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f> |
관우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생애 | 생애 · 연의 | |
평가 | 평가 · 인기 | ||
가족 | 틀:관우 가문 | ||
기타 | 기타 창작물 · 미염공 · 관성대제 · 관왕묘 · 관림 · 관릉 · 관장지용 · 오관참장 · 청룡언월도 · 쿨가이 관우 · 하이저우 관제묘 · 도원결의 · 삼영전여포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장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생애 | 생애 | |
평가 | 평가 | ||
가족 | 배우자 하후씨 · 자녀 2 남 2 녀 · 손자 장준 · 사돈 유비 · 사위 유선 | ||
기타 | 기타 창작물 · 관장지용 · 도원결의 · 장팔사모 · 삼영전여포 · 장판파 전투 · 장판파 · 장판교 · 한중 공방전 · 낭중취물 |
고사성어 | |||
關 | 張 | 之 | 勇 |
빗장 관 | 베풀 장 | 갈 지 | 용기 용 |
1. 개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황제 한 소열제 유비(劉備)의 최측근 장수인 관우와 장비의 용맹(勇猛)을 이르는 말로 매우 용맹한 장수를 뜻하는 말이다. 이는 중국 청나라 시대 역사학자 조익(趙翼, 1727~1812)의 저서 22사차기(二十二史箚記) 제96장에 나오는 얘기로 조익은 24사를 검증하다가 한나라 이후 용맹한 장수의 활약상에 관우와 장비의 이름에 빗대는 것을 보고 문득 흥미를 느꼈는지 이런 사례를 모아 설명하였다.2. 원문
한나라 이후로 용맹하다고 칭하는 자는 반드시 관우와 장비를 든다. 그런 용맹이 두 사람의 열전에 보이는 게 있다.
원소가 안량을 보내 백마에서 유연을 공격하게 하자, 조조는 장료와 관우에게 유연을 구하게 했고, 관우는 안량의 깃발과 수레를 바라보고는 바로 말을 채찍질하여 만인 가운데서 안량을 찌르고 그 머리를 베어 돌아왔는데, 원소의 장수 가운데 관우를 당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다.[1]
당양의 싸움에서 선주는 처자를 버리고 도망가면서 장비에게 기병 20명을 통솔하여 뒤를 막도록 하였는데, 장비가 물에 의지해 다리를 끊고는 눈을 부릅뜬 채 창을 비껴들고 "이 몸은 장익덕이다. 와서 함께 생사를 가름지을텐가!" 라고 외치니 적들이 감히 가까이 오지 못했다.[2]
두 사람의 용맹함이 전기에 드러난 것은 이에 그치지만, 당시 그 위명에 떨지 않는 자가 없었다.
위나라의 정욱은 "유비는 영웅의 명성이 있고, 관우와 장비는 모두 만인을 대적할 수 있다"고 말했다.[3]
유엽은 조조에게 한중을 취한 기세를 타고 나아가 촉을 취하도록 권하며 "만약 조금이라도 늦추면, 제갈량은 치국에 밝아 재상이 되고, 관우와 장비는 용맹하게 3군을 거느려 장수가 될 터이니, 곧 범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4]
이는 위나라 사람이 그 용맹에 감복한 것이다.
주유는 은밀히 손권에게 상소를 올려 "유비는 효웅의 풍채이며 관우와 장비라는 곰· 호랑이같은 장수가 있으니, 반드시 오래도록 굽혀 남에게 쓰일 사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5][6]
이는 오나라 사람들이 그 용맹에 감복한 것이다.
