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1:40:01

서울역

남대문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역을 배경으로 한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에 대한 내용은 서울역(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에 대한
이 문서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경의선 경성 - [ruby(서소문, ruby=1930~1944)] - [ruby(아현리, ruby=1930~1944)] - 신촌
경부선 [ruby(서대문, ruby=1900~1919)] - 남대문
서울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행신 방면
행 신
← 14.9 ㎞
<colbgcolor=#003da5> 경부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부산 방면
광 명
22.0 ㎞ →
시종착 경부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수원 경유)
부산 방면
영등포
9.1 ㎞ →
행신 방면
행 신
← 14.9 ㎞
[1]
경전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진주 방면
광 명
22.0 ㎞ →
동해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포항 방면
호남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목포 방면
용 산
3.2 ㎞ →
전라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여수엑스포 방면
경강선(강릉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강릉 방면
청량리
15.9 ㎞ →
시종착 영동선(강릉선)
중앙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동해· 안동 방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시종착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
부산· 신해운대 방면
영등포
9.1 ㎞ →
경전선
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
진주 방면
경부선
파일:ITX-마음 BI_White.png
부산 방면
영등포
9.1 ㎞ →
경부선
무궁화호
충북선
무궁화호
제천 방면
영등포
9.1 ㎞ →
S-train
여수엑스포 방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서울역(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연천 방면 1호선
(133)
시 청
← 1.1 ㎞
남 영
1.7 ㎞ →
1호선
'''
경부선 급행 A
'''
청량리 방면 신창 방면
진접 방면
회 현
← 0.9 ㎞
4호선
(426)
오이도 방면
숙대입구
1.0 ㎞ →
서울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시종착 1호선
'''
경부선 급행 B
'''
천안, 신창 출발
영등포
천안 방면
금천구청
문산 방면
신 촌
← 3.1 ㎞
경의·중앙선
(P313)
시종착
경의·중앙선
'''
경의선 급행 A
'''
시종착 <colbgcolor=#0090d2> 공항철도
일반열차

(A01)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공 덕
3.3 ㎞ →
공항철도
'''
직통열차
'''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인천공항
1터미널

58.0 ㎞ →
운정중앙 방면
연신내
← 9.4 ㎞
GTX-A
(X106)
시종착
[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인천대입구 방면
용 산

← 3.2 ㎞
GTX-B
건설 중
마석 방면
청량리

8.4 ㎞ →
}}}}}}}}} }}}}}}}}}
역명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경부선 서울
Seoul
서울 / 首尔 / ソウル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선
1호선 서울역
Seoul Station
서울驛 / 首尔站 / ソウル[ruby(駅, ruby=ヨク)][3]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GTX-A }}}}}}}}}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경부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
경의선
경의·중앙선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122-28)
1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2
(남대문로5가 73-6)
4호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392
(동자동 14-151)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동자동 43-205)
GTX-A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166-1 }}}}}}}}}
역 코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한국철도공사 AFC: 1001 경부선 , 125 경의선
일반철도: 001 발매, 010000통계
서울교통공사 AFC: 0150 1호선, 0426 4호선
공항철도(주) AFC: 4201
일반철도: C10000 (통계)
}}}}}}}}}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경부선
(1~2번 승강장)
무배치간이역 ( 가좌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KN]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경부선
(3~14번 승강장)
관리역[5]
(1급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경의선 무배치간이역 ( 가좌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KN]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인천국제공항철도 그룹관리역[7]
( 공항철도㈜ 영업본부)
1호선 종로영업사업소 서울(1)역
(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4호선 종로영업사업소 서울(4)역
(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경의선
1호선 (지상)
1호선 서울교통공사
4호선
공항철도 공항철도(주)
GTX-A 지티엑스에이운영(주)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일반 철도
경인선 1900년 7월 8일
경부선 1905년 1월 1일[8]
경의선 1921년 7월 11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11월 1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S-train 2013년 9월 27일
수도권 전철
1호선 1974년 8월 15일
4호선 1985년 10월 18일
경의선 2009년 7월 1일
[[인천국제공항철도|{{{#!wiki style="letter-spacing: -1.5px"]] 2010년 12월 29일
GTX-A 2024년 12월 28일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지상 1층 경부선 · 경의선
지하 2층 1호선 <colbgcolor=#00a4e3> 4호선
지하 7층 공항철도
지하 3층 GTX-A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경부선 8면 20선 복합식 승강장
(승강장 횡단 가능)
경의선 1면 6선 단선식 승강장
1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4호선
공항철도 2면 3선 복합식 승강장(1섬식, 단선식)
(승강장 횡단 가능)
GTX-A 복선 상대식 승강장 }}}}}}}}}
철도거리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점 경부선
서 울
부산 방면
남 영
1.7 ㎞ →
경의선
서 울
도라산 방면
신 촌
3.1 ㎞ →
인천국제공항선
서 울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공 덕
3.3 ㎞ →
운정중앙 방면
연신내
← 9.4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에이선

서 울
종점
0.8 ㎞ →
경부선 경의선은 남북 방면으로 상호 직결되어 있다. }}}}}}}}}
참고 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타 노선 ↔ 경의·중앙선 환승 시 1회용 교통카드 및 정기권으로 환승 불가
    • 정기권 환승 시 이용 횟수 1회 차감
    • 일반 교통카드는 환승이 가능하지만 환승횟수가 1회 차감

  • 노선별 이 역의 전산상 명칭은 아래와 같음
    • 1호선: 지하서
    • 1호선(지상), 경의·중앙선: 서울
    • 4호선: 4서울
    • 공항철도: 서울공
    • GTX-A: G서울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역 주변 주요 건물3.2. 서울역 주변 재개발3.3.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3.4. 서울로70173.5. 남부 역세권 개발 계획3.6.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4.2. 일반·고속철도
5. 승강장6. 연계 교통7. 사건·사고8. 대중매체9. 여담
9.1. 철도기점비
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1601294913453.jpg
서울역 신 역사[9]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날아오르다
서울역은 1900년 7월 8일, 남대문 정거장이라는 이름의 33㎡의 단층 목조 건물로 처음 문을 열었다. 1923년 경성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약 3년간의 공사를 거쳐 1925년 스위스 루체른 역을 모델로 한 르네상스와 바로크 절충 양식의 역사(현, 문화역서울284)가 준공되었다. 1947년 서울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꾸준한 확장을 통해 명실상부한 수도 서울의 관문으로서 위용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1988년 현대식 건물의 민자역사시대를 맞아했고, 2004년 고속철도시대를 여는 시발역으로 재단장하였다. 서울역은 세계로 뻗어가는 활 모양을 모티브로 유리와 철골구조로 지어졌고, 타는 곳의 웅장한 지붕은 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비상하는 새의 날개를 연상시킨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2. 역 정보

파일:서울역 배선도1.png
서울역 배선도
역사 남북 쪽 출입문이 상시 개방된 탓에 이 문으로 비둘기가 수시로 역사 안에 난입해서 돌아다닌다.

출구 번호가 다소 헷갈린다는 지적이 많다. 다른 노선의 출구가 겹치는 숫자를 써서 통합해서 관리해 달라는 요구가 있고,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나는 문제이다. 한편 외국인들은 서울역에 정차하는 1·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의 노선 색상이 모두 청색 계열(진청색, 청색, 하늘색, 옥색)이라 헷갈린다고 가끔 불편을 호소한다.[10] 차후 청색 계열의 GTX-B(군청색)와 적색 계열의 GTX-A(보라색)[11], 신분당선(적색), 신안산선(다홍색)이 건설 및 계획 중이라서 더욱 우려된다.

2.1. 안내도

파일:서울역 안내도(지상역사).png 파일:서울역 안내도(1,4,경의중앙 2022.9 ver).png 파일:서울역(공항철도) 안내도.png
1호선 본선, 4호선, 지상 대합실 1, 4호선, 경의·중앙선, 지상 1~4번 승강장
( 크게보기)
공항철도
( 크게보기(PDF))

2.2. 역사(歷史)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역 2002년.jpg
과거 민자역사의 대합실 (2002년)
파일:서울역 대합실 2.jpg
현재 서울역사의 대합실 (2020년)[12]

2.3. KTX·일반열차 (본역사)

민자역사
정식 명칭 한화커넥트주식회사
영어 명칭 Hanwha Station Development Co., Ltd.
설립일 1987년 9월 14일
업종명 부동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기업 규모 대기업
파일:IMG_58114.jpg
한국철도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서울역사 (2004년 준공)
파일:서울역 스탬프_2.jpg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준공된 역사로, 원래는 한화그룹 계열의 갤러리아백화점 콩코스점이 입점해 있었으나 영업 부진으로 폐점하고 대신 그 자리를 롯데쇼핑에 20년간 임대하여 2013년 1월 18일부터 롯데아울렛 서울역점이 개점했다.

