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3:17:48

서울 경전철 신림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운행 중 신림선 우이신설선
건설 중 동북선 위례선
계획 중 신림선 난곡지선 강북횡단선
면목선 목동선
서부선 위례신사선
}}}}}}}}} ||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 輕電鐵 新林線
Seoul LRT Sillim Line
}}}
파일:e213df51123bc38b4b7ce1a11b7e53d1.jpg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 경전철 신림선 노선도.svg
노선 정보
노선 분류 도시철도
차량 분류 경전철(고무차륜형 K-AGT)
기점 샛강역
종점 관악산역
역 수 11개
구성 노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상징색
서울하늘색 (#6789CA)
개통일 2022년 5월 28일([age(2022-05-28)]주년)
소유자 서울특별시[1]
운영사 남서울경전철
사업 시행
로템SRS
운영 및 유지보수
광주교통공사
관제 및 기술지원
사용차량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보라매차량사업소[2]
노선 제원
노선연장 7.53㎞
궤간 1,700㎜
선로구성 복선
급전방식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신호방식 LS일렉트릭 LTran-CX[3] RF- CBTC
최고속도 60㎞/h
표정속도 28.875㎞/h #
지상구간 없음
통행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2022. 05. 28. 샛강 관악산
개통 예정 미정. 보라매공원 105정거장[4]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
3.1. 노선 제안3.2. 건설 과정
4. 전 구간 주행영상5. 차량6. 역 목록7. 소재지8. 특징
8.1. 시설8.2. 노선8.3. 운행
9. 연장 논의10. 역별 승하차 통계11. 기타12. 사건 사고13. 관련 문서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림선 총괄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EC%B4%9D%EA%B4%84%EB%8F%84.jpg
파일:신림선_.jpg
신림선 도시철도 공식 홍보 영상
서울 경전철의 노선 중 하나이다. 노선의 주 색상은 서울하늘색(Seoul Blue). 출처[5][6] 2020년대에 진접선, 하남선, 신분당선 신사역 연장, 경의·중앙선 도라산역 연장, 7호선 석남역 연장 등 운행계통 연장을 제외하면 단일 운행계통으로는 첫 개통된 노선이다.[7]

BTO 방식으로 지어지는 서울시 추진 민간투자사업이며, 사업시행자는 농협은행 DL이앤씨[8]가 주축인 남서울경전철이다. 현대로템의 자회사 로템SRS가 운영과 차량보수를 맡으며, 광주교통공사가 관제와 기술 지원을 맡는다. #

2. 건설 목적

3. 역사

3.1. 노선 제안

신림동은 인구가 엄청나게 많아도 도로가 좁고 전철 같은 궤도교통이 부족해 도로정체가 만성적이었다.[9] 또한 동작구 서부와 관악구 서부는 1호선, 2호선, 7호선, 9호선 등 동서방향으로는 여러 지하철이 지나가지만 남북방향 전철은 없어서 버스 없이 여의도 사대문안 등으로 가기 어려웠다.

이에, 3기 지하철 계획 당시 관악구 순환 경전철 계획이 입안됐는데, 이 노선 서부 구간이 신림선 대방역~관악산역 구간과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97년 외환 위기로 폐기됐다.

이후 2006년에 고려개발 컨소시엄이 여의도 샛강역에서 시작해 대방역, 보라매공원, 신림역을 거쳐 서울대학교에 이르는 고무차륜 AGT 경전철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제안했다. 이 사업은 2008년 1월에 한국개발연구원 민자적격성 조사[10]를 통과했고, 2008년 11월에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 고시'에 반영됐다.

서울특별시는 민간제안을 토대로 2009년 11월에 제3자 공고를 냈고, 여기서 사업을 제안한 고려개발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그리고 구체적인 노선 및 역 위치 결정, 사업비 분담 방식 등을 정했다.

경전철을 추진했던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무상급식 주민투표 문제로 사임한 후 들어선 박원순 시장은 예산을 이유로 이미 착공된 우이신설선을 제외한 모든 경전철 사업을 중단하며 신림선 사업도 중단됐다. 그러나 2013년 7월에 다른 경전철 사업과 함께 재추진됐다.

민자사업 관련 협상은 2015년에 끝났으며, 협상 결과는 2015년 4월 17일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통과했다. 사업비는 총 8,318억 원으로, 그 중 국가가 931억원(12%), 서울특별시가 3,105억원(38%), 민자사업자가 4,282억원(50%)을 부담한다.

