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2:53:07

고사성어/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사성어
1. 개요
1.1. 제한 범위1.2. 허용 범위
2. ㄱ3. ㄴ4. ㄷ5. ㄹ6. ㅁ7. ㅂ8. ㅅ9. ㅇ10. ㅈ11. ㅊ12. ㅋ13. ㅌ14. ㅍ15. ㅎ

1. 개요

나무위키에 등재된 고사성어 문서를 정리한 목록.

1.1. 제한 범위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사자성어며, 고서에 출전이 있더라도 고사에서 유래된 성어가 아니면 넣지 말 것.

1.2. 허용 범위

'고사'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보느냐에 따라 의견이 많이 나뉘는 만큼, 고사성어로 인정할 수 있느냐의 범위도 사람마다 다른 편이기는 하다. 대체로 아래의 기준에 해당하면 고사성어의 범위로 넣는 경우가 많다.
※ 추가 시 ㄱㄴㄷ순으로 기입합니다.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시경에서 유래된 것도 이쪽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다. [2] 단, 현대문학작품을 가져오면 곤란하다. 종종 모택동이나 등소평을 들고 오는 경우가 있는데, 20세기 사람들의 시를 차용해 썼다고 '고사'에서 유래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3] 삼십육계 중 마지막 계책이 주위상(도망치는 것)인데, 어째서인지 그냥 삼십육계라고만 해도 도망의 뜻으로 쓰인다. [4] 출전: http://www.hanj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18 [5] 시일야방성대곡의 방성대곡이 바로 이 말이다. [6] 근거 https://crrc.tistory.com/2522 [7] 고사성어가 아니다. 의외로 고사성어로 착각하기 쉬운 예시. 三寒四溫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따뜻한 날씨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후를 나타낸 말이다. [8] 塞翁之馬: 변방 요새(塞)에 사는 어르신(翁)의(之) 말(馬) [9] 온 세상을 의미 [10] 탁고는 죽기 전에 남은 자식을 남에게 부탁하는 것을 말한다. [11] 여기에서의 부용산은 쿠릴열도에 있는 산을 말한 것이 아니고 양평군 양서면 신원리에 있는 366m 산을 말한다. [12] 畵→龍, 點→睛: 용(龍)을 그리고(畵) 눈동자(睛)에 점찍다(點). [13] 여기에서는 심리학 용어가 아닌 고사성어 화병을 말함. [14] 춘추전국시대 노나라 정치인, 생몰은 알려진바 없다. [15] 단, 회자인구는 긍정적인 경우에만, 구설수는 부정적인 경우에만 쓰인다. [16] 남제 명제의 6남이며 유혜단의 소생이고 남제 동혼후의 동생이다. 북위로 귀순하여 그곳의 공주를 맞이하였으나 후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처형당한다. 생몰은 487 ~ 53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