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봉행([ruby(奉行, ruby=ぶぎょう)])은 헤이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일본에서 사용되었던 관직들 중 하나이다. 이 봉행직에 자리한 사람을 봉행인([ruby(奉行人, ruby=ぶぎょうにん)]), 봉행인이 업무를 보았던 관청을 봉행소([ruby(奉行所, ruby=ぶぎょうしょ)])라고 칭했다.봉행이라는 단어는 원래 奉行する[해석]라는 동사에서 비롯하였으며, 말 그대로 상관이 특정한 명령을 내리면 그 명령을 받아서 수행하는 직함이었다. 원래 봉행은 헤이안 시대 공사(公事) 혹은 궁중행사(宮中行事)를 주관하기 위해 만들어진 임시직으로써, 그조차도 원래 봉행은 이 직무를 받은 책임자가 아니라 그 책임자 밑에서 따르는 사람들을 뜻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후에는 이러한 특정한 일이 아닌 실무직을 담당하는 사람들을 뜻하는 단어로 변하였고, 가마쿠라 시대 이후로는 막부 혹은 지방 다이묘들의 가정(家政)을 담당하는 직함으로 변하였다. 이러한 봉행직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인 시대는 에도 시대로, 우리가 아는 봉행직은 거의 대부분 이 에도 시대의 봉행직이다.
2. 시기별 봉행
2.1. 헤이안 시대
극초기의 봉행으로, 상술하였듯 특수한 궁중행사를 위해 가끔 설치되는 임시직이었다. 이 시기에는 특별한 봉행명도 없이 그냥 봉행이라고만 불렀다.2.2. 가마쿠라 시대
역시 대부분은 임시직으로써 기능하였으나 이 시기부터 상설 봉행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진서봉행([ruby(鎮西奉行, ruby=ちんぜいぶぎょう)]): 진서지방( 규슈)의 통치를 위해 만든 봉행. 원나라의 일본 원정 이후 진서탐제([ruby(鎮西探題, ruby=ちんぜいたんだい)])로 개편되면서 사라졌다.
- 오슈 총봉행([ruby(奧州總奉行, ruby=おく しゅう そう ぶぎょう)]): 오슈 후지와라씨 토벌 이후 오슈 지방의 전후 처리를 위해 만든 임시직.
- 수호인봉행([ruby(守護人奉行, ruby=しゅごにんぶぎょう)]): 지방의 율령국을 통치하기 위해 만든 봉행. 이들이 나중에 슈고 다이묘로 발전한다.
2.3. 무로마치 시대
막부에 찬동한 문관집단을 모아 봉행중([ruby(奉行衆, ruby=ぶぎょうしゅう)])을 조직하며, 이들을 봉행인이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봉행인이라는 단어가 생겨난다. 이 봉행중은 정부 문서를 작성하거나 소송기관에 배치되어 활동하였다.2.4.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자세한 내용은 오봉행 문서 참고하십시오.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자신을 보좌할 실무관료들을 봉행으로 임명하였으며, 이들 중에서도 특히 공이 많고 강력한 권한을 가졌던 사람들을 오봉행이라고 불렀다.
2.5. 에도 시대
일반적으로 알려진 봉행은 이 시기에 조직되었으며, 임시봉행도 설치된 적이 있긴 하지만 거의 대부분 상설봉행이었다. 또한 전근대 일본에서 가장 관료제가 잘 발달한 시대답게 봉행체계 역시 가장 정교하게 짜여있어서 사실상 이 시기 막부의 권력은 이 봉행을 통해서 행사되는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렇기에 봉행직이 이름이 없거나 아니면 이름이 있어도 기록이 잘 안 내려오는 이전 시대와는 다르게 에도 시대는 사소한 봉행직까지도 다 이름이 있고 기록이 내려왔다.2.5.1. 3봉행
상설 봉행들 중에서도 특히 권력이 강했던 봉행 3개를 부르는 명칭이다. 특별히 막부에서 3봉행을 지정하지는 않았기에 공식적인 구분은 아니다.- 사사봉행([ruby(寺社奉行, ruby=じしゃぶぎょう)]): 3봉행 중에서도 최상위의 권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2] 봉행으로, 무로마치 시대부터 설치되었으나 에도 시대에 공식화되었다. 이름 그대로 신사나 사찰 등을 관리하고 관련 성직자들을 모집하는 등의 역할을 맡았으며, 동시에 음양사 관리 및 바둑, 쇼기[3]의 규칙을 제정하는 등의 역할도 맡았다.
