 이 시기에 스텝을 통해 들어온 백인 집단이 카자흐스탄까지 들어와 있을 정도로 융성해 몽골 역시 비슷한 인류가 들어와 있는 단순한 구성을 예상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과거의 예상이 틀린 이론이며, 생각보다 동아시아 인류의 역사가 복잡하고 역동적이라는 사실이 처음으로 드러났다.

이 시기는 공교롭게도 최초의 스텝(초원) 제국인 흉노 제국이 형성된 시기(약 2,200년 전)와 일치한다. 정 교수는
“동쪽 지역에서 서쪽 지역(유럽) 인류의 유전적 특성을 지닌 사람이 발견되는 등 섞임 현상이 두드러졌다.”
라며
“이에 따라 흉노는 매우 다양한 유전적 특징을 지니게 됐음을 알게 됐다.”
고 말했다. 마치 오늘날의 미국처럼 유전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뒤섞여 살았던 것이다. 이런 갑작스러운 변화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정 교수는
“기마술의 보급에 따른 기동성의 증가나 기후변화 등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은 가설이며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라고 말했다.

이때 형성된 인류는 지금의 동아시아인과는 많이 다르다. 300년 뒤 흉노가 멸망한 뒤에도 유전적 특징은 계속 변했다. 몽골 고원 지대의 유목민들은 기회가 되는데로 인구 부양력이 더 높은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서진하거나 혹은 중국으로 남하했고, 시베리아 일대의 원주민들이 남하하거나 혹은 만주 일대의 유목민들이 서진하여 그 빈 자리를 채우는 상황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고대 흉노인들의 유골을 조사해보면 코카소이드 인종 혼혈 유전자가 오늘날 몽골인에 비해 훨씬 더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도 이러한 연유이다. 흉노가 멸망한 이후 유연 돌궐이 서진하고[36] 같은 시기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온 사르마티아인이 나타나면서 이들 사이에 서로 밀접한 교류가 일어났다. 서기 6~7세기 무렵이 되면 위구르 제국의 흥망성쇠를 거치면서 위구르 키르기스가 차례로 몽골 고원 일대로 남하하는데, 이들 역시 서쪽 중앙아시아 방향으로 이주하고, 그 빈 자리는 북방에서 내려온 다른 민족들이 차지하게 되었다.

현대 동아시아인과 비슷한 유전적 특성이 형성된 것은 지금부터 약 800년 전인 13세기 초에 이 지역에 몽골 제국이 세워진 이후였다. 다시 동쪽 유라시아인 유전자가 많이 섞여들면서 서유라시아인의 유전자 비중은 줄었고, 그 결과 비로소 현재의 몽골인과 유전적 특성이 비슷한 인류가 나타났다. 몽골 지역은 5,000년에 걸쳐 낙농업이 유행했고 지금도 다량의 유제품을 섭취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낙농업 지역과 달리 이 지역에 살던 사람들에게선 유당(락토스)을 분해하는 유전자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장내미생물 등에 의한 다른 적응을 통해 유제품 소화가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에 사는 인류집단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다만 6천 년간 동아시아 내륙에 살던 인류의 복잡한 이동과 만남을 세세하게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후기 청동기시대 이전과 흉노 이후 거란과 여진 등 중세시대 후기의 유골 시료를 더 확보해 추가연구를 할 것이다.”
라고 말했다.

이 결과를 요약해 보면 흉노인들은 동아시아인/시베리아인과 스키타이 및 사르마티아인, 그리고 그 이전에 존재했던 아파나시예보 문화, 안드로노보 문화, 파지릭 문화 등의 유라시아 대초원에 살던 고대인의 후예로 이루어진 유목부족들이 각자 따로 존재했다가 철기시대 말에 비로소 혼혈이 이루어져 유전적으로 연결고리를 갖추었던 유라시안임을 보여준다.

이를 미루어 보면 중국의 사서에서 흉노인에 대한 외모를 묘사한 항목에 동아시아인 같은 외모에서부터 금발벽안[37] 내지 적발녹안[38] 같은 유럽인을 방불케 하는 외모를 가진 사람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느냐는 의문이 어느 정도 풀리는 셈이다. 튀르크 항목에도 있듯 현대 튀르크 제족들도 다양한 인종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이런 인식은 현대 헝가리인들도 하는 모양인지, 넷상에 헝가리인 친구가 있다고 주장하는 글들을 보면 헝가리인들은 자신들의 선조를 흉노족, 훈족이라고 교육받는다고 한다.[39] '헝가리(Hungary)'라는 국명의 뜻도 '흉노족(훈족)의 나라'라고.. 게다가 이들은 몽골제국의 칭기스칸, 티무르나 오스만튀르크제국의 쉴레이만 1세도 자신들의 선조 중 일부로 여긴다고 하는데, 헝가리판 환빠인지는 모르겠다만 어쨌든 이게 사실이라면, 현재까지도 상당수 유라시아 유목민족 후예 국가들은 몽골족, 튀르크족 가리지 않고 죄다 흉노족의 후예랍시고 싸잡아 자신들의 선조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맞다면 다인종 국가 개념이 아직까지도 이어져내려오는 셈이다.

8.2. 흉노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의 이질성

2024년 연구에서 분석된 몽골 동부의 흉노 유적 고인골들은 완전히 동북아시아에서만 유래한 게놈들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 이를 통해 흉노는 초창기에는 유전적으로 균일함을 보이다가 서쪽으로 세력을 넓히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인종이 이질적으로 변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사실 흉노의 발원지였던 몽골 동부에서 발견되는 흉노 이전 시기의 고인골만 보더라도 짐작할 수 있던 것이었다.

