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중화민국 거류증 中華民國居留證 R.O.C.(Taiwan) Resident Certficate (ARC) |
|||||
|
|||||
|
|||||
<colbgcolor=#000095> 2021년 1월 2일부터 '외래인구통일번호'가 발급됨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의 중화민국 거류증. 해당 사진은 일반 외국인에게 발급하는 '외교거류증'이며,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거류증이 있다. | |||||
발급 국가 | 중화민국 | ||||
발급 기관 | 내정부 이민서 | ||||
중국어 | 中華民國居留證 | ||||
영어 | R.O.C. (Taiwan) Resident Certficate, ARC | ||||
한국어 | 중화민국 거류증, 대만 거류증 | ||||
발급 대상 | 외국인 및 대만지역에 호적 없는 국민 | ||||
개정 년도 | 2021년 | ||||
유효 국가 | 중화민국(국내 신분증으로서) | ||||
사양 및 제원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사진 | 성별 | 생년월일 | 주소 | |
<rowcolor=#000> 〇 3.5cm×4.5cm |
〇 女 Female |
〇 出生日期 Date of birth YYYY/MM/DD |
〇 居留地址Residence Address 台北市中正區... |
||
개인번호 유출안전성 | 문서 번호 | 발행일 | 만료일 | ||
<rowcolor=#000> △ 사용처 한정 統一證號 UI No. A900000016 |
〇 T190000026 (뒷면) |
〇 核發日期 Date of issue YYYY/MM/DD 換領[1] |
〇 居留期限 Date of expiry |
||
생체정보보호 | 서명 | 발행국 코드 | 소지자 국적 | ||
<rowcolor=#000> 〇 |
× |
〇 TWN (MRZ) 국명 기재 |
△ 國籍 Nationality 馬來西亞[2] MRZ 기재 없음 |
||
ICAO Doc 9303-5 기계가독부 (MRZ) |
ICAO Doc 9303 |
ISO/IEC 14443 |
ISO/IEC 7816-2 |
||
<rowcolor=#000> 〇 I<TWN |
△ |
× |
× |
||
비고 |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 거류증은 중화민국 내정부 이민서에서 외국인 및 중국본토, 홍콩, 마카오인, 그리고 무호적 국민에게 발급하는 신분증이다. 한국에서 발급하는 외국인등록증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다.이 거류증은 몇가지 종류로 나뉜다. 일반 외국인에게는 외교거류증(外僑居留證), 무호적 국민(대만에서 호적이 없는 중화민국 국민)에게는 대만지구거류증(臺灣地區居留證), 영주권을 획득한 외국인에게는 외교영구거류증(外僑永久居留證), 홍콩이나 마카오 출신 사람에게는 항오거민거류증(港澳居民居留證)이나 항오거민거류입출경증(港澳居民居留入出境證), 중국 본토 출신 사람에게는 대륙지구인민의친거류증(大陸地區人民依親居留證)이나 대륙지구인민장기거류증(大陸地區人民長期居留證)이 발급된다. 이 모든 거류증들은 같은 디자인이 적용되며, 카드의 "類別 Type"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다.
2. 외래인구통일번호
원래 대만은 상술한 모든 종류의 거류증마다 별도의 번호가 발급했었으나, 2021년 1월 2일부터 외래인구통일번호(外來人口統一證號)로 통일했다. 기존 거류증을 가진 사람이 재발급 받을 때 새로운 번호로 발급되며, 기존 번호는 뒷면에 기재한다.한국의 외국인등록번호가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구조인 것처럼, 이 외래인구통일번호도 대만의 신분증번호와 같은 주조로 되어 있다.
2.1. 번호 규칙
이 외래인구통일번호는 하나의 알파벳과 9자리의 숫자, 총 10자리로 구성된다.A | 1 | 2 | 3 | 4 | 5 | 6 | 7 | 8 | 9 |
발급지역 | 성별코드 | 출신지코드 | 일련번호 | 검증번호 |
문자 | 지역 | 문자 | 지역 |
A | 타이베이시 | M | 난터우현 |
B,L[3] | 타이중시 | N | 장화현 |
C | 지룽시 | O | 신주시 |
D,R[4] | 타이난시 | P | 윈린현 |
E,S[5] | 가오슝시 | Q | 자이현 |
F | 신베이시 | T | 핑둥현 |
G | 이란현 | U | 화롄현 |
H | 타오위안시 | V | 타이둥현 |
I | 자이시 | W | 진먼현 |
J | 신주현 | X | 펑후현 |
K | 먀오리현 | Z | 롄장현 |
두번째 성별코드는 한국의 외국인등록번호처럼, 하나의 숫자로 성별과 외국인인지를 구분함.
숫자 | 1 | 2 | 8 | 9 |
의미 | 남성 대만인 | 여성 대만인 | 남성 외래인구 | 여성 외래인구 |
숫자 | 0~5 | 6 | 7 | 8 | 9 |
의미 | 대만인(외래인구통일번호에서 사용되지 않음) | 외국인 | 무호적 국민 | 홍콩/마카오 출신 | 중국 본토 출신 |
마지막 자리의 숫자는 검증용 번호(checksum) 다. 공식은 역시 신분증번호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