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18:58:57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MTX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남권을 순환하는 광역철도 노선 계획에 대한 내용은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비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CTX대전-충청권추진 중 BuTX부산추진 중
대구-경북추진 중 광주-나주추진 중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Mega-city Train eXpress, MTX
}}}
파일: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png
노선 정보
분류 광역급행철도[1]
총사업비 9656억 원[2]
구성노선 경전선, 부전마산선(창원~부전)
동해선(부전~신경주)
중앙선(신경주~영천)
대구선(영천~동대구)
경부선(동대구~서대구)
대구산업선(서대구~대구국가산단)
대합산단산업선
(대구국가산단~대합산단)[미확정]
창원산업선(대합산단~창원)[미확정]
개업일 미정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5][6][7]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자 미정
사용차량 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 297.3㎞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 단선[8]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미정
최고속도 미정
영업속도 미정
표정속도 미정
통행 방향 좌측통행

1. 개요2. 역사3. 역 목록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ega-city Train eXpress, MTX)는 부울경이 일반선[9] 및 창원산업선을 활용하여 순환선 형태로 급행열차 운행을 중앙정부에 건의한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명칭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2. 역사

3. 역 목록

기존 선의 역을 모두 표기했다. 미개통 및 신설 역명은 가칭이다. 급행철도 특성상 향후 정확한 계획이 나오면 역 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km 역번 역명 환승노선 경유노선 소재지
0.0 창 원 경전선
부전마산선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중앙
신 월 김해시
장 유
부산경남경마공원 부산광역시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강서금호
사 상 파일:Busan2.svg 부산 2호선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파일:Busan5.svg 부산 5호선
[14]
사상구
부 전 파일:Busan1.svg 부산 1호선[15] 부산진구
동해선
거제해맞이 연제구
거 제 파일:Busan3.svg 부산 3호선
교 대 파일:Busan1.svg 부산 1호선
동 래 파일:Busan4.svg 부산 4호선[16] 동래구
안 락
부산원동
재 송 해운대구
센 텀
벡스코 파일:Busan2.svg 부산 2호선
신해운대
송 정
오시리아 기장군
기 장
일 광
좌 천
월 내
서 생 울산광역시 울주군
남 창
망 양
덕 하
개운포 남구
태화강 동해선
울산항선
울산 1호선
북울산 울산 2호선 북구
경 주 경상북도 경주시
중앙선
아 화
영 천 영천시
대구선
금 호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하 양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경산시
동대구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파일:Daegu4.svg 대구 4호선
대구광역시 동구
경부선
대 구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북구
원 대 파일:Daegu3.svg 대구 3호선[17] 중구
서대구 파일:Daegu5.svg 대구 5호선 서구
대구산업선
서재세천 달성군
계명대 파일:Daegu2.svg 대구 2호선 달서구
성서공단
설화명곡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달성군
달성군청
달성산단
테크노폴리스
대구국가산단
대합산단 대합산단산업선 경상남도 창녕군
창 녕 창원산업선
영 산
남 지
칠 서 함안군
감 계 창원시 의창구
297.3 창 원

4. 둘러보기

부울경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f0f0,#2d2f34>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항공 김해국제공항 울산공항 사천공항
가덕도신공항1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역 목록
동남권 광역전철
도로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티머니 · 캐시비( 마이비 · 하나로카드)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환승할인
동남권 · 창원-김해 · 창원-함안 · 거창-합천
1: 미개통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전철 ( 대구 도시철도 ·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경산-영천 광역환승할인 ·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 대구-경북 공동생활권 대중교통 광역환승체계
}}}}}}}}} ||



[1] 영남권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의 하나로 제시된 노선이 MTX이다. [2] 차량구입비 미포함, 사업노선 1개(창원산업선) [미확정] [미확정] [5] 부전~마산 구간: 임대형 민자사업으로 건설 [6] 임대형 민자사업 구간은 개통 후 대한민국 정부에 기부채납하기 이전까지는 관할 시행사가 소유하게 되며, 회계장부에는 '건설 중인 자산'으로 인식한다. [7] 대구산업선은 건설이 확정된 노선이고 창원산업선과 대합산단산업선은 2022년 기준으로 건설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노선이다. [8] 대구산업선,창원산업선 [9] 동해선, 중앙선, 대구선, 경부선, 대구산업선, 부전마산선 [10]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11] 대구~창원~부산 간 연결을 포기하고 반쪽짜리 순환선으로 밀어붙이거나, 경부선을 통해 서대구역에서 김천으로 올라가고, 김천-성주-합천~진주 간 남부내륙선을 거친 뒤 경전선을 통해 마산으로 돌아가는 우회 경로를 택해야 한다. 전자는 부산과 대구의 연결을 통해 얻을 시너지가 퇴색되고, 후자의 경우 142.2km나 더 돌아가야 한다. [12] 동해선 광역전철과 겹치다보니 사실상 포항 - 경주 - 울산 - 부산 구간이다. [13] 일반철도 대구선과 다른 노선이며 경부선 구미 - 동대구 - 부산 구간과 같다. GTX와 별개로 동대구-창원 고속철도 사업도 있다. [14] 모두 간접 환승 [15] 간접환승 [16] 낙민역 간접환승 [17] 달성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