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오므라이스(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경양식
,
오믈렛
🍚 밥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밥짓는 재료 |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 |
국밥 | 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 ||
김밥 | 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 ||
덮밥 | 김치덮밥 · 돈부리( 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 ||
볶음밥 | 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 ||
비빔밥 | 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 ||
주먹밥 | 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 ||
쌈밥 |
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
||
초밥 | 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 ||
기타 |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 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죽 · 치밥 · 떡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e0000><colcolor=#fff> 밥류 | 돈부리(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카이센동 · 텐동) · 무스비 · 삼각김밥 · 스시 · 오니기리 · 오무스비 · 오므라이스 · 오차즈케 · 치라시즈시 · 카레라이스 · 하이라이스 |
면류 | 라멘 · 소바 · 우동 · 츠케멘 · 키시멘 · 타이소멘 · 나가시소멘 | |
어묵류 | 가마보코 · 치쿠와 · 나루토마키 | |
튀김류 | 틀:일본의 튀김 분류 | |
고기류 | 니쿠자가 · 도테야키 · 돈지루 · 쇼가야키 · 스키야키 · 야키니쿠 · 야키토리 · 징기스칸 · 호루몬 | |
해산물 | 사시미 · 우마키 · 쿠사야 · 타코야키 · 타코와사비 | |
반찬 채소류 |
낫토 · 누카즈케 · 단무지 · 덴가쿠 · 베니쇼가 · 사라다 · 아게다시도후 · 아사즈케 · 우메보시 · 츠케모노 | |
화과자 | 화과자 · 가린토 · 당고 · 도라야키 · 만쥬 · 모나카 · 미즈신겐모찌 · 센베이 · 안미츠 · 야츠하시 · 양갱 · 타이야키 · 킨츠바 | |
빵 양과자 |
단팥빵 · 멜론빵 · 별사탕 · 사라다빵 · 상투과자 · 소금빵 · 앙버터 · 카레빵 · 카스텔라 · 쇼트케이크 | |
액체류 | 틀:일본의 술 · 커피 - 드립 커피 / 콜드 브루 커피 · 메론소다 · 라무네 · 포카리스웨트 | |
기타 | 가쓰오부시 · 나베 · 도빙무시 · 몬자야키 · 소면 · 오코노미야키 · 오뎅 · 오세치 · 와사비콩 · 조니 · 카키고오리 · 토루코라이스 · 후리카케 · 경양식 · 일본식 중화 요리 · 일본식 한국 요리 · 오키나와 요리 | |
요리 문화 | 가이세키 · 벤또( 에키벤) · 다타키 · 아메자이쿠 · 코부지메 · 오마카세 · 오코사마 런치 · 탕종법 · 다도 |
|
|
일반적인 오므라이스[1] | 탄포포 오므라이스[2] |
[clearfix]
1. 개요
- 일본어 : オムライス
- 한국어 : 오믈렛 라이스, 오므라이스, 옴라이스 (문화어)
- 영어[3] : Omurice, Japanese Rice Omelet
프랑스의 계란 요리인 오믈렛 안에 밥을 넣어 만든 요리. 볶음밥 위에 오믈렛을 덮으면 맛있을 것 같다는 발상으로 일본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2. 국어 맞춤법
'오므라이스'는 원어가 'omelet rice'이므로 '오믈렛 라이스'로 써야 하나, 관행적으로 굳어진 표기를 인정한 경우이므로 규정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국립국어원 공식 답변 #
오므라이스(Omurice)는
오믈렛과
라이스의 합성어인 오믈렛 라이스(Omelet Rice)가 일본식 발음의 영향을 받아서 생긴 단어로 추정되고 있다. 오믈렛 라이스가
일제강점기에 한국에 본격적으로 소개되면서
한국인들에게는 오므라이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오므라이스가 오믈렛 라이스보다 발음하기에 편하기도 하다. 이로 인해 나중에는 오므라이스라는 이름이 오믈렛 라이스라는 표현보다 더 많이 쓰이게 되었다. 오믈렛 라이스와 오므라이스 둘 다 한국에서는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다.국립국어원 공식 답변 #
3. 유래
|
|
'렌가테이'의 오므라이스[4] | '홋쿄쿠세이'의 오므라이스 |
오므라이스의 유래는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출간되어 일본에도 전해졌던 The American Cook Book(1887)과 The Original White House Cook Book(1887)로서[7] 렌가테이나 홋쿄쿠세이가 창업하기도 전에 일본에 도래한 책 으로 일본에 처음으로 오므라이스를 소개한 책 으로 알려져 있다.[8]
당시 서양 문물이 전해지면서 레시피 역시 일본으로 많이 들어왔으며 주식이 쌀인 일본의 사정에 맞게 영국이나 미국에서 쌀을 활용한 레시피 역시 많이 들어왔었다고 하는데, 이러한 레시피들이 대중화되지 못한 이유로 일본은 쌀을 주식으로 먹는 데 반하여 서양에서는 라이스 푸딩 등의 과자의 재료로 많이 쓰였기에 '주식'이 아닌 '부식'의 개념으로 많이 전래가 되어 그다지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렇기에 이런 서양 레시피들이 전래되는 과정에서 현지화를 거칠 수밖에 없었다고 하며 현재 일본의 화양식의 뿌리가 되었다고 하는데, 오므라이스 역시 마찬가지로서 현지화를 거친 후에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으며 메이지 34년(1901년) 처음으로 현지화를 거쳐 상품화하여 히트를 기록한 것이 바로 렌가테이라고 알려져 있다.