게놈 연구에 따르면 흉노의 지배층은 동북아시아 혈통이 지배적이었고 유전적 다양성이 적었으며, 흉노의 피지배층은 동북아시아 혈통과 서유라시아 혈통이 뒤섞여 유전적으로 다양했다. 실제로 고대 흉노의 선우 중 한 명을 게놈 분석한 결과 DNA의 91.2%가 동북아시아 계통이었다. #

이는 마치 후대의 몽골제국이 서쪽으로 세력을 넓히며 아랍인, 페르시아인, 러시아인 등을 피지배층으로 편입시킨 것과 비슷하다. 다만, 몽골제국은 계급을 가리지 않고 흉노에 비해 타인종과 통혼을 덜한 것으로 보이는데, 몽골제국 시절의 중세 몽골인들은 전체적으로 동북아시아 혈통이 흉노보다 훨씬 더 두드러졌고 현대의 몽골인과 사실상 똑같았기 때문이다. 이는 몽골제국이 철저하게 몽골인과 색목인을 인종 계급으로 나눠 구분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

9. 흉노- 훈족 동계론

로마 제국의 동쪽에서 등장해 서유럽을 휩쓸었던 아틸라 훈족(Hun族)을 이 흉노와 같은 종족으로 보는 시각이 옛날부터 꾸준히 있었다.

흉노의 흉(匈)은 (Hun)[40] 중국어 음차로 부른 명칭이라는 설도 있고, 훈족은 남흉노-후한 연합군과의 세력 다툼에서 밀린 북흉노가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에게 동화되면서 그 집단이 유럽으로 일직선으로 전진한 거라고 추정하는 설도 있지만 이건 가설의 단계이다.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증명되지 않았다.

고대 중국 국가들은 한자를 사용하지 않는 나라들을 오랑캐로 여겨 종 노(奴)를 붙였다. 흉노만 해도 호랑캐 흉(匈)에 종 노(奴)로 만들어진 단어다. 왜나라도 처음에는 한자를 쓰지 않는 미개한 나라여서 왜노라 불렀다. 흉노, 왜노 등 있다. 훈족을 오랑캐로여겼을 것이고, 마침 훈=오랑캐흉으로 음차가 되니 만들어진게 아닐까 추정된다.

오늘날에는 적어도 훈과 흉노는 동일한 어휘이고, 몽골 고원 일대에서 기원한 인적 집단이 서방으로 확산되었다는 설이 많은 지지를 받는다. 보면 문헌학적으로는 교차검증이 되는 자료들이 상당히 많음에도, 유목민족이라 그런지 고고학적으로는 뚜렷한 증거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즉, 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는 셈.
우선, 양자의 이름이 동일하다는 것은 입증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313년, 소그드 상인은 간수 회랑에서 사마르칸트로 보내는 편지에서, 중국의 남흉노 집단을 훈(Xwn)이라 부르고 있으며, 이 이름은 유럽의 훈(Hun)과 관련이 있다. 이것이 흉노(ʿχiʷongʿnuo)와 연관이 있을까? 이 연관성에 대해 중국어 음운학자들은 큰 반론을 제기하지 않았고, 흉노가 중앙아시아에 출연한 이후 언제나 이와 같이 불렸기에 다른 기원이 있으리라 생각하기는 어렵다. 고대 소그드의 편지 이외에도, 둔황의 월지인인 축법호(Dharmarakṣa)는 280년에 《점비일체지덕경》(漸備一切智德經, Tathāgataguhya-sūtra)을 산스크리트어에서 중국어로 번역하며, 흉노를 후나(Hūṇa)로 옮겼으며(산스크리트어 판본은 현존하지 않으나, 티베트어 번역에서도 마찬가지로 Hu-na라 적혀 있다.), 308년에 번역한 《보요경》(普曜經, Lalitavistara)에서도 똑같이 옮겼다(산스크리트어 판본이 현존하고 있다).
Étienne de la Vaissière, “Xiongnu,”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2006, available at http://www.iranicaonline.org/articles/xiongnu (accessed on November 15, 2006).

2018년, 에스케 빌러슬레프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 지리유전학센터 교수팀이 약 4500~1500년 전 사이의 중기 구석기~신석기시대 인류 137명의 유골로부터 게놈을 추출, 해독해 《네이처》에 발표했는데, 이 연구만 보자면 일단 훈족과 흉노족이 적어도 유전적으론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참고로 기사엔 흉노족이 중국이라고 되어 있는데, 당연히 중국, 특히 한족계와 혈연적 연관성은 떨어진다. 그냥 유럽 훈족마냥 그 지역에서 인상적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붙인 이름인 듯하다. 물론 애초부터 '흉노'라는 말 자체가 여러 유목민족들의 연합체 성격이 강하긴 하지만.

