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육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북한|
중국 | 일본(준군사조직)| 대만 |
||||
동남아시아 |
싱가포르 |
태국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연방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튀르키예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스웨덴 | 덴마크 | 노르웨이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북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남아메리카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러시아 연방군 |
||
지상군 | 해군 | 항공우주군 |
공수군 | 전략로켓군 | 특수작전군 |
<colbgcolor=#cc0000><colcolor=gold> 러시아 연방 지상군 Сухопу́тные войск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В)[1] Ground Forces of the Russian Federation |
||
육군기 | 휘장 | |
창설일 | 1992년 5월 7일 | |
기념일 | 10월 1일(육군의 날) | |
지휘체계 |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 |
소속 | 러시아 연방군 | |
모토 |
전진하라, 보병이여! Вперёд, пехо́та! |
|
병력 | 500,000명 | |
참전 |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타지키스탄 내전 제1차 체첸 전쟁 다게스탄 전쟁 제2차 체첸 전쟁 남오세티야 전쟁 북캅카스 대테러전 크림 위기 돈바스 전쟁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
|
총사령관 | 올레그 살류코프 대장 | |
제1부사령관 및 참모장 | 알렉산드르 라핀 상장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육군이다.과거 소련 육군보다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소련 시절부터 문제였던 부족한 보급력이 아직도 해결이 안 된 상황이다. 그래서 러시아 육군은 장갑차를 비롯한 기계화부대와 공수부대를 주력으로 빠른 전개가 특기이다.
2. 역사
3. 편제
육군 총사령관 : 올레크 살류코프(Оле́г Салюко́в) 대장(2014년 5월 2일~현임) 휘하 부대도 러시아 육군에 속한다.- 기관총부대 / 기관총-포병부대[2]
- 전차부대
- 미사일과 포병부대
- 육군 방공부대
- 특수부대
군관구 | 군관구 본부 | 야전군 본부 |
모스크바 군관구[3] | 상트페테르부르크 |
제1근위전차군/
오딘초보 제20근위제병협동군/ 보로네시 |
남부 군관구 | 로스토프나도누 |
제3근위루간스크-세베로도네츠크제병협동군/
루간스크 제8근위제병협동군/ 노보체르카스크 제18제병협동군/ 크림 제49제병연합군/ 스타브로폴 제51제병협동군/ 도네츠크 제58근위제병협동군/ 블라디캅카스 |
중앙 군관구 | 예카테린부르크 |
제2근위전차군/
사마라 제25제병협동군/ 예카테린부르크 제41제병협동군/ 노보시비르스크 제3군단/물리노 |
동부 군관구 | 하바롭스크 |
제5제병연합군/
우수리스크 제29제병협동군/ 치타 제35제병협동군/ 벨로고르스크 제36제병협동군/ 울란우데 제68군단/ 유즈노사할린스크[4] |
레닌그라드 군관구[5] | 세베로모르스크 |
제6제병협동군/아갈라토보 제44군단/페트로자보드스크 |
===# 모스크바 군관구 #===
- 러시아군 작전집단(티라스폴, 몰도바 공화국 트란스니스트리아)
- 제82차량화소총대대
- 제113차량화소총대대
- 제540사령부대대
- 제1사령부여단(세르톨로보, 레닌그라드 주)
- 제45근위베를린공병여단(무롬)
- 제1세묘노프스키연대
- 제29철도여단(브랸스크)
- 제34철도여단(야로슬라프)
