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式 坦克 |
1. 개요
70년대~80년대에 걸쳐 중국 인민해방군이 사용한 2세대 전차. 형식번호는 WZ-1212. 제원
69式 坦克 | |
개발 및 생산 | |
개발 설계국 | 내몽고 제1기계 공장 |
개발연도 | 1963~74년 |
생산댓수 | 2000대 이상 |
운용연도 | 1978~현재[1] |
생산국가 | 중국 |
운용국가 | 중국, 미얀마, 방글라데시, 태국, 짐바브웨, 수단 공화국, 이라크, 스리랑카, 파키스탄, 이란 |
참전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전, 이라크 전쟁 |
제원 | |
차체중량 | 36.5톤 |
전장 | 6.243m (포신 포함시 9.125m) |
폭 | 3.27m |
높이 | 2.807m |
승무원 | 4명(전차장, 포수, 탄약수, 조종수) |
공격력 | |
주무장 | 100 mm 69식 강선포(69 II식 기준) |
부무장 | 54식 12.7mm 중기관총×1 (500발), 59T식 7.62mm 기관총×2 (3,000발) |
방어력 | |
장갑 | 20~203mm |
기동력 | |
항속거리 | 430km |
최대속력 | 50km/h |
엔진 | 12150L-7BW 4행정 V형 12기통 액냉 디젤 (580마력) |
중량비 마력 | 톤당 15.8마력 |
3. 개발
중소결렬 이후 소련의 기술지원이 중단되자 1960년에 중국군은 59식 전차들을 자체적으로 개량한다는 결정을 내렸고, 중국 육군과 제5기계공업부에서 개량형 전차의 개발이 실시되었다. 1965년에는 형식코드 WZ-121이 붙었고 1966년에 초기 시제차도 출고되었다.그러다가 1969년에 발생한 중국-소련 국경분쟁에서 중국군이 소련군 T-62 한대를 노획했고, 이를 기본으로 삼아 분석하면서 얻은 소련제 루나 적외선 탐조등과 같은 기술들을 WZ-121 시제차에 적용하면서 점차 완성되었다. 그렇게 10년 동안의 개발 기간이 지나고나서 69식 전차로 채택되었다.
중국으로서는 T-54의 라이센스인 59식 전차보다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의미를 갖는다. 다만 개발 당시 중국은 문화대혁명 와중이었기 때문에 생산이 자주 지연되었고, 실제 나온 전차의 성능은 미소 양국의 최신형 전차보다는 미치지 못했다. 다만 가성비로 대거 뽑아내어 많은 제3세계에 수출되었고 나름 실전에서 활약했다.
4. 특징
기술적으로는 중국군 최초의 MBT인 59식 전차의 개량형이라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59식에 신형 주포와 야간조준장치와 통합된 현대적 사격통제장치(FCS)를 추가한 전차이다. 프로토타입은 1974년에 나왔지만, 문화대혁명 기간에 기술적 문제로 생산이 지연되다가,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생산 기반이 조금 나아진 1982년에 69-2식, 1984년에 궁극적인 버전인 79식이 나왔다.이외에 59식과의 차이점이라면 수직/수평 주포 안정기를 도입해 제한적 기동간 사격이 가능해졌으며 자동소화장치와 양압식 NBC 방호장치가 탑재, 소련과의 핵전쟁 상황에도 대비한 흔적이 보인다. 다만 당시 중국 자체의 기술력이 나빴기 때문에 동시대에 나온 소련의 T-72나 미국의 M60 전차에는 훨씬 미치지 못하는 성능을 가졌다.
특히 최초 모델인 69-1식이 공격력 향상을 위해 중국이 10년이 넘는 세월을 들여가며 독자개발한 100mm 69식 활강포를 탑재하였으나 T-55에 달린 100mm D-10T2S 강선포 복제형과의 비교 테스트 결과 국산 활강포가 명중률, 관통력 모두 소련제를 복제한 강선포에도 못 미치자 한동안 주포 국산화 자체가 중지됐다는 사연도 있다. 결국 1982년 나온 양산형은 복제한 강선포를 단 69-2식으로 이루어진다.
