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6:26:22

국경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1. 개요2. 대한민국의 국경일
2.1. 법률상 국경일 (5개)2.2. 일반 국가기념일 (11개)2.3. 공휴일과의 상관성2.4. 타국과의 차이점
3. 외국의 국경일
3.1. 명문화된 기념일이 없는 국가3.2. 일본3.3. 중화민국3.4. 중화인민공화국

1. 개요

국경일(, National Holidays)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나라에서 법률로 정해 놓은 날이다. 중화권에서는 절일(节日/節日), 일본에서는 축일(祝日), 북한에서는 명절이라고 한다.

2. 대한민국의 국경일

2.1. 법률상 국경일 (5개)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1조(국경일의 지정) 국가의 경사로운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국경일(國慶日)을 정한다.

제2조(국경일의 종류) 국경일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3·1절: 3월 1일
2. 제헌절: 7월 17일
3. 광복절: 8월 15일
4. 개천절: 10월 3일
5. 한글날: 10월 9일
대한민국에서는 '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날만 국경일이다. 원래는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만 줄곧 있었으나, 2006년 한글날이 추가되었다. 대한민국 국기법에 따라 국경일에는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

5대 국경일 중에서 비교적 인지도가 높아서 중요시 평가되는 날은 광복절인 것으로 보인다. 이 날은 매년 빠짐없이 국가원수인 대한민국 대통령이 경축사를 직접 낭독한다. 또한 국경일 중 유일하게 북한 역시 대한민국과 동일한 날짜, 동일한 의미, 동일한 격으로 기념하는 날이다. 북한이 6.25 전쟁을 굳이 6월 25일에 일으킨 이유 중 하나가 바로 광복절에 통일이라는 의미까지 부여하려는 일환이었을 정도다. 단 1950년대 이전까지는 3·1절이 국가 최대 국경일로 대우받았으며, 삼일절을 한겨레 최대 국경일로 기술한 1949년 동아일보 사설 3.1 운동이 대한민국 건국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이 재조명됨에 따라 3·1절을 최대 국경일로 기념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3.1절은 겨레의 명절이다(1984.2.29) 국가기록원 3.1절

5대 국경일은 모두 해당 국경일에 맞는 노래가 있다. 요즘엔 아는 사람들이 드물 뿐. 한때(적어도 2000년대 후반까지는) 음악 교과서 맨 뒤 페이지에는 이 국경일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각각 제목은 삼일절 노래, 제헌절 노래, 광복절 노래, 개천절 노래, 한글날 노래. 각 국경일 문서 맨 위에 나와 있다.

한국의 계절 특성상 겨울에는 국경일이 없다. 2021년부터 공휴일인 국경일에는 대체휴일이 생긴다.

본래 절(節)은 황실 구성원의 탄일이나, 왕조의 창건일 등에 붙이는 최고위의 호칭이었다.[1] 근대에 이르러서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날에 붙이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국경일에 관한 법률로 규정된 4대 국경일(제헌절, 3.1절, 개천절, 광복절)에만 붙이는 호칭이었다.[2] 일(日)을 붙이는 날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3]에 근거한 날들로 5대 국경일 외에 국가에서 정한 공휴일들이다. 현충일, 석가탄신일, 기독탄신일(크리스마스)[4] 등의 5대 국경일이 아니면서 공휴일인 날들에는 '일'을 붙인다. 마지막으로 날은 '법령으로 정한 기념일'이면서 휴일이 아닌 날들에 쓰인다. 어버이날, 스승의날, 과학의날 등이 존재한다.

