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역의 역명이 부역명으로 들어가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충렬사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안락역 | ||
부전 방면
동 래← 0.9 ㎞ |
동해선
(K115) |
태화강 방면
부산원동 1.3 ㎞ → |
역명 표기 | ||
동해선 |
안락 Allak 安樂 / 安乐 / [ruby(安楽, ruby=アンラク)] |
|
동해선 | ||
주소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연로98번길 57 (舊 안락동 201-2)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
거제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 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
운영 기관 | ||
동해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동해선 | 1989년 8월 16일 | |
동해선 | 2016년 12월 30일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횡단 불가) | ||
철도거리표 | ||
부산진 방면
동 래← 0.9 ㎞ |
동해선 안 락 |
삼척 방면
부산원동 1.3 ㎞ → |
[clearfix]
1. 개요
동래의 역사(歷史)와 떠오르는 해를 담다
안락역은 처음 1989년 8월 16일 부산의 도시통근열차 승객을 위한 동해선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다가 동해선 개통과 함께 돌아온 역사이다. 2002년 동서통근열차가 운행이 중단되고 2008년 여객 영업이 정지된 지 6년여 만에 사라진 옛 안락역. 단출한 승강장, 그리고 조그만 매표소 하나가 전부였던 안락역은 과거 부산의 중심을 형성했던 동래의 역사성을 담은 모습으로 돌아왔다. 해가 떠오르는 모습, 일출이 형상화된 것이다. 새로운 안락역은 기존의 안락역에서 약 300m 떨어진 곳에 2면 2선의 선상역사[1]이자 광역전철 전용역사로 지어졌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동해선 광역전철 K115번.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연로98번길 57 (
안락동) 소재.안락역은 처음 1989년 8월 16일 부산의 도시통근열차 승객을 위한 동해선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다가 동해선 개통과 함께 돌아온 역사이다. 2002년 동서통근열차가 운행이 중단되고 2008년 여객 영업이 정지된 지 6년여 만에 사라진 옛 안락역. 단출한 승강장, 그리고 조그만 매표소 하나가 전부였던 안락역은 과거 부산의 중심을 형성했던 동래의 역사성을 담은 모습으로 돌아왔다. 해가 떠오르는 모습, 일출이 형상화된 것이다. 새로운 안락역은 기존의 안락역에서 약 300m 떨어진 곳에 2면 2선의 선상역사[1]이자 광역전철 전용역사로 지어졌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안락역사 |
개찰구 |
옛 안락역사 (1989년 설치, 2009년 철거) |
2002년 12월 2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하자 동서통근열차가 폐지된 이후 무궁화호 1회만 정차하다가 2008년 1월 1일 수요저조로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다.
옛 안락역으로부터 약 400m 정도 떨어진 곳에 고가로 신역사가 건설되었고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하면서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고 충렬사역이 멀어서 이용하지 못했던 안락동 주민들이 주로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예정 역명에 안락역이 있어서 역명중복이 될 뻔 했으나 다행히 4호선 쪽에서 충렬사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영업을 시작했으며 부역명에 "안락"을 넣었다.
2.1. 승강장
동해선 승강장 (부산원동 방향) |
동해선 승강장 (동래 방향) |
↑ 동래 | |||
1 | ㅣ | ㅣ | 2 |
부산원동 ↓ |
2 | 동해선 광역전철 | 부산원동· 벡스코· 태화강 방면 |
1 | 동래· 교대· 부전 방면 |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중이다.
3. 역 주변 정보
안락역 주변에는 대형 아파트단지(강변뜨란채아파트, 더샾파크시티 등등)가 많으며 한국전력공사 동래지점(동래한전)도 위치, 바로 옆으로 안락시장과 SK텔레콤 동래지점이 있다.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하게 되어 안락동 뿐만 아니라 온천천 건너 토곡과도 가깝다. 따라서 안락동과 더불어 토곡 주민들의 수요까지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수요는 부산원동역이 개통해서 다소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부산원동역이 개통하기 전에는 그 역 주변 주민들이 대신 안락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 비슷한 케이스로 동해선 기장역이 개통하면서 그 전에 기장 주민들이 이용하던 4호선 안평역은 이용객이 감소하였던 사례가 있다.