10. 대외관계

10.1. 중국과의 관계

산해경》에 따르면 흉노는 하나라의 마지막 왕인 이계의 자손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 게다가 《산해경》이라는 책 자체가 판타지 소설에 가까워서 신뢰할 수 있는 내용이 못된다. 전한 무제때의 사마천은 《산해경》에 대해 '감히 말할 수 없는 기서'라면서 판단을 유보했지만, 정작 그런 사마천도 《 사기》에서 흉노의 선조는 하후씨(夏后氏)의 후예(苗裔)라고 적어놓았다. 이는 상술한 바처럼 중국 중심의 역사관에서 비롯된 갖다붙이기라는 견해가 강하다.[41] 한국 김병준 교수는 특이한 설을 제시했는데, 흉노가 원래는 중국에 살던 민족 중 하나였으나 점차 북방으로 이주하면서 정주문화를 버리고 유목문화로 갈아탔고, 《사기》의 기록은 그런 정황을 신화적으로 풀어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21년에 벨기에 인류학자이자 고고학자 마르티너 로베이츠가 이끄는 다국적 연구팀의 조사에 의하면, 흉노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몽골계 민족 튀르크계 민족들은 오늘날의 중국 랴오닝성에서 기장 농사를 짓던 고대 정주농경민의 후손들이라고 하므로, 사기의 기록은 이런 역사를 서술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중국사에 흉노가 등장하는 최초의 기록인 《설원》(說苑)에 따르면 기원전 312년 누번의 영토에 거주하는 흉노가 급습해왔다는 기록이 있는데, 다만 이 정보의 신빙성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리고 그 뒤로는 전국칠웅 중에서도 북방의 조(趙)나라를 꾸준히 괴롭히다가, 그만 이목의 기만책에 낚여서 처절하게 발려버린 기록이 있다. 이때 자그마치 10만 명이 죽고[42] 선우만 목숨을 건져 달아났다고 하니, 이목도 이목이지만 10만 명이나 모여있었던 흉노도 대단하다. 물론 중국 사서의 특성상 주최 측 추산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43] 어쨌든 이 한 판으로 흉노의 조직은 거진 와해되었다.

하지만 그러고도 남은 무리들이 서쪽 오르도스 지방[44]에 모여 살면서 진(秦)나라의 우환이 되었는데,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의 명령을 받은 몽염이 30만 대군을 이끌고 흉노를 공격해 밀어내고, 그것으로도 모자라 아예 황하 밖으로 오르도스를 빙 둘러서 만리장성을 쌓아버렸다. 오르도스 확보와 만리장성 축조는 수많은 인명을 희생시키고 자원을 소모하여 결국 진나라의 멸망으로 이어졌지만, 흉노의 약화라는 목적만은 달성할 수 있었다.

시황제 아래에선 찍소리도 못하고 지내던 흉노였지만 진말의 농민봉기에 이은 초한전쟁으로 중국의 국력이 약해지면서 다시 남하하기 시작했다. 이것을 이룬 것이 바로 그 유명한 묵돌 선우였다. 본격적으로 활약하기 시작한 건 유방 전한을 세우고 나서부터이다.

한고제 유방은 기세 좋게 토벌에 나섰지만 백등산 포위전에서 패배했다. 흉노는 유방의 조심성을 역으로 이용하여 한나라의 보병을 유인한 뒤 기병 포위전략을 써서 유방을 떡발랐다. 이때 진평의 계략으로 유방은 겨우 풀려났지만 결국 패배는 패배였다. 이후 전한은 한나라 여인을 선우의 아내로 바치고, 그 외 각종 물자와 인력을 보낸다는 조건으로 흉노와 굴욕적인 화약을 맺게 되었다. 먼 훗날의 북송 거란족 요나라 와 형제의 맹약을 맺을 때 송나라 때와 비슷하다.

나중엔 여후에게 묵돌 선우
그대가 과부가 되었다고 들었소. 나도 외로우니 우리 서로 부족한 것을 결합해 나와 혼인하는 게 어떻겠소
같은 식의 무례한 편지를 보내도 진나라 말기부터의 전쟁과 항우가 벌인 수많은 학살 때문에 인구 수든 생산량이든 뚝 떨어져서 장수들도 말이 없어 소를 타고 다니는 상황이었기에 토벌을 할 수 없었다.[45]

흉노는 그 뒤로 평소엔 평화유지비를 받아먹고, 먹을 거 떨어지면 한나라의 국경을 두들겨대다가 복수의 칼날을 갈던 한무제 유철에게 된통 걸려서 너 죽고 나 죽자로 싸우게 되었는데, 수십 년간 지든 이기든 10만 명 이상씩 계속 초원으로 원정군을 보내는 한나라의 쇼미더머니 소모전에 밀려 결국 선우정이 막북으로 쫓겨가게 되었다. 그래도 세력은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었기에 마지막 한나라의 총공세를 기적적으로 막아내 민족 자체는 지켜낼 수 있었지만 세력은 쪼개지고 황하 상류 서쪽의 4군(무위·장액· 주천· 돈황)을 잃으면서 서역과 실크로드 무역로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해 경제적으로 궁핍해졌다.

이후 한나라를 약탈하는 게 잘 되지 않으니 대신 서쪽의 오손을 공격했다가 한선제가 오손과 손을 잡고 한무제 사후 오랜만에 200,000명의 대군으로 쳐들어오니, 흉노는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달아나다가 수만 명씩 죽어나가는 참혹한 시절을 보내게 되었다. 나중에는 흉노가 이 꼬라지가 된 걸 본 오손, 오환, 정령 등 흉노에게 복속되어 있었던 민족들이 전부 들고 일어났다. 이때 흉노는 진압하지 못하고 그들에게까지 거꾸로 두들겨맞는 동네북이 되었고, 자연재해까지 겹쳐 한나라가 흉노에 기병을 보내 흉노인을 약탈하는(!)주체와 객체가 바뀐 것 같다면 착각이다 일까지 벌어졌다.

적어도 두만 선우 때부터 흉노는 장자 세습의 원칙을 이어갔으나, 한무제와의 대전 중에 군신 선우가 죽자 급했는지 병약한 장자 어단 대신 군신 선우의 동생인 이지사를 선우로 세웠고, 이후 이지사의 후손들이 일찍 죽어나가 장자 세습의 원칙을 더이상 견지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선우위를 놓고 내부에서 궁정 암투가 극심해지며 선우의 정통성도 점차 결여되었고, 결국 한무제의 손자인 한선제 때에 이르자 후계 구도가 막장으로 치달아 한때는 선우를 일컫는 자가 다섯 명이나 되는 혼란에 빠져들었다. 그중 호한야가 겨우 대충 아우르나 싶더니 그전까지는 조용하던 형 질지가 갑자기 들고 일어나서 호한야를 두들겨 내쫓았다.

