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량(涼) | 전조(趙) | 성한(漢) | 후조(趙) | 전연(燕) | 전진(秦) | 후연(燕) | 후진(秦) |
서진(秦) | 후량(涼) | 남량(涼) | 북량(涼) | 남연(燕) | 서량(涼) | 북하(夏) | 북연(燕) | |
기타 국가 | ||||||||
단부 · 대 · 등지 · 서연(燕) · 선우조 · 염위(魏) · 우문부 · 적위 · 전구지 · 후구지 · 탕창 · 초촉 · 환초 | ||||||||
※ 둘러보기 틀 : 오호(五胡), 중국의 역사 | }}}}}}}}} |
<colbgcolor=#7C283F><colcolor=#ece5b6> 한 漢(304~319) 조 趙(319~329) |
|
320년의 중국 지도. 옅은 붉은색이 전조의 영역. |
|
존속기간 | 304년~329년 |
별칭 | 전조(前趙), 한조(漢趙), 유조(劉趙), 훈(Xwn) |
위치 | 중국 화북 |
수도 | 평양(平陽) → 장안(長安) |
정치 체제 | 군주제 |
국성 | 유(劉) |
국가원수 | 대 선우, 왕 → 황제(308년 이후) |
주요 황제 | 광문제 유연 |
언어 | 중세 중국어, 흉노어 |
문자 | 한자 |
종교 | 유교, 도교, 불교 |
종족 | 흉노족, 한족 |
성립 이전 | 서진 |
멸망 이후 | 후조 |
현재 국가 | 중국 |
[clearfix]
1. 개요
한조(漢趙), 조한(趙漢), 혹은 호한(胡漢), 호조(胡趙), 북조(北趙),[1] 유조(劉趙)라 불리던 5호 16국 시절의 국가로, 개중에서도 선구자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2. 역사
창건자인 유연은 조위(曹魏) 시절 출생한 인물로, 남흉노의 선우 어부라의 손자다. 이렇게 말하면 잘 모를 수 있는데, 삼국지에서 고간의 원군 요청을 쌩깠으며 또 채염을 보쌈했던 흉노 좌현왕 유표(劉豹)의 아들이다. 그는 중국에 들어와 살기도 하며 중국 인사들과 교류하는 등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유연의 비범함을 눈여겨 본 서진의 제왕(齊王) 사마유가 "유연을 제거해야 한다"고 황제인 사마염에게 상소했으나, 왕혼이 유연을 비호하여 유연은 살아남았다.이후 팔왕의 난이 터지자, 서진(晉)이 개막장이란 걸 알아챈 유연은 당시 흉노족 전체를 관장하던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거병을 하였고, 국호를 한(漢)으로 정했다.[2] 유연은 서진을 멸망시키려 했으나, 수명을 다했고 결국 그의 아들인 유총이 유지를 이어받아 진을 멸망시켰다. 이에 서진의 황족인 사마예가 도망쳐서 강남(중국)에 정권을 세우는데 그것이 동진(東晉)이다.
전조가 이렇게 서진을 멸망시키고 하북을 전조의 땅으로 오롯이 했으나, 권력 투쟁, 무리한 토목공사, 사치 등이 성행했기에 황제도 오래가지 못하고 순식간에 갈려나갔다. 서진을 멸한 유총이 죽자 그의 아들 유찬 때 실권을 쥔 외척 근준이 난을 일으켜 유찬을 포함해 유씨 황족들을 대거 숙청하는 바람에 심한 타격을 받았다. 개중에는 그나마 덜 막장인 것처럼 보인 유요는 유연의 양자이자 전조의 5대 황제로, 석륵과 함께 근준의 난을 제압하고 황제로 등극했고 국호를 조(趙)로 바꾸었다.[3] 유연의 양자답게 개국의 공이 있는 숙장이었으나 안팍으로 막장인 것은 여전했다.