- 제38철도여단(러시아 철도 부대)
- 제1근위공병여단(무롬)
- 제27화생방방호여단
- 제79근위로켓포병여단(트베르)
- 제45고력포병여단(탐보프)
- 제15전자전여단(스트로이텔)
- 제16전자전여단(플랍스크)
- 제82독립라디오기술특수목적여단(뱌지마)
- 제146특수무선공병여단(부그리)
- 제5수리및복원연대(자라이스크)
- 제45독립공병위장연대(블라디미르)
- 제100독립지원연대(알라비노, 모스크바 주)
- 제22중앙예비전차기지(부이, 코스트로마 주)
- 제210근위종간지역훈련센터(크스토보)
- 제467근위관구훈련센터(코브로프)
- 제333통합전투훈련센터
- 제1084종간전투목적전자전훈련센터(탐보프)
====# 제1근위전차군(오딘초보) #====
- 제2근위차량화소총사단 "타만스카야"(나로포민스크, 모스크바 주)
- 제137정찰대대(나로포민스크)
- 제165의료대대(나로포민스크)
- 제413통신대대(나로포민스크)
- 제330공병대대(나로포민스크)
- 제1088군수대대(나로포민스크)
- 제12근위전차연대(나로포민스크)
- 제13근위전차연대(나로포민스크)
- 제423차량화소총연대(나로포민스크)
- 제275자주포연대(나로포민스크)
- 제538근위방공미사일연대(나로포민스크)
- 제27근위독립차량화소총여단 "세바스토폴스카야"(모스렌트겐)
- 제47근위전차사단(물리노)
- 제112독립미사일여단(슈야)
- 제288포병여단
- 제53방공미사일여단(쿠르스크)
- 제96정찰여단
- 제20독립NBC연대
- 제60통제여단
====# 제20근위제병협동군( 보로네시) #====
- 제3차량화소총사단(2016년 재창설)
- 제144근위차량화소총사단(2016년 재창설)
- 제1독립근위전차여단(2015년 "제10근위전차사단"으로부터 재창설)
- 제236포병여단
- 제99무기물자저장고기지
- 제7015무기물자저장고기지
- 제53방공미사일여단
- 제448미사일여단
- 제152군수지원여단(리스키)
- 제9근위사령부여단(보로네시)
- 제82독립무선공병특수목적여단
===# 남부군관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red, #red 20%, #red 80%, #red)"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제58근위제병협동군 | 제8근위제병협동군 | 제51근위제병협동군 | 제7근위산악공중강습사단 | |
제49제병합동군 | 제3근위제병협동군 | 흑해함대 | 카스피해 전단 |
====# 제3근위루간스크-세베로도네츠크제병협동군( 루간스크) #====
- 제2차량화소총여단
- 제4차량화소총여단
- 제7차량화소총여단
- 제6차량화소총연대
- 판치르특수기계화군
- 그레카독립정찰대대
- 포병여단
====# 제8근위제병협동군(노보체르카스크) #====
- 제150차량화소총사단 "이드리츠카야"(2016년 재창설)(노보체르카스크)
- 제103차량화소총연대(카다모프스키 및 쿠즈민카, 로스토프 주)
- 제163전차연대(쿠즈민카, 로스토프 주)
- 제102차량화소총연대(페르시아노프스키, 로스토프 주)
- 제68전차연대(페르시아노프스키, 로스토프 주)
- 제174정찰대대(페르시아노프스키, 로스토프 주)
- 제381포병연대(페르시아노프스키 및 밀레로보, 로스토프 주)
- 제933방공미사일연대(밀레로보)
- 제20근위차량화소총여단(볼고그라드와 카미쉰 지역에 위치, 현재 여단장 알렉세이 고로베츠)
- 제242근위차량화소총연대(카미쉰, 볼고그라드 주)
- 제255차량화소총연대(볼고그라드)
- 제33차랑화소총연대(카미쉰)
- 제944근위자주포대연대
- 제358근위방공미사일연대
- 제428독립전차대대(볼고그라드 근처, T-90M 전차들로 재편성 예정)
- 제487독립대전차포대대대
- 제464로켓여단
- 제47미사일여단(코레노프스크, 크라스노다르 지방, 2021년 창설, 이스칸데르 지대지 미사일 장착)
- 제238포병여단(코레노프스크, 크라스노다르 지방, 2021년 창설, 2A65 무스타-B 함포 및 9K57 우라간 다중 발사 로켓 시스템 장착
- 제77대공미사일여단(코레노프스크, S-300V4 대공미사일 시스템 탑재) -> 부크-M3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2021~22년에 추가로 SAM 여단이 결성된 것으로 보고됨.