궁지에 몰린 호한야는 한나라에게 칭신하게 되었고, 질지 역시 한나라와 잘 지내려고 했지만 서로 대등한 관계를 원했기 때문에 한나라는 호한야의 편을 들었다. 고립된 질지는 서쪽으로 활로를 찾으니 호한야의 세력은 동흉노, 질지의 세력은 서흉노가 되었다. 서흉노는 강거로 가서 서역의 패권을 잡으려고 시도했지만 한군의 토벌로 멸망했다. 그 잔존세력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부재하다.

후한대에 이르러서 다시 선우위 계승 문제로 남흉노와 북흉노로 갈라졌다. 북흉노는 그후 여러 번 국경을 침범하다가 후한의 명제~ 화제 반초의 서역 정벌과 화제 때 두헌(竇憲)의 북방 정벌 이후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으며, 반초의 아들 반용(班勇)의 서역 정벌 때 다시 털린 후, 151년 이오(伊吾)를 공격하다가 실패한 것을 마지막으로 신장 일대에서 완전히 그 세력을 잃었다. 그 후 4세기에 엄채국[46]을 함락했다는 기록만이 남아 있다.[47]

이후 후한은 남흉노에 대한 회유정책을 펴 남흉노는 사실상 후한에게 복속된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후한이 남흉노인들을 관내로 집단 이주시켜 군사적 용병으로 써먹게 된다. 이때까지만 해도 흉노의 명목상 선우 직위는 계속 유지되어왔는데 건안 16년(216) 조조가 흉노 부락을 좌, 우, 남, 북, 중의 5부로 분할하고, 각 부 중에서 (帥)를 선발해 통솔시키며 수 아래 한인의 사마(司馬)를 두어 감시하고, 5부 전체는 사흉노중랑장[48]이 감시하게 했다. 중랑장은 태원(太原)에 주둔했는데 병주자사(幷州刺史)를 겸했고, 남선우는 아무런 실권도 없었으므로 흉노 전체가 노예 상태가 되었다.

그럼에도 이후 흉노인들은 점차 한인과 뒤섞여 살면서 농업에 종사하게 되었는데, 특히, 5부의 귀족들과 그 자제들은 중원에서 유교 경전과 사서로 학식을 쌓으며 한화漢 되었다. 특히 분수 일대에 들어온 흉노 부족 중 도각부는 한고조 시절부터 흉노로 공주들을 시집보냈기에 유劉를 성으로 삼았다. 5호16국 시대 한漢 나라를 세운 유연이 바로 도각부 출신이다.

삼국시대에는 조위- 서진의 지배를 받았는데 흉노는 정치적으로 자립성을 상실했을 뿐 아니라, 경제 생활에서도 하층민으로 전락하여 한인들의 멸시를 받았다.

이후 흉노가 다시 흥기한 것은 서진의 팔왕의 난 영가의 난으로 인한 혼란 때문으로 결국 서진을 멸망시키기에 이르렀으며 5호 16국시대에 한(漢)[49], 전조(前趙), 북량(北凉), 북하(北夏)[50] 등의 국가를 세웠다. 이후 탁발 선비족이 중심이 된 북위가 흉노계 호한체제 국가들을 멸망시키면서 흉노의 명맥은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 독고부 등 몇몇 후세 인물들이 흉노의 후손이라는 기록만이 남았을 뿐이다.

관롱집단의 대명사로 유명한 수문제 양견의 부인인 문헌황후 독고씨가 흉노의 후예였다.

10.2. 한민족 국가와의 관계( 흉노족 신라왕족설)

좌현왕 이하의 장군들은 예맥 고조선과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고 한다. 고조선 왕이 내린 작호 중 하나인 '비왕'(裨王)은 흉노족의 '비소왕'(裨小王)에서 따온 말로 추정된다. 아마도 고조선이 흉노와 연계하여 전한에 대항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BC 108년 고조선이 멸망할 때 흉노의 왼쪽 팔을 잘라냈다고 기록된 것에서 고조선과 흉노의 관계를 알아 볼 수 있다.[51]

이후 흉노의 주류 민족이 남하하고 북방의 힘이 공백 상태로 접어들었을 때 최악의 두 적수였던 중국과 북방 유목민족이 싸우느라 바쁜 동안 광개토대왕, 장수왕의 정복전쟁이 이루어졌다. 이후 고구려는 몽골에서 흉노가 빠져나간 뒤 남은 족속이 세운 유연 제국 지두우 등 소국을 분할해 뜯어가며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신라 마립간 시대의 무덤 돌무지덧널무덤이 흉노 지역의 쿠르간 무덤과 형태가 유사해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원래 무덤양식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52] 근원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해석이 있었다.

또 이와 별도로 신라 중대 이후 몇몇 신라인들이 묘비에 자신을 전한 무제때의 흉노 귀화인인 김일제의 후손이라고 자칭하기도 했다는데, 이를 입증할 만한 확실한 근거는 없다. 유래는 < 흉노족 신라왕족설>인데, 신라인들이 스스로를 흉노 출신 김일제의 후손이라고 생각한 것은 사실이나,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의 신라의 유래는 이와는 다르며, 또한 흉노와 연관되어 있다는 고고학적인 확실한 증거는 나오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정해진 학설이 없는 만큼 섣불리 신라 = 흉노 타령을 해서는 안될 것이다.[5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흉노족 신라왕족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3. 기타 국가와의 관계

서역 국가들을 여러 차례 위협하면서 부세를 여러 번 거두기도 했으며, 서역 국가들의 싸움에 개입하기도 했다. 심지어 국왕을 죽이고 옹립할 정도였다. 이때문에 당시 서역 국가들이 한나라와 흉노 사이에서 줄타기를 했다.

