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육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북한|
중국 | 일본(준군사조직)| 대만 |
||||
동남아시아 |
싱가포르 |
태국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연방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튀르키예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스웨덴 | 덴마크 | 노르웨이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북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남아메리카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
|||
육군 | 해군 | 공군 | 로켓군 |
중앙군사위원회 직속부대 | |||
연근보장부대 | 신식지원부대 | 망락공간부대 | 군사항천부대 |
준군사조직 | |||
인민무장경찰부대 | |||
* 중국의 군대는 인민해방군, 무장경찰, 민병대로 나뉜다. 즉, 무장경찰은 중국의 군대이지만 인민해방군은 아니다. 다만 인민해방군이 중국의 군대 전체를 뜻하는 통념상 무장경찰을 같이 서술한다.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中国人民解放军陆军(中国陆军) People's Liberation Army Ground Force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기 | |
인민을 위해 복무하자 (为人民服务) 공산당의 지휘를 따르면, 싸움에서 이길 수 있고, 작풍이 우수하다 (听党指挥、能打胜仗、作风优良) |
|
모토 | |
창설일 | 1927년 8월 1일 |
국가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명령체계 | 중앙군사위원회 |
주 임무 | 지상전, 국토방위 |
소속 | 중국 인민해방군 |
군종 | 육군 |
전력 | 975,000~1,200,000명 #(2024년) |
본부 |
베이징시
스징산구[1] 北京市石景山区高井甲32号 |
색상 | 빨간색, 초록색 |
행진곡 |
<新型陆军向前进> | 신식 육군 앞으로 전진! |
전신 |
대청(명목상) 북양정부(사실상) |
참전 |
국공내전(1차&2차) ┗ 난창 폭동 ┗ 진먼 포격전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 국공합작 중국-인도 국경분쟁(진행중) 중국-소련 국경분쟁 베트남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원난성 양호산전역전투 유엔 평화유지군 |
지휘 | |
육군사령원 | 상장 리차오밍(李桥铭) |
육군부사령원 |
중장 장밍차이(张明才) 중장 덩즈핑(邓志平) 중장 리훠후이(黎火辉) |
육군 정치위원 | 상장 쉬더칭(徐德清)[2] |
육군 부정치위원 | 중장 가오웨이(高伟) |
외부링크 | |
중국육군-중국군망(뉴스포털)( ZH) |
[clearfix]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의 육군은 2023년 기준으로 약 96만 명의 병력을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육군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각 군구별로 합성집단군의 성격을 띤 쾌속반응군(快速反应军, QRF)을 각 1개씩 운영하고 있는데, 이들은 중국 전역에 72시간 내로 전개할 수 있다.중국군도 워낙 육방부스러웠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휘기구로 총참모부 산하의 각 군구가 해/공군사령부와 동급으로 있었으며, 총참모장이 육군을 직접 지휘했다.[3] 그러나 2016년 1월 1일 단행된 지휘체계 개편으로 '육군총부(陆军总部)'가 해/공군과 동급의 사령부로 창설되었으며, 육군참모총장격인 육군사령원 직책이 생겼다. 이로써 중국군도 본격적인 합동군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초대 육군사령원은 성도군구 사령원 리쭤청(李作成) 상장이 임명되었다. 이는 시진핑이 각 군구별로 따로 놀며 중앙정부의 영향력을 벗어날 우려가 있는 육군의 통제권을 보다 강하게 잡아두기 위한 작업으로 보인다.
2. 간략한 역사
자세한 역사는 중국 인민해방군/역사를 참조하세요.2.1. 군구제에서 전구제로의 개편
중국 인민해방군의 5대 전구 | ||||
동부전구 | 남부전구 | 서부전구 | 북부전구 | 중부전구 |
과거 중국의 옛 7대 군구 제도는 군구대사령이 육군을 지휘하고 해군, 공군은 그때 그때 급조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지휘 아래에서 따로 노는 상황이었지만 전구 제도(2016.2.1 ~ 현재)로 개편되면서 그 전구 안에서의 육군, 해군, 공군은 물론이고 심지어 제2포병의 일부 지휘권까지 전구사령관에게 통합되게 된다. 그야말로 막강한 지역 통합군 사령관이 된다.
전구 제도가 들어서게 되면 동부전구는 중부전구와 더불어 중국군 최대의 전력을 보유한 전구가 된다.