렌가테이식 오므라이스는 주방의 요리사들이 직원식사 메뉴로 만든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바쁜 요리사들이 라이스 오믈렛을 일본식으로 개량해서 밥이 주식인 일본인의 식생활에 맞게 주 재료였던 달걀을 부재료로, 부재료였던 밥을 주재료로 사용해 달걀을 풀고 거기에 여러 채소와 밥을 넣고 섞어서 만든 라이스 오믈렛을 직원식으로 만들어먹었으나 그것을 본 손님이 먹고 싶다고 해서 메뉴로 발전했다고 하며 처음에는 메뉴명 역시 라이스 오믈렛이였다고 하는데 이게 큰 인기를 끌며 일본식 오므라이스로 발전을 하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현대의 일본식 오므라이스인 밥 위에 오믈렛을 올린 형태를 만든 것이 바로 홋쿄쿠세이식 오므라이스이다. 렌가테이가 일본식 라이스 오믈렛을 만든 후 약 24년이 지난 다이쇼 14년(1925년) 홋쿄쿠세이 당시 판야의 식당(パンヤの食堂)의 단골손님의 주문에서 힌트를 얻어 만들었다고 한다. 홋쿄쿠세이는 원래 오믈렛을 잘 만들기로 유명한 식당이었는데 위장병이 있던 단골손님이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인 오믈렛과 밥을 같이 주문하여 식사를 했다고 한다. 그걸 몇 차례 지켜본 요리사가 "밥과 오믈렛을 따로 내지 않고 하나로 내놓는다면 어떨까?"라고 생각했고 그것이 현재의 오므라이스의 형태가 되었다고 하며 오사카지역에서 히트를 기록하며 오믈렛 라이스의 기본적인 형태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 때 즈음 또 다른 인기를 끌고 있던 것이 바로 현재 오므라이스 하면 떠오르는 케첩으로 볶은 볶음밥으로서 샤프란 라이스와 치킨 라이스를 간편화하는 과정에서 탄생했다고 한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샤프란은 비쌌기 때문에 샤프란의 대체품으로서 케첩이 이용되어 '빨간가지밥(赤茄子飯)'[9]이라는 게 탄생하였는데, 여기에 영국에서 들여 온 치킨라이스 역시 양식점에서 잘 쓰지 않는 닭국물을 치킨라이스를 위해 쓴다는 것이 비효율적이라면서 닭고기를 넣어 볶는 식의 볶음밥화가 진행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닭국물을 쓰지 않는 만큼 빠지는 맛을 보충하기 위해 빨간가지밥과 합쳐지면서 케첩을 섞어 만든 볶음밥의 레시피가 만들어져 다이쇼 10년(1921년) 요리 레시피북에 케첩을 베이스로 한 치킨볶음밥이 여러 차례 소개가 되며 인기를 끌었고, 다이쇼 12년(1923년)에는 잡지 등에 해당 레시피가 여러차례 실리며 현재 오므라이스의 원형이 되는 볶음밥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후 다이쇼 15년(1926년) 당시 유행하고 있던 케첩을 활용한 볶음밥에 홋쿄쿠세이의 레시피를 얹어 작가 고바야시 사다미(小林定美)가 쓴 '간편하고 맛있게 따라 할 수 있는 중국요리와 서양요리(手軽においしく誰にも出来る支那料理と西洋料理)'[10]에 현재의 오므라이스의 기본형태가 되는 레시피가 실리며 일본식 오므라이스가 탄생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모양새는 양쪽이 꽤 달라서 홋쿄쿠세이의 오므라이스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볶음밥을 달걀로 감싼 모양이라면 렌가테이의 것은 볶음밥 겉에 직접 계란이 코팅되어 있는 모양이다. 말 그대로 '계란+밥', 얼핏 보면 계란볶음밥 같은 느낌이다.