- 감정봉행([ruby(勘定奉行, ruby=かんじょうぶぎょう)]): 막부의 재정을 담당하는 감정방(勘定方)의 우두머리를 뜻하였으며, 동시에 막부의 소송기관이었던 판정소(評定所)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또한 막부 직할령에 파견되는 대관(代官)들의 통솔도 맡았다.
- 장봉행([ruby(蔵奉行, ruby=くらぶぎょう)]): 막부의 쌀 창고를 관리하는 봉행.
- 임봉행([ruby(林奉行, ruby=はやしぶぎょう)]): 막부 직할령에 속한 숲을 관리하는 봉행.
- 정봉행([ruby(町奉行, ruby=まちぶぎょう)]): 막·번 구분 없이 거의 모든 지방에 존재하였지만, 여기서 설명하는 건 막부 직할령 중 가장 핵심이자 막부 소재지인 에도의 행정·사법·치안 등을 담당하는 봉행직으로써, 당연히 가장 직무가 많았기에 1604년을 기점으로 남북으로 쪼개진다.
2.5.2. 하3봉행
3봉행 급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권력이 강했던 봉행 3개를 칭하는 봉행으로, 下를 앞에 붙여서 구별하였다. 이 셋은 공통적으로 토목공사와 관련이 있다.- 보청봉행([ruby(普請奉行, ruby=ふしんぶぎょう)]): 성 혹은 상수의 건설 및 보수 등, 대규모 토목공사를 맡았던 봉행이다.
- 소보청봉행([ruby(小普請奉行, ruby=こふしんぶぎょう)]): 역시 토목공사를 맡았으나 위의 보청봉행과는 다르게 주로 사찰의 건립 및 보수를 담당하였다. 다만 에도 성의 건설관리는 이쪽이 맡았다.
- 작사봉행([ruby(作事奉行, ruby=さくじぶぎょう)]): 막부가 직접 시행하는 건축사업을 관리하였으며, 그렇기에 주로 어전을 유지 및 보수하는 역할을 맡았다.
2.5.3. 원국봉행
막부 직할령 중 에도 외, 즉 지방을 관리하는 봉행이다. 막부 직할령 중 중요한 곳에는[6] 봉행이 존재하며, 해당 지역의 봉행이 그 지역의 통치를 담당하였다. 당연하지만 다이묘의 영역인 번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후시미 봉행을 제외하고는 하타모토가 임명되었다.[7]- 나가사키 봉행([ruby(長崎奉行, ruby=ながさきぶぎょう)]): 나가사키를 관리하는 봉행. 데지마의 교역을 담당하였다. 또한 원국봉행들 중 필두격의 자리였다.
- 교토 정봉행([ruby(京都町奉行, ruby=きょうとまちぶぎょう)]): 교토 조카마치 지역의 정무와 야마시로, 야마토, 단바, 오미 4개 국 막부 직할령의 재판 등 민정을 담당했다.
- 오사카 정봉행([ruby(大坂町奉行, ruby=おおさかまちぶぎょう)]): 오사카 조카마치 지역의 정무를 맡은 봉행. 교토쇼시다이와 후시미봉행 사이의 직무가 조정되고 교토 정봉행이 설치된 1665년 이후에는 카와치, 이즈미, 셋츠, 하리마국의 막부 직할령과 효고, 니시노미야 등 오사카와 인접한 주요 막부 직할항의 민정도 관할했다.
- 사카이 봉행([ruby(堺奉行, ruby=さかいぶぎょう)]): 사카이를 관리한 봉행. 1696년에 오사카 정봉행에 일시 통합되었으나, 1702년에 오사카 정봉행의 하위직으로서 재설치된다.
- 후시미 봉행([ruby(伏見奉行, ruby=ふしみぶぎょう)]): 후시미를 관리하는 봉행.[8] 후시미 성 관리와 오사카-교토 간 수운 관리, 서국 다이묘들의 동향과 참근교대 감시를 맡았으며 에도막부 초기에는 타 긴키 지역의 막부 직할령도 관할했다. 때문에 다른 원국봉행과는 달리 다이묘가 임명되는 자리였다.