신역사 개업 및 고속철도 개통 이후 선로용량 부족 문제로 호남선/ 전라선 계열 열차의 시종착역 기능을 용산역에 넘겨주면서 경부선 계열 전용역이 되었다. 2016년 12월 SRT 개통과 함께 전용역 제도가 폐지되면서 서울역에서 호남/전라선 KTX 24편성이 시종착하게 되었고, 반대로 용산역에서도 경부선 KTX 24편성이 시종착하게 되었으나, 용산 착발 경부선은 2018년 수요 부족을 이유로 폐지되어 서울역 착발로 환원되었다.

그리고 2017년 개통한 강릉선 KTX 중 일부가 서울역에서 착발하고, 원래 중앙선 허브역인 청량리역에서 시종착하던 중앙선 KTX도 2023년 말부터 일부 편성에 한해 서울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2024년 현재 기준으로 서울역에서는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호남선, 전라선, 강릉선, 중앙선까지 총 7개 계통의 고속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도 KTX-1, KTX-산천, KTX-이음, KTX-청룡 등 KTX의 4개 차종을 모두 볼 수 있다.

다만 서울역에서 착발하는 호남선/전라선 KTX는 전체 편성 중 극히 일부이고, 중앙선도 비슷한 상황이라 현재의 서울역은 사실상 경부선+강릉선 허브역이라 할 수 있다.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급 일반열차의 경우 고속열차와 달리 전용역 제도가 엄격하게 유지되고 있어 경부선 계열 열차는 서울역에서만, 호남/전라선 계열 열차는 용산역에서만, 중앙선 계열 열차는 청량리역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관광열차의 경우 전라선을 경유하는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이 유일하게 용산역이 아닌 서울역에서 시종착한다. 또한 일부 KTX가 차량기지가 있는 고양시 행신역까지 연장운행하는 것과 달리 경부선 계열 일반열차는 100% 서울역에서 시종착한다는 차이점도 있다.

한국은 수도 서울 방향이 상행이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모든 열차는 하행이며, 서울역에 종착하는 모든 열차는 상행이다.
파일:external/member.segye.com/20110804002241_0.jpg
구 서울역사 전경

이는 1923년에 일제강점기에 신축된 경성역사로, 사적 284호이다. 2004년에 신 역사 완공한 이래 버려졌다. 한국철도공사가 거의 관리를 하지 않았던 것도 있었지만, 특히 노숙자들이 몰려들면서 흉물로 전락했다. 2007년 7월 24일에 관리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바뀌었고, 2008년 5월 1일에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뀐다. 2011년 8월 9일에 문화역 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열어서,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 그렇게 역으로서의 역할은 끝나나 싶었는데 2017년에 강릉선 KTX 운행으로 인해서 서부역사에 있던 경의·중앙선 승강장이 구 서울역 앞으로 옮겨가면서 역 업무를 재개했다.

경의·중앙선 역사는 대합실이 옛 서울역의 승강장이 있던 자리에 마련되어 있다.[13] 이곳으로 오가려면 밖으로 나와야 한다. 또한 옛 서울역 정문으로는 진입이 불가하며, 현 서울역과 구 서울역 사이에 마련된 경의·중앙선 전용 입구로 들어가야 한다. 다만 배차 간격이 1시간이라서 미리 운행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시간이 맞는다면 탈 만하다. 만일 그게 아니고, 지상 신촌역 방면으로 간다면 차라리 1호선을 타서 시청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낫다. 가좌 · 일산역 방면으로 간다면 공항철도를 타서 홍대입구역에서 갈아타는 것이 좋다. 경의·중앙선과 1, 4호선 · 공항철도 간 갈아탈 때에는 예외로 선 · 후불교통카드만 제한 시간안에 처리가 가능하다. 다만 환승 거리 누적이 서울역에 강제로 걸쳐지므로 총 지불하는 운임도 많아질 수 있다. 경의·중앙선 서울역 발매기에서 일반 서울역을 도착역으로 지정하면 1,650원이 나온다.

옛 역사 때인 1988년에 선상역사가 지어졌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고, 2004년에 지어진 새 역사와는 별도이다. 이 민자역사는 한화역사에서 서울프라자쇼핑을 거쳐서 ' 갤러리아백화점 서울역점'이 영업했다. 새 역사가 지어지자 역무시설과 갤러리아백화점이 철거된 자리에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이 들어와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2004년에 지어진 역사는 민자역사 30년 점용기한에 따라서 2032년까지 점용이 가능하지만, 1988년에 지어진 선상역사는 2017년에 점용기한이 만료되었고, 그 뒤에 한화역사에서 연장해서 영업하고 있다.

2번 선로에는 천안역으로 가는 1호선 급행열차(#K1945, 18:32분 1회만 출발.)가 운행된다. 1982년에 최초 신설된 급행 전동차 노선으로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한다. 2019년 12월 30일 1호선 급행 운행 체계 개편으로 37년의 역사를 끝으로 폐지되었다가 열차 지연 등 민원으로 약 1달 만인 2020년 1월 28일 부활했다. 이 승강장은 다른 전철 노선과 갈아탈 수 있도록 지하 환승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가 없어 이용할 때 주의하자.

2.3.1. 서울역 구내 시설

역사 안에 여러 패스트푸드점들이 입점해 있다. 롯데리아, 버거킹, 맥도날드가 있으며, 롯데리아와 맥도날드는 2층에, 버거킹은 3층 태극당 옆에 있다. 롯데리아는 맥도날드 옆 외에 서울역 밖의 광장에도 입점해 있었으나 그곳은 폐점하고 다이소 매장으로 바뀌었다. KFC도 3층 버거킹 옆에 들어와 있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서 2020년 11월 30일부로 폐점하였으며, 그 자리에는 현재 태극당이 입점해있다.

2.3.2. 문화역서울28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화역서울28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3. 서울역 3층 사전투표소

파일:2017050401000143400012991.jpg
서울역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의 모습
서울역 3층 맞이방은,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까지 사전투표소로 활용되었다.

서울역이 소재한 행정구역인 용산구 남영동 사전투표소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남영동 주민들은 관내사전, 그 외에는 관외사전투표로 처리한다. 물론 용산역과 함께 관외사전투표인이 훨씬 많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용산구 남영동 사전투표소가 동주민센터로 지정되어 서울역에 설치되었던 사전투표소가 폐지되었다.

2.4. 수도권 전철 1호선, 4호선 - 지하 서울역

“이번 역은 서울역, 지하 서울역입니다.”
한국철도공사 차량의 안내방송
“이번 역은 서울역, 서울역입니다.”
서울교통공사 차량의 안내방송
파일:Dark Blue line Line number 1 Seoul Station.jpg
서울역 1호선 옛 폴사인 (1985년 당시)
파일:서울역 1호선 옛 폴사인.jpg
서울역 1호선 옛 폴사인 (철거 직전)
파일:85서울역.jpg
서울역 4호선 옛 폴사인
파일:Seoulstnfront.png
'서울역(앞)'이라고 쓰여진 4호선 예전 역명판의 모습
파일:서울역 1호선.jpg
1호선 대합실
파일:서울역4호선.jpg
4호선 대합실

4호선 역명은 1990년대 초까지는 '서울역(앞)'역이었으나, 역명이 너무 거추장스러워서 1호선과 마찬가지로 '서울역'으로 고쳤다. 지하 서울역은 서울을 대표하는 철도역 자체가 '도시철도 역의 랜드마크'가 되어서 '서울역'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 내부의 네트워크(통칭 '핸디')에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관할권이 다른 이런 역들을 구분하기 위해 실제로 "서울역역", "부산역역" 등으로 쓴다. 네이버 지도에 도시철도 서울역과 부산역 주변 건물을 검색하면 하단에 '서울역역' / '부산역역'에서 00m'으로 표기된다.[14] 단,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은 정식 이름이 대전역이다. 옛날 안내방송도 "대전, 대전역입니다"이었으나 지금은 "대전역, 대전역입니다"로 바뀌었다. 다만 외부 공문으로는 표현하지 않는다. 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할권 문제로 인해서 다르게 쓰는 것이다. 이름을 같이 하면 "서울역"이라고 썼을 때에 어느 쪽 관할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 이유였다. 또한 차내 안내방송의 구체적 표현도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가 다르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번 역은 서울역, 지하 서울역입니다"로,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역은 서울역, 서울역입니다"로 안내한다.

파일:attachment/491213_1_chungmyeng.jpg

위의 사진을 보면 1호선 지하 서울역 사진 중 흔히 합성이라고 생각하는 사진으로, 사실은 2호선 신규 차량을 견인하는 것이다. 2005년 사진이므로 서울메트로 2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을 끌고 있다. 2호선은 직류 전용이기 때문에 차가 교류가 흐르는 지상 구간은 스스로 운행을 못해서 디젤 기관차가 일일이 끌어와야 한다. 디젤 기관차는 지하 서울역에 들어간 뒤, 연결 차량과 분리하고 나서 시청역 방면의 회차선에서 하행으로 방향을 바꾼 뒤에 역주행해서 다시 지상으로 나간다. 그 뒤로 반입된 2호선 전동차는 신설동역 근처에 있는 꽈배기굴을 통해서 2호선 성수지선과의 연결선로로 이동하여, 군자차량사업소 신정차량사업소로 들어간다. 2017년 5월부터 도입된 2000호대 VVVF 3차분도 위 사진처럼 지하 서울역에서 기관차와 분리한 뒤에 군자차량사업소 또는 신정차량사업소까지 자력회송했다. 옛날에 5, 8호선 열차도 이 경로대로 도입 후 2호선 까치산역 연결선로로 회송했으며 2018년 5월에 도입된 5호선 하남 연장 증차분도 지하 서울역까지 디젤 기관차가 견인했다.

