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3:03:10

도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한 말의 팔주에 대한 내용은 도상(후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후한 말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도상(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 align=center><table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5> 철도의 구조||
레일 레일
침목
도상(철길 지지 구조)
노반
기타 분기기 | 전차선 ( 가공전차선 | 제3궤조집전식 | 전자기유도집전)


1. 개요2. 자갈 도상
2.1. 장점2.2. 단점
3. 콘크리트 도상
3.1. 장점3.2. 단점
4. 무도상
4.1. 장점4.2. 단점
5. 참고문헌

1. 개요

노반 위의 일종의 충격 흡수 장치로서, 레일 침목이 받는 하중을 넓게 노반에 분산시키고, 물 빠짐을 좋게 하며 노반의 파손과 침목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차량의 진동을 흡수해서 승차감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자갈 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으로 나뉜다.

순화 용어는 철길 지지 구조.

2. 자갈 도상

Track Ballast

가장 일반적인 도상 형태로 소음이 적고 건설 비용이 저렴한 관계로 예전부터 일반 철도 대부분과 일부 고속철도[1], 그리고 서울의 1기 지하철 등 비교적 오래된 지하철 등에서 사용된다.

2.1. 장점

2.2. 단점

3. 콘크리트 도상

Ballastless Track / Slab Track

도상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짓는 형태. 뛰어난 내구성과 안정성으로 대부분의 고속철도와 서울의 2기 지하철 등 비교적 최근에 건설된 지하철에서 사용된다.

그 외에도 아스팔트를 깔고 콘크리트 도상을 설치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상도 존재한다.

3.1. 장점

3.2. 단점

4. 무도상

말 그대로 자갈이나 콘크리트 등의 도상이 없이 레일을 부설하는 경우. 주로 철교에 사용되며 철골 지지대나 노반 위에 바로 레일을 얹은 형태이다. 때문에 바닥을 내려다보면 밑에가 그냥 뻥 뚫려있다. 한강철교가 대표적인 예시며 예전 구일역의 안춘천교 같은 경우도 무도상 철교이다. 후술하듯 공사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절약되기에 가성비 면에서는 최고이지만 소음, 진동, 안전 및 주행속도 제한 문제가 심각하여 현재는 거의 사장된 방식이며 기존의 무도상 철교 역시 도상 철교로 점차 교체되는 추세이다.

4.1. 장점

4.2. 단점

5. 참고문헌



[1]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 LGV Est, 도카이도 신칸센 등등. 최근 신설되는 고속선은 거의 콘크리트 도상으로 건설되는 추세이다. [2] 다만, 현실에서는 그런 돌을 찾기 힘들기 때문에, 큰 돌을 깨는 쇄석을 많이 사용한다. [3] 영상에서 자세히 보면 레일이 좌우로 움직이는 모습이 보인다. 옛 수인선은 말할 것도 없다. # [4] 청소를 안하면 먼지가 쌓이듯이, 콘크리트 도상 위에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먼지가 쌓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은 물청소를 하면 대부분 없어지지만, 집안 청소와 달리 매일매일 할 수 없으므로 쌓이게 된다. 자갈 도상도 이러한 점은 비슷하긴 하지만, 불규칙한 형태이므로 비산되는 먼지의 양은 생각보단 적다. 비가 내렸을 경우에는, 배수가 잘 안되는 콘크리트 도상이 오랫동안 물을 머금고 있으므로 먼지의 양이 더욱 줄어든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