11. 역대 탱리고도선우

흉노의 군주인 탱리고도선우 성씨는 '연제'(攣鞮), '난제'(欒提), '허련제'(虛連題) 등으로 쓰이는데, 다들 음이 비슷해 어떤 흉노어를 한자로 음차한 것으로 추정된다.

11.1. 흉노

대수 칭호 재위기간
0대 선우(單于)[54] ? ? ~ ?
.
.
.
1대 두만(頭曼) 두만(頭曼) 기원전 ???년 ~ 기원전 209년
2대 묵돌(冒頓) 묵돌 / 모돈 / 묵특(冒頓) 기원전 209년 ~ 기원전 174년
3대 노상(老上) 계육(稽粥) 기원전 174년 ~ 기원전 161년
4대 군신(軍臣) 군신(軍臣) 기원전 161년 ~ 기원전 126년
5대 이치사(伊稚斜) 이치사(伊稚斜) 기원전 126년 ~ 기원전 114년
6대 오유(烏維) 오유(烏維) 기원전 114년 ~ 기원전 105년
7대 오사려(烏師廬) 오사려(烏師廬), 첨사려(詹師廬), 아(兒) 기원전 105년 ~ 기원전 102년
8대 구려호(呴犁湖) 구려호(呴犁湖) 기원전 102년 ~ 기원전 101년
9대 저제후(且鞮侯) 저제후(且鞮侯) 기원전 101년 ~ 기원전 96년
10대 호록고(狐鹿姑) 호록고(狐鹿姑) 기원전 96년 ~ 기원전 85년
11대 호연제(壺衍鞮) 호연제(壺衍鞮) 기원전 85년 ~ 기원전 68년
12대 허려권거(虛閭權渠) 허려권거(虛閭權渠) 기원전 68년 ~ 기원전 60년
13대 악연구제(握衍朐鞮) 도기당(屠耆堂) 기원전 60년 ~ 기원전 58년

11.2. 동흉노

대수 칭호 재위기간
1대 호한야(呼韓邪) 계후산(稽侯狦) 기원전 58년 ~ 기원전 31년
2대 복주루약제(復株累若鞮) 조도막고(雕陶莫皋)) 기원전 31년 ~ 기원전 20년
3대 수해약제(搜諧若鞮) 저미서(且麋胥) 기원전 20년 ~ 기원전 12년
4대 거아약제(車牙若鞮) 저막거(且莫車) 기원전 12년 ~ 기원전 8년
5대 오주류약제(烏珠留若鞮) 낭지아사(曩知牙斯) 기원전 8년 ~ 13년
6대 오루약제(烏累若鞮) 함(咸) 13년 ~ 18년
7대 호도이시도고약제(呼都而尸道皋若鞮) 여(輿) 18년 ~ 46년
8대 오달제후(烏達提侯) 오달제후(烏達提侯) 46년

11.3. 서흉노

대수 칭호 재위기간
1대 질지(郅支) 호도오사(呼屠吾斯) 기원전 56년 ~ 기원전 36년

11.4. 북흉노

대수 칭호 재위기간
1대 포노(蒲奴) 포노(蒲奴) 46년 ~ ?
2대 우유(優留) 우유(優留) ? ~ 87년

11.5. 남흉노

대수 칭호 재위기간
1대 혜락시축제(醢落尸逐鞮) 난제비(欒提比) 48년 ~ 56년
2대 구부우제(丘浮尤鞮) 난제막(欒提莫) 56년 ~ 57년
3대 이벌어려제(伊伐於慮鞮) 난제한(欒提汗) 57년 ~ 59년
4대 혜동시축후제(䤈僮尸逐侯鞮) 난제적(欒提適) 59년 ~ 63년
5대 구제차림제(丘除車林鞮) 난제소(欒提蘇) 63년
6대 호야시축후제(胡邪尸逐侯鞮) 난제장(欒提長) 63년 ~ 85년
7대 이도어려제(伊屠於閭鞮) 난제선(欒提宣) 85년 ~ 88년
8대 휴란시축후제(休蘭尸逐侯鞮) 난제둔도하(欒提屯屠何) 88년 ~ 93년
9대 - 난제안국(欒提安國) 93년 ~ 94년
10대 정독시축후제(亭獨尸逐侯鞮) 난제사자(欒提師子) 94년 ~ 98년
11대 만씨시축후제(萬氏尸逐侯提) 난제단(欒提檀) 98년 ~ 124년 / 94년 ~ 111년
12대 오계후시축제(烏稽尸逐侯提) 난제발(欒提拔) 124년 ~ 128년
13대 거특약시축취(去特若尸逐就) 난제휴리(欒提休利) 128년 ~ 140년
- - 차뉴(車紐) 140년 ~ 143년
14대 호란약시축취(呼蘭若尸逐就) 난제두루저(欒提兜樓儲) 143년 ~ 148년
15대 이릉시축취(伊陵尸逐就) 난제차아(欒提車兒) 148년 ~ 172년
16대 도특약시축취(屠特若尸逐就) 난제□(欒提□)[55] 172년 ~ 178년
17대 - 난제호징(欒提呼徵) 178년 ~ 179년
18대 - 난제강거(欒提羌渠) 179년 ~ 188년
- 수복골도후(須卜骨都侯) - 188년 ~ 189년
19대 특지시축후(持至尸逐侯) 난제어부라(欒提於夫羅) 188년 ~ 195년
20대 - 난제호주천(欒提呼廚泉) 195년 ~ 216년
흉노 멸망
- 좌부수(左部帥) 유표(劉豹) -
- 선우 고우위거(高憂位居) [56] -

12. 흉노 소속 인물

12.1. 흉노 분열 이전

★는 한나라 → 흉노, ☆는 흉노 → 한나라로 투항한 인물이다.