1974년 1호선 전동차를 입환할 때 디젤 기관차가 서울역까지 견인했었고, 입환 당시에는 서울역~남영역 교직절환구간 전차선이 아직 건설되지 않았다. 1994년 4호선 쵸퍼제어 열차가 2호선으로 이적하는 과정에도 디젤 기관차가 금정역에서 서울역까지 견인했었다.


2005~2008년 안내방송이다. 영상에 1990년대 혹은 2000년대 초반이라고 나와 있는데, 영상에서 제니퍼 클라이드는 영어방송을 2005년부터 담당했다. 그 앞 성우는 인천지하철 1호선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승강장 진입 영어 방송을 담당하던 리사 켈리이다. 그 앞으로 가면 수잔 맥도날드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안내방송이 은영선 · 제니퍼 클라이드 성우로 개정하기 전에 조예신 성우와 함께 안내방송을 담당하였다.

2015년경에 1호선 맞이방 혼잡도 개선공사가 완료되었다. 1호선으로 내려가는 곳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새로 설치되었고, 맞이방이 확장되었으며, 플랩 - 슬림형 개찰구도 새로 설치되었다. 현재 두 노선 모두 Y자 유치선이 있으며, 모두 하행으로 자리한다. 1호선은 평일 양주발 서울역행 2회 휴일 양주발 서울역행 1회가 운행하고 그 후 서울역 막차 주박 뒤에 광운대행으로 운행한다. 또한 경부선 계통 서동탄발 서울역행 평일, 주말 각각 1회가 있다. 4호선은 오이도 방향 시 · 종착하는 첫차 · 막차가 한 대씩 있다. 4호선은 주박 뒤에 불암산행으로 운행한다. 가끔 낮에 4호선 유치선에 전동차가 있는데 이는 충무로역 연결선로로 지축차량사업소에 중검수를 받으러 가면서 잠시 주박하는 것이다. 4호선 운행 초기에는 러시 아워에만 서울역행 열차를 운행했다.[15]

1호선은 남영역 방면으로 지상 출구가 보인다. 1호선 역사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안성기 주연의 1983년 영화 '풀잎처럼 눕다'에 4호선 개통 전 1호선 서울역의 모습이 잘 나와있다.[16]

1호선 및 4호선 대합실과 연결된 출입구는 총 15개이다. 이 중에서 6번~9번 출입구은 1968년에 개통된 서울역 지하보도이며, 이 시설은 서울교통공사가 아닌 서울 중구에서 관리한다. 본래 이 지하보도는 서울역 구역사 앞에도 출입구가 있었으나 1호선 공사 당시 철거되었고 서울역 2번 출입구로 대체되었다.

2.4.1. 연결선 계획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 당시에 1호선과 1기 지하철 계획의 옛 4호선의 연결선로를 만들려는 계획도 존재했었기에 1호선 쪽에 일부 구간을 미리 건설했다. 1호선 남영역 방면 선로를 보면 터널이 넓어지는데 이게 그 흔적이다. 하지만 1호선 개통 후 얼마 안 되어 옛 4호선을 백지화해서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옛 4호선은 한강을 두 번 넘는 ∩자형 노선이었다(포이동↔장충동↔동대문↔종로↔을지로↔서울역↔한강로↔대림동).

4호선이 지금의 서울 지하철 4호선으로 바뀌면서 연결선로 계획도 되살아났지만 창동차량사업소 - 경원선 연결로 대신하여 실현되지 않았다. 현재 4호선 배선도에서 숙대입구역 방면 선로 오른쪽에 반대편으로 빠지는 선로를 볼 수 있으며 길이도 그리 안 길어서 모터카용 유치선으로 쓰고 있다. 예전에는 비록 어두웠어도 육안으로 보였지만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에는 숙대입구역 방면 터널의 구석에서 조금만 보인다.

2.5.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문화역서울284

파일:서울역 경의선.jpg
경의·중앙선 대합실

경의·중앙선 전철은 고속/일반열차가 쓰는 본역사를 사용하지 않고, 문화역서울284(구역사) 북쪽 끝에 있는 별도의 출입구를 통해 경의중앙선 전용 역사로 진입할 수 있다. 열차에서 내리자마자 카드를 찍을 수 있는 바로타 구조이며, 현재는 서울역에서 시종착하는 경의·중앙선 지선 열차가 모두 4량 편성이기 때문에 승강장도 딱 4량 대응이다. 서울역에 도착한 열차는 별도의 회차 과정 없이 바로 문산행/대곡행으로 행선지를 바꾼 후 배차간격에 따라 10~30분 정차한 뒤 반대 방향으로 출발한다.

일반열차를 타고 본역사에서 내린 승객이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려면 역광장으로 나와 왼쪽으로 쭉 걸어가야 하며, 1/4호선에서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려면 2번 출구로 나가서 바로 앞에 있는 경의중앙선 전용 출구로 다시 들어가야 한다. 즉 직접환승이 안 되며, 간접환승을 해야 한다. 그래서 서울역은 하차 후 이 노선으로 환승 시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경의·중앙선 승강장의 남쪽 연장선상에 본역사 4번 승강장이 있지만 철문으로 막혀 있어 경의중앙선에서 일반열차로 환승하려면 반드시 경의·중앙선 출구로 나갔다가 다시 본역사로 들어가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2.6. 서부역

파일:서울역_서부역.jpg
구 서울역사의 정 반대편에 지어진 서부역의 모습 (2003년)

한때 서울역의 서쪽 출입구를 담당하던 건물로, 현재는 롯데마트가 입점해 있다. 서부역 건물과 롯데아울렛으로 올라가는 계단 사이에 조그만 출입구가 있으며, 이 출입구는 서울역 서쪽 맨 끝에 있는 승강장과 연결된다. 과거에는 경의·중앙선이 이 승강장과 출입구를 이용했으나, 강릉선 KTX 개통 후 지금의 승강장으로 옮겨가면서 지금은 출입구가 굳게 잠겨 있다. 이 서쪽 승강장은 승강장 번호도 부여되어 있지 않고, 경의·중앙선 승강장 이동 이후로는 정차하는 열차도 없는 유령 승강장이 되었다. 본역사의 13·14번 플랫폼으로 내려가면 14번 승강장 건너편에 이 유령 승강장이 정면으로 보인다.

2.7. 인천국제공항철도

파일:서울역 인천국제공항철도.jpg
인천국제공항철도 대합실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기준으로 남서쪽에 있다.

온갖 지하 시설물이 들어차 있는 도심인 데다가 대심도로 지어진 탓에 승강장이 지하 7층(51.9m)에 있는데, 이는 수도권 전철 역에서 서해선 김포공항역(83m), 8호선 산성역(55.4m)에 이어 세 번째로 깊으며 열차를 한 번 타려면 끝없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계단을 내려가야 하는 막장환승이다. 서울역 맞이방에서 공항철도 승강장까지 내려가는 데 약 5분이 걸린다.

지하역이지만 지상에도 맞이방이 있으며 이는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맞이방과도 연결되어 있다. 원래는 환승 통로가 따로 구축되지 않아 기존 1호선이나 4호선과 갈아타려면 하차 태그 후 다시 승차 태그를 하는 간접환승을 해야 했다. 이러다 보니 막장환승인 데다가 하차를 찍고 나와야 하므로 오히려 교통비가 늘어날 수 있었다. 물론 버스를 갈아타는 것처럼 환승 시 기본운임 감면은 되지만 선 · 후불카드는 서울역까지의 구간요금이 다 찍히기에 총 이동 경로에 따라 비용이 늘어날 수 있었고, 1회권이나 정기권은 그것도 감면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환승 통로가 개설되어 환승 게이트를 통해서 서울역에서 중간에 돈을 내지 않고도 갈아탈 길이 생겼는데, 여전히 막장환승이다. 환승 게이트는 당초 맞이방 층에 있었다가 그 자리에 안내센터를 만들면서 무빙워크 앞으로 옮겼다. 1호선 또는 4호선을 타고 와서 공항철도 환승 게이트를 지나더라도 환승 게이트에서는 추가 요금이 지불되지 않으니 화장실이나 15번 출구로 가려면 이용해야 한다.

지하 2층에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이 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대한항공[제2여객터미널],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진에어[제2여객터미널], 루프트한자를 이용하여 출국하려는 승객들은 여기에서 수하물 · 출국 절차를 마쳐서 공항에서는 보안 검사와 세관 신고만 마치고 바로 출국장으로 갈 수 있다.