3.2. 건설 과정

모든 구간을 1공구(샛강역~보라매역), 2공구(보라매역~승리교[11] 및 차량기지), 3공구(승리교~관악산역)로 나누어서 각각 두산건설, 대림산업, 한화건설이 수주했으며, 2015년 9월 7일에 기공식을 하고 2016년 4월 중 착공했다.[12]( 출처, 기사) 당초 계획상으로는 4월 29일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사업 시행사인 남서울경전철 측에서 상세 설계도를 내지 않아 착공이 늦어졌다.( 출처) 2016년 5월 19일에 별다른 큰 행사없이 조용히 착공식이 진행됐다. 착공식 사진
파일:Y2fDLQf.jpg
2015년 9월 7일에 열린 기공식의 모습

2015년 9월 7일에 기공식이 거행됐다.( 뉴스 영상) 기공식 당시에는 삽만 뜬 것이고, 실질적인 공사는 2016년 4월에야 시작했다.

그러나 2016년에도 일부 구간은 제대로 착공도 못하고 있었다. # 보라매공원을 파헤치는 것과 관련한 민원과 고시촌역, 서울대학교 내 역 신설 문제가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6년 9월 2일 서울시는 신림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을 승인하면서 일단 고시촌과 서울대학교 내부에 역을 신설하지 않기로 했다. #
파일:16903177_1892854187618333_2657432255555556684_o.jpg
공사 현장에 부착되어 있었던 안내문

2016년 10월, 지장물 철거 및 가로수 이식공사가 시작됐다. 출처

2017년 1월 26일, 각종 민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실시계획이 바뀌었고 2월 3일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김성식 국회의원 블로그 2017년 3월 기준으로 공군회관 남측, 병무청 앞 도로, 보라매병원 앞, 신림사거리 초입, 대학동 한남운수 종점, 샛강역에서 공사가 시작됐다.

실시계획 수립 및 공사 도중 대방~샛강간 노선이 지나가는 주변 아파트 주민들의 시위 및 민원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샛강역에서 대방역으로 이어지는 시점부 노선이 사유지 하부통과를 배제하는 선형으로 바뀌었고, 대방역 위치가 현재 위치로 바뀌었다.(자세한 사항은 대방역 문서 참조)

2019년 4월 23일, 첫 터널 공사를 끝냈으며, 기사 2020년 12월 16일, 전 구간 터널 공사가 끝나 열차 2편성이 입고됐다.

2021년 1월부터 구간별로 시험운행을 시작했으며, 기사 8월부터는 영업 시운전 및 시설물 점검을 실행했다.

2021년 12월 16일 서울시에서 신림선 개통 대비 시민 모니터링 요원을 모집하여 2월 말까지 순차적으로 시승 행사를 했다.

2022년 1월 3일,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새해 첫 업무로 공사가 마무리된 보라매병원역을 찾아 시민들과 함께 신림선을 탔다.

2022년 2월 17일, 모든 역 출입구에 LED 안내기가 설치됐다.
파일:신림선_개통포스터.jpg
신림선 개통 포스터

2022년 5월 16일, 신림선 홈페이지가 개설되어 역 정보와 운행 시간표가 공개됐고, 이후 개통 포스터도 순차적으로 게시됐다.

파일:89704_70590_2057.jpg
2022년 5월 27일 오전 10시에 보라매공원에서 개통식이 열렸으며, 익일 새벽 5시 30분 첫차 운행을 시작으로 신분당선 신사~ 강남 구간과 함께 개통했다.

4. 전 구간 주행영상

샛강-관악산 전 구간 주행영상 관악산-샛강 전 구간 주행영상[13]

5.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K-AGT에 기반한 고무차륜 AGT 차량을 쓴다. 3량 1편성으로 설계 최고속도 70㎞/h, 운행 최고속도 60㎞/h이며 158명에서 최대 237명 정원이다. DC 750V 제3궤조 급전방식을 채택했으며, 우진산전에서 제작했다.

고무차륜열차라 철제차륜에 비해 심하게 흔들린다. 서 있는다면 균형 잡는 데 신경써야 한다.

경전철이라 열차 내부가 협소하다. 교통이 좋지 않기로 소문 난 지역을 지나는 노선이라 수요를 충분히 감당해 낼 수 있을지 우려하는 의견도 있다. 승객 수용에 한계가 있다 보니 러시 아워 대에는 금방 혼잡해진다.