====# 제18제병협동군( 크림) #====
- 제70차량화소총사단
- 제24차량화소총연대
- 제26차량화소총연대
- 제28차량화소총연대
- 제17전차연대
- 제81자주포연대
- 제22군단
- 제40군단
- 제74포병여단
====# 제49제병협동군( 스타브로폴) #====
- 제205차량화소총여단
- 제34차량화소총여단
- 제66C3여단
- 제227포병여단
- 제1근위로켓여단
- 제439근위다연장로켓여단
- 제21NBC여단
- 제175C3여단
- 제176통신여단
- 제154전자전여단
- 물류지원여단 기지
====# 제51도네츠크제병협동군( 도네츠크) #====
- 제1차량화소총여단
- 제3차량화소총여단
- 제5차량화소총여단
- 제9차량화소총여단
- 제110차량화소총여단
- 제114차량화소총여단
- 제132차량화소총여단
- 제87소총연대
- 제105소총연대
- 제107소총연대
- 제109소총연대
- 제111소총연대
- 제123소총연대
- 제125소총연대
- 제127소총연대
- 제1특수군대대
- 제3특수군대대
- 바이킹특수군대대
- 제10전차연대
- 제2전차대대
- 제1영토방위대대
- 제2영토방위대대
- 제3영토방위대대
- 제4영토방위대대
- 제5영토방위대대
- 제6영토방위대대
- 스파르타독립정찰대대
- 제14포병여단
====# 제58근위제병협동군( 블라디캅카스) #====
- 제19차량화소총사단
- 제42근위차량화소총사단(2009년 해체 -> 2016년 재창설)
- 제136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12로켓여단
- 제291포병여단
- 제100정찰여단
- 제4근위군사기지(남오셰티아 츠한빌리-자바 주둔/파병 기지대)
- 제31공병연대
- 제34본부여단
- 제40화생방연대
- 제78군수지원여단
- 제14전자전대대
===# 중앙군관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red, #red 20%, #red 80%, #red)"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제2근위제병협동군 | 제41제병협동군 | 제15근위차량화소총여단 | |
제90근위전차사단 | 제201군사기지 | 제242공수군훈련소 | |
}}}}}}}}}}}}}}}}}} |
====# 제2근위제병협동군( 사마라) #====
- 제15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21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30차량화소총여단
- 제92로켓여단
- 제385근위포병여단
- 제950로켓포병연대
- 제297방공로켓여단
- 제2NBC연대
- 제53전자전대대
====# 제25제병협동군( 예카테린부르크) #====
- 제67차량화소총사단
- 제31차량화소총연대
- 제36차량화소총연대
- 제37차량화소총연대
- 제19전차연대
- 제164독립차량화소총여단
- 제11독립전차여단
- 제73포병여단
- 제75포병여단
====# 제41제병협동군( 노보시비르스크) #====
- 제35독립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55산악차량화소총병여단
- 제74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119로켓여단
- 제120근위포병여단
- 제61방공로켓여단
- 제106독립군수여단
- 제10독립화생방연대
군
직할대
- 제3근위스페츠나츠여단
- 여단본부
- 신호중대
- 특수화기중대
- 지원중대
- 보안중대
- 군수중대
- 시설소대
- 공작소대
- 의무대
- 훈련대
- 제1특수목적분견대(제1대대)
- 제1특수목적중대
- 제2특수목적중대
- 제3특수목적중대
- 군수중대
- 통신중대
- 보안소대
- 지뢰매설단
- 시설소대
- 제1의무소대
- 제790특수목적분견대(제2대대)
- 제4특수목적중대