'날'이 붙은 여러 기념일들은 휴일은 아니지만 국가에서 기념일로 규정하고 있다. 보통 기념하는 규모가 '절(節)', '일(日)'에 비해 작고 개인이나 특정 집단 차원에서 기념하게 된다. 과학의 날은 과학계에서, 스승의 날은 사제지간끼리만 기념하는 것이다. 그러나 어린이날만큼은 예외적으로 휴일임에도 '날'을 붙인다. 요즈음에는 석가탄신일도 부처님 오신 날로 부른다. 노동계에서는 근로자의 날 노동절이라 부르기도 하나, 범용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공식적인 명칭은 아니다. 단 외국의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부르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본래는 '절(節)', '일(日)' '날' 순서로 중요한 날이었으나, 현대에는 한글날,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과 같이 여러 예외들이 생겼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2.2. 일반 국가기념일 (11개)

일반(영업상) 국가기념일은 5개의 법정 국경일에서 제헌절을 제외하고 7개를 추가하여 11개(=5-1+7)이다. 대개 시·도·지방 자치 단체의 운영일도 11개의 국가기념일에 따라 운휴/휴관 여부를 결정한다. 즉 공공기관(혹은 그에 준하는 준공영 기관)에서 가리키는 국가기념일 기준은 바로 이 11개를 일컫는다고 보면 된다.
1. 신정 ( 양력 1월 1일)
1. 설날 ( 음력 1월 1일[윤달])
1. 3·1절 (양력 3월 1일)
1. 부처님오신날 (음력 4월 8일[윤달])
1. 어린이날 (양력 5월 5일)
1. 현충일 (양력 6월 6일)
1. 광복절 (양력 8월 15일)
1. 추석 (음력 8월 15일[윤달])
1. 개천절 (양력 10월 3일)
1. 한글날[8] (양력 10월 9일)
1. 기독탄신일(성탄절, 크리스마스) (양력 12월 25일)

제헌절은 국경일이지만 국가기념일(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은행, 주식시장, 관공서, 사법기관 등 대부분의 기관이나 사업장들은 모두 정상적으로 근무한다.

2.3. 공휴일과의 상관성

국경일이라고 해서 반드시 공휴일이어야 할 이유는 딱히 없다. 일례로 제헌절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휴일에 미디어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해당 국경일의 의미를 국민들에게 인식시키자는 목적으로 다양한 특집 방송이 이루어지는 일이 많다.

한글날의 경우에서 보이듯, 시대에 따라 국경일의 범위가 더 커질 수도 있고 제헌절처럼 국경일이라고 다 공휴일인 것도 아니다. 애초에 국경일과 공휴일은 다른 개념이다. 국경일 중에서도 특히 격이 높은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2013년부터 공휴일로 재전환)만이 공휴일이며, 그나마 한글날도 날짜지정제에서 요일지정제로의 전환이 검토되는 등 위치가 꽤 아슬아슬하다. 특히 현충일을 국경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9]

다른 날보다 격이 훨씬 높은 기념일인 이상 당연히 태극기 게양이 권장되며, 현충일과 달리 경사스러운 날이므로 마음껏 즐겨도 상관없다.

그러나 일반 국민의 시선에서는, 공휴일 폐지의 의미가 쉬는 날이 아니게 됨이 아니라 국경일 자체의 폐지와 사실상 비슷하게 받아들인다는 인식이 크다. 쉬어줘야 의식이라도 하는데, 쉬지를 않으니 이런 날이 있는지조차 알 수 없게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즉, 어차피 쉬는 날도 아닌데 국가적으로 경사스러운 날이라고 강조해봤자 전혀 와닿지 않는 것이다. 제헌절의 경우도 공휴일이 폐지된 이후의 학생들에게는 제헌절이란 게 있었냐는 반응이 대단히 흔하게 나올 정도로 제헌절 개념이 옅어졌는데, 이는 공휴일 폐지가 사실상 유일한 원인이다. 제헌절은 엄연한 국경일인데 상공의 날, 경찰의 날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마이너한 기념일과 동급이 된 것. 당연히 제헌절에도 금융기관, 주식시장, 관공서 모두 정상적으로 근무한다.