단 전구제도로 개편하기에는 중앙정부 입장에서 정치적 부담이 워낙 크니 그리 할 수 없었는데 요즘 중앙정치세력이 자신감이 붙었는지 그런 전구제도 개편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총참모부 내에 타국의
합참과 기능상 비슷한 합동작전지휘센터를 설치했다는 주장이 캐나다발 군사전문지에서 나오기도 했다.
# 이런 움직임이 군구 체계를 개혁하고 합동사령부를 만들려는 계획의 일환이란 것이다. 그리고 중국이 12월 20일에 7대군구 해체 작업에 나서 이르면 내달부터 5개의 전구 체계를 가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었다.
일부 7개의 대군구 해체 #2016년 1월 1일부터 5개의 전구가 본격적으로 실행될 예정이고 2016년 2월 1일에 들어서는 5대 전구가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 #
동부 전구 : 난징 군구, 사령부는 난징ㅡ 대만+일본 방면 담당
서부 전구 : 란저우+청두 군구, 사령부는 우루무치ㅡ 러시아+중앙아시아+남아시아 방면 담당
남부 전구 : 광저우 군구, 사령부는 광저우, 대만+동남아 방면 담당
북부 전구 : 선양 군구, 사령부는 선양. 동북아시아 방면 담당 중부 전구: 베이징+지난 군구, 수도 방면 담당
2017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집단군의 개편과 축소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는데 기존의 집단군의 단대번호 대부분이 변화하는 등의 형태라서 논란이 크게 작용하는 모양새인듯 했다. # 현재 공개된 편제 형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언급되어지고 있다. ( #
사실상의 군단의 넘버링이 완전히 뒤바뀌는 작업을 하는 것이라 중국군 내에서도 반발이 심한 편이다. 과거 미군을 상대로 한국 전쟁 시절 만세군(萬歲軍)이라는 칭호를 받을만큼 전과를 냈던 38집단군의 넘버링 변화에 대한 반발이 아주 대표적으로 언급되고 있고 사실 기존의 합성집단군 넘버링들이 중국 인민해방군이 공산당군시절부터 넘버링이 유지편제되어왔던 전통있는 부대들인터라 그것에 대한 전통문제가 잡음으로나오고 있는 것이다.[5] 총 5개 전구중에 1개의 전구를 제외하면 나머지 4개 전구는 집단군을 1~2개씩은 해체되게 된다. 3개 전구가 3개 집단군을 2개 전구가 2개 집단군을 각각 보유하여 13개 집단군으로 완전개편 형태인 셈이다. 다만 이 개편에서 해체 기준이 중국 인민무장경찰로 전원 전환된다는건지 아니면 일부는 해군 육전대로 파견되는지 등은 애매한 상황이다. 왜냐하면 육군 병력이 감축되는 대신에 해군 육전대가 10만명으로 증편되는데다가 해군 인력도 증강되기 때문이고 중국군은 그동안 인민해방군 육군 해체를 대체적으로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로 전환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해체 개념이 애매하다. 다만 장교층의 경우에는 사실상의 예편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거의 확실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2.2. 합성여단의 도입
2017년에는 합성여단 체제로 군을 변화시켰다. 4개의 전투대대와 정찰대대, 포병대대, 방공대대, 작전지원대대, 운영지원대대로 이루어졌으며 1개의 전투대대는 다시 2개의 전차중대와 2개의 기계화보병중대, 1개 포병중대, 1개 지원대대로 이루어 진다. 미국의 BCT가 ABCT, SBCT, IBCT로 이루어진것 처럼 중국의 제병협동여단도 그 쓰임새에 따라 중형(무거울 중),중형(가운데 중), 경형, 상륙, 산악으로 구분되어지나 부대명칭은 일률적으로 합성여단인것이 차이점이다.