공항철도주식회사는 공항철도의 서울역을 승객 편의상 "서울역"역 으로 안내하고 있는데,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소유한 상위 기관인 국토교통부에 문의해본 결과 국토교통부 고시상 "서울" 역이다.
파일:공항철도 및 국토부의 공항철도 서울역 역명 관련 공식 답변.png
또한 국가철도공단 측의 철도거리표에서 공항철도의 서울역을 "서울역"역이라고 표기하고 있었는데[19], 이에 대해 문의해본 결과 국가철도공단 측에서도 공항철도 측에서 편의상 서울역으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했으며, 국토교통부 고시상 서울역이 아닌 서울이 맞다는 답변을 받았다.

2.8.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파일:서울역 GTX A.jpg
GTX-A 대합실

GTX-A는 2020년 하반기에 공사를 시작했으며, 2024년 12월에 개통하면서 서울역은 대한민국에서 김포공항역에 이은 두번째로 5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삼성역, 청량리역과 다르게 동일 승강장에서 갈아탈 수 있는 수평환승시스템을 하지 않지만 승강장 간 연결통로를 통해 환승거리를 최소화할 예정이다.[20]

플랫폼과 대합실을 이어 주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지하 서울역으로 연결되는 고속 엘리베이터가 2대 설치되어 있는데[21] 에스컬레이터를 계속 타는 것에 비해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지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이 있다.

2.9. 막차

2.10. 미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계획에 따라 GTX-B 정거장이 세워진다. 지도상으로는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부지의 지하에 승강장이 들어선다.
신안산선 2단계와 신분당선 삼송 연장이 장기계획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신분당선 삼송 연장은 예비타당성조사 값이 낮아서 탈락해 사업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파일:서울역 지하화 - 국토교통부.jpg 파일:monorail-20201124-225321-001.jpg 파일:서울역북부.png
경부선은 도시철도, KTX와 ITX-새마을 등의 여객열차도 다니고 화물열차도 지나간다. 다른 도시철도 노선에 견줘서 소음이 크고 공해가 심하기 때문에 선로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소음공해 · 사생활 침해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선거철만 되면 단골 공약으로 경부선 지하화가 빠짐없이 나온다. 다만 서울역 정도 되는 초대형역사를 지하에 밀어서 넣는다면 지반침하 위험이 있다. 실제로 공항철도 공사 때 지반침하가 발생한 적이 있다. 용산역부터 서울역까지의 경부선 부지는 과거 만초천이라는 하천이 흘렀던 자리이며, 서울역이 지하화되면 용산역도 지하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산역부터 경의·중앙선 승강장을 지하에 건설하려고 했다 좌절되었으며, 설상가상으로 바로 남쪽에 한강철교까지 있다. 그렇기에 선형 변경 없이 지하에 역사와 하저터널을 건축하려면 상당한 비용과 기술적 도전이 예상된다. 여기에 사적으로 지정된 옛 역사는 물론 주변에 있는 숭례문( 국보), 한양도성( 사적) 등 문화재와 여러 건물, 주택지에 영향을 끼치는 열차 진동도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흥인지문은 4호선 동대문역이 들어서면서부터 진동 때문에 기울고 있다.

추후 GTX-A, GTX-B에 이어 수색-광명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일부 경부 및 호남선 등의 기존선을 이용하는 열차들을 제외하고는 전부 지하의 대심도 승강장으로 이설될 예정이다. KTX 경부선과 호남선 계통은 별도의 지하 승강장을 마련하고, 중앙선과 경강선 계통은 GTX-B의 지하 승강장을 이용할 것이다. 지상 서울역 승강장은 축소되며 이전 부지는 또 새로운 공간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계획에 따르면 일반열차 전용 승강장은 4면 4선으로 크게 축소된다. 1호선 서울역 급행 및 경의·중앙선 승강장도 위치가 조정될 예정이다.

2.11. 환승

파일:서울역 막장환승 gtx반영.png
서울역의 환승 배치도 요약본
규모가 거대하여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막장환승역이며, 어느 노선도 상호 환승 난이도가 낮지 않다.

가능한 모든 환승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news.korail.com/185098383358d36a309ae8c.jpg
파일:GTX 서울역.png
GTX 서울역 조감도

향후 GTX B와 신안산선까지 개통되면 전철 노선만 7개가 지나가게 되어 각지에서 몰려오는 유동인구로 전국 세 손가락 안에 드는 혼잡한 역이 된다.

2.12. 역대 역장

1960년대까지는 잡지에 부인도 지명인사로 나올 정도로 권위있는 자리였다.[36] 2000년 1월부터 2006년경까지 '서울지역관리역장'이 사실상 서울역장을 맡았다.

3. 역 주변 정보

영등포역과 함께 수도권에서 노숙자가 제일 많은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노숙자들을 위한 무료 급식소가 서울역 역 인근에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울역에 기거하는 노숙자들은 만만하게 보이는 젊은 여대생이나, 흡연구역의 젊은 흡연자, 휴가를 나온 군인장병들한테도 괜스레 시비를 걸어온다. 단, 주부나 나이 많은 중년의 여성에게는 시비를 잘 걸지 않는데 말빨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물론 고속열차 승차장 부분에는 노숙자들이 거의 없다. 역무원들이 제대로 통제하는 데다가 외국 귀빈들도 쓰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숙자들이 많은 곳은 전철(도시철도) 승차장 부분이다. 그 중 1호선 지하 1층에 가장 많이 몰려 있다. 외진 곳에 있는 4호선 역에는 별로 없다.

노숙자뿐만 아니라 서울특별시청, 경찰청사 등의 정부 기관들이 주변에 있는 탓에 각종 종교·정치 단체 시위도 빈번하다. 보도에 따르면 소음 처벌 기준이 평균인 점을 악용해 껐다 켰다 하며 교묘하게 피한다고 한다. 주변 상인들은 손님과 소통이 어려운 수준이라고 호소하며, 심지어 다른 역을 통해 출퇴근하는 사람도 있다. 제재를 위한 서울시 조례가 2024년 기준 따로 생긴 상황이나 여전히 체감되는 개선이 없다는 여론이다. #

서울역에 노숙자를 제외하고도 노인들이 많이 모이는데 이들이 많이 모이는 이유는 겨울이 되고 강추위를 피해 역의 온기로 몸을 녹이기 위해서, 그리고 무료 급식소가 제공하는 식사를 먹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리고 역사 안 TV가 항상 켜져 있어 세상 소식도 알 수 있다고 한다. #

지하 부분은 뉴욕이나 파리 지하철역처럼 더럽거나 난잡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1호선에서 내려서 4호선 환승 및 기차역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 쪽 출구로 나가면 심심찮게 비둘기를 볼 수 있다. 잘 관리가 되지 않는 것은 유동인구가 많다 보니 상당히 관리가 힘들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광장 안 흡연구역에서는 노숙자들이 담배 구걸도 하는데 유리병 조각을 들고 덤벼드니 속히 자리를 떠야 한다.

볼일이 있을 때 토요일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 열차를 이용하려는 내국인 승객과 외국인 관광객이 합해진 데다 역 광장에서 열리는 각종 집회로 인해서 역 안에 사람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파일:18766ad61ab579bf3.jpg
2010년대 후반 들어 도로 근처에 대부업체들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건물이 유명했는데 인터넷 밈이 되면서 절망의 /시련의 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40] 이외에도 대출사지 오층석탑이라고도 부른다.

3.1. 역 주변 주요 건물

서울역 동쪽으로 나오자마자 바로 보이는 건물은 서울스퀘어 서울남대문경찰서이다. 구 대우그룹 본사였으며, 원래는 대한민국 철도청 소유 토지였으나 박정희 정권 당시 대우그룹에 팔려 건물이 들어섰다. 서울스퀘어 안에 주한독일대사관, 위워크 한국본사, 메르세데스-벤츠 한국본사가 위치해 있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건물이 서울스퀘어 북쪽에 있다. 연세대학교 관련 시설들이 있고, 현대오일뱅크 서울지사와 한국장학재단 서울사무소가 있다. 세브란스 건물에서 세종대로를 건너면 구 YTN 타워가 있다. 현재는 와이즈타워라고 부르고 있으며,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메리츠화재 등의 업체가 입주해 있다. 2023년 한국일보가 구 YTN타워에 입주하여 간판을 크게 설치했다.

서울스퀘어에서 퇴계로 쪽으로 들어가면 국유재산을 관리하는 시스템인 디브레인을 운영하는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재정정보원이 있는 메트로타워가 있다. 서울역 출구에서도 한국재정정보원 로고가 눈에 띄게 보인다.

남대문경찰서 남쪽에 시티타워가 있다. 티머니의 본사가 시티타워에 입점해 있다. 후암로를 사이에 두고 게이트웨이 타워가 있는데, DB생명이 본사로 활용하고 있다. 그 옆에는 KDB생명 타워가 있어 한국산업은행 관련 금융사들이 있고, 2015년 3월 입주한 트윈시티 남산 오피스텔이 있는데, CJ올리브네트웍스 본사로 활용하고 있다.