- 제5특수목적중대
- 제6특수목적중대
- 군수중대
- 통신중대
- 보안소대
- 지뢰매설단
- 시설소대
- 제2의무소대
- 제791특수목적분견대(제3대대)
- 제7특수목적중대
- 제8특수목적중대
- 제9특수목적중대
- 군수중대
- 통신중대
- 보안소대
- 지뢰매설단
- 시설소대
- 제3의무소대
- 제24스페츠나츠여단
- 여단본부
- 신호중대
- 특수화기중대
- 군수재
- 제281특수목적분견대
- 제297특수목적분견대
- 제641특수목적분견대
- 제201군사기지
- 제201차량화소총사단
====# 제3군단(물리노) #====
- 제6차량화소총사단
- 제10전차연대
- 제54차량화소총연대
- 제57차량화소총연대
- 제52방공로켓여단
- 제27포병연대
- 제72차량화소총여단
- 알가 대대
- 아탈 대대
- 몰로트 대대
- 샤이무라토바 대대
- 야이크 대대
- 제17중포병여단
- 제44사령부방공기지
- 제148지휘및정보센터
- 제8독립통제대대
- 제9독립스페츠나츠중대
===# 동부군관구 #===
- 제104클루이본부여단(하바롭스크)[6]
- 제106통신여단(달네레첸스크)
- 제14독립근위바라노비치공병여단(뱌트카, 하바롭스크 지방)
- 제17독립전자전여단(하바롭스크)
- 제7독립붉은별철도여단(콤소몰스크)
- 제50독립철도여단(스보보드니)
- 제118독립철주교량철도대대(하바롭스크)
- 제392차량화소총 지역훈련센터(하바롭스크)
- 제212근위전차병 훈련센터
- 제51태평양함대훈련파견대(블라디보스토크)
- 제7NCO지역훈련센터(크냐즈볼콘스코예, 하바롭스크 지방)
- 제338근위로켓포병여단(노보시소예프카)
====# 제5근위제병협동군( 우수리스크) #====
- 제57차량화소총여단(비킨)
- 제60차량화소총여단(시비르체보 및 리포프치)
- 제8방공포대여단(라즈돌노예, 프리모르스키 크라이)
- 제80C3여단(우수리스크)
- 제81근위차량화소총사단(비킨)
- 제127차량화소총사단(세르게예프카)
- 제16독립NBC방어여단(레소자보츠크)
- 제20근위로켓여단
- 제305포대여단(우수리스크)
====# 제29제병협동군( 치타) #====
- 제101킹간본부여단(치타)
- 제36독립근위차량화소총여단(보르자)
- 제200포대여단(고니)
- 제140방공포대여단(돔나, 자바이칼 지방)
====# 제35제병협동군(벨로고르스크) #====
- 제135독립NBC방어대대(하바롭스크)
- 제37공병연대(베레조프카, 아무르 주)
- 제38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64근위차량화소총여단(하바롭스크), 부차 학살을 저지른 여단.
원래 하바롭스크에 주둔하고 있던 부대이며, T-80BVM 전차를 주력으로 운용한다. 키이우 공세기간 동안 부차를 중심으로 작전을 펼쳤으며, 따라서 부차에서 벌어진 대량 학살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대이다.
제64근위차량화소총여단장: 중령 아자트베크 아산베코비치 오무르베코프
제64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 본부 위치( 하바롭스크)
- 제54C3여단(벨로고르스크)
- 제69엄호여단(밥스토보, 유대인 자치주)
- 제107로켓여단(비로비잔)
- 제165포대여단(벨로고르스크)
- 제71대공미사일여단(스레드네벨라야, 아무르 주)
====# 제36제병협동군( 울란우데) #====
- 제5독립근위전차여단(울란우데)
- 제37독립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캬흐타)
- 제103로켓여단(울란우데)
- 제1723방공로켓연대(지다, 부랴티야 공화국)
- 제75C3여단(울란우데)
====# 제68군단( 유즈노사할린스크) #====
1993년에 제51군으로부터 신설. 2010년 해체되었다가 2014년에 다시 재창설되었다. 현재 사령관은 드미트리 글루셴코프 소장이다.