2년후인 1984년에는 당시에 중국과 관계가 양호했던 서방기술을 받아들여 주포와 동력계통을 업그레이드한 79형이 나온다. 이 79식 전차(WZ-121D)는 등장 초기에는 69-3식으로 불리기도 했다. 세대상으로는 중국 1세대 MBT의 최종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덩샤오핑 정권 이후 서방으로부터 도입한 기술이 대량 투입, 엔진에 수퍼 차저(강제과급기)를 부착, 출력을 730hp까지 향상시켰으며 수랭식 서멀 자켓을 단 서구권 방식의 105mm 주포[2], 발연탄 발사기, 소화장치와 통합된 양압식 NBC 방호장치[3]에 고무 패드가 붙은 더블 핀/더블 블록 궤도 등 기존의 소련식 전차와는 다른 부분이 많으며 기존 69식 전차에 비해 월등한 성능 향상을 보이자 아예 새로운 형식번호를 부여받았다. 약 500여대가 생산되어 대다수가 베이징 군구나 선양 군구같은 정치적으로 중요한 부대에 배치되었다.
원형인 T-54가 1940년대의 기술로 개발된 전차이고, 1960-70년대 중국의 낮은 기술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된것이라 스펙만 봤을 때 69식 전차는 전장에서 무용지물일 것 같지만 그렇지는 않았다. 기본바탕은 결국 59식 전차인 만큼 사실상 T-54 기반이긴 하지만, NBC 보호장치, 레이저 거리 측정기, 아날로그식 탄도계산 컴퓨터등을 갖추고 있어 싼 값에 적당한 성능의 전차를 찾던 많은 나라에게는 괜찮은 선택이었다. T-34, T-55나 59식 전차도 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작전에서의 전차는 개별 성능뿐만 아니라, 전선에 적절한 수량을 투입할 수 있느냐 없느냐도 중요한데, 이 전차는 중국의 저렴한 노동비로 마구 찍어낼 수 있었기 때문에, 돈없는 빈국이나, 전차 소모가 극심했던 이란-이라크 전쟁의 양국이 모두 부담없이 구매해서 투입할 수 있었다. 즉, 개별 성능만 봐서는 당대에 나온 다른 전차보다 좋다고 보기 힘들지만, 그를 상쇄하는 가성비가 있었기 때문에, 기갑차량으로서는 외국에 3000여대나 수출되어 80년대 중국의 효자상품이자 외화벌이의 역군이 되었다.
특히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박터지던 상황이던 이라크 후세인 정권이 1,500대(혹은 2000대)를 긁어갔고 뒤이어 이란 혁명정권도 500대를 북한을 중개하여 수입, 실전에서 동형 차량들이 포탄으로 핑퐁 게임을 해댄 진기록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라크가 구입한 69식은 걸프전에서 1000대 이상의 69식이 다국적군의 압도적인 제공권 아래에서 항공엄호 없이 전개했다가 파괴되었다. 그래도 상당수가 살아남아 현재 신생 이라크 치안군이나 쿠르드 반군인 페슈메르가에서 사용되었다.
1989년 바그다드에서 열린 방위전시회에서는 125mm 활강포와 서방형 전차를 연상케하는 연막탄 발사기와 사이드 스커트를 장착한 69식 전차가 공개되기도 했다. 이라크에 제안할 예정이었지만 이후 걸프 전쟁이 터지고 이라크 후세인 정권에 국제 제재가 들어가 무산되었다.
현재 69식은 중국에서는 전량 퇴역한 뒤 해외에 매각했으며 79식만을 운용 중이다. 69식 차대를 이용한 80식 57mm 자주대공포(WZ-305), 84식 가교전차(WZ-621), 84식 전차회수차(WZ-653A), 88식 37mm자주대공포(PGZ-88)가 제작되었고 이중 84식과 88식을 현재도 중국군이 사용 중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가 이라크에서 노획했다는 말이 있다.
5. 형식
-
69식
69식의 프로토타입으로 580마력 엔진과, 100mm 활강포, 적외선 탐지기와, 레이저 거리 계산기가 탑재되었다.
-
69-1식
69식 프로토타입에서 개선된 적외선 탐지기와, 핵무기/생화학무기에 방어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
69-2A식
WZ-121 69식의 정식 양산버전으로, 100mm 강선포를 탑재하였으며 적외선 탐지기, 레이저 거리 계산기 등의 프로토타입에 있는 기능들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
69-2B/C식
69-2A식에서 개선된 통신장비로 변경했다.
