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1:36:59

에어서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파일:대한항공 아이콘.svg 에어부산파일:금호아시아나 윙 아이콘.svg
에어프레미아 에어서울파일:금호아시아나 윙 아이콘.svg 이스타항공 에어로케이항공
플라이강원(운항 중단)
소형 항공사
Regional Carrier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하이에어(운항 중단) 섬에어(운항 준비 중) 에어인천 시리우스항공(운항 준비 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운항 중단 된 항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어포항 에어필립 영남에어 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코스타항공 프라임항공 한성항공파일:티웨이항공 아이콘.png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파일:세기항공로고.png 파일:대한국민항공 로고.svg
세기항공 대한국민항공
}}}}}}}}} ||
}}}}}}}}} ||

에어서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동아시아 저비용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항공
플라이강원운항 중단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스카이마크항공 로고.svg 파일:피치항공 로고.svg 파일:Jetstar_Logo.svg 파일:스프링재팬 로고.svg
스카이마크 항공 피치 항공 스프링재팬
파일:ZIPAIR 로고.svg 파일:AirJapanLogo.svg 파일:토키에어 로고.svg
ZIPAIR 에어재팬 토키에어

||<-4><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9에어 로고.png 파일:춘추항공 로고.svg 파일:kn_logo.webp 파일:럭키에어로고.jpg
구원항공 춘추항공 중국연합항공 럭키에어
파일:logo중국서부항공.webp 파일:UrumqiAir.png
중국서부항공 우루무치항공
[[홍콩|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홍콩익스프레스 로고.svg 파일:그레이터베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거에어 타이완 로고.svg 파일:이즈니스 항공 가로형 로고.png
홍콩 익스프레스 그레이터베이항공 타이거에어 타이완 이즈니스 항공 }}}}}}}}}

파일:금호아시아나 CI_영문.svg 파일:금호아시아나 CI_영문 화이트.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54A51> 운송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금호고속 (금호익스프레스 · 금호고속관광 경기법인 · 유스퀘어(매각 예정))
항공 아시아나항공 ( 에어부산 · 에어서울 · 아시아나에어포트)(매각 예정) | 아시아나IDT(매각 예정) | 아시아나세이버(매각 예정)
건설 금호건설 | 금호AMC | 충주보라매
서비스 금호문화재단 | 금호아트홀 | 금호미술관
특수목적 아시아나티앤아이(매각 예정)
죽호학원 금호중앙중학교 | 금파공업고등학교 | 금호고등학교 ( 축구부) |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과거 계열사
분리·독립 금호석유화학그룹 | 금호전기 | 모빌코리아윤활유 | 삼양여객 | 삼화고속
매각 광주제2순환도로 | 금호렌터카 | 금호생명 | 대한통운 | 대우건설 | 금호종합금융 | 금호타이어 | 금호리조트 | 금호고속관광 서울법인, 호남법인 | 금호속리산고속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어부산 에어서울
}}}}}}}}} ||
에어서울
Air Seoul
파일:에어서울 CI.svg
<colbgcolor=#1db898><colcolor=#fff> 기업명 정식: 에어서울 주식회사
영문: Air Seoul, Inc.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15년 4월 7일 ([age(2015-04-07)]주년)
보유 항공기 수
6
취항지 수 13
허브 공항
국제선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ICN)
국내선
김포국제공항 (GMP)
부호
<colbgcolor=#1db898> AIR SEOUL
RS
ASV
항공권 식별번호
820
지상조업사 아시아나에어포트
슬로건
초기
FLY YOUNG
초기~
현재
It's Mint Time
기업규모 대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자본금 175억원 (2023년 기준)
매출액 3,109억원 (2023년 기준)
영업이익 644억원 (2023년 기준)
순이익 912억원 (2023년 기준)
대표자 대표이사 상무 선완성
모회사 아시아나항공
직원 수 426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
링크 파일:에어서울 CI.svg 에어서울 공식 홈페이지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특징
4.1. 기내 엔터테인먼트4.2. 민트 컬러4.3. 민트패스
5. 노선6. 보유 기체7. 사건 사고
7.1. 논란
8. 여담