3. 편제
3.1. 기능부서
- 참모부
- 작전국
- 훈련국
- 병종국
- 항공병국
- 부대관리국
- 기획 및 편성국
- 직속공작국
- 정치공작부
- 조직국
- 간부국
- 군인 및 민간인국
- 선전국
- 단체 연락국
- 후근부
- 재무국
- 보건국
- 운수국
- 군사 시설 건설국
- 구매공급국
- 직속공작국
- 장비부
- 종합계획국
- 과학 연구 발주국
- 시험감독국
- 정보시스템국
- 군사대표국
- 기율검사위원회
- 징계검사국
3.2. 전구육군
3.2.1. 동부전구(东部战区)
대만과 남중국해 대응에 집중되어 있는 전구로서 71(舊12집단군)/72(舊1집단군)/73(舊31집단군) 집단군으로 개편되며 감축이 전혀 없다. 공산당 정권의 핵심 방위 전구인 중부전구가 가장 대폭해체가 큰데도 말이다. 대만전선에 대한 중국의 입장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고도 할 수 있다.자세한 내용은 동부전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3.2.2. 서부전구(西部战区)
서부전구는 47집단군이 해체되며 76(舊21집단군)/77(舊13집단군) 집단군으로 개편된다. 76(舊21집단군)집단군으로 개편되는 구 21집단군은 중부전구 구 베이징군구 소속이었으나 부대이동으로 서부전구에 배치되었다.자세한 내용은 서부전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3.2.3. 남부전구(南部战区)
남부전구 역시 14집단군이 해체되고 74(舊41집단군)/75(舊42집단군) 집단군으로 개편된다.자세한 내용은 남부전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3.2.4. 북부전구(北部战区)
북부전구는 북한의 핵 관련 문제나 한국군 및 미군 대응에도 불구하고 40집단군이 해체되게 되었다. 78(舊16집단군)/79(舊39집단군)/80(舊26집단군) 집단군으로 개편되었다. 다만 여기 편제가 혼선이 되는게 중국쪽 자료에서는 40집단군이 해체되었다고 하는 반면 서구 언론에서는 16집단군이 해체되었다라는 입장으로 나뉘어져 있다.자세한 내용은 북부전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3.2.5. 중부전구(中部战区)
중부전구는 정말 많은 개편이 이루어진 전구라고 할 수 있다. 우선 2개의 집단군인 20, 27집단군이 해체되었으며 기존의 21집단군은 서부전구로 소속변경에 가까운 전출을 당했다. 하지만 전략예비군 개념의 2개 집단군과 1개 상비집단군인 81(舊65집단군)/82(舊38집단군)/83(舊54집단군)집단군으로 개편된 형태이다. 여기서 전략예비군 개념의 집단군은 81/83집단군이며 최정예 상비집단군은 82집단군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문제는 이 전구 역시 넘버링 명칭이 중국측에서는 81(舊65집단군)/82(舊38집단군)/83(舊54집단군)집단군으로 나오지만 서구 언론에서는 81(舊38집단군)/82(舊54집단군)/83(舊65집단군)집단군으로 언급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중부전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3.3. 인민해방군 직할 군구
5대 전구 외의 인민해방군 직할 군구이다. 신장과 시짱 두 곳에 위치해 있으며, 집단군-여단 체제로 개편된 5대 전구와 달리 아직 사단 체제가 남아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베이징 위수구(中国人民解放军北京卫戍区) : 국군의 수도방위사령부에 대응된다.
3.3.1. 신장 군구
위구르 지역을 관할하는 군구. 편제는 다음과 같다.- 제4제병사단 (合成第四师)
- 제11기계화보병연대
- 제12기계화보병연대
- 기갑연대
- 포병연대, 대전차대대, 대공포병대대
- 제6제병사단 (갈완 계곡)
- 제7기계화보병연대
- 제18기계화보병연대
- 기갑연대
- 포병연대, 방공연대, 공병대대, 전자전대대, 사단정찰대대
- 제8제병사단
- 제84특전여단
- 제84포병여단
- 제84방공여단
- 제84공병여단
- 제84육군항공여단
- 제6정찰정보여단
- 제6정보보안여단
- 제6전자전여단
- 제1통신단 (통신연대)
- 제2통신단 (통신연대)
- 제1독립연대 (独立第一团)
- 제2독립연대
- 제3차량수송단 (汽车运输第三团)
- 제4차량수송여단 (汽车运输第四旅)
- 제361국경경비연대 (티베트 아리지구 자가현)