6.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 경전철 신림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소재지

파일:SillimLine_icon.svg 운영사 및 소재지
운영사 소재지 구간 역 개수
로템SRS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샛강역 ~ 대방역 2
동작구 서울지방병무청역 ~ 보라매병원역 4
관악구 당곡역 ~ 관악산역 5

8. 특징

8.1. 시설

신림선 승강장은 현재 운행되고 있는 신림선 전동차 1편성(3량, 약 30m)을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었다. 대부분의 역은 승강장 길이가 전동차 1편성에 딱 맞는 30m이지만, 보라매공원역은 36m, 관악산역은 37.5m, 신림역은 47m로 이례적으로 길다. 출처

승강장 폭은 넓지만 승강장 길이가 짧아 전체 승강장 면적이 매우 좁다. 섬식 승강장인 신림역[14]을 제외하고 대합실과 승강장을 잇는 계단이 1개 밖에 없다.

환승역인 신림역, 보라매역, 대방역, 샛강역을 제외하면 역사 출구가 2개뿐이며 그마저도 한쪽으로만 있어서 반대 방향에서는 불편하다. 특히 기종점인 관악산역은 출구가 하나뿐이다. 환승역도 6번 출구를 새로 만든 대방역을 제외하고 신림선 전용 출구를 만들지 않았다. 따라서 신림선을 이용할 목적으로 대합실로 내려가도 기존 노선의 대합실을 거쳐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단독역에는 화장실이 있으나, 환승역(신림역, 보라매역, 대방역, 샛강역)은 신림선에 화장실이 없어 타 노선 화장실을 가야 한다. 이로 인해 신림역은 화장실 위치를 개찰구 밖으로 바꾸는 운임구역 조정 공사를 했다.

2023년 3월 8일부터 스토리웨이와 제휴하여 각 역 승강장에 간식 자판기를 설치했다.

8.2. 노선

급곡선 구간이 많아 커브가 심하다. 특히 신림로를 따라가는 신림~ 관악산 구간에서 두드러진다. 서울대벤처타운에서 서원 구간은 크게 돌아가는 바람에 2분 정도 걸린다. 초기 계획에서는 신림로 구간을 현재보다 직선화할 예정이었으나 보상비 등을 고려해서인지 지금처럼 신림로를 거의 그대로 따라간다. 그래도 신림로의 좌측 우측을 왔다갔다 하며 최대한 직선구간과 큰 커브를 써서 속도를 유지한다.

경전철이라 역이 많다. 평균 역간 거리가 0.7㎞로 짧은 편이며 특히 보라매병원~ 당곡이나 대방~ 샛강 구간의 역간 거리가 약 500m로 매우 짧다. 해당 구간의 환승역들은 깊은 승강장까지 내려가[15] 신림선을 타느니 걸어가는 게 더 빠르다. 대방역, 샛강역은 기존 노선 역에 환승역을 지은 것이지만, 보라매병원 및 당곡역은 완전한 새 역이다. 관악노인복지관과 SK텔레콤 보라매사옥이 있는 두 역 사이 삼거리에 역을 짓는 대신 청담역처럼 출구를 길게 빼서 보라매타운 및 병원 쪽, 당곡사거리 쪽, 모자원고개 쪽으로 뻗어나가게 지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중전철보다 평균 역간거리가 짧아도 되는 경전철이니 분당선 강남 구간 논란처럼 취급하기엔 무리고, 당곡사거리와 보라매병원이 모두 중요한 수요처이기에 표정속도를 조금 희생하더라도 현행 노선이 낫다고 볼 수 있다. 어디까지나 신림선은 서울 도시철도 체계에서 지선 역할이고, 기존 신림선 인근 지역 주민들 교통수요가 버스노선을 거쳐 간선 중전철(1,2,7,9호선)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미 기존의 가축수송으로 포화된 버스 등 도로교통을 신림선으로 대체하여 간선교통으로 연계해 주는 것이 노선 설계 주요 목표였다.

8.3. 운행

신림선은 순수 대한민국 기술로 만들어진 첫 철도신호체계인 한국형 무선기반 신호시스템(KRTCS : Korea Radio Train Control System)을 처음으로 적용한 노선이다.

전 구간 무인 운전이나, 개통 후 5년간은 안전 점검을 위해 철도차량 운전면허 자격을 가진 승무원[16]이 탑승한다고 한다.
해당 문제와 관련해 취재대행소 왱에서 취재한 영상

역에 서있는 시간이 짧다. 특히 비환승역은 출입문 개방 시간이 10초 정도이고 환승역은 15초 정도다. 시간이 되면 그냥 문이 닫혀 불만이 많다. 문에 부딪히고 끼이면서 부상자도 나오는 듯하다.( 관련 민원)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역시 정차하는 시간이 짧은 편이나 수요가 적고 6량 1편성이라 타고 내리는데 지장이 없다.