2.4. 타국과의 차이점

한국의 국경일은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독특한 점이 몇 가지 있는데, 첫 번째는 종교적 색채가 매우 옅다는 점이다. 부처님오신날, 크리스마스처럼 종교의 최고 성인을 기리는 날은 종교적 색채가 강한 나라에선 당연히 국경일에 속한다. 물론 개천절에 관련해서만큼은 대종교가 입김을 좀 행사하긴 하지만 세간에서는 그냥 한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 건국기념일로 인식한다.[10]

두 번째로, 종교 관련 기념일 두 가지를 제외하면 모두 특정 인물의 출생일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타국에서 이나 국부 혹은 그 가족들의 생일을 국경일로 지정한 예가 많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당장 북한 김일성, 김정일의 생일을 각각 태양절, 광명성절 등으로 지정한 것과는 극명하게 대비된다.

또 하나의 독특한 점은 문자 반포일을 국경일로 지정한 것이다. 한글날 세종대왕 훈민정음을 반포했던 날로, 한글의 탄생일로 기념하는데, 특정 문자의 개발 역사부터 그 원리, 창제한 사람에 반포 시기까지 창제에 대한 모든 것이 역사에 정확히 기록된 문자는 한글 이외에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3. 외국의 국경일

해외에서는 대체로 미국의 인디펜던스 데이처럼 독립기념일이나 일본의 헌법기념일처럼 헌법을 제정한 날을 국경일로 삼는다. 중화민국( 대만)의 쌍십절이나 프랑스 프랑스 혁명 기념일처럼 공화정을 수립한 혁명이 일어난 날을 국경일로 기념하는 나라도 존재한다.

대만(중화민국)은 건국기념일의 개념인 중화민국개국기념일(中華民國開國紀念日)이 존재하나, 날짜가 1월 1일인데다가 일반 공휴일에 불과하여 새벽에 총통부 앞에서 열리는 식전 외에는 특별한 기념이라 할 것이 없다.

중국은 정부수립일인 10월 1일을 국경절로 기념하고 있다. 국경절을 시작으로 황금연휴가 시작되기 때문에 9월 마지막날에 영화 개봉이 몰려있다.

특이한 사례로 호주는 영국인이 최초로 호주 대륙에 상륙한 날을 호주의 날(Australia Day)로 기념하고 있으며, 스페인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날인 10월 12일을 국경일(Fiesta Nacional)로, 같은 날을 미국과 일부 중남미 국가들은 콜럼버스 데이(Columbus Day)[11]라는 국경일로 지정해 놓고 있다. 포르투갈은 민족시인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Luís Vaz de Camões)의 별세일인 6월 10일을 포르투갈의 날(Dia de Portugal)로 지정해 경축행사를 하고 있다.

이외에도 파키스탄 1940년 3월 23일 전인도 무슬림 리그가 라호르(Lahore)에서 이슬람계 인도인만의 독립국 건설을 결의한 날을 파키스탄의 날(Pakistan Day)로, 헝가리는 초대 국왕인 이슈트반 1세의 성인 등극일인 8월 20일을 건국기념일(State Founding Day)로 기념하고 있다.

3.1. 명문화된 기념일이 없는 국가

다만 국경일이 존재하지 않는 국가도 몇몇 존재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영국 아일랜드. 영국은 여왕 탄신일이 사실상 국경일이었으나 법률로 명문화되지는 않았고, 아일랜드는 부활절 봉기가 일어난 1916년 4월 24일 신 페인 아일랜드 공화국을 선포한 1919년 1월 21일 중 한 시점을 독립기념일로 지정하려는 시도가 몇 차례 있었으나 모두 무산되었다.

3.2. 일본

일본은 '국민 축일에 관한 법률'(国民の祝日に関する法律)이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대응한다. 한편, 일본의 '재판소의 휴일에 관한 법률'(裁判所の休日に関する法律)은 일요일, 토요일, 국민 축일, 12월 29일부터 익년 1월 3일까지(국민축일 제외)를 재판소의 휴일로 정하고 있다. 각 축일의 유래 및 연혁에 관해 상세한 것은 일본/공휴일 문서의 설명 참조.
제1조 자유와 평화를 바라 마지아니하는 일본국민은, 아름다운 풍습을 기르면서, 더 좋은 사회, 더 넉넉한 생활을 쌓아 올리기 위하여, 이에 국민이 함께 축하하거나, 감사하거나, 기념하는 날을 정하여, 이를 "국민 축일"로 명명한다.