12.2. 흉노 분열 시기

12.3. 남흉노 멸망 이후

13. 관련 문서



[1] 몽골 알타이 지역의 고대 흉노 유적인 타킬티인코트고르(Takhiltiin Khotgor)에 있는 'Elite Tomb 64호' 고분에서 발굴된 유물의 문양으로, 태양과 달을 의미한다. 이 문장은 이후 몽골인을 포함한 북아시아 유목민들에게 계승되어 몽골 제국과 현대 몽골 국장의 기원이 되었다. # [2] '사람'을 뜻하는 몽골어 Хүн(훈)과 의미상 일치한다. [3] 상고한어의 주요 현상인 인두 조화가 일어나지 않는 특이한 경우이다. [4] 흉노 고문자의 실존 여부는 학계에서 논쟁 중에 있다. [5] 위서》 <서역전>에 북선우가 세운 열반국(悅般國)이란 나라가 나오는데, 아마 오손의 옛 땅에 세운 북흉노의 나라로 보인다. [6] 역사서에 처음 등장한 것이 이때부터라 실제로는 이전부터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이러나저러나 흉노가 세력을 본격적으로 넓혀 북아시아의 강대한 유목제국으로 성장한 것은 기원전 3세기에서 기원전 2세기로 넘어가는 전한시대 이르러서긴 했다. [7] 선구적인 유목민인 스키타이족과 킴메르족은 부족 단위 정치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기껏해야 전쟁을 위해 일시적으로 묶인 부족동맹 그 이상을 못 갔다. 유목"제국"은커녕 부족연맹의 맹주조차 없었다. [8] 야생마를 최초로 가축화한 것은 기원전 3700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존재했던 현재의 카자흐스탄 북부의 보타이 문화였다. 이때의 원시 인도유럽인은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에서 대확산을 시작한 시기로 아직 우랄산맥을 넘진 못해서, 의외로 보타이 문화와 문화적-혈연적 흔적이 안 보인다. 기원전 3300년 경에 살았던 보타이인의 유골에 대한 유전자검사 결과, 고대 북유라시아인(ANE)과 고대 동아시아인(AEA)의 혼혈 계통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원시 인도유럽인이나 현대 유럽인과 관계가 있는 고대 북유라시아인 성분과는 달리, 타림 분지 토하라인과 비슷하게 원시 인도유럽인의 영향을 받지 않은 고대 북유라시아인 성분에 더 가깝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원시 인도유럽인과 직접 혼혈이 이루어진 것이 아닌, 아메리카 원주민과 원시 인도유럽인의 조상이었던 고대 북유라시아인 집단에서 분화된 자손 중 한 갈래가 고대 동아시아인과 혼혈이 된 것이 보타이 문화인들로 보인다. 이 시기에는 의 근력이 약해서 직접 올라타지는 못하고 마차를 끌거나 짐을 지는 용도로만 이용했다. 그러다가 기원전 2000년경에 원시 인도유럽인의 후계 민족들 중 하나인 인도아리아인이 말의 품종을 직접 올라탈 수 있는 수준으로 개량하면서, 오늘날에 널리 알려진 기마 유목민의 모습이 처음 나왔다. [9] 마사이족 같은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 나일사하라어족 유목민들 중 기마유목 문화를 받아들이지 않은 민족들이 소와 함께 도보로 이동하는 유목 생활을 영위한다. [10] 상나라 한나라는 이 지역에 거주하던 원시 몽골인이나 원시 튀르크인들과 접촉하여 를 포함한 몇몇 가축을 수입해오곤 했는데, 그 근거로 '송아지 독'(犢)자가 고대 몽골어로 소를 가리키는 단어인 'tuɣul'에서 유래했음이 거론된다. [11] 중국 뿐 아니라 타 동아시아 국가에서도 북방인 또는 야만인 하면 흉노를 떠올리는 관념이 어느정도 존재했다. 가령 헤이안 시대 일본의 좌대신이었던 후지와라노 요리나가는 도호쿠 지방의 실권자이자 후지와라씨의 분가 오슈 후지와라씨의 수장인 후지와라노 모토히라와 갈등을 빚은 적이 있는데, 그의 가신이 오슈 후지와라씨를 흉노라고 깠다는 것이 그의 일기인 《다이키》(台記)에 적혀 있다. [12] 《사기》 <흉노 열전>에 의하면 기원전 177년 당시 한나라와 흉노의 서쪽 국경은 현재 섬서성인 상군이었고, 동쪽 국경은 하북성 북부의 상곡이었으며, 흉노의 서쪽은 월지에 접해 있었다. [13] 기원전 1세기 초반의 《 한서》 <흉노전> 기록을 보면 유독 다른 시기보다 겨울이 추워 사람들과 가축이 많이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래서 허려권거선우 시기에는 흉노가 한나라를 침략하려다가 몇 명이 이탈해서 한나라에게 소식을 알리고 항복하는 경우도 있어서 한나라가 이에 대비를 해서 흉노가 끝내 침략을 못했다는 기록들이 적혀 있다. [14] 사족으로, 이게 쿠부치 사막의 직접적인 생성 원인이었다. 가뜩이나 척박한 땅에서 농사와 유목 생활을 병행하다보니, 빠르게 지력이 고갈되어 오늘날 서울의 5배에 달하는 면적의 거대한 사막이 형성되었다. [15] 고구려가 분리되어 나온 모체인 부여 고조선보다도 훨씬 북쪽에서 기원한 국가라서, 고조선의 쇠퇴와 멸망을 틈타서 만주에 정착하기 전까지는 주로 목축업에 많이 의존을 했다. 고구려는 그 부여에서 분리되면서 아예 압록강 인근의 에 정착해 살았으므로, 부여보다도 농업에 훨씬 불리한 환경이었고, 그래서 주변의 옥저 동예, 한사군 지역을 수시로 침탈하면서 국력을 성장시켜왔다. 