- 제362국경경비연대 (티베트 아리지구 르투현)
- 제363국경경비연대 (티베트 아리지구 르투현)
- 제364국경경비연대 (신장 카슈가르지구)
- 제365국경경비연대 (신장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제366국경경비연대 (신장 아크수지구 아크수시)
- 제367국경경비연대 (신장 이리 카자흐 자치주 자오쑤현)
- 제368국경경비연대 (신장 후양허시)
- 제369국경경비연대 (신장 보얼타라자치구 보러시)
- 제370국경경비연대 (신장 이리 카자흐 자치주 타청지구 토리현)
- 제371국경경비연대 (신장 이리 카자흐 자치주 타청지구)
- 제372국경경비연대 (신장 이리 카자흐 자치주 아러타이지구 푸윈현)
- 제373국경경비연대 (신장 우루무치시 터우툰허구)
- 제374국경경비연대 (신장 창지후이족 자치구)
- 제375국경경비연대 (신장 하미시)
3.3.2. 시짱 군구
티베트 지역을 관할하는 군구. 편제는 다음과 같다.- 제52산악제병여단
- 제53산악제병여단
- 제54중제병여단
- 제85특전단
- 제85포병여단
- 제85방공여단
- 제85공병여단
- 제85육군항공여단
- 제7전자전여단
- 제351국경경비연대 (-团)(린즈시)
- 제352국경경비연대 ( 린즈시 모퉈현)
- 제353국경경비연대 (린즈시 미린현)
- 제354국경경비연대 ( 산난시 룽쯔현[6])
- 제355국경경비연대 (산난시)
- 제356국경경비연대 ( 르카쩌시)
- 제357국경경비연대 (르카쩌시 딩르현)
- 제358국경경비연대 (르카쩌시 싸가현)
3.4. 직속 기관
- 중국비이청무기시험센터(중국인민해방군 제31실험훈련기지) : ( 지린성 바이청시 타오베이구 소재)
- 중국화인무기시험센터(중국인민해방군 제32실험훈련기지) : ( 산시성 웨이난시 화인시 소재)
- 중국인민해방군 육군연구소
- 중국인민해방군 제081기지
- 중국인민해방군 육군군견사육훈련기지
- 중국인민해방군 공병정비대
3.5. 육군 직속 교육기관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지휘학원
고급보수교육기관으로 합동군사대학의 지휘관/참모 교육에 해당한다. 장쑤성 난징시 소재한다.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공정대학
중국의 육군사관학교. 2017년 중국인민해방군이공대학(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과 중국인민해방군군기공정학원(中国人民解放军军械工程学院)을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장쑤성 난징시 소재.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보병학원[7]
2017년 난창 보병학교과 스좌장 기계화학교를 통폐합시켜 만들어졌다. 본교는 장시성 난창시에 있으며 부군급으로 보하고 육군보병초급지휘장교, 합참참모장교, 군사학대학원생, 외군연소급지휘참모장교 등의 교육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 중국인민해방군육군장갑병학원(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베이징시 펑타이구 루거우차오 인근 소재. 2017년 구 기갑군 공정대학을 본교로 사용하고, 안후이성 벙부시에 캠퍼스가 있다. 또한 지린성 창춘시에는 부사관학교가 있다.기갑 군종을 교육한다.
- 중국 인민해방군 포병·방공병학원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항공병학원(中国人民解放军陆军航空兵学院) : 베이징시 퉁저우구 타이후진 소재. 1999년 설립.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특종작전학원(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种作战学院)
-
중국 인민해방군 변해방학원
국경방어부대와 해안방어부대를 양성한다.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방화학원
화생방.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군의대학
-
중국인민해방군육군군사교통학원
수송.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후근학원
보급, 군수.
3.6. 기타
5개 경비구 : 톈진, 상하이, 충칭, 홍콩, 마카오성(省)군구 : 총 27개 성에 편성, 지역 전구 산하로 편성되어 있다.