[clearfix]
파일:2194652_1706940131.jpg
A321-231 HL8073

1. 개요

에어서울 홍보 영상

아시아나항공이 100% 출자(자본금 150억 원)해 만든 항공사이다. 에어서울의 명칭은 앞서 설립된 아시아나항공 계열 항공사인 에어부산처럼 수도권 지역인 인천국제공항을 기반으로 한다는 뜻에서 지어졌다.[1] 두 항공사는 ANA 그룹 피치 항공 바닐라 에어의 관계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2]

2. 역사

2015년 10월 22일 국토교통부의 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신청 공고문을 통해 영업 상세 사항이 공개되었다. 2017년까지 총 5대의 항공기를 도입하며 2016년 2분기부터 취항할 예정. 2016년 상반기 취항 예정이라고 했지만 안전보강과 운항증명 재신청에 따라 2016년 내 첫 취항에 대한 불투명한 상태였다가 5월 에어서울의 AOC 예비평가를 마치고 서류심사가 착수되었다. 빠르면 국제선은 향후 10월에 취항 될 예정이며 국내선 먼저 취항한다.

2016년 6월 16일부터 21일까지 김포 - 광주 시험 비행하였으며, 22일부터 28일까지 김포 - 제주, 김포 - 인천 시험 비행하였다. 시험 비행 시각표

국제선 취항 시점부터 에어서울의 독자적인 브랜드 콘셉트로 디자인된 항공기가 투입된다. 이미지 컬러는 민트색이고 로고는 서울의 한글 초성인 "ㅅㅇ"에서 따왔다. [3]
파일:external/newsimg.sedaily.com/1KXM2KZXRA_1.jpg
에어서울 유니폼

같은 달 유니폼이 공개되었다. 디자인은 삼성물산 상무로 있는 정욱준 패션디자이너(JUUN.J)와 협력을 하였다.

6월 30일에 위급 상황을 가정해 비상탈출(육상), 비상착수(해상) 훈련 검증을 받아서 남은 심사를 통과하였으며, 7월 5일 국내·국제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증명(AOC)을 발급받아 7월 11일에 첫 취항을 한다.

2016년 7월 11일 김포(서울)발 제주행 RS9581편[4]으로 첫 상업비행을 개시했다. 에어서울 측에서는 첫 편(RS9581)의 탑승률이 94%에 이르렀다고 밝히며 순조로운 시작을 보였다. 또 첫 취항일에 에어버스 공식 페이스북에서는 축하한다는 말을 남겼다. 심지어 한국어로 작성되어있다![5]

첫 취항 후 일주일 간 무려 평균 97%의 탑승률을 기록했다.

8월 8일에 정식으로 홈페이지가 열렸지만 아직 100% 완벽히 동작하진 않는다. 사전 기내식/면세품 주문은 9월 8일부터 열린다. 또한 타 사이트와 다르게 굉장히 미니멀니즘을 표방하고 있으며, 각종 서비스 요금은 아직 아시아나의 시스템을 따르고 있다.
10월 7일. 에어서울 다카마쓰(RS702편) 첫 국제선 탑승률 87.1%를 기록하였다. 그 후, 11월 요나고 노선 탑승률이 44%나 나왔다. 이는 한국의 정치상황, 2016년 돗토리 지진, 엔화 고강세 등에 있다. #

2017년 1월 11일부터 전 노선 아시아나항공 코드셰어를 실시한다. #.2017년 에어서울의 영업적자가 280억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회사 대표도 바뀌었고 경영 방식도 프리미엄 저비용 항공사 콘셉트을 버렸다. 위탁 수하물 유료화, 좌석 고밀도화 등 일반적인 저비용 항공사 전략으로 바뀌고 있다.

2018년 매출액은 2,215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104.3% 증가하였으며, 영업손실은 16억원으로 전년보다 적자 폭을 줄였다. 제주 국내선 취항도 검토한다. 그러던 중 나가사키 노선이 적자가 크면서 2019년 무기 운휴에 들어갔다.