이른 시기에 한국에 들어왔다 보니 소스를 얹은 돈가스나 햄버그 스테이크처럼 일식보다는 경양식으로 인식되고 있어 일본 음식점에서는 보기 힘들고 주로 분식집이나 이탈리아 요리점 메뉴에 올라 있다. 중국집에서도 오므라이스라고 팔기도 하는데 중식 볶음밥에 짜장소스 대신 계란지단을 얹고 케첩을 뿌린 것이다. 일반적인 오므라이스를 기대하고 주문한 손님이라면 당혹스러울 수도 있지만 중국집 특유의 높은 화력과 튀기듯이 만들어진 계란지단이 섞인 맛은 다른 곳에서 찾아보기 힘든 각별한 맛이기도 하다.
4. 레시피
푼 달걀을 프라이팬에 부친 후 반숙 상태일 때 볶음밥을 넣어서 오믈렛처럼 도톰하게 감싸거나 얇은 달걀을 볶음밥 위에 씌워 얹는다. 정석으로는 볶음밥이지만 그냥 흰 쌀밥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식 오므라이스 만들기원산지인 일본에서는 보통은 케첩라이스 혹은 치킨라이스를 만들어 넣지만 케첩을 쓰지 않은 필라프나 차항, 버터라이스 등이 들어가기도 한다. 한국에선 양식이나 중식 볶음밥 외에도 케첩과 치즈를 넣은 김치볶음밥을 쓰기도 한다. 여기에 토마토 케첩이나 데미글라스 소스 등을 뿌리는 것이 일반적으로, 업소에 따라 베샤멜 소스 등을 얹기도 하며 카레를 얹은 오므카레(オムカレー), 해시드 비프를 얹은 오므 하야시(オムハヤシ), 스튜를 얹은 오므스튜(オムシチュー) 등 무슨 소스를 얹느냐도 각양각색이다.
달걀로 감싸는 데다 일반적으로 케첩 또는 데미글라스 소스 등을 같이 뿌려먹기 때문에 어지간히 요리솜씨가 나쁘지 않은 이상 맛 없게 만들기는 어렵지만 계란을 익히는 정도에 따라서도 맛이 갈리는 것은 물론, 부서지기 쉬운 달걀을 얇게 편 다음 무거운 밥을 감싸야 하기 때문에 모양을 제대로 내며 맛있게 만들기는 매우 힘든 요리다. 내용물인 볶음밥이 끈적거리거나 기름범벅이면 소화불량으로 고생할 위험이 있기도 하다. 이 경우는 밥과 재료를 섞기 전에 재료와 케첩을 섞어둔 후 밥을 넣으면 밥이 끈적해지지 않는다거나 식용유 대신 버터를 쓰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집에서 간단히 해먹거나 분식집 등의 저렴한 식당에서 주문하는 경우 그냥 타원 형태의 볶음밥 위에 계란 지단 얹고 시판 돈까스 소스를 뿌린 볶음밥이 나오기도 한다. 사실상 계란 지단 들어간 볶음밥과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라멘 가게에서는 차항을 계란으로 감싼 '오므차항(オムチャーハン)'이라는 것을 서비스하기도 하는데 계란의 반숙된 면을 위로 하여 그릇에 담은 차항에 감싸는 것이 보통이며 케첩은 사용하지 않고 차슈의 끄트머리 부분인 찬코마(チャンコマ)를 올린 다음 차슈를 우린 국물을 끼얹어서 만든다. 보다시피 라멘 가게에서 주로 쓰이는 재료가 활용되지만 칠리소스 등을 끼얹어 중화풍으로 선보이기도 한다. 여기에 새콤달콤한 앙카케 소스를 얹으면 텐신항이 된다. 이와는 별개로 일본은 물론 한국의 중국집에도 오므라이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일본 편의점 등지에서는 치킨라이스를 뭉친 무스비 위에 계란 지단이나 타마고야키를 올린 '오므라이스 무스비(オムライスおむすび)'라는 것도 판매하고 있다.