-
69-2G식
방글라데시군의 요구에 맞게 활성반응장갑(ERA)와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강선포를 탑재하는 등 여러 부분을 현대화 개량한 형식이다.
-
69-2M식
69-2A의 개량형으로 69-2G식의 개량형과 거의 유사하게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강선포, 사이드 스커트 등의 개량이 적용되었는데 개량 시기는 1989년 전후로 추정.
6. 파생형
-
79식(69-3식)
WZ-121D 로열 오드넌스 L7의 라이센스 생산 형식인 105mm 주포를 탑재하고 69식에서 향상된 730마력 엔진과, NBC 방호장치를 탑재하였으며 이후 폭발반응장갑(ERA)를 덧붙이기도 하였다.
7. 실전
7.1. 이란-이라크 전쟁
7.2. 걸프 전쟁
걸프전쟁에선 이라크군 소속으로 참전하나, 스펙 차이로 일방적으로 격파 당하고 말았다. 불타는 이라크 육군소속 69-2식 전차. M1 에이브람스에게는 69식이나 T-72나 T-55나 59식 전차나 다 거기서 거기였었다.7.3. 이라크 전쟁
7.4. 스리랑카 내전
8. 운용국
69/79식을 운용하는 나라들.
8.1. 아시아
8.1.1. 중국
원조 사용국. 현재 300대 가량의 69/79식 전차가 훈련용으로 사용된다.8.1.2. 미얀마
69식 50대와 69-2 80대를 운용한다.8.1.3. 방글라데시
1991년에 중국으로부터 50대의 69-1과 69-2를 구입했다.1993년에는 653식 구난전차 5대, 2012년에는 3대의 654식 구난전차를 도입했다.2010~2013년 사이에는 58대의 69-2 전차들이 69-IIG 사양으로 개수되었다.
8.1.4. 스리랑카
현재는 모두 퇴역한 상태다. 체코제 T-55AM2B와 중국제 VT-1A으로 대체되었다.8.1.5. 이란
1986년부터 1988년 사이에 중국으로부터 500대의 69-2를 받았다.8.1.6. 이라크
1983년에서 1988년까지 중국으로부터 약 1500대의 69-1과 69-2를 받았다.8.1.7. 태국
태국 해병대가 5대의 69-2식 전차를 운용한다. 현지의 제식명읜 30식 (Type 30).8.1.8. 파키스탄
400대가 배치되었다.8.2. 아프리카
8.2.1. 수단 공화국
현지 라이센스 생산형 69식 100대, 79식 100대를 보유한다.8.2.2. 짐바브웨
10대의 69-2를 1987년에 받았다.9. 미디어
9.1. 아머드 워페어
69식이 2티어. 79식이 3티어로 등장한다.9.2. 워 썬더
중국트리에서 69식 프로토타입과 69-2A식, 프리미엄 장비로 69-2G식가 나온다.9.3. MWT: 탱크 전투
1티어 전차로 등장. 화력과 방어력 둘다 높은 편이라 인기가 많다.10. 둘러보기
냉전기의 이라크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냉전기 이라크군(1958~2003) 의 기갑차량 |
||||
기타전차 | T-34-85CZ, M4A3 (105) HVSSC, 처칠~1958 | ||||
MBT | 1세대 | 센추리온~1958, T-54, T-55(QM/M1/M2/이니그마)M, 59식 전차, M47 패튼C, M48 패튼C | |||
2세대 | 빅커스 MBT Mk.1C, FV4201 치프틴C, M60C, 69식 전차(69-2식/QM/M1/M2)/이니그마M, T-62, T-72M1/아사드 바빌, M-84(AB/BN/BK)C | ||||
경전차 | M24 채피~1958, PT-76, FV101 스콜피온C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C/2A),
BRDM-1,
BRDM-2,
BTR-60, BTR-152, BTR-40, AMX-10(P · SAO), FV601 살라딘, LAV-300C, EE-9/EE-11, 파나르 M3, PSzH-IV, PSzH D-442 FÚG, AT105C 색슨, V-150S, Fhad, AML-(60/90) |
|||
궤도장갑차 |
M113A1C/R,
BMP-1 · 사담,
BMP-2,
BMD-1,
OT-62 TOPAS,
MT-LB M113, AMX-VCI, YW531 · YW750, OT-M60, PTS-2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M109A5, M110, M-1978 (S-23)C/M, AU-F1, 150mm sFH13/1(Sf) LrS | |||
대전차 자주포 | M36B1C, M36B2C, ISU-152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ZSU-57-2, M53/59 프라가 | |||
대공미사일 | 9K31, 9K35, 9K33M, AMX-30 롤랜드2/ FRR 롤랜드 | ||||
다연장로켓 |
BM-11, BM-13, BM-16,
BM-21, BM-27,
BM-30, 63식 기반 MRL, M-87 오르칸, ASTROS II · Sajeel, 아바빌-100, APR-40, 9K55 GRAD-1, 81 mm 테크니컬 MRL(GAZ-66 트럭 기반) |
||||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1958: 1958년 이전까지 이라크 왕국(Kingdom of Iraq)에서 운용한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현대 이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colbgcolor=#99cc99,#336633>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