그 뿐만이 아니라, 진(晉)의 유하가 매번 적을 공격할 때마다 견고한 성을 함락시키고 날카로운 공격을 꺾으니, 기주[7]에서는 그를 관우·장비와 비교하였다.[8]
부진[9]에서 염부·양수를 장현정에게 사신으로 보내 본국 장수를 자랑하면서 왕 비[10]· 등강이라는 자들이 있는데 관우·장비와 같은 사람들로서 만 명을 대적할 수 있다고 했다.[11]
독발녹단[12]이 송창에게 인재를 구하자, 송창이 "양숭·조창은 무예가 관우·장비와 같다"고 말했다.[13]
이상은 근력이 다른 사람보다 뛰어났는데, 조흠이 그를 중히 여겨 "이현서는 오늘날의 관우·장비이다"라고 말했다.[14]
송의 설동과 고진지[15]는 모두 용맹과 힘을 가지고 있어 당시 사람들이 그를 관우·장비에 견주었다.[16]
노상[17]이 반란을 일으키자. 심경지는 설안도에게 그를 공격하게 하였는데, 설안도가 노상을 바라보다 곧장 말을 달려 크게 소리지르며 바로 그를 찌르니, 노상이 응수하였으나 거꾸러졌으며, 당시 사람들은 관우가 안량을 벤 것도 이보다 낫지 못하다고 하였다.[18]
제의 원력생은 주먹과 용기가 유달리 뛰어났는데, 당시 사람들이 그를 관우·장비에 견주었다.[19]
북위의 양대안은 용맹하고 과감하여, 세상에서 관우·장비가 그보다 낫지 않을 것이라 여겼다.[20]
최연백이 막절념생을 토벌하여 이기고 나자, 소보인이 "최공은 옛날의 관우·장비이로다" 하였다.[21]
진(陳)의 오명철이 북으로 고제[22]를 정벌하자 위파호 등 십만의 무리가 와서 맞섰는데, 어떤 서역사람이 있어 화살을 헛되이 쏘는 법이 없었다. 오명철이 소마하에게 이르기를 "만약 저 호인을 죽이면 적군은 기가 꺾일 것이다. 자네는 관우·장비의 명성이 있으니 안량을 벨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말했다. 소마하는 바로 진영을 나가서 작은 창을 던져 그를 죽였다.[23]
원소가 안량을 보내 백마에서 유연을 공격하게 하자, 조조는 장료와 관우에게 유연을 구하게 했고, 관우는 안량의 깃발과 수레를 바라보고는 바로 말을 채찍질하여 만인 가운데서 안량을 찌르고 그 머리를 베어 돌아왔는데, 원소의 장수 가운데 관우를 당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다.[1]
당양의 싸움에서 선주는 처자를 버리고 도망가면서 장비에게 기병 20명을 통솔하여 뒤를 막도록 하였는데, 장비가 물에 의지해 다리를 끊고는 눈을 부릅뜬 채 창을 비껴들고 "이 몸은 장익덕이다. 와서 함께 생사를 가름지을텐가!" 라고 외치니 적들이 감히 가까이 오지 못했다.[2]
두 사람의 용맹함이 전기에 드러난 것은 이에 그치지만, 당시 그 위명에 떨지 않는 자가 없었다.
위나라의 정욱은 "유비는 영웅의 명성이 있고, 관우와 장비는 모두 만인을 대적할 수 있다"고 말했다.[3]
유엽은 조조에게 한중을 취한 기세를 타고 나아가 촉을 취하도록 권하며 "만약 조금이라도 늦추면, 제갈량은 치국에 밝아 재상이 되고, 관우와 장비는 용맹하게 3군을 거느려 장수가 될 터이니, 곧 범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4]
이는 위나라 사람이 그 용맹에 감복한 것이다.
주유는 은밀히 손권에게 상소를 올려 "유비는 효웅의 풍채이며 관우와 장비라는 곰· 호랑이같은 장수가 있으니, 반드시 오래도록 굽혀 남에게 쓰일 사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5][6]
이는 오나라 사람들이 그 용맹에 감복한 것이다.
그 뿐만이 아니라, 진(晉)의 유하가 매번 적을 공격할 때마다 견고한 성을 함락시키고 날카로운 공격을 꺾으니, 기주[7]에서는 그를 관우·장비와 비교하였다.[8]
부진[9]에서 염부·양수를 장현정에게 사신으로 보내 본국 장수를 자랑하면서 왕 비[10]· 등강이라는 자들이 있는데 관우·장비와 같은 사람들로서 만 명을 대적할 수 있다고 했다.[11]
독발녹단[12]이 송창에게 인재를 구하자, 송창이 "양숭·조창은 무예가 관우·장비와 같다"고 말했다.[13]
이상은 근력이 다른 사람보다 뛰어났는데, 조흠이 그를 중히 여겨 "이현서는 오늘날의 관우·장비이다"라고 말했다.[14]
송의 설동과 고진지[15]는 모두 용맹과 힘을 가지고 있어 당시 사람들이 그를 관우·장비에 견주었다.[16]
노상[17]이 반란을 일으키자. 심경지는 설안도에게 그를 공격하게 하였는데, 설안도가 노상을 바라보다 곧장 말을 달려 크게 소리지르며 바로 그를 찌르니, 노상이 응수하였으나 거꾸러졌으며, 당시 사람들은 관우가 안량을 벤 것도 이보다 낫지 못하다고 하였다.[18]
제의 원력생은 주먹과 용기가 유달리 뛰어났는데, 당시 사람들이 그를 관우·장비에 견주었다.[19]
북위의 양대안은 용맹하고 과감하여, 세상에서 관우·장비가 그보다 낫지 않을 것이라 여겼다.[20]
최연백이 막절념생을 토벌하여 이기고 나자, 소보인이 "최공은 옛날의 관우·장비이로다" 하였다.[21]
진(陳)의 오명철이 북으로 고제[22]를 정벌하자 위파호 등 십만의 무리가 와서 맞섰는데, 어떤 서역사람이 있어 화살을 헛되이 쏘는 법이 없었다. 오명철이 소마하에게 이르기를 "만약 저 호인을 죽이면 적군은 기가 꺾일 것이다. 자네는 관우·장비의 명성이 있으니 안량을 벨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말했다. 소마하는 바로 진영을 나가서 작은 창을 던져 그를 죽였다.[23]
이상은 모두 각 사서에 보이는 것이다. 관우와 장비 두 사람의 이름은 단지 같은 시대 사람들만 보고 두려워했던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사후 수백 년 동안에도 역시 두려워하고 놀라지 않는 이가 없었음을 볼 수 있다. 위세와 명성이 드리워진 바가 지금에 이르러도 변하지 않으니, 하늘이 낳은 신묘한 용맹이 진실로 헛되지 않다.
