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신 방면 동대구 ← 12.3 ㎞ |
부산 방면
|
|||
밀 양 43.0 ㎞ → |
|||||
진주 방면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방면
동대구 ← 12.3 ㎞ |
부산· 신해운대 방면 | |||
청 도 23.2 ㎞ → |
|||||
진주 방면
|
|||||
경부선 무궁화호 |
부산 방면
|
||||
남성현 14.5 ㎞ → |
|||||
동대구 방면
동대구 ← 12.3 ㎞ |
경전선 무궁화호 |
||||
진주 방면
|
|||||
부산 방면
청 도 23.2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대구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구미 방면
동대구 ← 12.3 ㎞ |
대경선 (K119) |
시종착
|
}}}}}}}}}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경산 Gyeongsan 慶山 / 庆山 / [ruby(慶山, ruby=キョンサン)] |
||||
대경선 | |||||
주소 | |||||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 1 (사정동)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024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1]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부선 | 1905년 1월 1일 | |||
2013년 1월 1일 | |||||
2014년 5월 12일 | |||||
2024년 9월 26일 | |||||
무궁화호 | 1985년 11월 16일 | ||||
2022년 11월 5일 | |||||
대경선 | 2024년 12월 14일 | }}}}}}}}}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경부선) | |||||
승강장 구조 | |||||
7면 14선 혼합형 승강장 ( 경부선)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가 천 ← 5.2 ㎞ |
경부선 경 산 |
부산 방면
삼 성 7.1 ㎞ → |
3대 역사(2011년 준공) |
2대 역사(1971년 준공, 2011년 철거) |
[clearfix]
1. 개요
경산의 명물
갓바위를 형상화
경산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 1971년 278.4㎡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층의 옛 역사를 신축하였으며 2006년 고모역의 화물업무를 이관 받아 운영되었다. 이후 도시의 급속한 성장과 여객의 증가로 2011년 연면적 1천362㎡ 지상3층의 현재 역사를 설립하였다. 특히 경산의 명물로 이름 높은 갓바위를 형상화한 것이 특징인데, 갓바위란 팔공산도립공원에 위치한 관봉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을 뜻하는 것으로, 갓바위 부처로 불리기도 한다. 정성을 다해 빌면 소원을 이루어준다는 전설이 있어 기도하기 위해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산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 1971년 278.4㎡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층의 옛 역사를 신축하였으며 2006년 고모역의 화물업무를 이관 받아 운영되었다. 이후 도시의 급속한 성장과 여객의 증가로 2011년 연면적 1천362㎡ 지상3층의 현재 역사를 설립하였다. 특히 경산의 명물로 이름 높은 갓바위를 형상화한 것이 특징인데, 갓바위란 팔공산도립공원에 위치한 관봉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을 뜻하는 것으로, 갓바위 부처로 불리기도 한다. 정성을 다해 빌면 소원을 이루어준다는 전설이 있어 기도하기 위해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경산역사와 삽살개를 형상화했으며, 크기가 7 * 5로 큰 편이다. |
경산역 소개 영상[2] |
경부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 1( 사정동 84-1) 소재.
2. 역 정보
대경선 바로타 개찰구 |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보통역 등급으로 개업하였고 1971년 8월 7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다.
1972년 3월 13일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으나 같은 해 11월 3일에 주사역으로 격하되었고, 2000년에 역사를 한 차례 증축하였다.
2006년 고모역으로부터 화물열차 업무를 이관받았으나 일반화물 취급은 거의 없고 관내의 제2수송교육연대가 위치한 관계로 약간의 군용화물을 취급하고 있다, 특히 군인 수송이 잦아 어느 규모가 있는 역에 가야만 찾아볼 수 있는 TMO도 있다.[3]
경산역에서 무궁화호를 타고 대구광역시로 가려는 승객들이 많다. 시내버스나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대구 시내까지 40분~1시간 정도 걸리지만, 여기서 기차를 타면 백화점이 있는 동대구역까지 9분[4], 동성로와 가까운 대구역까지 15분만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요금도 경산~대구는 기본요금 구간이기 때문에 시내버스 1,500원, 무궁화호 2,600원으로 1,100원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서울이나 대전 등 대구보다 먼 타지로 갈 때에도 이 역에서 일반열차를 타거나, 더 빨리 가고 싶을 경우 동대구역에서 KTX/ SRT 고속열차로 환승[5]하는 경우가 많다.