제2조 "국민 축일"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12]
설날(元日) 1월 1일 ─ 해의 처음을 축하한다
성년의 날 ─ 1월 둘째 월요일 ─어른이 된 것을 자각하고, 스스로 꿋꿋이 살고자 하는 청년을 축하하고 격려한다
건국기념의 날 ─ 정령(政令)[13]으로 정하는 날 ─ 건국을 회상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기른다
천황탄생일 ─ 2월 23일 천황의 탄생일을 축하한다[14]
춘분의 날 ─ 춘분일 ─ 자연을 기리고, 생물을 사랑한다
쇼와의 날 ─ 4월 29일 ─ 격동의 나날을 거쳐, 부흥을 이룬 쇼와 시대를 뒤돌아보고, 나라의 장래에 생각이 미친다
헌법기념일 ─ 5월 3일 일본국 헌법의 시행을 기념하고, 나라의 성장을 기한다
초록( みどり)의 날 ─ 5월 4일 ─ 자연과 친함과 함께 그 은혜에 감사하고, 넉넉한 마음을 키운다
어린이(こども)의 날 5월 5일 ─ 어린이의 인격을 존중하고, 어린이의 행복을 꾀함과 함께, 어머니에게 감사한다
바다의 날 ─ 7월 셋째 월요일 ─ 바다의 은혜에 감사함과 함께, 해양국 일본의 번영을 기원한다
산의 날 8월 11일 ─ 산과 친하는 기회를 얻고, 산의 은혜에 감사한다
경로의 날 ─ 9월 셋째 월요일 ─ 다년에 이르도록 사회에 애써 온 노인을 경애하고, 장수를 축하한다
추분의 날 ─ 추분일 ─ 선조를 공경하고, 돌아가신 사람들을 회상한다
체육의 날 ─ 10월 둘째 월요일 ─ 스포츠를 즐기고, 건강한 심신을 가꾼다
문화의 날 ─ 11월 3일 ─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고, 문화를 향상시킨다
근로감사의 날 ─ 11월 23일 ─ 근로를 존중하고, 생산을 축하하며, 국민이 서로 감사한다

제3조 ① "국민 축일"은 휴일로 한다.
② "국민 축일"이 일요일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날 다음에 그 날에 가장 가까운 "국민 축일"이 아닌 날을 휴일로 한다.
③ 그 전일 및 익일이 "국민 축일"인 날("국민 축일"이 아닌 날에 한한다)은 휴일로 한다.

3.3.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기념일급 절일에 관한 시행규정(紀念日及節日實施辦法)'을 통해 국경일을 지정하고 관리한다. 해당 법은 행정원을 통해 제정되었으며, 민국 43년 1월 27일 최초 시행을 시작으로 현재는 민국 103년 6월 11일 개정판을 기준으로 한다. 자세한 정보는 공휴일/대만을 참조.
기념일급 절일에 관한 시행규정 (민국 103년 개정)

제1조 기념일과 절일에 관한 규칙은 본 법에 따른다.

제2조 기념일은 다음과 같다.
중화민국개국기념일(中華民國開國紀念日): 1월 1일
화평기념일(和平紀念日): 2월 28일
③반침략일(反侵略日): 3월 14일
④혁명선열기념일(革命先烈紀念日): 3월 29일
부처탄신기념일(佛陀誕辰紀念日): 음력 4월 8일[윤달]
⑥해엄기념일(解嚴紀念日): 7월 15일[16]
⑦공자탄신기념일(孔子誕辰紀念日): 9월 28일
국경일(國慶日): 10월 10일
⑨대만연합국일(臺灣聯合國日): 10월 24일
국부탄신기념일(國父誕辰紀念日): 10월 25일
⑪헌정기념일(行憲紀念日): 12월 25일
국부서세기념일(國父逝世紀念日)은 3월 12일 식수절(植樹節)에 거행한다.