빨간 케첩을 노란 계란 위에 뿌린다는 점에 착안하여 케첩으로 글씨를 쓰는 등의 장식이 가능하다. 메이드 카페에서 오므라이스를 시키면 케첩으로 원하는 글씨나 각종 장식을 해서 내오는 일명 ' 모에오무(萌えオム)' 서비스도 있다.
영화 ' 담뽀뽀'를 통해 유명해진 레시피로 그릇에 올린 치킨라이스 위에 반숙 상태인 플레인 오믈렛을 올리고 손님이 보는 앞에서 오믈렛을 커팅해 밥을 감싸도록 하는 방법이 있는데 감독인 이타미 주조가 고안해내고 도쿄 니혼바시에 있는 양식점 '타이메이켄(たいめいけん)'에서 만들어낸 것으로 현재는 이타미 주조풍 '탄포포 오므라이스'라는 이름이 붙어 가게의 명물로 선보이고 있다.
밥이 아닌 야키소바를 계란 지단으로 감싼 '오므소바(オムそば)'라는 바리에이션도 존재한다.
4.1. 원조 미국식 레시피
재료 : 찬밥 한 컵, 따듯한 우유 한 컵, 버터 2 큰술, 소금 1 작은술, 후추 약간, 계란 3개[11]1. 찬밥과 우유 버터 1큰술 소금 후추를 그릇에 넣고 잘 섞어준다.
2. 팬에 버터 남은 1큰술을 넣고 버터가 녹는 동안에 1에 계란 3개를 넣고 잘 섞어준다.
3. 버터가 녹으면 오믈렛 재료를 넣고 잘 펴서 뜨거운 오븐에 넣어준다.
4. 오믈렛이 적당히 잘 익으면 꺼내서 잘 말아서 접시에 담는다.
4.2. 다이쇼 풍 원조 오므라이스 레시피
재료(5인분기준) : 소고기 50돈[12], 달걀 5, 완두콩 적당량, 양파 대 1개, 토마토소스, 소금, 후추, 텔로[13], 밥 5인분.1. 소고기와 양파는 잘 다져놓는다.
2. 팬에 텔로를 넣고 녹인 후 완두콩에 후추를 뿌려 잘 볶아준다.
3. 완두콩이 충분히 익었으면 달걀을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넣고 잘 볶아준다.
4. 나머지 재료가 잘 익었으면 토마토 소스를 넣어 색이 나게 잘 비벼준다.
5. 다 볶아진 볶음밥을 접시에 옮겨담고 팬을 정리해준다.
6. 팬에 다시 텔로를 두르고 열이 올라오면 계란 1개를 까서 섞어준 후 넓게 펼쳐 오믈렛을 만들어준다.
7. 이 위에 아까 볶아 둔 볶음밥을 1인분 담는다.
8. 팬 을 접시로 덮고 뒤집으면 밥이 접시 위로 안착하면서 오믈렛이 위로 덮어지면서 감싸는 형태가 된다.
9. 숟가락을 같이 제공하여[14] 1인분씩 제공한다.
5. 여담
- 전문적인 영역으로 들어가면 요리사의 실력을 알아보는 데 좋은 오믈렛과 볶음밥이 합쳐진 요리인 만큼 웬만한 실력 없이는 제대로 만들기 힘든 요리다. 게이머즈에선 "음식점에서 요리사의 실력을 알아보고 싶다면 오믈렛 종류의 요리, 그 중에서도 오므라이스를 주문해라!"라는 캐치프레이즈가 걸렸을 정도다.[15]
- 사이타마시 오미야구에서 1958년 창업한 화양식점 '베니테이(紅亭)'에서 선보인 '드레스 드 오므라이스(ドレス・ド・オムライス)'라는 것이 있는데 이름 그대로 드레스를 입은 듯한 모습이 특징으로, 1997년 무렵만 해도 '특제 오므라이스'라는 이름이었으나 해당 이름으로 개명되어서 잡지에 실린 후 수많은 미디어에서 소개되면서 지명도를 올렸다.
- 일본에는 '집이 가난하면 오므라이스 안에 있는 밥이 맨밥'이라는 유머가 있다. 이는 그만큼 오믈렛 안에 들어가는 밥을 볶음밥으로 만들 정도의 여유가 없다는 뜻이기도 한데 가난한 집에선 제대로 된 오므라이스도 먹기 어렵다는 씁쓸한 현실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 칸다 사야카가 생전에 가장 좋아했던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그녀의 어머니인 마츠다 세이코는 딸이 세상을 떠난 이후로 그녀의 생일인 10월 1일이 되면 오므라이스를 먹는다고 한다. #
- 일본 교토에는 오므라이스 장인이 있는 키치키치 오므라이스라는 가게가 유명한데 요리의 비주얼도 좋고 장인의 퍼포먼스도 뛰어나다. 다만 메뉴 가격이 오무라이스 풀 사이즈 2,700엔, 하프 사이즈 1,450엔이고 하프 사이즈를 시키면 0.5인분도 안되는 오므라이스가 나온다. 오무라이스 자체보다는 조리 퍼포먼스를 보러가는 가게로 알려져 있다.