- 제137독립본부대대(유즈노사할린스크)
- 제39독립차량화소총여단(호무토보, 사할린)[7]
- 제676독립공병대대(다크노예)
- 제312독립다연장포병포대(다크노예)
- 제18기관총포병사단(고랴치에 클류치, 사할린 주)
- 제46기관총포병연대(라군노에)
- 제49기관총포병연대
===# 레닌그라드 군관구 #===
- 제1사령부여단(세르톨로보, 레닌그라드 주)
- 제51독립군수여단(크라스노예 셀로)
- 제132정보통신여단(아갈라토보)
- 제1060물자및기술지원센터(푸쉬킨, 상트페테르부르크)
====# 제6제병협동군(아갈라토보) #====
- 제25차량화소총여단
- 제138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9근위포병여단
- 제268근위포병여단
- 제5방공미사일여단
- 제26미사일여단
- 제95행정및사령부여단
- 제488차량화소총연대
- 제1009차량화소총연대
- 제1428차량화소총연대
- 제30공병연대
====# 제44군단(페트로자보드스크) #====
- 제68차량화소총사단
- 제72차량화소총사단
- 제128차량화소총여단
4. 육군 규모
러시아 육군은 2022년 기준으로 7개의 사단, 총 병력은 280,000명이다. 아래의 표는 육군 병력의 변화인데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가 러시아에도 크게 발생되고 있어서 증감이 아닌 병력 '유지 상태' 이다.러시아 육군 변화 | |||||
년도 | 사단수 | 전력 | 년도 | 사단수 | 전력 |
1992년 | 103 | 1,400,000 | 1993년 | 87 | 1,000,000 |
1994년 | 74 | 780,000 | 1995년 | 68~71 | 650,000~670,000 |
1996년 | 61~69 | 460,000 | 1997년 | 48 | 420,000 |
1998년 | 33 | 420,000 | 1999년 | 33 | 348,000 |
2000년 | 31 | 348,000 | 2001년 | 34 | 300,000 |
2005년 | 32 | 395,000 | 2007년 | 21 | 395,000 |
2008년 | 24 | 395,000 | 2009년 | 21 | 395,000 |
2012년 | 2 | 305,000 | 2016년 | 3 | 240,000 |
2017년 | 8 | 270,000 | 2018년 | 8 | 280,000 |
2019년 | 8 | 280,000 | 2020년 | 9 | 280,000 |
2021년 | 7 | 280,000 | 2022년 | 불명 | 불명 |
2023년 | 2024년 |
5. 러시아 육군 총사령관
<colbgcolor=#cc0000><colcolor=gold>
러시아 육군 총사령관 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й сухопу́тными войск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
성명 | 올레크 레오니도비치 살류코프(Оле́г Леони́дович Салюко́в) |
생년월일 | 1955년 5월 21일 |
출생지 | 소련 러시아 SFSR 사라토프 |
국적 | 소련 → 러시아 |
군복무 | |
국가 | 소련 → 러시아 |
복무기간 | 1973년 ~ 현재 |
근무 | 소련 육군 → 러시아 육군 |
계급 | 대장[진] |
5.1. 역대 총사령관
러시아 육군 총사령관 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й сухопу́тными войск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
성명 | 생년월일 | 임기 | 계급 | 이후 | |
제 1대 |
블라디미르 마고메도비치 세묘노프 Влади́мир Магоме́дович Семёнов |
1940년 6월 8일 | 1992년 8월~1997년 | 대장 |
1998년 6월 국방부 수석군사고문역임 2004년 군전역 |
제 2대 |
니콜라이 빅토로비치 코르밀체프 Никола́й Ви́кторович Корми́льцев |
1953년 3월 14일 | 2001년 3월 28일~2004년 10월 | 대장 | 2004년 군전역 |
제 3대 |
알렉세이 표도로비치 마슬로프 Алексе́й Фёдорович Ма́слов |
1953년 9월 23일 | 2004년 11월 5일~2008년 7월 31일 | 대장 |
2008년 8월
NATO의 러시아 최고군사대표 2011년 군전역 |
제 4대 |
블라디미르 아나톨리예비치 볼디레프 Влади́мир Анато́льевич Бо́лдырев |
1949년 1월 5일 | 2008년 7월 31일~2010년 1월 | 대장 | 2010년 군전역 |
제 5대 |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포스트니코프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Постников |
1957년 3월 23일 | 2010년 1월 11알~2012년 4월 26일 | 상장 |
2012년 4월 러시아군 참모부 부참모장 2013년 해임후 군전역 |