제3조 전 조의 기념일에는 전국에 국기가 게양되며, 기념법은 다음과 같다.
①중화민국개국기념일 및 국경절: 중앙과 지방정부가 별도로 기념활동을 거행하며 각 기관, 단체, 학교 등에서 개별적으로 기념 및 1일 휴가가 가능하다.
②화평기념일: 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 기념활동을 거행하며 하루를 쉰다.
③국부서세기념일: 식수절에 기념한다.
④반침략일, 해엄기념일, 대만연합국일: 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 기념활동을 거행한다.
⑤혁명선열기념일: 중앙과 지방정부가 별도로 춘절에 국상한다.
⑥부처탄신일: 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 기념활동을 거행한다.
⑦다음 기념일에는 중앙과 지방정부가 별도로 기념활동을 거행하며 각 기관, 단체, 학교 등에서 개별적으로 기념할 수 있다.
(1)공자탄신기념일
(2)국부탄신기념일
(3)헌정기념일

제4조 다음 민속 절일의 경우, 춘절 연휴 3일, 그 외 1일을 쉰다.[윤달]
춘절(春節)
②민족소묘절(民族掃墓節)
단오절(端午節)
중추절(中秋節)
⑤농력제석(農曆除夕)
⑥원주민족 세시제의(原住民族歲時祭儀): 각 원주민족의 휴일로, 행정원의 원주민위원회는 각 원주민의 관습을 공포하고 해당일에 정부 공보를 발행한다.

제5조 다음 기념일의 경우, 각 기관, 단체, 학교 등에서 개별적으로 축하활동을 할 수 있다.
①도교절(道教節): 음력 1월 1일[윤달]
부녀절(婦女節): 3월 8일
③청년절(青年節): 3월 29일
아동절(兒童節): 4월 4일
노동절(勞動節): 5월 1일
⑥군인절(軍人節): 9월 3일
교사절(教師節): 9월 28일
⑧대만광복절(臺灣光復節): 10월 25일
⑨중화문화부흥절(中華文化復興節): 11월 12일
다음 항의 날은 다음 규정을 통해 쉴 수 있다.
(1)아동절: 휴가 1일. 단 민족소묘절과 겹칠 경우 전날에 1일을 쉰다. (단 목요일의 경우에는 익일에 쉰다.)
(2)노동절: 노동자 휴가.
(3)군인절: 국방부 규정에 따라 휴가.

제5-1조 기념일 및 절일이 정례휴일인 경우 휴일을 보충한다. 정례휴일이 토요일인 경우에는 전일에 보충하며, 정례휴일이 일요일인 경우에는 익일에 보충한다. 단 농력제석과 춘절 연휴는 정례휴무이며, 일괄 익일에 보충한다.

제5-2조 제2조, 제4조, 제5조는 기념일 및 절일에 특별한 의미를 두며, 경축 혹은 거행이 필요한 날에는 유관기관과 자체적으로 협의하여 시행한다.

제6조 이 규정은 공포일에 시행한다.
이 규정은 중화민국 99년 11월 2일에 개정하여 100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중화민국 103년 6월 11일 개정 조문은 104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3.4. 중화인민공화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 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 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 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 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 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 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 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 비판) · 외교부 · 여권( 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 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 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 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 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 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 대한민국) · 반중( 대한민국) · 혐중( 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 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 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 계급) · 홍콩 보안국( 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 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 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 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 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 육전대) · 공군( 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 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 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 대장정) · 중일전쟁( 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 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 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 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 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 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 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 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 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 민족 · 한족) · 공휴일( #중화인민공화국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 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 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 순위) · 구교연맹( 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 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 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 강주아오 대교) · 철도( 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 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 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 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 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 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 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 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 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중화인민공화국은 '전국 연절급 기념일 휴가규정(全国年节及纪念日放假办法)'를 통해 국경일을 지정하고 관리한다. 해당 법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을 통해 제정되었으며, 1949년 12월 23일 최초 시행을 시작으로 현재는 2013년 12월 11일 개정판을 기준으로 한다. 자세한 정보는 공휴일/중국을 참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령 제 644호

현재 '전국 연절급 기념일 휴가규정'의 국무원 수정을 결정하여, 2014년 1월 1일을 기해 시행한다.