서울역 서부역 쪽으로 나오면 바로 종근당과 소화의원이 있다. 옆에는 국립극단 코레일유통도 있다. 서부역 북쪽으로는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남쪽으로는 국가철도공단 수도권본부와 코레일관광개발이 같이 입주한 KTX 빌딩이 있다. 청파동 쪽으로 들어가면 청파동 행정복지센터와 용산구립 청파도서관이 있다. 국립극단은 2023년에 청사 재개발을 위해 잠시 서울 연건동 이화사거리로 이전했다. 기사

서울역 동남쪽에는 14번 출구 바로 앞에 건물이 있는데, 서울역 게임시티라는 오락실이 있었다. 2015년 7월 1일자로 문을 닫았고, 현재 삼경교육센터라는 직장인 위탁교육시설이 들어와 있다.

3.2. 서울역 주변 재개발

서울역 역세권 중구 봉래동, 남대문로5가, 만리동, 중림동, 순화동이 서울역 북쪽에 있고, 서울역 남쪽에 동자동, 갈월동, 서울역 서쪽에 청파동, 서계동이 있다. 서울역 일대는 재개발이 잘 안 돼서 많이 낙후한 지역이다. 서울역 동부, 남부, 서부 일대에 대대적인 재개발, 재건축을 통해 구획을 정리하고 노숙자들을 몰아내야 서울역 일대의 치안이 개선될 전망이다. 외국인들이 많이 오는 서울역인데, 서울역 일대 재개발이 안 된 모습은 외국인한테 한국의 이미지를 깎아먹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15번 출구 일대는 용산구 청파동, 서계동 중구 중림동, 만리동이 있다. 중구 중림동 일대는 2012년 서울역 리가, 2017년 서울역센트럴자이 아파트로 재개발이 어느정도 진행됐지만, 용산구 서계동, 청파동 일대는 재개발이 되지 않아 매우 낙후해 있다. 그나마 중구 만리동 일대 재개발도 2004년에 계획이 확정됐지만 무려 8년(리가), 13년(센트럴자이)이나 더 걸려서 간신히 재개발한 것이다.
재개발 이전 이후 비교( 카카오맵)
파일:만리동 재개발.png
서울 만리동 재개발
서울역 서북부 만리동 재개발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면 정말 상전벽해가 따로 없다. 우선 서울역 리가, 서울역센트럴자이, KCC파크타운이 들어서면서 만리재로 일대가 정리됐고, 서울로7017과 연계된 공개 광장이 조성됐다. 만리재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 서계동 일대와 재개발된 중림동(만리동) 일대가 워낙 차이가 크게 나고 있다.

서울역 동남부 동자동과 남대문로5가, 출구번호로 치면 4호선 서울역 10번, 13번, 14번 출구 일대는 쪽방촌과 판자촌이 형성돼 있다. 서울특별시는 2021년 4호선 서울역 10번 출구(남대문로5가 580번지 일대) 대해 40층 규모의 주거업무시설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확정했지만, 2년 넘게 지난 2023년 11월 11일 기준 10번 출구 일대는 아무런 후속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나마 4호선 서울역 13번, 14번 출구 일대 서울역 쪽방촌은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를 전제로 소유주한테 재개발 분양권을 돌려주는 방식으로 재개발을 추진하고는 있다. 기사 하지만 10, 13, 14번 출구 일대 재개발 구역은 토지 소유주들이 전면 민간 재개발을 요구하여 서울시와 갈등을 빚고 있는 중이다.

용산구 서계동 지역은 서계동통합구역으로 2022년 연말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의 재개발 신통기획(신속통합기획) 대상지로 선정됐고, 2023년 4월 용산구청에서 해당 서계동 구역에 대한 정비계획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하여 그나마 첫 발을 뗀 상태다. 2023년 11월 11일 기준 아직 서계동 일대의 재개발은 구역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태이다. 아무리 빨라도 2030년은 돼야 서계동 일대의 재개발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서계동 남쪽 청파동은 청파2구역 재개발 사업의 분양가가 나오는 등 어느정도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모습이다. 기사 청파동 내 청파1구역은 2023년 2월 조합설립인가를 완료하고 재개발 조합이 성립돼, 건축심의 및 사업시행인가 절차를 진행중이다. 기사 청파1구역 서울시 재개발 사업 소개 페이지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3번 출구 일대 봉래동은 도시정비형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사업이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다.

2023년 11월 19일 기준 순화동에는 구 중앙일보 본사 사옥을 철거하고 재개발하는 사업이 한창이다. 중앙일보 본사 건물 철거가 진행 중이며, 삼성그룹 중 금융업체가 해당 부지에 입점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사

3.3.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철도공사 한화그룹, 우리자산신탁의 주도로 서울역 서부역 부근 구 한국철도공사 건물을 철거하고, 해당 구역을 데크화해 인공대지를 조성, 인공대지 위해 호텔, MICE 전시장, 오피스 빌딩 등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2023년 10월 31일 해당 부지에 대해 한화그룹과 우리자산신탁이 토지대금을 한국철도공사에 완납하고,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해 사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3.4. 서울로701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로7017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을 하기 위해 노후화된 서울역 고가차도의 용도를 폐지하고,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이 고가차도를 걷는 거리로 조성한 곳이다. 원래 오세훈 시정 1기에서 완전 철거할 계획이었으나 오세훈 시장이 중간에 무상급식 주민투표 부결로 사퇴하고 후임 박원순 시장이 계획을 바꾸어 리모델링한 것으로, 박원순 시장 자살 후 오세훈 시장이 2기 시정으로 돌아와 이용자 수 감소 및 내구도 문제를 사유로 다시 철거 계획을 세우고 있다.

3.5. 남부 역세권 개발 계획

파일:서울역북부.png

윗 개발 예정 조감도를 보면 추후 서울역 남쪽부분도 역세권을 개발할 듯하나, 아직까지는 이렇다 할 계획은 크게 없다.

3.6. 출구 정보

GTX-A는 별도의 전용 출구가 없고, 1호선 출구 쪽에서 가장 가깝다.
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울역 출구 정보
1호선 서울역 대합실 이용
1 청파동 방면
손기정체육공원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서울봉래초등학교
중림동주민센터
한국경제신문
서울로7017
2 서울역전우체국
서울역광장
서소문역사공원
염천교수제화거리
문화역서울284
서울로7017
3 의주로2가
염천교수제화거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대한상공회의소 서울본부
신한은행본점
시청역 방면
4 숭례문
남대문시장
북창동
이회영활동터
소공동주민센터
5 남대문로5가
6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빌딩
7 남대문시장
남대문지구대
악세사리상가
서울로7017
8 남산공원
남산도서관
백범광장
안중근의사기념관
밀레니엄힐튼호텔
서울로7017
9 서울스퀘어
남대문경찰서
서울로7017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AREX_icon.svg 서울역 출구 정보
4호선, 공항철도 서울역 대합실 이용
9-1 서울역버스환승센터
10 서울스퀘어
남대문경찰서
서울시티타워
한국재정정보원
11 후암동
12 후암동우체국
한국저작권위원회 종합민원센터
동자어린이공원
13 한강대로
용산 방면
14 서울역광장
15 청파동 방면
파일:GJLine_icon.svg 서울역 출구 정보
경의·중앙선 서울역 대합실 이용
1 서울역광장
서울역전우체국
손기정체육공원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서울봉래초등학교
중림동주민센터
한국경제신문사
서소문역사공원
염천교수제화거리
서울로7017
고속철도/일반철도 서울역 출구 정보
서울역 대합실 이용
1 서울역광장
서울스퀘어
남대문경찰서
2 청파동 방면
3 손기정체육공원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서울봉래초등학교
중림동주민센터
한국경제신문사
서소문역사공원
염천교수제화거리
서울로7017