문이 작아 승하차 시간이 더 걸리는데, 다 타기도 전에 문을 닫아 당황하는 승객들이 제법 있다. 특히 출발 승강장에서 종착 후 바로 되돌아가는 관악산역에서 빈번했다. 개통 당일에는 승무원도 승객들에게 빨리 타라고 이야기하는 일이 빈번했고, 유모차를 끌고 가던 아이 어머니가 제때 못 내려 유모차 안의 아이 신발이 문에 끼어 벗겨지면서 신발만 열차 안에 남기고 내리거나, 아이가 먼저 타고 어머니가 먼저 간 아이를 따라 타지 못해 아이 혼자 열차에 남겨지거나 열차 문에 몸이 끼거나, 하차하는 승객이 다 내리지도 않았는데 출입문이 닫혀버려서 열차에 타지 못하고 역에서 다음 열차를 기다리는 등 짧은 정차 시간으로 인해 승객들이 불편을 겪는 일들이 많았다.( 관련 기사) 그나마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차량과 달리 출입문이 한쪽으로만 열리는 구조가 아니기에 천만다행이다.


2024년 시점에서도 끼임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정차시간이 짧다는 민원이 있지만 경전철 중에 긴 축에 속한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문의 폭이 너무 좁다고 지적한다.

차량기지가 노선 중간에 있음에도 운행거리가 매우 짧아 중간 종착 없이 무조건 100% 샛강행/관악산행으로 운행한다. 입고열차도 샛강역까지만 운행하고 공차회송하며 막차도 예외없이 종착역에서 주박한다. 다만 중간 출발 열차는 존재하는데 주로 출/퇴근 시간대 직전에 일부 출고 열차가 보라매병원역에서 관악산행으로 영업한다.[17]

9. 연장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 경전철 신림선/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역별 승하차 통계

2023년 기준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신림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11개 샛강 ↔ 관악산 7,327명 80,593명 29,416,486명 서울대벤처타운 신림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1만명 이상 8천명~1만명 6천명~8천명 4천명~6천명 4천명 이하
11개 샛강 ↔ 관악산 2개역[18] 1개역[19] 3개역[20] 4개역[21] 1개역[22]
||<-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6789CA> 서울 경전철 신림선 ||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1위 서울대벤처타운 16,765명 6,119,256명
2위 보라매병원 12,868명 4,696,678명
3위 당곡 8,371명 3,055,519명
4위 보라매 6,728명 2,455,868명
5위 관악산 6,204명 2,264,467명
6위 서원 6,076명 2,217,672명
7위 서울지방병무청 5,640명 2,058,504명
8위 샛강 5,329명 1,945,081명
9위 대방 4,671명 1,704,839명
10위 보라매공원 4,029명 1,470,498명
11위 신림 3,913명 1,428,104명


2022년 9월, 서울특별시에서 조사한 수요 예측량 대비 실제 탑승률이 절반도 안되는 40%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적자가 우려되며 이미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우이신설선과 마찬가지로 시에서 재정을 지원해 줘야 하는 문제가 있어 앞으로의 경전철 설치 계획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

11. 기타

12. 사건 사고

문제가 발생한 구간을 수동운전으로 통과하는 모습

13. 관련 문서

14.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경전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AGT 철제 차륜
부산김해경전철 인천 2호선 우이신설선
김포 골드라인 동북선 대구 4호선
{{{#!wiki style="margin: -16px -11px"
대구 5호선 면목선 }}}
고무 차륜
부산 4호선 의정부 경전철 신림선
부산 5호선 광주 2호선 양산 도시철도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대구 3호선
LIM
용인 에버라인
노면전차
(트램)
대전 2호선 위례선 수원 1호선
주안송도선 송도트램 영종트램
부평연안부두선 제물포연안부두선 인천 3호선
오륙도선 C-BAY-Park선 울산 1호선
울산 2호선 울산 3호선 울산 4호선
동탄 도시철도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창원 1호선 창원 2호선 창원 3호선
김해 1호선 김해 2호선 김해 3호선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경기도 트램추진 발표 참고(2016년 11월 30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지하철 및 경전철 계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서울역 - 청량리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시청역 - 시청역
파일:투명 10x10.png / 신설동역 - 성수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구파발역 - 양재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상계역 - 사당역
<colbgcolor=#fff,#191919> 2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도림역 - 까치산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구파발역 - 지축역
/ 양재역 - 수서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상계역 - 당고개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역 - 상일동역
파일:투명 10x10.png / 강동역 - 마천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응암역 - 봉화산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온수역 - 장암역
파일:Seoulmetro8_icon.svg 8호선 암사역 - 모란역
3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수서역 - 오금역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개화역 - 중앙보훈병원역
10호선 광명역 - 토평역
11호선 신월역 - 우면역
12호선 왕십리역 - 광운대역