똑같이 예맥계 부족들이 세운 나라라고해도 고조선은 그나마 농사가 가능한 요서 지역에서 발흥한 탓에 전형적인 농경민으로서의 생활양식을 보여주었지만, 부여와 고구려는 그보다도 더 척박한 환경에서 발흥해서 같은 민족인데도 목축민으로서의 전혀 다른 생활 양식을 보여준 것이다. [16] 조공 항목에서 볼 수 있는 조공의 형식만 빌린 무역이 아니라, 진짜로 삥뜯는 것을 말한다. 병자호란 때 당했던 삼전도의 굴욕을 생각하면 쉽다. [17] 이는 스파르타와도 대조되는데 둘 다 전투민족임에도 불구하고, 스파르타는 노인을 공경했다. 이쪽에서 노인은 오랜 전투에서 살아남은 대단한 존재로 여겼기 때문. 이러한 차이는 스파르타는 농경국가였고 흉노는 유목국가였기 때문일 수 있다. 스파르타는 노인에게까지 음식이 돌아갈 정도로 음식이 나는 데다가 속국인 메세니아를 정복해 거기서 나오는 식량까지 얻을 수 있던 반면, 흉노는 그러질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18] 카이사르도 신기하게 생각했다. [19] 형사취수제나 수첩제는 사망자의 유가족을 부양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동시에 가임 여성의 임신 기회를 놓치거나 가임 여성이 가족(씨족) 바깥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도 있었다. 본래 생식 가능한 남자에 비해 생식 가능한 여성의 수는 적을 수 밖에 없고, 일부다처제가 성립하는 사회에서는 가임기 여성을 힘있는 남성이 독점할 확률이 높다. 하물며 유목사회에서는 다른 혼인 상대를 쉽게 찾을 만큼 인구가 많지도 않다. 따라서 이미 씨족 내부로 들어온 여성을 내보내기란 남자 쪽에선 생식 기회를 스스로 발로 차는 행위나 다름없으므로 형사취수제 같은 제도가 생겨났던 것이다. 또한 과부를 내보내고 새 신부를 들여서 신랑이 지참금을 이중으로 지출하는 사태를 막기 위함이기도 했다. [20] 다만 이는 중요한 문제였다. 흉노는 애초에 전투가 일상인 민족이고 전투의 경우 땅을 빼앗거나 하는 것 말고도 약탈을 위한 목적도 크므로 전투동기도 충분하고 전투에도 익숙하나 농경국가는 군대를 따로 양성해야 했으며 이렇게 군인이 된 이들은 징병된 것이므로 흉노에 비해서 그 질이 낮았다. 그래도 진형이라도 이루며 싸우면 좀 나은데 이런 진형에서는 튀는 놈이 나오면 안된다. 게다가 전투 후에 병사들에게 돌아가는 것도 없으니 강도높은 군법으로 다스릴 수 밖에. [21] 전술적인 차이도 있다. 궁기병의 스웜전술이 중심이었던 흉노족에게는 집결과 산개의 유연한 전환이 생명줄이었던만큼 후퇴 자체도 하나의 전술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보병의 방진 힘싸움을 중시하던 한족에게 개개인의 무분별한 후퇴로 인한 진형 붕괴는 곧 전 병력의 사망선고였고 한 두사람의 일탈도 강하게 처벌할 수밖에 없었다. [22] 이를 반영한 결과인지, 마이크로소프트의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로마의 부흥> 훈족의 침입 미션에서는 훈족의 종족을 히타이트로 설정했다. [23] 구연부에 두 개의 귀가 달린 큰 심발형(深鉢形) 솥. [24] Noin-Ula, 몽골어 왕후(王侯)의 산이란 뜻이다. [25] 한나라 시대의 목실분(木室墳) 형태를 생각하면 된다. [26] 성수(聖樹). [27] 특히 박트리아에서 생산된 카펫 중에는 딱 봐도 흉노가 아닌 것 같은 사람들이 자수로 묘사된 것도 있었는데, 이는 그리스-박트리아인 혹은 혹은 페르시아화된 대월지인을 자수한 거라고 한다. # [28] 중국측 기록에서 고조선은 흉노의 왼팔로 기록된다. 오른팔은 동투르키스탄 지역에 위치해있었던 토하라계 오아시스 도시국가들이다. 당시 토하라계 도시국가들은 흉노의 경제를 먹여살려주는 존재들이었다. 중국이 흉노의 영역인 이곳을 정복하고 흉노를 몰아냈는데, 당시 흉노 경제에 제대로 타격을 입혔을 정도였다. [29] 두 마리 고양잇과 동물이 산양의 목을 물어뜯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 [30] 세계 역사학과 고고학의 주류는 원시 튀르크인을 확실하게 몽골로이드로 분류한다. 초원 유목민족 역사의 최고 권위자인 르네 그루쎄도 그런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고, 이러한 주류 고고학 및 역사학의 입장은 변한 것이 없다. [31] 137 ancient human genomes from across the Eurasian steppes [32] Populations dynamics in Northern Eurasian forests: a long-term perspective from Northeast Asia [33] 조공을 받은 것이란 주장도 있다. [34] 현대 튀르키예는 (돌궐 항목에도 있지만 튀르크를 떠나 튀르키예와는 혈통적-유전적으로는 생각만큼의 큰 연관성은 없음에도) 괵튀르크( 돌궐)와 더불어 흉노 역시 자기들 조상의 역사로 본다. 