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03:03:00

왕타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rowcolor=#fff>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rowcolor=#fff>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rowcolor=#fff>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rowcolor=#fff>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rowcolor=#fff>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rowcolor=#fff> 29권 -2l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rowcolor=#fff>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rowcolor=#fff>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rowcolor=#fff>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rowcolor=#fff>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rowcolor=#fff>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rowcolor=#fff>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rowcolor=#fff>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rowcolor=#fff>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rowcolor=#fff>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rowcolor=#fff>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rowcolor=#fff>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생애

1. 개요

王墮
(? ~ 356)

전진의 인물. 자는 안생(安生). 옹주(雍州) 경조군(京兆郡) 패성현(霸城縣) 출신.

2. 생애

박학하고 뛰어난 재주가 있었으며, 천문에 밝아 점성술로 미래를 종종 예측하고는 하였다. 후조에 복속된 저족 수령 포홍이 양독(梁犢)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하러 갈 때, 포홍의 사마(司馬)에 임명된 왕타는 그를 만나서 말하길,
"참언에 따르면 부씨(苻氏)가 왕이 될 것이라 하였는데, 공(公)이 바로 그 사람입니다."
라 하였다. 남몰래 야망을 품고 있던 포홍 역시 매우 그러하다 여겨 왕타를 신임하였고 훗날 재상으로 삼았다. 왕타는 부홍을 섬기면서 나라를 위해 힘쓰는 것으로 명성을 떨쳤다.

황시 원년(351년) 정월, 독살당한 부홍의 유지를 이어받은 부건이 천왕(天王), 대선우에 즉위하면서 전진 정권이 세워졌다. 천왕 부건은 왕타를 상서우복야에 임명하고 항상
"뭇 관리들이 왕 영군(令君: 상서령에 대한 경칭)과 같다면 천하의 음양이 어찌 조화롭지 않을 수 있겠는가!"
라 칭찬하며 중용하였다.

황시 5년(355년) 4월, 사공(司空)으로 승진하였다.

수광 원년(355년) 6월, 경명제 부건이 왕타 등 여러 대신들을 불러 태자 부생을 잘 보좌할 것을 부탁하고 붕어하였다. 하지만 경명제의 뒤를 이은 황제 부생은 간신배인 동영, 조소(趙韶), 강국(強國) 등을 중용하여 정사를 돌보지 않고, 그들의 말에 휘둘려 조정의 대신들을 마구잡이로 잡아죽였다. 본래 사람됨이 강직하고 준엄한 왕타는 동영 등의 간신배 무리를 원수 보듯이 미워하여 조회 때마다 그들과 더불어 일을 논하지 않았다. 이에 어떤 이가 왕타에게 경고하며 말했다.
"동 상서는 고귀함으로 이 시대에 견줄만한 이가 없으니, 공께서는 의당 조금이나마 뜻을 굽히십시오.
왕타가 답했다.
"동룡(董龍: 동영의 아명)은 닭이나 개와 같은 자이거늘, 어찌 나라의 사대부되는 이로서 그와 말을 섞을 수 있단 말인가!"
이후 왕타의 말을 전해들은 동영은 이를 수치스럽고 한스럽게 여겼다.

수광 2년(356년) 정월, 마침 하늘에 변괴가 일어나 나라 안팎으로 흉흉해지니, 동영과 강국이 황제 부생을 알현해 진언하였다.
"오늘날 하늘이 꾸짖은 것은 심히 중대한 사항이므로 마땅히 귀한 신하를 죽임으로써 달래야만 합니다."
이에 부생이 답했다.
"귀한 신하라면 오직 대사마와 사공 뿐이오."
동영과 강국이 다시 말했다.
"대사마께서는 고귀한 황족이니 형을 내리는 것은 불가합니다."
결국 황제 부생은 왕타를 주살하기 위해 체포하였다. 왕타가 처형되기 직전, 동영은 직접 감옥을 찾아가 왕타를 조롱하며 말했다.
"지금 그대가 감히 이 동룡을 다시 닭이나 개에 비교할 수 있겠느냐?"
이에 왕타 또한 눈을 부릅 뜨고 동영을 향해 욕설을 퍼붓다가 이내 사형장으로 끌려가 처형당했다. 이때 왕타의 외조카인 낙주(洛州)자사 두울(杜鬱)도 조소의 미움을 사 동진과 내통했다는 누명을 쓰고 황제 부생에게 주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