2023년에는 매출 3,109억, 영업이익 644억을 달성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하였다. 국내 항공사 중 영업이익률도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호실적을 기록하였다. 기사

3.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아시아나항공
100%

4. 특징

4.1. 기내 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 저비용 항공사 중 최초로[13] AVOD를 장착 및 제공하고 있다.[14] 도입 초기에 아시아나항공 A321 최신 기체를 그대로 도입하여 AVOD 역시 그대로 장착된 채로 들여왔다. 그러나, 마치 PTV 서비스와 같이 중앙에서 틀어주는 것[15]만 볼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리모콘 입력은 제한되었었다. 2019년 이후 AVOD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지원하게 되어 이제 자유롭게 VOD를 볼 수 있게 되었다. 관련 기사
기내 안전 영상

네이버 웹툰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기내안전영상을 제작하였다. 링크 작중 나온 웹툰들로는 덴마, 마음의소리, 노블레스 등이 있으며, 해당 썸네일은 덴마. 역시 여기서 연재중인 오렌지 마말레이드 백마리가 승무원 역할로 나온다. 이 영상에는 나오지 않은 작품인 마왕이 되는 중2야 40화( 이미지1), 41화( 이미지2)에서 이 썸네일의 캐릭터들의 눈을 마음의소리 눈모양으로 바꿔서 패러디했다.
신버전 기내 안전 영상
2019년부터는 네이버 LICO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중이다. 성우는 정형석.

4.2. 민트 컬러

에어서울의 브랜드 컬러인 Air Seoul MINT는 에어서울의 제공가치인 Light, Fresh, Young & Lively를 상징한다. 브랜드 컬러를 활용한 슬로건 'It's Mint Time'은 에어서울과 함께 하는 여행이 Fresh하고 Cool한 기억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4.3. 민트패스

2018년 3월 시작된 프로모션으로, 일정 기간동안 에어서울의 특정 구간 노선을 일정 횟수 또는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패스이다. 단 항공료만 면제이며 유류할증료 및 세금 등의 기타비용은 그대로 지불해야 한다. 민트패스를 구매할 경우 첫 여정 예약은 홈페이지에서 일반 여정과 같이 예약하되 민트패스 구매를 선택하여 패스 가격을 결제하면 되고, 이후 여정은 각 패스별 전용 이메일로 예매하고자 하는 여정을 보내면 유선으로 예약절차가 진행된다. 각 패스별로 사용불가능한 요일 및 날짜가 정해져 있으니 사전에 확인해야 하며 환불은 구매 당일에 한하여 전액 환불이고 당일을 넘기면 편도당 5만원을 수수료로 내야 하니 주의하자.
2019년 10월 기준 발매중인 민트패스는 아래와 같다.
발매 종료된 민트패스는 아래와 같다.

5. 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어서울/노선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보유 기체

파일:에어서울 CI.svg
보유 기종
기종 대수
A321-200 6
총합 6

현재 모든 기체가 에어버스 321이다. 에어버스 330 도입 계획이 있었으나 에어부산에 가는 걸로 바뀌면서 에어서울은 계속 A321만 사용할 것이다. 아직까지는 320neo 패밀리의 도입 계획은 잡혀있지 않다.

2016년 9월 18일부터 HL8255가 아닌 HL8280이 김포-제주 노선에 투입되었으며, HL8255는 도색 작업을 위해 광저우로 떠났다. 2016년 9월 30일 새벽, HL8255의 대체로 투입되던 HL8280도 도색을 위해 광저우로 이동했다.
파일:chobl-RS-HL8255-CJU.jpg
에어버스 A321-231 HL8255

아시아나항공의 기재를 들여와 도색만 바꾸어 운행을 시작했기 때문에 초창기엔 위 사진과 같이 아시아나항공 신도색에 에어서울 로고만 작게 붙여놓은 형태였다.

2016년 10월 5일 오전, 광저우로 도색 작업을 하러 간 HL8255가 새옷을 입고 11시 22분 인천공항으로 들어왔다. 같은 날 새벽, 아시아나에서 송출될 것으로 추정됐던 HL8281도 RS891F 편명을 달고 도색 작업을 위해 광저우로 떠났으며, HL8280과 HL8281은 각각 10월 15일, 21일에 투입됐다.