3.7. 개편 전 기본 편제(-2016.2.1)
중국 인민해방군/개편 이전 편제로 이동하였으니 참고하시오.4. 역대 사령원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사령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리쭤청 |
제2대 한웨이궈 |
제3대 류전리 |
제4대 리차오밍 |
}}}}}}}}} |
5. 장비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81식 자동소총, CQ 5.56, CQ-A5군경, QBZ-95, QBZ-03, QBZ-191, QTS-11 | |||
저격소총 | AMR-2, CS/LR3, CS/LR4, QBU-88, QBU-10, JS 7.62, T-5000 | |||||
기관단총 | CS/LS06, QCW/QCQ-05, CS/LS5, 79식 기관단총 | |||||
산탄총 | 97식 산탄총, QBS-09 | |||||
권총 | 77식 권총, QSZ-92/QSW-06 | |||||
지원화기 | 기관총 | QJY-88, QJZ-89, QBB-95, QJG-02 | ||||
유탄발사기 | QLZ-87, QLL/QLG-91, QLZ-04, QLB-06, QLG-10, QLU-11 | |||||
대전차화기 | PF 대전차화전통, DJZ-08, 69식 화전통, 히든 블레이드, HJ-12 | |||||
박격포 |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PP-93, QLT-89 | |||||
맨패즈 | FN-6, 치엔웨이 대공미사일 | |||||
유탄 | 인민해방군/수류탄 | |||||
지뢰 | 59식 대인지뢰 | |||||
특수전 화기 | APS, QBS-06 | |||||
냉병기 | 도검 | 65식 기병도, QSB-9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중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ZTZ-99A | 주력전차 | 중국 | 600대 | - | - | |
ZTZ-99 | 주력전차 | 중국 | 600대 | - | - | |
ZTZ-96/96A | 주력전차 | 중국 | 2,500대 | - | - | |
ZTZ-88 | 주력전차 | 중국 | 300대 | - | - | |
ZTZ-79 | 주력전차 | 중국 | 200대 | - | - | |
ZTZ-59 | 주력전차 | 중국 | 300대 | - | - | |
ZTQ-15 | 경전차 | 중국 | 500대 | - | - | |
ZTD-05 | 경전차 | 중국 | 750대 | - | -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의 장갑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ZBD-04A | IFV | 중국 | 1,900대 | - | - | |
ZBD-04 | IFV | 중국 | 400대 | - | - | |
ZBD-05 | IFV | 중국 | 600대 | - | - | |
ZBL-08 | IFV | 중국 | 3,250대 | - | - | |
ZSL-92B | IFV | 중국 | 1,150대 | - | - | |
ZSL-10 | APC | 중국 | 900대 | - | - | |
ZSD-05 | APC | 중국 | 750대 | - | - | |
ZSD-89 | APC | 중국 | 1,750대 | - | - | |
ZSL-92A | APC | 중국 | 700대 | - | -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의 포병장비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PHL-16 | 다연장로켓 | 중국 | 50문 | - | - | |
PHL-03 | 다연장로켓 | 중국 | 175문 | - | - | |
PHL-11 | 다연장로켓 | 중국 | 350문 | - | - | |
PHZ-89 | 다연장로켓 | 중국 | 375문 | - | - | |
PHL-81 | 다연장로켓 | 중국 | 550문 | 700문 | - | |
PLZ-05 | 자주곡사포 | 중국 | 450문 | - | - | |
PLZ-83 | 자주곡사포 | 중국 | - | 200문 | - | |
PLA-7A | 자주곡사포 | 중국 | 550문 | - | - | |
PLA-7B | 자주곡사포 | 중국 | 150문 | - | - | |
PLL-09 | 자주곡사포 | 중국 | 350문 | - | - | |
PCL-181 | 자주곡사포 | 중국 | 630문 | - | - | |
PCL-171 | 자주곡사포 | 중국 | 120문 | - | - | |
PCL-161 | 자주곡사포 | 중국 | 300문 | - | - | |
PLZ-10 | 자주박격포 | 중국 | 800문 | - | - | |
PLL-05 | 자주박격포 | 중국 | 450문 | - | -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의 항공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Y-9 | 수송기 | 중국 | 2대 | - | - | |
Y-8 | 수송기 | 중국 | 2대 | - | - | |