||||
기타 전차 | M4A1 (76) WL/R/이란 제국, M4A3 (105) HVSSL/R/이란 제국 | ||||
MBT | <colbgcolor=#99cc99,#336633> 1세대 | T-54, T-55, 59식 전차, M47, M48 | |||
2세대 | FV4201 치프틴 Mk.(2K, 3, 5), 모바레즈M, M60, 천마호 가형, 69식 전차, 사피르-74M*, T-72(M1/S), Sabalan, 줄피카-1/2 | ||||
3세대 | 줄피카-3, KarrarM | ||||
경전차 | M24 채피, FV101 스콜피온, Tosan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RDM-2, BTR-40, BTR-60PB, BTR-82, EE-9 Aghareb, Rakhsh, Sarir, Haweize | |||
궤도장갑차 | BTR-50PK, OT-62B, BMP-1 · Boragh, BMP-2, M113, FV107 시미터 | ||||
차량 | 소형 | M38R, KM410, KM414, M151R, Safir | |||
트럭 |
MAZ-543,
Ural-4320,
ZiL-130 · 131 · 135,
M548,
KrAZ-5233 벤츠 악트로스 · L 시리즈, Neynava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7, M110, M109A3, 알-라으드 2, 곡산포, 2S1, 알-라으드 1 | |||
자주박격포 | Boragh 자주박격포형 | ||||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L/R/이란 제국, M36B2L/R/이란 제국, A-36L/R/이란 제국 | ||||
대공 차량PADAJA | 자주대공포 | ZSU-57-2 · Bahman, ZSU-23-4 쉴카, 판치르-S1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Herz-9, Shahab Saqeb · Ya Zahra | ||||
다연장로켓 | 63식 다연장로켓, BM-11, BM-21, BM-13, BM-24, M-1989, Fajr-3/5 | ||||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참자PADAJA: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공군 소속 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59식 전차, T-54, T-55의 현대화 개수 모델. ※ 윗첨자이란 제국: 1979년 이전까지 이란 제국에서 운용한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미사일 전력 |
}}} }}}}}} |
현대 파키스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파키스탄군(19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
||||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 M4A1E6, M4A4R, M4A4 (76)R, T-34-85CZ, 58식 전차 | ||||
MBT |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 M47 패튼, T-55, M48A5R, 59식 전차, 알-자라르 | |||
2세대 | 69-IIMP식 전차, 85-IIAP식 전차 | ||||
3세대 | T-80UD, 알-칼리드(I/II) | ||||
3.5세대 | VT-4, 하이더 | ||||
경전차 | M24 채피, 63식 전차, AMX-13C/R, M3A3 스튜어트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BRDM-2, UR-416, 알-파트 IFV, WZ-551, 오토카르 코브라, 오토카 아크리프, 맥스프로, FV701 페렛R, BTR-70, BTR-80 | |||
궤도장갑차 | M113(A1~A3), 탈하 APC, 사아드 APC, 63식 장갑차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 프리스트R, M109(A2/A5), M110A2, SH-15 | |||
대전차 자주포 | M36B2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M19 더스터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FM-90 | ||||
다연장로켓 | 알자르, KRL 122, BM-27, A-100E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스리랑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스리랑카군 (1949~현재) ශ්රී ලංකා යුද්ධ හමුදාව |
|||
<colbgcolor=#00534e> MBT | <colbgcolor=#00534e> 1세대 | T-55AM2, 59식R | ||
2세대 | 69식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80A, WZ-551 | ||