- 대한민국의 오므라이스 전문 프랜차이즈로는 오므토 토마토가 있다. 전성기였던 2000년대에는 30~40여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2010년대 이후 몰락하여 2023년 기준으로 4군데만 남아 있다.
- 미국에서는 라이스 오믈렛이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 얼추 비슷한 모양새의 돈부리 계열 요리로 텐신항(天津飯)[17]이 있다. 게살 혹은 새우살을 넣은 달걀부침인 푸룽셰로 밥을 덮은 일본식 중화요리인데 속에 든 밥이 볶음밥이 아니라 그냥 밥이라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밥에 간이 되어 있기 때문에 소스 없이도 먹는 오므라이스와 달리 이 텐신항은 무조건 녹말을 넣어 점성이 강한 탕수육 소스 같은 것을 끼얹어 먹는다는 점도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아직 대중화된 요리는 아니지만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는 라멘 가게에서 세트 메뉴로 내놓거나 돈부리 전문점에서 메뉴에 포함시킨 형태로 접할 수 있다.
- 동남아시아 국가인 말레이시아에도 볶음밥 나시고렝 위에 섞어 만든 계란지단을 덮어서 만드는 나시 고렝 파타야(nasi goreng pattaya)가 있다. 오므라이스와 생김새도 비슷하다. #
- 일본을 넘어 세계 최대 규모의 카레라이스 프렌차이즈인 코코이찌방야에는 일명 오무라이스에 카레소스를 끼얹어 먹는 오무카레 메뉴가 있다.
6. 둘러보기
[1]
이렇게 완전히 익히고
케첩을 얹는 것은
미국식 오믈렛 조리법이다.
[2]
밥 위에 프랑스식
오믈렛을 그대로 얹은, 흔히 알고있는
일식 오므라이스.
[3]
영향을 준 나라가 미국이다.
[4]
최초로 탄생했을 때는
케첩을 뿌리지 않았다고 한다.
[5]
'화(和)'는 일본을 의미한다.
[6]
돈가스의 발상지로 유명한 경양식당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방일 당시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방문했다.
#
[7]
개화기 일본에서 다양한 식문화를 소개하던 작가 무라이 겐사이(村井弦斎)가 1903년에 낸 소설인
식도락에 원형에 가까운 라이스 오믈렛의 얘기가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8]
개화기 일본의 화양식의 원조로 꼽히는 렌가테이에서 미국에서 전래된 요리서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번역해서 현지화하는 과정을 거쳐 많은 요리를 내 놓았기 때문에 과거에는 렌가테이에서 개발한 것 으로 알려진 사례가 많았으나 지금은 렌가테이에서 현지화를 했을 뿐 이지 대부분 위의 두 서적에서 출발했다라는 것 으로 보는 관점이 많다.
[9]
당시에는 토마토를 빨간가지라고 불렀다.
[10]
레시피북에는 치킨라이스의 치킨 대신에 소고기를 넣은 레시피가 활용되었다.
[11]
비교적 큰 계란이 좋다. 아무래도 백악관에서 만들던 아침식사이기 때문에 나름 고급재료가 들어갔다라고 알려져 있기에 큰 계란 혹은 작은 계란 4개로 준비하자.
[12]
1돈에 3.75g정도로 187.5g정도이다.
[13]
쇠기름으로 만든 요리용 우지인데 구하기 까다로우면 그냥 소기름을 녹여서 사용하거나 육개장용 소기름을 따로 팔기에 그 걸 쓰면 된다. 대용품으로 라드를 사용해도 괜찮다.
[14]
당시에는 오믈렛으로 덮여져 있어 밥이 안에 있는 줄 모르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15]
사실 이 캐치프레이즈는
맛의 달인에 나온 "
중화요리 솜씨를 알고 싶으면
볶음밥을 주문하라"는 명제의 응용이다.
[16]
종류가 있는데 4화에선 콩 오므라이스를 만든다던가 불고기 소스를 넣어서 만든 불고기 오므라이스도 있다.
[17]
또는 텐신동(天津丼)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