한편, 몽골이나 유라시아(특히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들에서도 흉노와 관련, 꽤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지만, 중국과는 사이가 안 좋아 그런지 서로 고고학 연구에 협조적이지 않아 이쪽과 연계 연구는 그다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35] 물론 이것도 확실친 않다. [36] 돌궐이 당나라에 멸망한 후, 잔당 세력 중 상당수는 서쪽으로 도망쳤는데, 이때 탈라스 전투 등을 거치며 아랍 세력과 조우하면서 기존에 불교를 믿는 경우도 많았던 튀르크계가 이슬람화된다. [37] 실위의 부족 중 하나인 황두실위는 이 금발벽안을 가진 흉노인의 후예로 추정된다. [38] 중국 사서에서 견곤으로 기록된 고대 키르기스인들을 가리킨다. [39] 사실 혈통적으로만 보면 헝가리인들의 조상인 마자르족 훈족은 별로 연관이 없다고 보는 학자들도 많지만, 어쨌든 헝가리는 12세기부터 이미 왕족들이 스스로를 아틸라 왕의 후예라고 자칭했다. 오늘날 자기들 조상이 흉노족이라고 주장하는 나라만 해도 튀르키예, 투르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몽골 등이 있다. 물론 실제 그런지는 따져볼 문제지만, 이미 사라진 흉노족의 후예를 자처하는 세력이 지금까지도 넓게 퍼져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40] 이 외에도 몽골어로 '사람'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41] 사실 고대엔 이런 갖다붙이기가 흔해서 그리스 신화만 봐도 테티스의 아들 닐로스의 딸 멤피스의 딸 리비아의 손자 아이굽토스 포이닉스... 하는 식으로 족보가 엮였고, 로마인들과 프랑크인들은 트로이의 후예를 자처했으며, 그 주변 민족들도 《일리아스》에 나오는 모 씨가 서쪽 모처에 정착해서 자국을 세웠다는 식이었다. 지금도 아라비아 씨족들은 족보가 아담까지 올라간다. 이는 고대 세계관의 문화권력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자고로 이웃들과 교류하려면 먼저 정체를 밝혀야 하는 법이다. 여기서 자기만 남들과 다른 종류의 세계관을 따른다면 낯선 이방인, 곧 아싸가 될 테니 주변에 맞춰 족보를 손볼 수밖에 없다. 주류 문화권 입장에서도 여태 우주부터 인간까지 모든 것을 가르쳐온 자기네 세계관이 한낱 변두리 촌놈들 앞에서 데꿀멍하도록 놔둘 수는 없을 테고. 비록 중국의 사마천이 갖다붙이긴 했지만, 흉노 역시 공식 세계관에 맞춘 동인설정을 지어주는 것이 고대인 기준으로는 이상한 일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얘기이다. 막말로 중국 입장에서도 어디서 굴러온건지도 모를 듣보잡에게 졌다는 것보다는 하나라 왕실의 후손에게 졌다는 것이 그나마 덜 쪽팔렸을 것이다. [42] 그때 당시 10만 명이면 매우 큰 수치였다. [43] 이건 고대 서양도 마찬가지라서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전쟁 당시 페르시아군의 규모를 500만 명으로 추산했다. [44] 티베트 고원에서 내려온 황하가 북쪽으로 크게 곡류하면서 만드는 중간지대이다. 그 때문에 하투(河套)라고도 하고, 하남(河南)이라고도 한다. 중국 한복판의 하남성과는 다르다. [45] 물론 여후와 중신들은 진노했고, 번쾌가 10만 군사를 요청했지만, 계포가 "번쾌는 10만 군사로 고제가 40만으로도 못한 걸 하겠다는 망발을 하니 참해야 합니다."라는 직언을 올렸고 결국 없던 일이 되었다. [46] 중앙아시아 일대에 거주했던 이란계 유목민족. [47] 6세기경 《 수서》에서 수나라가 다시 서역으로 진출해 동로마까지 기록에 남기지만 흉노는 없는 걸로 보아 시베리아로 튀었거나 망했거나. 현재로서는 추측할 단서가 없다. [48] 흉노를 총괄하는 중랑장 자체는 후한이 들어선 시기부터 존재했다. 그 명칭이 확실히 드러난 것은 한영제 시기의 장환으로, 호흉노중랑장에 임명되어 흉노 반란군과 오환, 선비의 연합군을 격퇴한 것에서 발견된다. 여담으로 이때 장환의 부장으로 종군한 것이 동탁이었다. [49] 흉노족인 유연(劉淵)은 흉노와 형제의 관계였던 후한이 멸망했으니 그 전통을 형인 흉노가 잇겠다며 국호를 '한'이라 했고, 실제로 한나라의 역대 황제에게 제사를 올렸다. [50] '호하', '혁련하' 등으로 불리는 국가로 역사상 마지막 흉노 국가임을 내세운 대표 국가였다. 결국 탁발선비족의 북위에게 멸망했다. [51] 마찬가지로 고구려도 중화제국에 맞서기 위해 튀르크계 민족인 돌궐과 손을 잡기도 했기 때문에 가능성이 있다. 다만 몇몇 환빠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흉노가 한국사라고 주장할 수 있는 정도는 당연히 아니다. [52] 한국인들이 더이상 한복을 평소에 입지 않고 한옥에 모두가 살지 않지만 무덤이나 장례는 (물론 이것도 좀 변질되긴 했지만) 되도록 옛날식으로 조성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처럼 말이다. [53] 우습게도 인터넷 극단주의자들은 경상도를 비하하기 위해 이를 진지하게 믿고 있다. [54] 이목에게 패배함. [55] 이름이 유실됨. [56] 오나라의 자의적인 책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