제 6대 |
블라디미르 발렌티노비치 치르킨 Влади́мир Валенти́нович Чи́ркин |
1955년 10월 12일 | 2012년 4월 26일~2013년 12월 2일 | 상장 |
2008년 뇌물수수협의로 기소되어 직위박탈 2013년 군전역 |
제 7대 |
올레크 레오니도비치 살류코프 Оле́г Леони́дович Салюко́в |
1955년 5월 21일 | 2014년 5월 2일~현직 | 대장 | 2019년에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
지상군 총사령관은 러시아 육군의 최고 직위이며 이 직위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이후 소비에트 지상군이 러시아 지상군으로 승계했다.이 직위는 러시아 대통령이 임명하며, 소비에트 육군에서 러시아 육군 총 사령관이라는 직책은 1946년, 1955년, 1967년에 각각 도입되었다. 소련과 러시아 육군의 총사령관은 임시로 역임한 사람은 표시가 되지 않는다. 1992년부터 이 직위는 러시아 육군의 총사령관이라고 불리었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육군 총사령관인 동시에 러시아 국방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6. 장비
6.1. 기갑
러시아 육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손실 | 기타 |
T-90 | 주력 전차 | 러시아 | 400대 | 100대 | 159대 | |
T-80 | 주력 전차 | 소련 | 580대 | 3,000대 | 950대 | 2세대/3세대 전차[9] |
T-72 | 주력 전차 | 소련 | 2,420대 | 7,000대 | 1,548대 | 2세대/3세대 전차[10] |
T-62 | 주력 전차 | 소련 | 150대[11] | 미상 | 183대 | 2세대 전차 |
T-55 | 주력 전차 | 소련 | 미상[12] | 미상 | 12대 | 1세대 전차 |
러시아 육군의 장갑차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손실 | 기타 |
BMP-3 | IFV | 소련 | 640 | - | 542 | - |
BMP-2 | IFV | 소련 | 2,350 | 1,500 | 1618 | - |
BMP-1P/AM/KSh | IFV | 소련 | 500 | 2,500 | 882 | - |
BMD-4 | IFV | 소련 | 289 | - | 126 | - |
BMD-2 | IFV | 소련 | 1,000 | - | 288 | 공수용 경장갑차 |
BTR-D/MDM | APC | 소련 | 808 | - | 92 | 공수용 경수송차 |
BTR-80/80A/ 82A/82AM | APC | 러시아 | 2,200 | - |
1076 |
1,152대의 BTR-80/A을 대체함. |
BTR-70M1986/1 | APC | 소련 | 200 | 2,000 | 10 | - |
BTR-60 | APC | 소련 | 800 | 2,000 | - | - |
BTR-50 | APC | 소련 | 대수 미상 | - | 재취역 | |
BMO-T | APC | 소련 | - | - | - | - |
MT-LB/LBVM/u | APC | 소련 | 3,050 | 2,000 | 911 | - |
BRDM-2 | 정찰 장갑차 | 소련 | 1,000 | - | - | |
BRM-1K | 정찰 장갑차 | 소련 | 700 | - | - | - |
7. 둘러보기
[1]
수하푸트늬에 바이스카 라시이스이 페데라치이.
[2]
기관총-포병부대는 대전차포와 해안포 등을 운용하는 방어전용 화력지원 부대이다.
[3]
2월 26일 부로 서부군관구에서 모스크바 군관구로 재편성
#
[4]
부대구성은 유즈노사할린스크의 제137독립본부대대, 제39독립차량화소총병여단[13](유즈노사할린스크시 코무토보[14]), 제312독립다연장포대, 제676독립공병대대(다치노예[15]), 제18기관총포병사단(고랴치예 클류치, 사할린 동부 연안 근처의 시골 소도시이다.)로 되어있다.
[5]
3월 1일 부로 북부군관구에서 레닌그라드 군관구로 재편성
#
[6]
하바롭스크 주둔지 명예 경비중대(1971.12.14일 창설, 현재 사령관은 드미트리 질린스키 중령)
[7]
제33사단에서 군축되어 나온 여단이다.
[진]
2019년 2월 22일 대장으로 진급했다.
[9]
170대가 T-80BVM으로 개량되었고 추가로 50대의 T-80BVM이 해병대에 운용중
[10]
1,380대가 T-72B3/T-72B3M으로 개량
[11]
2015년 이후 전량 비축물자로 지정하여 보존상태에 들어갔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800대를 재배치중에 있다.
[12]
2010년 이후 전량 비축물자로 지정하여 보존상태에 들어갔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일부를 재생하여 재배치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