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국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서백 西白
|
||||
초대 국군 후직 |
2대 국군 부줄 |
3대 국군 국 |
4대 국군 공류 |
5대 국군 경절 |
|
6대 국군 황복 |
7대 국군 차불 |
8대 국군 훼유 |
9대 국군 공비 |
10대 국군 고어 |
|
11대 국군 아어 |
12대 국군 주공 |
13대 국군 태왕 |
14대 국군 왕계 |
15대 국군 문왕 |
|
서주 西周
|
|||||
초대 왕 무왕 |
2대 왕 성왕 |
3대 왕 강왕 |
4대 왕 소왕 |
5대 왕 목왕 |
|
6대 왕 공왕 |
7대 왕 의왕 |
8대 왕 효왕 |
9대 왕 이왕 |
10대 왕 여왕 |
|
공화기 정공 · 소 목공ㆍ 간왕 |
11대 왕 선왕 |
12대 왕 유왕 |
비정통 휴왕 |
||
동주 東周
|
|||||
13대 왕 평왕 |
14대 왕 환왕 |
15대 왕 장왕 |
16대 왕 희왕 |
17대 왕 혜왕 |
|
비정통 폐왕 |
18대 왕 양왕 |
비정통 후폐왕 |
19대 왕 경왕頃王 |
20대 왕 광왕 |
|
21대 왕 정왕 |
22대 왕 간왕 |
23대 왕 영왕 |
24대 왕 경왕景王 |
25대 왕 도왕 |
|
비정통 서왕 |
26대 왕 경왕敬王 |
27대 왕 원왕 |
28대 왕 정정왕 |
29대 왕 애왕 |
|
30대 왕 사왕 |
31대 왕 고왕 |
32대 왕 위열왕 |
33대 왕 안왕 |
34대 왕 열왕 |
|
35대 왕 현왕 |
36대 왕 신정왕 |
37대 왕 난왕 |
|||
분열 (西)
|
분열 (東)
|
||||
국군 환공 |
국군 위공 |
국군 혜공 |
국군 무공 |
||
국군 혜공 |
국군 무공 |
국군 소문공 |
국군 동주공 |
||
국군 문공 |
|||||
주읍 周邑
|
|||||
초대 국군 문공 |
2대 국군 평공 |
ㆍㆍㆍ
|
?대 국군 정공 |
ㆍㆍㆍ
|
|
?대 국군 환공 |
?대 국군 희공 |
?대 국군 희기보 |
?대 국군 희열 |
?대 국군 희초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수 · 당 오대 · 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주 초대 국군
후직 | 后稷 |
||
|
||
성 | <colbgcolor=#FFFFFF,#191919>희(姬) | |
휘 | 기(棄) | |
봉지 | 태(邰) | |
직책 | 후직(后稷) | |
아버지 | 제곡(?)(帝嚳) | |
어머니 | 강원(姜原) | |
생몰 기간 | 음력 | 미상 |
[clearfix]
1. 개요
중국 신화의 등장인물. 주나라의 왕성인 희성 부족의 시조.2. 상세
《 사기》에 의하면 제곡 고신씨의 정비인[1] 강원이란 여인이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임신해서 낳았다고 한다. 강원은 후직을 혼자 감당하기 힘들었는지 버릴까도 고민했으나[2], 신화가 흔히 그렇듯 하늘의 기적으로 여러 연이 닿아 후직은 무럭무럭 성장했다고 한다.이후 요순시대부터[3] 하 왕조까지 벼슬살이하며[4], 나중에는 태(邰)[* [5]에 봉해져 농업을 지도하는 직책(后稷)을 맡았다고 전해진다. 덕분에 후대 중국에서는 염제 신농씨와[6] 함께 농경의 신으로 여겨졌다. 조선에서도 농사의 신으로 모셨다.
참고로 후직의 아들 부줄은 이후 왕조가 어지럽자 '농사' 직위 대신 희성 주족 집단을 데리고 주 땅인 주원, 관중 분지를 떠나 북방 융적 야만인들이 사는 곳으로 이주하여 생계를 꾸리며 11대까지[7] 나름 잘 살다[8][9], 고공단보 대에 이르러 다시 주원으로 돌아와 상나라 속국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1]
이는
산해경 등에서 창작된 내용으로 보기도 한다. 당장 주족의 창시 전설이 전해져오는
시경 『대아-생민』편에도 이런 설을 신뢰하지 않았는지 관련 내용이 없다. 즉, 미혼 상태에서 후직을 낳은 것.
[2]
이후 강원의 행동이 시경엔 나타나지 않아 버리고 갔는지 아니면 다시 거뒀는지 알 수 없지만, 사기엔 다시 거둬 길렀다고 나와있다. 처음엔 아이를 버리려 했기 때문에 '기(
棄)'라는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 후직의 동생 태새가 숙균을 낳았다는 얘기도 일단은 전해지는걸 보면 강원이 다른 자식도 낳았을 가능성이 있다.
[3]
사기에 따르면 희성과 (기에서) 후직이란 명칭 역시
순임금한테 받았다고 한다.
[4]
다만 후직과 초기 주족이 진짜 요순, 하 왕조와 연관이 있는지 아니면 후대의 미화인지는 확실히 검증할 방법이 없기에(고고학적으론 주의 주거 위치가 하나라 세력권 밖으로 추정된다), 역사학계에서도 진지하게 보고 있진 않다.
[5]
現
섬서성 무장현 일대로 비정
[6]
이 신농씨를 후직의 조카 숙균 혹은 아우 태새가 후대에 신격화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후직은 황제. 믿거나 말거나
[7]
사실 하나라 초기부터 따지면 11대의 집권기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가 있어, 실제론 후직이 하말상초 어느 무렵쯤 인물 아니냐는 추정도 있다. 이 설을 따르면, 부줄도 하가 아닌 상이 세력권을 넓혀 서쪽 지방을 침범하자 이에 위협을 느끼고 관중의 평야 지대 대신 북방 산악 지대로 숨었다고 볼 수도 있다.
[8]
후직의 동생 태새의 아들 숙균 무리(강성 주족)는 계속 주원에 머물며 농업을 계승했으나, 상나라
무정 시기 정벌 당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9]
혹은 애초에 주족은
유목민 세력이었다 관중에 오면서 정주 세력이 된건데, 이후 조상 올려치기를 하는 과정에서 후직 신화가 창조되었을 가능성도 아예 없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