- 야마다 봉행([ruby(山田奉行, ruby=やまだぶぎょう)]): 이세를 관리하는 봉행. 자동적으로 이세 신궁의 관리도 맡았다.
- 닛코 봉행([ruby(日光奉行, ruby=にっこうぶぎょう)]): 닛코를 관리하는 봉행. 자동적으로 닛코 동조궁의 관리도 맡았다.
- 나라 봉행([ruby(奈良奉行, ruby=ならぶぎょう)]): 나라를 관리하는 봉행. 주 업무는 나라의 사찰 관리였다.
- 슨푸 정봉행([ruby(駿府町奉行, ruby=すんぷまちぶぎょう)]): 슨푸 조카마치 지역의 정무를 맡은 봉행.
- 시미즈 봉행([ruby(清水奉行, ruby=しみずぶぎょう)]): 스루가 만의 경비를 맡은 봉행. 원래는 독자적인 봉행이었으나 1696년에 슨푸 정봉행에 통합되어 사라진다.
- 사도 봉행([ruby(佐渡奉行, ruby=さどぶぎょう)]): 사도 섬을 관리하는 봉행. 사도 금광을 같이 관리하였기에 원국봉행 치고는 권력이 좀 있었다.
- 우라가 봉행([ruby(浦賀奉行, ruby=うらがぶぎょう)]): 우라가 해협을 드나드는 선박과 화물 감시 및 우라가 주변의 사가미국 민정 담당. 초기에는 없었으나, 에도만 지역의 발전에 따라 1720년 시모다 봉행소를 통째로 옮겨오면서 설치되었다.
- 시모다 봉행([ruby(下田奉行, ruby=しもだぶぎょう)]): 시모다 항구와 주변지역의 민정, 그리고 관동으로 들어오는 선박과 화물의 감시 담당. 1720년에 봉행소가 우라가로 옮겨져 폐지되었으며, 1842년부터 1844년, 1854년부터 1860년 두 차례 다시 설치되다 우라가 봉행에 통합되기를 반복하였다.
- 하시리미즈 봉행([ruby(走水奉行, ruby=はしりみずぶぎょう)]): 현재의 요코스카시 동단의 하시리미즈에 설치되어, 시모다 봉행, 미사키 봉행과 연계하여 에도만을 드나드는 선박을 감시하는 봉행. 에도 막부 성립에 따라 원래 도쿠가와가와 연계하던 이세 수군이 담당하던 업무를 막부 직할화하면서 설립되었다가, 1696년에 폐지되었다.
- 미사키 봉행([ruby(三崎奉行, ruby=みさきぶぎょう)]): 현재의 미우라시 도심인 미사키에 설치되어, 시모다 봉행, 하시리미즈 봉행과 연계하여 에도만을 드나드는 선박을 감시하는 봉행. 에도 막부 성립에 따라 원래 도쿠가와가와 연계하던 이세 수군이 담당하던 업무를 막부 직할화하면서 설립되었다가, 1696년에 폐지되었다.
- 하네다 봉행([ruby(羽田奉行, ruby=はねだぶぎょう)]): 하네다에 설치된 봉행. 텐포 개혁의 일환으로 에도 인근의 연안 경비와 선박의 내항을 관리하기 위해 1842년 설치되었으나, 오래 가지 못하고 2년만에 폐지되었다.
- 니가타 봉행([ruby(新潟奉行, ruby=にいがたぶぎょう)]): 1843년에 막부 직할령이 된 니가타를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 봉행.
- 하코다테 봉행([ruby(箱館奉行, ruby=はこだてぶぎょう)]): 하코다테에 설치되어 홋카이도를 관할한 봉행. 존속과정이 좀 복잡한데, 원래 이 지역은 마츠마에 번으로, 지방 번주가 통치하는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1802년 2월에 마쓰마에 번이 폐번되고 에조 봉행([ruby(蝦夷奉行, ruby=えぞぶぎょう)])이 설치되었으며, 동년 5월에 하코다테 봉행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이후 1807년에 마쓰마에 봉행([ruby(松前奉行, ruby=まつまえぶぎょう)])이라는 이름으로 변경, 1821년에 마쓰마에 번의 재설치로 폐지하였다가 1856년에 하코다테 개항에 따라 하코다테 봉행이라는 이름으로 재설치된다.