목적지가 강원특별자치도, 전라도 등 철도로 접근하기 곤란한 지역일 경우에도 동대구역과 붙어 있는 동대구터미널에서 버스를 타면 되기 때문에 정작 경산시내에 있는 경산터미널에는 운행 노선이 얼마 되지 않는다.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전철이 개통되었다. 승강장을 1선만 이용하며, 동대구발 경산종착 회송열차 4편성이 신설되었다.
2.1. 열차 운행 정보
모든 무궁화호, 일부 ITX-새마을과 KTX가 이 역에 정차한다. ITX-새마을은 경부선 상행 3회/하행 4회(상행: #1004, #1006, #1008 하행: #1005, #1007, #1009, #1011), 경전선 하행 1회(#1031), 동해선 상하행 각 1회(하행: #1021, 상행: #1022)로 총 10회 정차한다. 경전선 SRT, 정규 ITX-마음은 이 역을 통과한다.2013년 1월 1일부터 출퇴근 시간대에 맞춰 KTX가 기존 경부선 경유편 중에서 1일 2왕복 정차하고 있다.[6] 코레일뉴스 물론 이에 대해 KTX 정차역이 너무 많아진다는 비판이 있다. 한국철도공사는 경산역에서 일반열차를 타고 동대구역에서 KTX로 환승하는 수요가 많은 데 따른 추가 정차라고 밝혔다.
구포 경유 KTX 노선은 동대구 - 구포 - 부산 구간에서의 단거리 수요도 꽤 많이 혼재하고 있다.[7] 또한 어차피 속달편은 경주역을 경유하는 경부고속선을 이용하기에 구포 경유 KTX는 부산 방면 수요를 포기하고 동대구역 이남 구간에서 승객 유치를 위해 정차역이 많아지는데 경산역도 그러한 이유에서 KTX가 정차한다.
즉 경산역 KTX 정차는 동대구 - 부산 간 수요는 어차피 저속철이라,[8] 경산역 그 자체의 수요만 잡으려고 하는 것이라 봐야 한다.
2022년 11월 5일 부터 부산~동대구간 #1345, #1346 누리로 열차가 상하행 1회 정차한다.
2023년 12월 29일 부터 경전선 KTX가 1왕복 추가 정차한다.
2024년 5월 1일 부터 부산~동대구간 #1347, #1348 누리로 열차가 상하행 1회 증편 운행한다.
2024년 9월 26일 부터 #1342, #1345 누리로 열차를 대체하여 부산~동대구간 #1132, #1133 ITX-마음 열차가 상하행 1회 정차한다.
2024년 12월 14일 부터 대경선 개통에 따른 열차 운행 조정으로 ITX-새마을 경부선 상행 1편성(#1008)은 통과한다.
2.2. 승강장
남성현(부산, 창원) 방향 승강장 |
동대구(서울, 대전) 방향 승강장 |
대경선(동대구, 구미) 방향 승강장 |
↑ 삼성 | 종착역 | |||||||||
ㅣ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ㅣ | 5 |
가천 ↓ | 동대구 ↓ |
1·2 | 경부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밀양· 부산· 신해운대 방면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밀양· 마산· 진주 방면 | |
3·4 | 경부선·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동대구· 대전· 서울 방면 |
5 | 대경선 | 동대구· 왜관· 구미 방면 |
3. 역 주변 정보
북서쪽으로 6.8㎞ 지점에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직선거리로 약 2㎞ 지점에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지구가 있다.4. 일평균 이용객
4.1. 대구권 전철 ( 대경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4a6><bgcolor=#0054a6> 연도 ||
||<bgcolor=#0054a6> 비고 ||
2024년 | [9] | ||
2025년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2024년 12월 14일 개통하였다.