1차 파일:UiLine_icon.svg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북한산우이역
파일:SillimLine_icon.svg 신림선 샛강역 - 관악산역
동북선 왕십리역 - 상계역
서부선 새절역 - 서울대입구역
면목선 청량리역 - 신내역
위례신사선 신사역 - 중앙역
위례선 마천역 - 복정역
목동선 당산역 - 신월역
2차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전구간 급행화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전구간 급행화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둔촌동역 - 굽은다리역
파일:투명 10x10.png ( 길동삼각선)
서부선 서울대입구역 - 관악산역
강북횡단선 목동역 - 청량리역
}}}}}}}}} ||

3기 서울 지하철 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64ca1><colcolor=#fff> 기본 계획
9호선
개화역~ 감일역
10호선 11호선
12호선
왕십리역~ 광운대역
3호선
수서역~ 오금역
추가 계획
황학~마들 경전철 관악구 순 환 경전철 신도림~DMC 경전철
강남구 순 환 경전철 홍대입구~길음 경전철 가오리~장한평 경전철
연계 계획
(구)인천 3호선
온수역~ 신천역
수도권 간선전철 계획 수도권 순환전철 }}}}}}}}}



[1]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 [2] 차량 내 LED 안내기에는 'B기지'로 송출된다. [3] KRTCS 기반, # [4] 서울 경전철 신림선/난곡지선 [5] 서울하늘색은 KS 5PB 6/10(dE4.7), 팬톤 297C(dE4.7). 헥스코드는 #6789CA이다. 디자인서울 서울색10색변환표 [6] 인천 1호선과 색이 비슷하지만 신림선이 더 진하다. [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직결된 경우라 단일 노선 개통이 아니다. [8] 본래 고려개발이었으나 워크아웃으로 대림산업에 지분을 양도하고 이탈했다. [9] 신림동 인구가 20만명인데, 이는 광명, 순천, 여수, 경산 등 지방 주요 도시와 비슷한 인구다. [10] 해당 민간투자사업이 타당성이 있는지, 타당성이 있다면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리한지 조사한다. 예비타당성조사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11] 신림역~서원역 사이 신림로가 도림천을 사이로 나눠지는 부분, 도림천 하저 구간 시점 [12] 원래 공사에서 기공식은 토지매입 진행 중에 시행했다. 물론 기공식 때 미리 매입한 부분은 터파기가 시작된다. '착공'은 토지매입이 완료되고 전 구간이 공사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13] 개통 이전에 촬영한 영상이다. [14] 환승 통로 계단 에스컬레이터가 앞뒤로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당곡역 방향은 하행 전용 에스컬레이터만 2대, 서원역 방향은 상행 전용으로만 2대 설치돼 있다. [15] 그나마 보라매병원역은 지하 2층, 당곡역은 지하 3층이지만 샛강역과 대방역은 환승역이라 지하 4층까지 가야 한다. [16] 법적인 의미의 철도 기관사에 해당하므로 예비군훈련이 면제된다. 전쟁 등 유사시에 무인경전철은 최적의 병력이동 수단이 되며 이를 통제할 수 있는 기관사가 본업 그대로 전쟁에 참전하는 것이다. [17] 휴일에도 드물게 입출고열차가 존재한다. [18] 보라매병원, 서울대벤처타운 [19] 당곡 [20] 보라매, 서원, 관악산 [21] 샛강, 대방, 서울지방병무청, 보라매공원 [22] 신림 [23] 이미 급행은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멀게는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 골드라인 서해선 환승으로 인천광역시 북부 지역과 영종도, 김포시, 파주시, 고양시 부천시 북부 지역 수요까지 분담 중이다. 동작역에서 급행열차 대피가 이루어지므로 노량진 또는 동작에서 급행열차로 갈아타면 신논현에 더 빨리 도착한다 해도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샛강역에서 급행열차 대피가 이루어지므로 이때는 그냥 일반열차 타고 가는 게 훨씬 낫다. 그러나 사평역에서 대피가 한 번 더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량진에서 급행타는게 더 빠를 수도 있다. [24] 스마트 스피커 같은 톤. '이번 역은'과 역명 사이가 부자연스럽게 들리는데 쉼표 처리 없이 '이번 역은 (역명)'으로 넣은 모양이다. [25] 기존 153번의 장거리 운행으로 인한 승무사원의 피로도 문제도 있었기 때문에 단축이 꾸준하게 추진됐던 점도 있다. [26] 신대방삼거리까지는 753번, 보라매역까지는 505번, 5623번, 5633번, 5634번도 있지만 전부 다 과밀 혼잡이 심각해진 건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