- 가나가와 봉행([ruby(神奈川奉行, ruby=かながわぶぎょう)]): 요코하마 개항에 따라, 인접지인 가나가와에 설치되어 주변지역의 민정과 관세 수취, 개항장 사무 등을 관장하는 봉행.
- 효고 봉행([ruby(兵庫奉行, ruby=ひょうごぶぎょう)]): 고베 개항에 따라 인접지인 효고 항에 설치되어 주변지역의 민정과 관세 수취, 개항장 사무 등을 관장하는 봉행.
- 아라이 봉행([ruby(新居奉行, ruby=あらいぶぎょう)]): 미카와국과 도토미국 사이의 통행 검문을 맡은 봉행. 1702년에 요시다 번이 업무를 이양받으며 사라졌다.
2.5.4. 파손봉행
성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슨푸와 오사카에 각각 파손봉행을 설치하여 관리하였다.2.5.5. 군사총재직
막부 말기에 설치된, 막부군을 관리하는 봉행들을 모아놓은 일종의 합동참보본부다.- 육군봉행([ruby(陸軍奉行, ruby=りくぐんぶぎょう)])
- 기병봉행([ruby(騎兵奉行, ruby=きへいぶぎょう)])
- 보병봉행([ruby(歩兵奉行, ruby=ほへいぶぎょう)])
- 철병봉행([ruby(撤兵奉行, ruby=てっぺいぶぎょう)])
- 총대봉행([ruby(銃隊奉行, ruby=じゅうたいぶぎょう)])
- 해군봉행([ruby(海軍奉行, ruby=かいぐんぶぎょう)])
- 군함봉행([ruby(軍艦奉行, ruby=ぐんかんぶぎょう)])
2.5.6. 그 외
- 망봉행([ruby(網奉行, ruby=あみぶぎょう)]): 막부가 매 사냥을 할 때 쓰는 매를 관리하는 봉행.
- 이쿠노 봉행([ruby(生野奉行, ruby=いくのぶぎょう)]): 이쿠노 은광을 관리하는 봉행. 지역명이 붙기는 했지만 특정 도시를 관리하는 봉행은 아닌지라 원국봉행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 유칠봉행([ruby(油漆奉行, ruby=うるしぶぎょう)]): 칠기 및 기름, 종교시설에서 관리되는 신보(神宝)를 관리하는 봉행으로 원래는 유봉행과 칠봉행으로 각기 다른 봉행이었으나 1695년에 통합된다.
- 금봉행([ruby(金奉行, ruby=かねぶぎょう)]): 오사카 성 내의 금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원국봉행에 맡기지 않고 막부 직속봉행으로 관리하였다.
- 오사카 철포봉행([ruby(大坂鉄砲奉行, ruby=おおさかてっぽうぶぎょう)]): 오사카 성의 화약무기를 관리하는 봉행으로, 원국봉행에 맡기지 않고 막부 직속봉행으로 관리하였다.
- 창봉행([ruby(槍奉行, ruby=やりぶぎょう)]): 전쟁 시 사용되는 창을 관리하는 봉행. 평화기가 지속되면서 사실상 명예직으로 전환된다.
- 기봉행([ruby(旗奉行, ruby=はたぶぎょう)]): 전쟁 시 사용되는 깃발을 관리하는 봉행. 평화기가 지속되면서 사실상 명예직으로 전환된다.
- 무구봉행([ruby(武具奉行, ruby=ぶぐぶぎょう)]): 정이대장군의 갑옷과 창 등을 관리하는 봉행. 원래는 구족봉행([ruby(具足奉行, ruby=ぐそくぶぎょう)])이었으나 1863년에 명칭이 변경된다.
- 외국총봉행([ruby(外国惣奉行, ruby=がいこくそうぶぎょう)]): 막부 말기 외교를 담당하기 위해 만든 봉행. 하위에 외국봉행을 따로 두었다.