3. 관우·장비에 비견된 장수들
이십이사차기에서 조익이 언급한 관우와 장비에 견주는 무인은 총 13인이다.- 동진(晉)의 유하(劉遐, ?~326)
- 성한(成漢)의 이상(李庠, 247~301)[24]
- 전진(前秦)의 부비(苻飛, ?~?), 등강(鄧羌, ?~?)
- 남량(南凉)의 양숭(梁崧), 조창(趙昌, ?~?)
- 송(宋)의 설동(薛彤), 고진지(高進之, ?~436), 설안도(薛安都, 410~469)
- 남제(南齊)의 원력생(垣曆生)
- 북위의 양대안(楊大眼, ?~518), 최연백(崔延伯, ?~525)
- 진(陳)의 소마하(蕭摩訶)
이십이사차기를 읽고 각 사서 원문을 살펴본 이에 따르면 조익이 언급한 장수들 말고도 그 장수들과 같이 언급되는 장수들이 더 있는데 전진(前秦)의 팽월(彭越, ?~?), 범구난(范俱難), 서성(徐盛, ?~?), 남량(南凉)의 장목(張穆), 변헌(邊憲), 문제(文齊), 양반(楊班), 남제(南齊)의 채도귀(蔡道貴)[25]가 추가된다고 한다. 송나라 시기, 삼국지 얘기가 민간문학으로 유행하기 전에도 이미 관우와 장비의 유명세는 천하에 널리 퍼져 있었고 용맹의 대명사가 된 것이었다.
마이너하게 감녕과 장료에 비교되기도 한다. 이존효가 감녕과 장료와 비교된 장수.
일본 전국시대에서는 오다 노부나가가 혼다 타다카츠의 용맹을 보고 그를 장비에 비유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1]
정사 삼국지 촉서 권36 관우전
[2]
정사 삼국지 촉서 권36 장비전
[3]
정사 삼국지 위서 권14 정욱전
[4]
삼국지 위서 권14 유엽전
[5]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손권에게 제시하는데, 오나라에 손님으로 붙잡아두고 온갖 보물과 산해진미, 미녀를 안겨서 바보로 만든 유비를 관우·장비 억제기로 쓰고 그 둘이 뭉치지 못하도록 따로 떨어뜨린 상태로 자기에게 맡기는 것. 그러면 능히 천하통일을 꾀할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주유는 남군공방전 당시 잠시나마 장비를 용병 개념으로 부려본 적을 암시하는 기록이 있다.
[6]
정사 삼국지 오서 권54 주유전
[7]
이 지역은 공손찬 휘하 시절 유비가 관할하던 평원과 붙어있는 지역으로, 기주를 근거지로 얻은 원소와 수 차례 싸우기도 했다. 유비가 평원에 있었던건 고작 3여 년이었고 그로부터 130여 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그 위명이 그곳에선 남아 있었다는 것.
[8]
유하(劉遐)의 자(字)는 정장(正長)이며, (기주) 광평(廣平) 역양(易陽) 사람이다. 성격은 결단성이 있고 강하였으며, 궁마(弓馬)를 익혔으며, 도량이 넓고 용장(勇壯)하였다. 천하가 대란을 맞이했을 때, 유하는 오주(塢主)가 되어 매번 적을 공격하였는데 장사를 이끌고 견고한 성을 함락시키고 날카로운 공격을 꺽으니
기주 방면에서는 그를 장비·관우에 비견하였다. -
진서(晉書) 권81 유하전
[9]
부견의 진나라,
전진
[10]
신흥왕
부비를 말한다.
[11]
진서 권112 부생 재기
[12]
남량의 제3대 왕이자 마지막 왕(재위 402~414).
[13]
진서 권126 독발녹단 재기
[14]
진서 권120 이상 재기
[15]
유송의
명장
단도제(檀道濟)의 심복들.
[16]
송서 권43 단도제전
[17]
노상은 일세의 건장(健壯)하고 날랜 자이며, 모두 만인적(萬人敵)에 비유했다고 한다.
[18]
남사 권40 설안도전
[19]
남사 권44 문혜태자전
[20]
위서 권73 양대안전
[21]
위서 권73 최연백전
[22]
고씨의 제나라,
북제
[23]
진서(陳書) 권31 소마하전
[24]
문앙과 견주었다는 언급도 있다.
[25]
위에서 얘기가 나온 원력생과 함께 관우·장비에 견주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