4.2. 일반 · 고속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2004년 | 319명 | 4,079명 | 4,398명 | ||
2005년 | 262명 | 4,611명 | 4,873명 | ||
2006년 | 236명 | 4,490명 | 4,726명 | ||
2007년 | 276명 | 4,481명 | 4,757명 | ||
2008년 | 413명 | 4,496명 | 4,909명 | ||
2009년 | 425명 | 4,486명 | 4,911명 | ||
2010년 | 423명 | 4,680명 | 5,103명 | ||
2011년 | 315명 | 5,319명 | 5,634명 | ||
2012년 | 279명 | 5,630명 | 5,909명 | ||
2013년 | 226명 | 167명 | 5,836명 | 6,229명 | |
2014년 | 267명 | 204명 | 5,824명 | 6,295명 | |
2015년 | 265명 | 205명 | 5,557명 | 6,027명 | |
2016년 | 275명 | 254명 | 5,631명 | 6,160명 | |
2017년 | 222명 | 368명 | 5,586명 | 6,176명 | |
2018년 | 250명 | 355명 | 5,571명 | 6,176명 | |
2019년 | 300명 | 415명 | 5,409명 | 6,124명 | |
2020년 | 194명 | 245명 | 3,304명 | 3,743명 | |
2021년 | 236명 | 276명 | 3,714명 | 4,226명 | |
2022년 | 296명 | 345명 | 4,521명 | 5,162명 | |
2023년 | 352명 | 641명 | 4,345명 | 5,338명 | |
2024년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연계 교통
대구와 경산을 오가는 시내버스의 대다수가 중산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경산역 및 경산시장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시내버스편이 많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에서 하차한 후 2번 출구로 나와 시내버스로 환승하여 중산삼거리를 통해 경산역으로 이동하면 6~7분 정도 걸린다. 단, 990번은 2017년 9월부터 중산삼거리 대신 펜타힐즈 경유 후 내려온다.다만 경산역에서 사월역으로 올라가는 방향을 이용하려면 시내버스 정류장까지 동선이 약간 길다. 사월역에서 경산역으로 내려오는 방향은 역전네거리 못 가서 세워 주지만, 사월역으로 올라가는 쪽은 경산역에서 나온 후 직진하여 도보 5분 정도 걸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산 청도지사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거리는 300m가 조금 안되지만 두 블럭 정도를 지나야해서인지 심리적으로 거리가 먼 것처럼 느껴지는 편. 대평동이나 정평동 쪽에서 오려면 980번이나 남천1번을 이용해야 하며, 그나마 왕복으로 다니는 노선은 남천1번 뿐이다.
시지노인전문병원, 덕원고, 대구스타디움이나 칠곡(대구) 쪽으로 방향을 이용하려면 경산역 후문 쪽으로 나와서 도보 6~10분 정도 걸어 옥산청구아파트 건너편 방향의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939번을 이용할 수 있고, 수성구 황금동, 범어4동 쪽으로 이용하려면 같은 정류장에서 100-1번을 이용하면 된다.
5.1.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309번, 509번(영남대발 방천리행, 방천리발 영남대행), 609번, 840번, 909번, 980번(영남대 방면 편도 운행)5.2. 경산시 시내버스 노선
100번, 399번, 803번, 809번, 911번, 918번, 990번, 남산1번, 남산2번(정평역 지원운행), 남천1번, 압량1번, 용성1번(정평역 지원운행), 경산1번[10], 경산2(-1)번6. 둘러보기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대경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구미 -
사곡 -
북삼 -
왜관 -
서대구 -
K116 -
대구 -
동대구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삼성역,
남성현역,
청도역,
신거역,
금강역,
청천역을 관할한다.
[2]
해당 영상은 한국철도공사 명예기자인 유튜버가 한국철도공사와의 협업으로 제작했으며, 요약 버전이 한국철도TV 공식 계정에
먼저 게시되었다.
[3]
하지만 평시에는 운영을 하지 않고 매주 목요일에 신병 훈련소 수료 이후 자대배치 및 후반기 교육 이후 수송지원 기간에만 운영한다.
[4]
1900호대 무궁화호와 1340호대 동대구 종착 무궁화호, 누리로는
가천역에서 신호대기 및 경부선에서 대구선으로 선로를 바꾸어 운행하는 관계로 15분 정도 소요된다.
[5]
이 역에도 KTX가 정차하지만, 고작 하루 3왕복 정차라 시간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6]
2015년 4월 2일부터 하행 1편이
서울발
진주행
경전선
KTX로 교체되었다. 나머지 하행 1편성은
구포 경유 KTX이며(이 열차는
서울에서
대전까지 무정차었으나 2018년 7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광명역에 추가 정차하도록 바뀌었다.) 그리고
동대구에서
부산까지는 경산,
밀양,
구포역에 정차한다. 상행 두편은 모두
부산발
서울행
구포 경유 KTX이다.
[7]
이러한 단거리 수요는 기존선을 공유하는 KTX 노선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가령 동해선 KTX의 동대구-포항 구간이나 경전선 KTX의 동대구-창원 구간 등이 있다.
[8]
실제로 동대구, 경산, 밀양, 구포, 부산을 전부 정차한다. 행신발
구포 경유 KTX는
행신역, 경산역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차역이 많아 3시간 25분이 소요된다.
[9]
12월 14일에 개통하였으며, 14일부터 31일까지의 집계를 반영할 예정이다.
[10]
경산1-1번은 장산중 정류장 승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