이에 개국공신 석륵은 똑같은 조나라인 후조(後趙)를 세워 전조랑 대립했으며 결국 유요를 깨뜨리고 생포한 후 처형한다. 유요의 아들인 태자 유희는 아버지가 생포당했다는 소식에 장안을 버리고 형 유윤에게 의지하여 상규로 도망쳤으나, 그 역시 수개월만에 후조와의 싸움에서 패배 후 생포, 처형당하게 된다. 이로써 전조는 멸망하고, 후조가 뒤를 잇는다.
3. 기타
- 유씨가 사마씨를 쓰러트렸기 때문에 후삼국지에선 '유비의 후손인 유연이 사마씨를 물리치고 한나라를 부흥시켰다'는 줄거리로 이어지나, 전조 황실은 흉노족이며 성만 유씨일 뿐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동진을 멸망시키고 유송을 건국한 유유는 실제로 한나라 황실의 후손이 맞다.
- 전조의 마지막 황제인 유요는 서진 시기 장안에서 유학하다가 형벌을 피해 한반도의 낙랑군 조선현으로 피신한 적이 있었다. 이때 많이 힘들었는지 훗날 저족과 강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신하들과 연회를 베풀면서 조선에서의 생활을 회상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 이 시기에 자연재해가 상당히 많이 일어났다. 하늘에서 피가 내렸다는 믿을 수 없는 기록을 제외하더라도, 태풍, 황충, 대기근, 우박으로 무척 자주 일어나 농작물과 인명피해가 막심했던 것은 물론, 유성우가 자주 관측되고 수도 인근에 운석이 떨어졌다거나, 산사태나 지진으로 황궁 내부의 시설이 무너지는 등과 같은 재해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4. 역대 황제
대수 | 묘호 | 시호 | 성명 | 연호 | 재위 기간 | 능호 |
- | - | 한왕(漢王) | 유연(劉淵) | 원희(元熙) 304년 ~ 308년 | 304년 ~ 308년 | - |
1대 |
고조(高祖) 태조(太祖)[4] |
광문황제(光文皇帝) |
영봉(永鳳) 308년 ~ 309년 하서(河瑞) 309년 ~ 310년 |
308년 ~ 310년 | 영광릉(永光陵) | |
2대 | - | 폐제(廢帝) | 유화(劉和) | - | 310년 | - |
3대 | 열종(烈宗) | 소무황제(昭武皇帝) | 유총(劉聡) |
광흥(光興) 310년 ~ 311년 가평(嘉平) 311년 ~ 315년 건원(建元) 315년 ~ 316년 인가(麟嘉) 316년 ~ 318년 |
310년 ~ 318년 | 선광릉(宣光陵) |
4대 | - | 효은황제(孝隱皇帝) | 유찬(劉粲) | 한창(漢昌) 318년 | 318년 | - |
비정통 | - | - | 근준(靳准) | - | 318년 | - |
추존 | - | 경황제(景皇帝) | 유량(劉亮) | - | - | - |
- | 헌황제(獻皇帝) | 유광(劉廣) | - | - | - | |
- | 의황제(懿皇帝) | 유방(劉防) | - | - | - | |
- | 선성황제(宣成皇帝) | 유씨(劉氏) | - | - | - | |
5대 | - | - | 유요(劉曜) | 광초(光初) 318년 ~ 329년 | 318년 ~ 328년 | - |
6대 | - | - | 유희(劉煕) | - | 328년 ~ 329년 | - |
*
유요가 319년 국호를 한(漢)에서 조(趙)로 변경
[1]
헌데
후조도 북조, 호조라 불렸다.
[2]
유연의 유씨(劉氏)는 그의 선조
묵특이
한고조와 화친을 맺을 때 유씨 성을 받았기 때문으로, 국호는 이에 근거했다.
[3]
이 때문에 이 나라를 조한(趙漢)이라고도 부른다.
[4]
유요가 추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