궤도장갑차 | BMP-1, BMP-2, BMP-3, YW-531, YW-531H, YW-534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리랑카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미얀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미얀마군 (1945 ~ 현재) တပ်မတော် |
||||
기타 전차 | A34 코멧, 셔먼 VR | ||||
MBT | <colbgcolor=#FFCD00> 1세대 | T-55, 59식 C, 59식 D, 59식 M | |||
2세대 | 69식-II, T-72S | ||||
3세대 | MBT-2000 | ||||
경전차 | M3A1R, MMT-40, 63식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EE-9, BTR-3U, BTR-4E, BAAC-87, MAV-2, MAV-3, 파나르 AML-90, BRDM-2MS, 파나르 M3 VTT, ZFB-05, 92A식 | |||
궤도장갑차 | 유니버설 캐리어, 론슨 Mk. II, MT-LBSh, 85식, 86식 A, 90식 | ||||
차량 | 소형 | 아디탸, GAIA 썬더, 아미르, Naung Yoe, 이날리 지프, 마즈다 패스파인더 XV-1, 타타 사파리 | |||
트럭 | 타타 제논 GS800, ZTE 리틀 타이거, 둥펑 EQ-2102, SX-21090, FAW 체팡 141, FAW 제팡 CA-1122J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U, NORA B-52, 노린코 SH1 | |||
대전차 자주포 | WMA-03 | ||||
자주대공포 | 둥펑 EQ-2102 (87식), 2K22M 퉁구스카 | ||||
미사일 | 대공 미사일 | 판치르-S1, 9K331 토르-M1, 페초라-2M, 2K12M2 쿠프-M2, 카바드라트-M, KS-1A, KS-1M, FK-3 | |||
탄도 미사일 | 화성-5, 화성-6, M-11, BP-12A | ||||
공병 차량 | 구난 차량 | BTS-4, ZSL-92, ZJX-93, 653식, F.R.V | |||
가교 차량 | MT-55A, GQL-111 | ||||
지뢰제거차량 | GSL-130 | ||||
다연장로켓 | SY-400, M-1991, MAM-01, MAM-01B, MAM-02, 9P138 그라드-1, 81식, 90식B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얀마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짐바브웨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짐바브웨 방위군 (1980~현재) Mauto eZimbabwe |
||||
기타 전차 | T-34-85MR | ||||
MBT | 1세대 | 59식 | |||
2세대 | 69식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페렛, UR-416, EE-9 카스카베우, EE-11 우루투 | |||
궤도장갑차 | 89식 | ||||
차량 | 소형 | 둥펑 EQ-2050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 |||
다연장로켓 | RM-70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짐바브웨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000000>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2014~현재) الدولة الإسلامية في العراق والشام |
|||||
MBT | <colbgcolor=#000000> 1세대 | T-55(MV/AM/AMV) | ||||
2세대 | M60A3, T-62(M/K), 69식 전차, T-72(A/AV/M/마흐미아) | |||||
3세대 | M1A1M 에이브람스*, 레오파르트2A4T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80, BRDM-2, M1117, MRAP | ||||
궤도장갑차 | M113, BMP-1, BMP-2 | |||||
차량 |
M939,
M35,
로만사 계열 트럭,
테크니컬,
험비,
MTVR,
UAZ-469,
스카니아
3,
4 시리즈, DAF CF, 대우 노부스, KamAZ-4310, KamAZ-65117 |
|||||
자주포 | 2S1 |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ZPU-4 | |||||
다연장로켓 | BM-21 | |||||
※ *: 실질적인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선전용으로만 사용 ※ 2½톤 트럭(M939, M35)의 경우 한국제가 아닌 미국의 모델을 일컬음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단
중국의 경우, 69식은 전량퇴역하고 79식만을 운용함
[2]
영국제
L7A1 주포를 라이센스 생산하던 오스트리아 버전을 라이센스 받아 생산하였다.
[3]
기존의 분리형은 소화기 작동시 간혹 승무원의 질식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