4. 일평균 이용객

대한민국 일반철도, 고속철도, 도시철도, 광역철도 역들을 포함하여 전국의 모든 역을 통틀어 이용객이 가장 많으며 수도권 전철과 일반, 고속열차 이용객을 모두 포함하여 일평균 약 50만 명이 이용한다. 참고로 이용객이 가장 많다고 열차 정차 횟수가 가장 많은 것이 아니다. 열차 정차 횟수가 가장 많은 역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동대구역[41]이다.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지하)
||
파일:Seoulmetro1_icon.svg (지상)
|| 파일:Seoulmetro4_icon.svg || 파일:GJLine_icon.svg || 파일:AREX_icon.svg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bgcolor=#0052a4> 총합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116,122명 12,128명 37,434명 13,263명 37,738명 11명 153,556명
1995년 114,559명 38,650명 153,209명
1996년 109,448명 38,764명 148,212명
1997년 102,958명 38,294명 141,252명
1998년 96,273명 33,961명 130,234명
1999년 자료없음 자료없음 -
2000년 91,754명 28,866명 120,620명 비고
2001년 91,908명 28,933명 120,841명
2002년 91,182명 29,110명 120,292명
2003년 88,756명 28,067명 116,823명
2004년 97,081명 27,085명 124,166명
2005년 102,280명 25,289명 127,569명
2006년 105,323명 24,676명 129,999명
2007년 105,870명 24,696명 130,566명
2008년 118,820명 23,889명 142,709명
2009년 106,228명 24,124명 9,068명 139,420명 [42] }}}}}}}}}
2010년 114,427명 28,208명 11,809명 19,258명 173,702명 [43]
2011년 134,183명 33,756명 13,110명 26,218명 207,267명
2012년 135,425명 32,936명 13,263명 35,075명 216,699명
2013년 138,804명 31,366명 11,960명 39,113명 221,243명
2014년 140,569명 30,521명 12,536명 37,738명 221,364명
2015년 121,254명 31,312명 6,486명 29,893명 188,945명 [44]
2016년 118,281명 34,213명 5,241명 18,568명 176,303명
2017년 111,215명 6,897명 33,557명 6,186명 19,824명 177,679명 [45]
2018년 108,475명 7,219명 35,719명 7,026명 23,169명 181,608명
2019년 111,771명 8,830명 37,210명 8,671명 25,697명 192,179명
2020년 69,015명 5,482명 22,353명 6,688명 12,648명 116,186명
2021년 67,966명 6,649명 20,856명 6,860명 12,598명 114,929명
2022년 84,366명 9,965명 26,619명 8,141명 17,536명 146,627명
2023년 100,595명 12,128명 31,878명 8,923명 24,243명 177,782명
2024년 13,700명 26,934명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지하 파일:Seoulmetro4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46]
파일:GJLine_icon.svg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파일:Seoulmetro1_icon.svg 경부 파일:AREX_icon.svg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4.2. 일반·고속철도

||<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44,388명 9,467명 22,552명 76,407명 [47]
2005년 50,386명 4,895명 12,379명 67,660명
2006년 55,348명 4,085명 11,879명 71,065명
2007년 54,850명 3,782명 12,444명 71,076명
2008년 54,901명 3,649명 12,332명 70,882명
2009년 54,088명 3,452명 13,220명 70,760명
2010년 59,636명 3,347명 15,251명 78,234명
2011년 71,779명 3,182명 17,252명 92,213명
2012년 73,050명 2,585명 17,529명 93,164명
2013년 75,398명 2,547명 18,127명 96,072명 [48]
2014년 77,687명 2,960명 17,632명 98,279명 [49]
2015년 77,583명 2,838명 16,823명 97,244명
2016년 78,842명 2,516명 14,936명 96,294명
2017년 66,257명 2,914명 13,314명 82,485명
2018년 76,720명 2,846명 13,259명 92,825명
2019년 85,022명 2,995명 13,902명 101,919명
2020년 50,185명 1,644명 7,818명 59,647명
2021년 55,305명 1,823명 7,447명 64,575명
2022년 79,758명 2,670명 8,944명 91,372명
2023년 96,717명 3,480명 8,390명 108,587명
2024년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승강장

5.1. 지상역사

파일:지상서울역승강장전경.jpg 파일:서울역_역명판_지상.jpg
<rowcolor=#FFF> 서울역 지상 승강장 일반열차 승강장 역명판
파일:Seoul Station Line 1 Rapid platform new.jpg 파일:331918.jpg
<rowcolor=#FFF> 1호선 급행 승강장 경의·중앙선 승강장
한국어 위키백과 서울역 문서 배선도 (문서 하단부)
신촌
1
종착역
1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대곡· 일산· 문산 방면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맞이방과 개찰구를 별도로 쓴다. 이는 본래 서부역에 있다가 옮겨 온 것으로, 기존 서부역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개축을 거쳐 강릉선 KTX 승강장으로 사용한다.[50] 이설된 경의·중앙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해서 가동 중에 있다. 개찰구 밖에 화장실이 있지만 개찰구를 나온 다음 왼쪽으로 방향을 틀면 곧바로 화장실이 있다. 또한 바로타 구조이다.
행신 종착역
-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종착역 청량리 용산· 영등포· 광명 영등포 ↓ 금천구청
1 미사용 승강장 (구 1호선, 누리로 승강장)
2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급행 안양· 수원· 평택· 천안[51] 방면
3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 대전· 동대구· 부산·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대전· 동대구· 마산· 진주 방면
4
~
10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 대전· 동대구· 부산 방면
경부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 동대구· 부산·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대전· 동대구· 마산· 진주 방면
동해선 파일:KTX BI.svg 대전· 동대구· 포항 방면
호남고속선 익산· 광주송정· 목포 방면
호남선 서대전· 광주송정· 목포 방면
전라선 파일:KTX BI.svg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전주· 순천· 여수엑스포 방면
충북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천안· 청주· 충주· 제천 방면
11
~
14
경의선[52] 파일:KTX BI.svg 행신 방면
경강선( 강릉선)[준고속] 양평· 만종· 진부· 강릉 방면
영동선( 강릉선)[준고속] 서원주· 정동진· 묵호· 동해 방면
중앙선[준고속][56] 원주· 제천· 영주· 안동 방면
- 미사용 승강장 (구 경의선 승강장)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1-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경부선 급행)→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1-1

9면 21선으로, 승강장이 붙어 있는 것만 따지면 9면 16선이다. 대한민국 전체 철도망의 심장과도 같은 역인 만큼 당연하게도 승강장 수가 가장 많다. 동대구역도 승강장이 14번까지 있지만 거기는 4번이 결번이라 서울역이 더 많다.

1번 승강장부터 3번 승강장 사이의 선로 6개는 승강장 사이를 잇는 연결통로에 가로막혀 있어 이 역에서 끝나는 두단식 승강장이다. 맨 동쪽의 1~2번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B급행(초록급행) 전용 승강장이며, 1번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고 2번 승강장에서 시·종착한다. B급행은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기에 승강장도 평일 오전 07:00~08:10, 오후 17:55~18:25에만 개방하며, 나머지 시간에는 승강장 입구에 펜스를 쳐 들어갈 수 없도록 막는다. 승강장에 들어가자마자 기다리고 있는 열차를 바로 타면 되기 때문에 승강장에 의자도 없고, 스크린도어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면 구형 여객열차 진입 멜로디가 울린다.

3번 승강장은 일반열차 승강장이지만, 역시 두단식이라 승강장 길이가 다른 승강장의 절반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에 20량짜리 KTX는 들어올 수 없고, 현재는 ITX-새마을 전용 승강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4~14번 승강장은 KTX, ITX-마음,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서울역에서 시·종착하는 고속/일반열차들이 정차하는 승강장이다. 딱히 승강장별로 정해진 행선지는 없지만, 강릉선 KTX는 주로 맨 서쪽의 13~14번 홈에 정차하고 행신역까지 가는 열차는 주로 11~12번 홈에 정차한다. 하지만 이것도 엄격한 건 아니라 강릉선이 11~12번으로 들어올 때도 있고 행신행이 9~10번에 정차할 때도 있다.

행신 착발 KTX의 경우 차 내 정리로 인해 서울역에 약 5~7분간 정차한다.

상행 8회, 하행 4회의 KTX가 통과하며, 모두 행신 착발 호남선, 전라선 열차이다.[57]

5.2.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attachment/fgaagf.jpg
<rowcolor=white> 1호선 승강장
(2009년 6월 21일 촬영)
시청
남영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청량리· 광운대· 동두천· 연천 방면
인천· 서동탄· 천안· 신창 방면
일부 열차 당역 종착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연천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B급행 (천안 방면),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파일:KTX BI.svg 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천안, 신창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B급행 (천안 방면),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파일:KTX BI.svg 1-2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연천 방면) →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7-2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천안, 신창 방면) →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4-3

2호선 홍대입구역, 서울대입구역과 같은 승강장이 시청역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섬식 승강장 형태다. 2019년에 스크린도어 개폐음이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에서 '안전문이 열립니다' 방송 후 '발빠짐 주의' 안내가 세 번 나온다. 닫힐 때는 차임벨 소리가 5번 나고 '안전문이 닫힙니다. 한걸음 물러나 주시기 바랍니다.' 로 바뀌었다. 동년 6월 말쯤에 열림음이 바뀌었고, 9월 중순쯤에 닫힘음도 바뀌었다.

특이점이 있다면 남영역 방향으로 지상 구간이 보인다. 이는 상·하행선 둘 다 마찬가지이다.

5.3. 수도권 전철 4호선

파일:attachment/fgvafgafg.jpg
4호선 승강장
회현
숙대입구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충무로· 혜화· 노원· 진접 방면
사당· 과천· 안산· 오이도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진접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KTX BI.svg (맞이방) 1-1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오이도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KTX BI.svg (맞이방) 10-4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진접 방면) →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파일:KTX BI.svg (지상 승강장)[58] 3-3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오이도 방면) →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파일:KTX BI.svg (지상 승강장) 8-1

역사 전체가 적색 벽돌과 황색 벽돌의 조합으로 전통 창살무늬로 되어 있어 한국적인 디자인을 강조하였다. 스크린도어 설치 전에는 승강장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스크린도어 설치 후에는 맞이방에서만 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사들은 이 역에서 교대한다. 창동역에서는 차장만 교대하고 안산역에서는 기관사, 차장 둘 다 교대한다.