Y-7 | 수송기 | 중국 | 2대 | - | - | |
Z-10K | 공격헬기 | 중국 | 8대 | - | - | |
WZ-10 | 공격헬기 | 중국 | 200대 | - | 300대 | |
Z-19 | 공격헬기 | 중국 | 186대 | - | - | |
Mi-26 | 수송헬기 | 소련 | 4대 | - | - | |
Z-18 | 수송헬기 | 중국 | 20대 | - | - | |
Z-8L | 수송헬기 | 중국 | 6대 | - | - | |
Z-8B | 수송헬기 | 중국 | 96대 | - | - | |
Z-8A | 수송헬기 | 중국 | 9대 | - | - | |
Z-20 | 수송헬기 | 중국 | - | - | - | 상세 수량 불명 |
S-70C2 | 수송헬기 | 미국 / 튀르키예 | 19대 | - | - | |
Z-9WZ | 수송헬기 | 중국 | 193대 | - | - | |
Z-9WA | 수송헬기 | 중국 | 10대 | - | - | |
Z-9W | 수송헬기 | 중국 | 31대 | - | - | |
Z-9A | 수송헬기 | 중국 | 21대 | - | - | |
Mi-17 | 수송헬기 | 소련 | 140대 | - | - | |
Mi-17V | 수송헬기 | 소련 | 3대 | - | - | |
Mi-17V5 | 수송헬기 | 소련 | 38대 | - | - | |
Mi-17V7 | 수송헬기 | 소련 | 25대 | - | - | |
Mi-172 | 수송헬기 | 소련 | 8대 | - | - | |
Mi-8T | 수송헬기 | 소련 | 50대 | - | - | |
Z-11 | 경헬기 | 중국 | 53대 | - | -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의 방공장비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HQ-16 | 중거리 SAM | 중국 | 200대 | - | - | |
HQ-17A | 단거리 SAM | 중국 | 50대 | - | - | |
HQ-17 | 단거리 SAM | 중국 | 200대 | - | - | |
HQ-7 | 단거리 SAM | 중국 | 200대 | - | - | |
HQ-6 | 단거리 SAM | 중국 | 30대 | - | - | |
9K331 토르-M1 | 단거리 SAM | 소련 | 24대 | - | - | |
PGL-12 | 자주대공포 | 중국 | - | - | - | 상세 수량 불명 |
PGZ-09 | 자주대공포 | 중국 | 120대 | - | - | |
PGZ-88 | 자주대공포 | 중국 | 6대 | - | - | 훈련용으로 운용 |
6.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가
前进吧 陆军
전진하자 육군
前进吧 陆军
전진하자 육군
脚踏着大地背负民族希望
희망의 대지를 밟고 (중화)민족을 짊어진다
我们是最强大的新型力量
신형역량의 우리는 가장 강력하다
嘱托在心中目标在前方
부탁은 마음속에서 이루어진다
使命在肩上铁血敢担当
담당하는 사명은 어깨에 철혈과감이다
筑起现代化的铜墙铁壁
현대화된 철벽을 쌓는다
军旗上飘着不朽荣光
군기 위에 빛의 영광이 나부끼고 있다
前进吧 陆军
전진하자 육군
前进吧 陆军
전진하자 육군
血性在联合意志在飞翔
혈성은 연합의지에 있다
我们是强大的中国力量
우리는 강대한 역량의 중국이다
嘱托在心中 目标在前方
마음에 전방의 목표를 세워 달라고 당부한다
使命在肩上铁血敢担当
담당하는 사명은 어깨에 철혈과감이다
捍卫疆土我们战之必胜
강토를 수호하는 우리 전쟁지필승
风雨中激荡强军梦想
비바람에 강군의 꿈은 흔들리지 않는다.
전진하자 육군
前进吧 陆军
전진하자 육군
脚踏着大地背负民族希望
희망의 대지를 밟고 (중화)민족을 짊어진다
我们是最强大的新型力量
신형역량의 우리는 가장 강력하다
嘱托在心中目标在前方
부탁은 마음속에서 이루어진다
使命在肩上铁血敢担当
담당하는 사명은 어깨에 철혈과감이다
筑起现代化的铜墙铁壁
현대화된 철벽을 쌓는다
军旗上飘着不朽荣光
군기 위에 빛의 영광이 나부끼고 있다
前进吧 陆军
전진하자 육군
前进吧 陆军
전진하자 육군
血性在联合意志在飞翔
혈성은 연합의지에 있다
我们是强大的中国力量
우리는 강대한 역량의 중국이다
嘱托在心中 目标在前方
마음에 전방의 목표를 세워 달라고 당부한다
使命在肩上铁血敢担当
담당하는 사명은 어깨에 철혈과감이다
捍卫疆土我们战之必胜
강토를 수호하는 우리 전쟁지필승
风雨中激荡强军梦想
비바람에 강군의 꿈은 흔들리지 않는다.
7.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8. 관련 문서
[1]
#
[2]
전 중부전구 정치위원
[3]
이는 당시의 중국처럼
통합군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조선인민군도 마찬가지인데, 북한군도 총참모부 밑에 육군의 사령부가 따로 없고 바로 각 군단으로 넘어간다. 또한 해군 및 공군의 사령부는 육군의 1개 군단과 동급으로 취급되어 육군 사이에 해군과 공군이 끼어있는 괴상한 모양새를 가지고 있다.
[4]
북부전구 탄생이후 전구운영관련 메세지를 이들 집단군에게 보냈다.
[5]
더욱이 넘버링 숫자 자체가과거 70집단군까지 이었던것을 기준으로 완전 변혁이라는 명목하게 71~83까지 언급을 하고 있다.
[6]
룽쯔현 남부는 인도가 실효지배중
[7]
1949년 개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