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의 방언(벤)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홋카이도 방언 | 도난 방언 · 마츠마에벤 |
도호쿠벤 | 츠가루벤 · 난부벤 · 아키타벤 · 쇼나이벤 · 호쿠에츠벤 · 야마가타벤 · 센다이벤 · 후쿠시마벤 | |
간토벤 | 에도벤 · 이바라키벤 · 도치기벤 · 군마벤 · 사이타마벤 · 보소벤 · 타마벤 · 가나가와벤 | |
도카이벤 | 시즈오카벤 · 미노벤 · 미카와벤 · 나고야벤 · 히다벤 | |
고신에츠벤 | 코슈벤 · 신슈벤 · 에치고벤 | |
호쿠리쿠벤 | 도야마벤 · 카가벤 · 노토벤 · 후쿠이벤 | |
간사이벤 | 교코토바 · 오사카벤 · 오미벤 · 나라벤 · 키슈벤 · 하리마벤 · 반슈벤 | |
시코쿠벤 | 사누키벤 · 이요벤 · 하타벤 · 도사벤 · 아와벤 | |
주코쿠벤 | 오카야마벤 · 히로시마벤 · 빈고벤 · 이즈모벤 · 이와미벤 · 야마구치벤 · 돗토리벤 | |
규슈벤 | 하카타벤 · 사가벤 · 나가사키벤 · 오이타벤 · 구마모토벤 · 휴가벤 · 사츠마벤 · 모로카타벤 | |
오키나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
도서부벤 | 하치조 방언 | }}}}}}}}} |
1. 개요
에도벤(江戸弁)은 도쿄도 구부(옛 에도) 지역의 방언이다.무사 계급의 야마노테어와 평민 계급의 에도어로 구분한다. 야마노테 쪽의 말은 현대 표준 일본어의 근간이 되었다.
2. 특징
일본어에서의 에도벤의 위치를 한국어에 대입하자면 서울 방언과 비슷하다.에돗코(江戸っ子)는 에도벤 사용자를 특징짓는데, 도쿄 토박이 하층민을 뜻하는 말이다. 부드럽게 돌려 말하는 야마노테에 비해 성질 급하고 직설적이란 이미지가 있다. 서울촌놈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보면 된다. 에돗코라는 단어가 나오는 유명한 소설이 바로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坊っちゃん). 주인공도 무대뽀에 분별없고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전형적인 에돗코의 이미지다.
야마노테어의 대표적인 표현은 '데고자이마스(で御座います)'를 자마스(ざます)나 잔스(ざんす)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인삿말인 고키겡요는 잘 알려진 야마노테어 표현이다.
에도어의 대표적인 특징은 ヒ와 シ가 구분되지 않고(예: 東를 シガシ로 발음), 오이(オイ)와 아이(アイ) 등을 모두 에(エー)로 발음하는 것 등이 있다.[1] 후자의 경우 젊은 세대, 특히 남성쪽에서 사용하기도 한다.(예: でかい → でけぇ, 凄い → 凄ぇ, 無い → 無ぇ,
악센트는 을종악센트라 불린다. 홋카이도·도호쿠·간토·도카이·긴키 북서부·주고쿠·시코쿠·규슈 북동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며, 음의 고저로 악센트를 구분한다. 세세하게 따지면 도쿄와 가장 유사한 악센트를 구사하는 지역은 주고쿠 지역이다.[3]
간사이벤 문서에 비교되는 글자량을 보면 알겠지만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가끔 고생한다. 가령 드라마나 시대극에서 シガシ라는 어휘를 듣고 나서 사전에서 백번 찾아봤자 안 나온다.
대표적인 화자는 비트 타케시.
명탐정 코난에서 겐타의 아버지가 도쿄 토박이라는 설정이어서 에도벤을 이용한 트릭(?)이 나온다. 한국어에도 표준어로 채택되지 않은 서울 방언이란 개념이 있기 때문에 현지화했다면 대체할 수 있었겠지만, 일본 애니메이션의 국내 더빙판에서는 사투리를 거의 쓰지 않는지라 '신장 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발음 이상'이란 설정으로 변경되었다.
3. 창작물
일본 대하드라마나 시대극은 제외.-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 오니가사키 카이코쿠
- 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 - 데이 마츠리
-
드래곤볼 -
손오공,치치[4] - 록맨 록맨 - 봄버맨
- 염신전대 고온저 - 염신 버스온
- 함대 컬렉션 - 스즈카제(함대 컬렉션)
- 하이 스쿨 플릿 - 야나기와라 마론
- 오소마츠 상 - 이야미
- 섬란 카구라 시리즈 - 렌카
- 은혼 - 오키타 소고
- 도쿄 세븐스 시스터즈 - 노노하라 히메
-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심중의 대다수의 캐릭터
- 우마무스메 - 이나리 원[5]
4. 외부 링크
[1]
중세 한국어에서 '오ㅣ'에 해당하던 이중모음이 단모음 '외'로 바뀐 것, '아ㅣ'는 단모음 '애'로 바뀐 것과 같은 원리이다. 다만 일본어는 전설 모음 내에 비원순 모음밖에 없기 때문에 두 발음이 전부 장모음 에로 통합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이외에
에도 시대 이전까지 [je\]로 발음했던
え를 [e\]로 바뀌는데 한 몫을 했다는 설도 있다.
[3]
이는 일본어가
기나이 지방을 중심으로 일본 열도 전체로 퍼져나갔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가령 A라는 단어가 교토에서 생겨서 전국에 퍼졌을 때쯤이면 교토에서는 A 대신 B라는 단어를 쓰게되고 다시 B라는 말이 전국으로 퍼진다. 어휘 뿐만 아니라 발음에서도 적용되고, 이 말은 즉 간사이벤은 표준어는 아니지만 지금까지 변화해 온 일본어의 가장 세련된 최근 형태. 어쨌든 따라서 간토와 주고쿠는 기나이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악센트도 유사한 것이다.
[4]
원판 한정
도호쿠벤에 가깝다. 이 둘은 번역판에선 표준어를 사용한다.
[5]
시나가와구 오오이 출신이라
타마모 크로스에게 짝퉁 에돗코라고 디스당한다. 한국 사정으로 번안하면 강서구 출신이 꼬박꼬박
서울 방언을 쓰는 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