이 역에서 사당/안산/오이도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7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사당역이다.

5.4. 인천국제공항철도

파일:attachment/arexseoul.jpg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종착
2
1 3
공덕(일반)
인천공항1터미널(직통) ↓

승강장 번호는 실제 승강장에 표시되어 있다.
1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일반 김포공항· 계양· 인천국 제공항 방면
2
일반·직통 당역 종착
3 직통 인천국 제공항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5-1

승강장이 지하 7층에 위치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로 내려가지 말고 왼편의 통로로 걸어가면 지하 2층(직통열차 개찰구), 지하 3층(일반열차 개찰구)까지 내려갈 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개찰구를 지나 다시 엘리베이터를 타면 지하 7층까지 내려갈 수 있다. 직통열차 승강장은 한때 엘리베이터로만 연결되어 있어서 혼잡도가 높았으나 2020년 중순에 직통열차 개찰구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갈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가 신설되었다. 엘리베이터는 두 개씩 있으며, 2012년에는 2층에서 지하 3층까지 운행하는 두 개의 엘리베이터 중 하나를 지하 2층까지만 운행하도록 하였다가 원상 복귀하였다.

인천국제공항행 일반열차와 직통열차는 승강장을 따로 쓰지만, 당역종착 일반열차와 직통열차는 모두 같은 승강장을 쓴다.

5.5.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파일:서울역 운정방면 승강장.jpg
GTX A선 승강장
연신내
종착역 삼성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A 대곡· 킨텍스· 운정중앙 방면
당역 종착
수서· 성남· 동탄 방면

하행승강장의 경우 2026년 상반기까지는 당역종착 승강장이나 상행승강장 되돌림 운행 시 사용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2026년 상반기에 삼성역을 제외하고 수서역까지 개통하게 되면 GTX-A는 한강을 하저터널로 통과한다.

5.6.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용산
1 2
청량리
1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GTX-B 용산· 여의도· 인천대입구 방면
2 청량리· 마석 방면

승강장의 심도는 56.8m로 계획되어 있다. #

승강장이 2면 2선으로 계획되어있어 GTX-B와 선로공유가 예정된 중앙선, 춘천속초선, 강릉선 KTX-이음의 시종착 기능 수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용산역이나 청량리역으로 시종착 기능이 이전될 것으로 보인다.

6. 연계 교통

6.1. 도심공항터미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지하 2층에 있다.

6.2. 서울역버스환승센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그 외 정류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연계 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1. 서울역 압사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 압사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서울역 폭행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 폭행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경부선 서울역 열차충돌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부선 서울역 열차충돌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대중매체

9. 여담

9.1. 철도기점비

파일:철도기점비.jpg
서울역 철도기점비
3·4번 승강장에 철도기점비가 설치되어 있다. 현재 버전은 2005년 4월 1일 KTX 개통 1주년 기점으로 새로 제작된 버전이며 기존 비석은 철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72] 특히 코레일TV가 자주 애용하며, 영상 일부는 이 비석 앞에서 제작된다.

10.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e3> 진접선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 - 상계 - 파일:Seoulmetro7_icon.svg 노원 - 파일:Seoulmetro1_icon.svg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파일:UiLine_icon.svg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대문 -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파일:Seoulmetro3_icon.svg 충무로 - 명동 - 회현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서울역 - 숙대입구 - 파일:Seoulmetro6_icon.svg 삼각지 - 신용산 - 파일:GJLine_icon.svg 이촌 - 파일:Seoulmetro9_icon.svg 동작 - 파일:Seoulmetro7_icon.svg 총신대입구(이수) - 파일:Seoulmetro2_icon.svg 사당 - 남태령
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안산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파일:SBLine_icon.svg 한대앞 - 파일:SBLine_icon.svg 중앙 - 파일:SBLine_icon.svg 고잔 -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초지 - 파일:SBLine_icon.svg 안산 - 파일:SBLine_icon.svg 신길온천 - 파일:SBLine_icon.svg 정왕 - 파일:SBLine_icon.svg 오이도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3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3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inansa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04938> ''' '''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a6292>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
(운정~서울)
대곡역 연신내역 사이 창릉역 건설 중
서울역 수서역 사이 삼성역 건설 중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경부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파일:Seoulmetro1_icon.svg :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대경선만 정차
}}}}}}}}}

경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e1932,#1f2023> 철도


파일:KTX BI.svg 서울역 · 용산역 · 영등포역 · 청량리역 · 상봉역
파일:SRT BI.svg 수서역
파일:ITX-청춘 BI.svg 용산역 · 옥수역 · 왕십리역 · 청량리역 · 상봉역
[[새마을호|
새마을호
]]
용산역 · 영등포역
파일:ITX-새마을 BI.svg 서울역 · 용산역 · 영등포역 · 청량리역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역철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2_icon.svg · 파일:Seoulmetro3_icon.svg · 파일:Seoulmetro4_icon.svg · 파일:Seoulmetro5_icon.svg · 파일:Seoulmetro6_icon.svg · 파일:Seoulmetro7_icon.svg · 파일:Seoulmetro8_icon.svg · 파일:Seoulmetro9_icon.svg · 파일:GJLine_icon.svg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 파일:SBLine_icon.svg · 파일:AREX_icon.svg · 파일:GoldLine_icon.svg · 파일:UiLine_icon.svg · 파일:SillimLine_icon.svg · 파일:SeohaeLine_icon.svg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일반철도 경부고속선 · 수서평택고속선 · 경부선 · 경원선 · 경인선 · 경춘선 · 인천국제공항선 · 중앙선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 경부 ·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해안 · 파일:Expressway_kor_29.svg 세종포천 · 파일:Expressway_kor_60.svg 서울양양 · 파일:Expressway_kor_100.svg 수도권제1순환 · 파일:Expressway_kor_120.svg 경인 · 파일:Expressway_kor_130.svg 인천국제공항 · 파일:Expressway_kor_171.svg 용인서울
국도 1번 · 3번 · 6번 · 39번 · 43번 · 46번 · 47번 · 48번 · 77번
국가지원지방도 23번 · 78번
특별시도 내부순환 · 서부 · 동부 · 북부 · 강변북로 · 올림픽대로 · 경부간선[1] · 강남순환로
20번 · 21번 · 30번 · 31번 · 41번 · 50번 · 51번 · 60번 · 61번 · 70번 · 71번 · 88번 · 90번 · 92번 · 94번
버스 시내버스 공항 광역 간선 지선 순환 심야 마을 투어
터미널 서울경부 · 센트럴시티 · 동서울 · 남부 · 김포공항 · 상봉
정류소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공항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2] · 서울공항[3]
[1] 구 경부고속도로 서울특별시 한남대교 - 양재 나들목 구간
[2] 소재지는 인천광역시이나, 서울특별시의 주 국제선 관문 공항
[3] 실제 소재지는 경기도 성남시
}}}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 중앙선
일반철도 경부선 · 경원선 · 경의선 · 경인선 · 경춘선 · 인천국제공항선
탑승
<rowcolor=#fff> 탑승역 등급 행선지
서울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부산 · 진주 · 포항 · 목포 · 여수 · 강릉 · 동해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부산 · 신해운대 · 진주
무궁화호 부산 · 제천( 충북선)
용산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목포 · 여수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새마을호 익산( 장항선)
무궁화호 목포 · 여수 · 익산( 장항선)
영등포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부산 · 진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새마을호 익산( 장항선)
무궁화호 부산 · 목포 · 여수 · 익산( 장항선) · 제천( 충북선)
수서역 파일:Untitled-1.png 부산 · 목포
청량리역 파일:KTX-이음 BI_White.svg 안동 · 강릉 · 동해( 강릉선)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안동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무궁화호 부전 · 동해( 영동선)
상봉역 파일:KTX-이음 BI_White.svg 강릉 · 동해( 강릉선)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왕십리역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옥수역 }}}}}}}}}