2017년 7월 9일 4호기 HL7790이 도입되었으며 2017년 10월 12일 5호기 HL8266이 도색 작업을 하러 광저우로 갔고, 28일 인천공항을 통해 들어온 후 31일 히로시마 항공편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2017년 12월에는 신조 항공기인 에어서울 6호기 HL7212가 들어왔다. 엄밀히 말하자면 해당 기종은 에어부산에 갈 항공기였으나 에어서울에 리스로 최초 인도되도록 했다고 한다. 주로 고밀도 수송이 필요한 인기 노선에 투입되고 있으니 비인기 노선의 경우 해당 기체를 탈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2018년 10월 31일 7호기 HL7789이 도색 작업을 하러 광저우로 갔고, 좌석개조는 8월에 이미 했다고 한다. 아시아나항공 비지니스석을 사용해 프리미엄 민트라는 이름으로 임시 운항했었으나 8월까지 171석으로 다녔으며 그 이후 195석으로 개조가 되었다.

2020년 12월 2일 5호기 HL8266이 미국에 있는 피닉스 굿이어 공항으로 송출되었다. 인천공항에서 페트로파블로스크 캄차스키 공항으로 와 앵커리지 국제공항까지 RS8266편으로 운항하였고, 피닉스 굿이어 공항까지는 RS151편으로 운항하였으며 2021년 7월 24일, 에어부산 출신 리스 항공기 HL8073(8호기)이 ABL804F편으로 도입되었다. 좌석 수는 HL7212와 같은 220석.

현재 195석 기재는 모두 인천발 국제선에 투입되며 HL8072를 제외한 모든 220석 기체들도 국제선을 운항 중이다.

6.1. 현역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어서울/보유 기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퇴역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어서울/이전 보유 기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어서울/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논란

8. 여담



[1] 재미있게도 모회사 아시아나항공이 처음 설립되던 1988년 당시 명칭이 '(주)서울항공'이었다. [2] 피치 항공 전일본공수가 60%대의 지분을 소유한 대주주이며 바닐라 에어 전일본공수의 완전 자회사이다. 마찬가지로 에어부산 아시아나항공이 대주주이며 에어서울은 아시아나항공의 완전 자회사이다. ANA 그룹의 경우, 바닐라 에어의 경영 상태가 좋지 않아 피치 항공으로 합병하게 되었다. [3] 참고로 로고 디자인과 도색은 '소디움파트너스'에서 담당했다. 과거에 아시아나항공 브랜드 디자인을 한 경험이 있다. [4] 아시아나항공과 코드쉐어 OZ9581. [5] 자사의 A321기종을 사용해서 그런 듯하다. [6] 단, 이 정책은 3개월 간 계도기간을 두고 있다. 즉, 10월 10일까지의 발권분에 대해서는 구/신 규정 중 탑승객이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다. [7] 레지번호 HL7212, HL8072, HL8073 [8] 같은 계열사인 에어부산도 A321 최신 도입분은 195석이 아닌 220석이다. [9] AVOD 장착 항공기만 [10] 이는 아시아나에서 에어부산 운항편을 발권하거나, 대한항공에서 진에어 운항편을 발권해도 마찬가지로 코드셰어는 특가나 할인 운임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11] 이런경우 아시아나 구매승객은 건강도시락을 무료로 받는다. [12] 시즈오카-인천 혹은 시즈오카-인천-LA(시즈오카-인천 에어서울 운항편, 인천-LA 아시아나 운항편)은 발권 가능하다. [13] 최초는 아니지만 에어프레미아도 기내엔터테인먼트가 있다 [14] '일부 항공기 제외'라지만 지금은 없는 기재가 더 많다. 전부 다른 데서 빌려쓰는 리스기라 상태가 좋든 나쁘든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 반납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AVOD가 있는 것이 빨리 전출된 것. [15] 주로 에어쇼 또는 Just For Laugh를 틀어주었었다. [16] 아무래도 민트색의 예쁜 도장이 인상이 깊었던 모양이다. [17] 정식비타크루 [18] 사실은 몽촌토성 풍납토성이다. [19] 모델 기체는 HL8255 [20] 이 분은 비타크루 면접을 볼 때 면접관으로 참여한 적이 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