- 외국봉행([ruby(外国奉行, ruby=がいこくぶぎょう)])
- 궐소물봉행([ruby(闕所物奉行, ruby=けっしょものぶぎょう)]): 형벌 등으로 몰수된 재산을 관리하는 봉행. 단 토지는 보청봉행이, 가옥은 작사봉행이 담당하고 동산만 관리하였다.
- 요물봉행([ruby(腰物奉行, ruby=こしものぶぎょう)]): 정이대장군의 장식품 혹은 헌상받거나 하사할 물건을 관리하는 봉행.
- 재목석봉행([ruby(材木石奉行, ruby=ざいもくいしぶぎょう)]): 건축 등에 사용되는 목재 및 석재를 생산 및 관리를 하는 봉행으로, 원래는 재목봉행과 석봉행으로 각기 다른 봉행이었으나 1689년에 통합되었다.
- 산릉봉행([ruby(山陵奉行, ruby=さんりょうぶぎょう)]): 천황의 능원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꽤 일찍 만들어졌을 것 같지만 의외로 막부 말기에 설치되었다. 또한 황실과 관련된 봉행이기 때문에 봉행인을 막부가 아닌 조정에서 임명하며, 막부는 봉행의 통제권만 가지고 있는 직위였다.
- 제철소봉행([ruby(製鉄所奉行, ruby=せいてつじょぶぎょう)]): 제철소를 관리하는 봉행으로, 이름에서 유추가 가능하듯 막부 말기에 설치되었다.
- 살생봉행([ruby(殺生奉行, ruby=せっしょうぶぎょう)]): 이름이 참 살벌해서 무슨 사형집행인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사냥을 관리하는 봉행이었다.
- 선봉행([ruby(膳奉行, ruby=ぜんぶぎょう)]): 정이대장군에게 바칠 과자나 선식 등을 관리하는 봉행.
- 도정봉행([ruby(挑灯奉行, ruby=ちょうちんぶぎょう)]): 에도 성 내부의 등을 제작 및 관리하는 봉행.
- 서물봉행([ruby(書物奉行, ruby=しょもつぶぎょう)]): 서적을 관리하는 봉행.
- 후키아게 봉행([ruby(吹上奉行, ruby=ふきあげぶぎょう)]): 에도 성 니시노마루에 위치하였던 후키아게 어원을 관리하였던 봉행.
- 도중봉행([ruby(道中奉行, ruby=どうちゅうぶぎょう)]): 에도를 각 지방과 연결하는 5개의 가도를 관리하는 봉행.
- 야마봉행([ruby(野馬奉行, ruby=のまぶぎょう)]): 목장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이 봉행이 관리했던 목장은 현재 카츠시카구에 존재하였다.
- 하마 어전봉행([ruby(浜御殿奉行, ruby=はまごてんぶぎょう)]): 현재의 하마 이궁 은사공원에 위치한 별궁이었던 하마 이궁(浜離宮)을 관리하였던 봉행이다.
- 혼죠 봉행([ruby(本所奉行, ruby=ほんじょぶぎょう)]): 에도 외곽의 지역인 혼죠를 관리하였던 봉행으로, 우리나라로 치자면 성저십리에 대응되는 지역이었기에 원국봉행에 속하지 않았다.
[해석]
명령을 받아 수행한다.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이다.
[2]
감정봉행과 에도 정봉행은 노중의 지배를 받으며 하타모토가 임명되는 자리지만, 사사봉행은 쇼군 직속으로 노중과 동격이며 후다이 다이묘가 맡는 역직이었다.
[3]
일본식 장기. 한자도
장기와 같다.
[昌平坂学問所]
일본의 문묘. 흔히 유시마 성당이라고 부르는 곳이다.
[蕃書調所]
양학연구소. 후에
도쿄대학과
도쿄외국어대학으로 발전한다.
[6]
대도시가 있거나 지리적 요충지인 곳, 교역항 혹은 성소가 소재한 지역.
[7]
정치적, 경제적으로 더 중요한 교토와 오사카 정봉행에 다이묘가 아닌 하타모토가 임명된 이유는 애초에 이 두 도시에는 교토쇼시다이(京都所司代), 오사카조다이(大阪城代)라는 별도의 다이묘급 역직이 있었기 때문.
[8]
당시에는 후시미가 교토 외부에 위치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