[1] KTX-이음은 경강선 운행에 한해서 제 805 열차와 제 826 열차 왕복 1회씩만 운행. [연장] 2026년 상반기 서울역~ 수서 구간 연결 예정, 2028년 4월 삼성역 개통 예정. [3]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서울역은 ソウルヨク로, 공항철도와 GTX-A 서울역은 ソウル駅로 표기되어 있다. [KN]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5] 서울역과 남영역(KN)을 관할한다. [KN] [7] 산하 공덕역, 홍대입구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관리한다. [8] 경부선 개통과 동시에 경인선에서 경부선으로 편입되었다. [9] 2004년 1월 1일 준공, 2003년 11월 28일 임시 개업 [10] 「1, 2, 3번 출구가 2개씩… 서울역서 길을 잃다」, 동아일보, 2018-08-09 [11] 게다가 A선의 경우(보라색) 청색 계열이다. [12] 2003년 11월 28일 임시 개업 [13] 2004년 서울역 이전과 함께 모두 철거된 옛 서울역의 승강장과 대합실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었던 부지 일부를 활용해 경의선 승강장을 지었다. [14] 이미지1 / 이미지2 [15] 「자비없는 혼돈의 출근길, 80년대 신도림역 전철 풍경 [그땐그랬지 : 환승지옥 신도림역]」, KBS, 2020-11-09 [16]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제2여객터미널] [제2여객터미널] [19] 공공데이터포털 [20] 국토교통부 > 뉴스·소식 > 설명자료 [21] 에스컬레이터를 타도 되긴 하다. 엘리베이터에 비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며, 길이도 상당한 데다가 간혹가다가 멈추는 경우가 있으니 손잡이를 꼭 잡자. 손잡이를 안 잡을 시에 안전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22] 양주역이나 의정부시 북부 지역으로 가야 하는데 이 차를 눈앞에서 놓쳤으면 4호선 승강장으로 달려가서 23:23에 출발하는 진접행 열차를 타야 한다. 이 열차는 23:53에 창동역에 도착하고, 양주행 막차는 23:57에 도착하는데 창동역은 환승 거리가 길지 않아 4분 만에 갈아탈 수 있다. [23] 창동역은 4호선 불암산행 막차가, 도봉산역은 진접행 막차(0:37 노원 도착-0:48 7호선 도봉산행 막차 연계)가 실질적 막차이다. [24] 석계역은 00:15 불암산행(00:30 성신여대입구 도착-00:32 신설동행(00:34 보문 도착)-00:44 봉화산행 막차 연계)이 실질적 막차이다. [25] 신설동역은 4호선 불암산행 막차가 실질적 막차로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우이신설선 신설동행 막차와 연계된다. 불암산행 막차를 놓치면 동묘앞행 막차를 타고 동묘앞역에서 내려서 걸어가면 된다. [26] 가산디지털단지역은 00:12 구로행(00:23 대방 도착, 00:33 관악산행, 00:36 보라매 도착, 00:42 온수행 막차 연계), 금정역은 4호선 금정행 막차가 실질적 막차이다. [27] 서동탄행 막차가 더 늦으므로 서동탄행 막차가 실질적 막차이다 [28] 금정역은 4호선 산본행 막차가 실질적 막차이다. 가산디지털단지역은 인천행 11:26이 실질적 막차로 23:43 신도림 도착-2호선 23:50 대림 도착에서 23:56 온수행 막차 연계. [29] 부평역이나 주안역으로 가야 하는데 이 열차를 놓쳤으면 공항철도를 타고 계양역이나 검암역에서 갈아타면 된다. 전자는 23:50 검암행, 후자는 23:40 인천공항2터미널행이 막차이다. 평일 한정으로 온수역은 00:05 사당행이 실질적 막차로 이수역에서 7호선 온수행 막차로 갈아타서 끝까지 가면 된다. [30] 평일 한정으로 용산역은 4호선 사당행 막차(신용산역 하차)까지, 노량진역(동작역 환승), 신도림역(삼각지역~합정역)은 00:24 사당행까지 이용 가능하다. [31] 이 시간 이후 신용산역으로 가려면 1호선을 타고 용산역으로 가야 한다. [32] 파주, 일산으로 가는 제일 늦은 막차가 되었다. [33] 이는 해당 구간을 지나는 1호선과 4호선 선로가 서로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두 호선 승강장 모두 지하 2층에 위치할 수 있었던 것이다. [34] B급행이 정차하는 시간대에만 개방된다. [35] 물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엄청난 막장환승이다. 그래도 경의·중앙선 고양시, 파주시에서 인천공항으로 가기 위해 환승했으나 요즘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김포공항역 서해선 환승 역시 막장환승이다. [36] 「서울역장|밤·낮이 따로 없는「철로 수문장」|명절 때면 귀성객수송"홍역"」, 중앙일보, 1992-08-28 [A] 그 후 홍익회장을 역임했다. [A] [A] [40] 「노량진 ‘시련의 탑’을 아십니까」, 경향신문, 2019-09-22 [41] 대경선 대구경북선( 대구경북통합신공항철도), 달빛내륙철도, 창원산업선과 직결될 대구산업선, 동대구역착발 중부내륙선, 동대구역 착발 동해선 KTX 등이 개통되면 동대구역을 경유하는 열차 편성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아직 국가계획에 반영되지 않은 MTX 노선과 대구경북통합신공항순환철도, 대구포항광역철도는 덤 [42] 경의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3] 공항철도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4] 공항철도의 자료는 이 연도까지 국토교통부 철도통계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45] 경부선의 자료는 게이트 완공일인 3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28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6]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47] KTX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8] 4월 12일에 개통된 O-train과 9월 27일에 개통된 S-train의 통계는 새마을호로 집계된다. [49] 11월 1일에 운행 개시된 ITX-새마을은 새마을호와 합산하여 집계된다. [50]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51] 천안급행 열차는 상행에 한해서 신창역부터 출발. [52] 종착 및 입고회송 열차가 많은 시간에는 행신행 KTX가 10홈에서도 승하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웬만해서는 11~14번 홈에서 취급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준고속] KTX-이음 열차로 운행하며, 청량리 방향 KTX는 개통 초기에 14번 홈에서만 취급했다. 하지만 계속 바뀌는 시간표에 따라 다른 승강장에서도 취급하고 있다. [준고속] [준고속] [56] 현재 서울역에 들어오는 중앙선 고속열차는 모두 복합편성이다. [57] #408(목포발 행신행), #417(행신발 목포행), #424(목포발 행신행), #439(행신발 광주송정행), #440(목포발 행신행), #474(익산발 행신행), #512(여수엑스포발 행신행), #519(행신발 여수엑스포행), #524(여수엑스포발 행신행), #543(행신발 여수엑스포행), #544(여수엑스포발 행신행), #4052(여수엑스포발 행신행)열차 통과 [58] 공항철도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1호선 쪽으로 가면, 지상서울역 3,4번 승강장으로 직통되는 게이트를 통해 맞이방을 경유할 필요 없이 승강장으로 바로 갈 수 있다. [59] 「지하철 선로 점거한 장애인 시위」, KBS, 2001-02-06 [60] 「1호선 서울역 스크린도어 사고, 가방 빼내려다…7m 끌려가다 선로에 떨어져 사망」, 동아일보, 2016-02-03 [61] 「서울역 롯데아울렛에서 천막 떨어져…50대 남성 다쳐」, KBS, 2019-03-30 [62] 경찰이 집시법 위반으로 해산 명령을 했지만 집시법상 집회 시위정의에 해당하는 장소가 아닌 역시설 내부이며 "일반인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장소"가 적용될 수 있는 듯 보이지만 집시법 제정 당시 건조물 침입죄와 퇴거불응이 형법에 있어 형법을 보완하는 특별법으로서의 집시법 입법 취지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자나 의자처럼 보이는 곳이 아닌 곳에서 앉으면 근무자가 제지를 하고 이에 응하지 않으면 강제 퇴거하는 상황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일반인의 통행이 자유로운 장소"에서 주저앉을 때와 비교하면 법률을 잘못 적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주거가 일정하지 않아야 체포 가능한 집시법과 달리 다중의 위력으로 퇴거 불응하면 특수침입죄가 적용되어 벌금형은 없다. [63] 「금요일 '열차 대란'…전기 장애로 KTX 줄줄이 지연」, SBS, 2023-06-16 [64] 「4시간 반 만에 임시 복구…단전 원인 조사 중」, SBS, 2023-06-16 [65] 「"가야 하는데" 발 동동 구르던 승객들…이 시각 서울역」, SBS, 2023-06-16 [66] 「경의선 ‘단전’…승객 175명 선로에서 환승」, KBS, 2023-06-16 [67] 「4시간 반 만에 복구…주말 앞두고 기차역마다 ‘혼란’」, KBS, 2023-06-16 [68] 「“오늘 서울역서 칼부림...남녀 50명 아무나 죽이겠다” 예고글」, 조선일보, 2024-05-24 [69] 「[단독] "아무나 죽이겠다"... 서울역 '칼부림 예고' 작성한 30대 남성 체포」, 한국일보, 2024-05-24 [70] 지하 1호선/4호선 게이트로 하차했다면 최초 1회에 한해 같은 노선 게이트로 15분 내에 재승차할 경우 환승 횟수 1회 차감으로 이용할 수 있다. 15분이 지났거나 이미 재승차를 한 경우, 혹은 지상 1호선/공항철도 게이트로 하차한 경우에는 재승차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기본요금이 추가로 부과된다. [71] 환승 횟수는 4회차까지만 인정되고 이후에는 기본운임이 추가로 부과되므로, 이 방법은 재승차 이외에 환승 횟수가 2회 이내로 차감될 예정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72] 관련 게시글, 2023년 6월 2일 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출처: 이글루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 이전 역사)
문서의 r232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