총리 리커창

2013년 12월 11일

제1조 전국의 절일과 기념일을 통일하기 위해 이 법안을 제정한다.

제2조 전 공민의 절일은 다음과 같다.
신년(新年), 휴가 1일( 1월 1일)
춘절(春节), 휴가 3일( 음력 1월 1일, 2일, 3일[윤달])
③청명절(清明节), 휴가 1일( 청명)
노동절(劳动节), 휴가 1일( 5월 1일)
단오절(端午节), 휴가 1일( 음력 5월 5일[윤달])
중추절(中秋节), 휴가 1일( 음력 8월 15일[윤달])
국경절(国庆节), 휴가 3일( 10월 1일, 2일, 3일)

제3조 일부 공민의 절일은 다음과 같다.
부녀절(妇女节) 3월 8일, 여성에 한해 휴가 반일
②청년절(青年节) 5월 4일, 만 14세 이상의 청년에 한해 휴가 반일
아동절(儿童节) 6월 1일, 만 14세 미만의 아동에 한해 휴가 1일
중국 인민해방군 건군기념일(中国人民解放军建军纪念日) 8월 1일, 현역 군인에 한해 휴가 반일

제4조 소수민족 관습적 휴일은 소수민족이 밀집된 지방 인민정부에 의해 관습적 휴일로 지정 할 수 있다.

제5조 27주년 기념일, 5.30 기념일, 7.7 항전기념일, 9.3 항전승리기념일, 9.18 기념일, 교사절(教师节), 호사절(护士节), 기자절(记者节), 식수절(植树节) 등의 절일과 기념일은 쉬지 않는다.

제6조 전 공민이 쉬는 경우, 토요일 일요일에 휴일이 있을 경우 평일에 보충한다. 일부 공민이 쉬는 경우 보충하지 않는다.

제7조 본 법률은 공포와 동시에 시행한다.


[1] 절일 문서 참조. [2] 그러나 이후 한글날이 국경일로 편입되었음에도 한글날을 한글절로 바꾸지는 않았다. [3] 법률보다 격이 낮다. [4] 법령상 호칭이나, 성탄절 등으로 더 많이 불린다. 이 외에도 종교적으로 절(節)이 붙는 날은 사순절, 부활절 등이 존재한다. 이 역시 법령으로 규정된 호칭은 아니다. [윤달] 윤달 제외. [윤달] [윤달] [8] 1990년부터 2005년까지는 일반 기념일, 2006년부터 2012년까지는 휴일이 아닌 국경일. [9] 현충일은 국가를 위해 희생되거나 목숨을 바친 사람들을 추모하는 날이다. 따라서 국가의 입장에서는 경사스러운 날이 될 수 없으며 오히려 슬픈 날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10] 이는 단군신화가 전 국민들에게 보편적으로 퍼진 한반도의 건국신화이기 때문이다. 즉, 거부감이 없다는것. [11] 하지만 콜럼버스가 원주민을 학살한 침략자라는 이미지도 있기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는 원주민 저항의 날로 바꾸자는 움직임이 있다. [12] 편의상 ─로 구분하겠다. [13] 내각이 발하는 법규명령 [14] 나루히토의 생일이다. 아키히토 상황의 헤이세이 시대에는 12월 23일, 쇼와 천황 치세에는 그의 생일인 4월 29일이 천황탄생일이었다. 지금은 쇼와 천황의 생일이 쇼와의 날로서 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윤달] [16] 국공내전 말기 데만 전역에 선포된 계엄령이 1989년 7월 중국 대륙 근방인 푸젠성을 제외하고 전면 해제된 날을 기념한다. 한국으로 치면 6.29 선언 기념일을 공휴일로 지정한 격. [윤달] [윤달] [윤달] [윤달] [윤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