3.1. 출구 정보
<colbgcolor=#0054a6> 1 | 안진초등학교, 강변뜨란채APT, 순복음 안락교회 |
2 | 동래구 장애인복지관, B주차장 |
3 | 안락1동 행정복지센터, 낙민공원, A주차장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4a6><bgcolor=#0054a6> 연도 ||
||<bgcolor=#0054a6> 비고 ||
2016년 | 1,820명 | [2] |
2017년 | 2,557명 | |
2018년 | 3,108명 | |
2019년 | 3,467명 | |
2020년 | 2,679명 | |
2021년 | 2,742명 | |
2022년 | 3,116명 | |
2023년 | 3,322명 | |
2024년 | 3,444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하루 평균 이용객은 3,467명(2019년 기준)으로, 배차 간격 30분이라는 디버프를 고려해도 수요가 저조한 편이다.
- 충렬사역과 가깝기 때문에 역세권이 겹치는 것도 수요 저조의 원인이다. 특히 4호선은 배차간격이 짧기 때문에 이 역 인근의 주민도 미남 방면으로 나갈때는 4호선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3]
- 임시승강장 시절에는 충렬대로와 붙어있었으나 역이 서쪽으로 300m가량 옮겨오면서 대로와 멀어져 골목길 한복판에 있는 것이 승객을 끌어오는 데에 많은 제약을 준다. 특히 대로 북쪽에서 안락역을 찾아오기가 상당히 버거우며 기나긴 배차 간격은 이러한 단점을 더욱 부각시킨다.
- 도심 접근성 역시 나쁘기 때문에 안락동 주민들이 이 열차를 타고 갈만한 목적지가 많지 않다. 경전선 광역철도가 개통되어 사상역, 김해국제공항으로 직결되면 이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겠으나, 동래와 사상간에는 교류가 적은 편이라 이용객 수 상승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재로 동래사람들이 사상가는건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것 외에는 없다. 게다가 서부시외버스터미널보다 노포동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더 가깝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노포동으로 간다.
5. 연계 교통
역에서 나온 뒤 충렬대로396번길을 따라 나오면 BRT 정류장이 보이며 BRT 정류장 근처에 가로변 정류장이 별도로 있다.5.1. 충렬대로 가로변 정류장
- 안락동우체국(동해선 안락역)(정류장 번호: 06-173)
- 안락동우체국(동해선 안락역)(정류장 번호: 06-174)
5.2. 충렬대로 BRT 정류장
- 안락동우체국(동해선 안락역)(정류장 번호: 06-707)
- 부산 버스 29 - 안창마을행
- 부산 버스 31 - 모라주공행
- 부산 버스 36 - 거제역행
- 부산 버스 42 - 회동동행
- 부산 버스 43 - 중앙공원·민주공원행
- 부산 버스 44 - 당감동행
- 부산 버스 52 - 수정4동행
- 부산 버스 144 - 장전역행
- 부산 버스 200 - 구포시장행
- 부산 버스 307 - 공항행
- 부산 버스 506 - 부산시민공원행
- 안락동우체국(동해선 안락역)(정류장 번호: 06-708)
6. 둘러보기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전 -
거제해맞이 -
거제 -
교대 -
동래 -
안락 -
부산원동 -
재송 -
센텀 -
벡스코 -
신해운대 -
송정 -
오시리아 -
기장 -
일광 -
좌천 -
월내 -
서생 -
남창 -
망양 -
덕하 -
개운포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동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진† -
범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동† - - - - - - - -
모량† - - - - - - -
부조†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