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5 13:30:59

주야장천

1. 뜻2. 출전3. 내용4. 비표준어 '주구장창'

한자성어
낮 주 밤 야 길 장 내 천

1.

밤낮으로 쉬지 않고 길고 긴 하천처럼 늘 활동하는 것을 뜻한다.

2. 출전

조선시대 승려 휴정(조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2년에 간행한 시문집인 청허당집(淸虛堂集)3권 청간(淸澗)

내 천(川)자를 하늘 천(天) 자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하늘이 아닌 川(내 천)이나 江(강 강)의 주야불식(晝夜不息)을 뜻하는 말이다.

3. 내용

源泉一派雲中出(원청일파운중출)。晝夜長流無歇時(주야장류무갈시)。
西至崑崙東至海(서지곤륜동지해)。其間淸濁幾多歧(기간청탁기다기)
샘물 한 줄기 구름 속에서 솟아나와 밤낮으로 쉴 새 없이 멀리 흘러가네 서쪽은 곤륜산 동쪽은 바다까지 그 사이에 청탁의 갈래 얼마나 많을까?
출전

4. 비표준어 '주구장창'

주구장창은 표준어가 아니다. 주구장창은 신조어인데 20세기 후반부터 주야장천보다 더 많이 쓰이는 입말이 되어버리고 있다. 누가 어떻게 퍼뜨렸는지조차 불명이다. 주야장천이 잘못 쓰인건지 아니면 그냥 별개로 생겨난 말인지도 불분명하다. 유독 방언과 맞춤법을 비틀기로 유명한 현대문학에서도 용례가 하나도 없다. 특히 앞에 붙은 '주구'의 유래는 아직까지 제대로 밝혀지지도 않은 출처 미상의 표기이다.[1] 게다가 장창에 대응되는 한자 표기는 현재로서 전혀 없으므로, 순 한글 표기로 적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한문의 사자숙어 주야장천을 다른 한자 숙어로 쓴다면 모를까 아예 대응되는 한자가 없다는 뜻이다. 그리고 동해안 일대의 방언을 기원하여 장창을 쓰고 있게 되었다는 사실마저 현재로선 그저 추측일 뿐이다. 이 변론은 주작이라는 단어처럼 부활을 노리고 쓰지도 않았다가 얼떨결에 딱 맞아버린 사례의 일종으로 볼 수 있겠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았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기재돼 있지만, 정작 여기서도 '변한 말'로 적시하고 있다.

KBS 예능 상상플러스 세대공감 OLD & NEW 2006년 4월 18일 74회차[2]에도 첫 번째 문제로 출제된 바 있다.


[1] 국립국어원에서는 '장창'만 쓴다면 허용되는 말이라고 보고 있다. 이는 '늘'의 황해도 강원도 일대 사투리가 바로 '장창'이기 때문이다. [2] 임하룡, 김수미, 신현준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