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 (國旗) 정렬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가이아나 | 미국 | 볼리비아 | 브라질 | |||||||
온두라스 | 캐나다 | 쿠바 | 파라과이 | 페루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대만 | 대한민국 | 레바논 | ||||||||
베트남 | 북한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시리아 | ||||||
예멘 | 이라크 | 이스라엘 | 인도 | |||||||
일본 | 중국 | 태국 | ||||||||
필리핀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가나 | 가봉 | 남수단 | 레소토 | |||||||
리비아 | 말라위 | 모로코 | 앙골라 | |||||||
우간다 | 이집트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나우루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
사모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
팔라우 | 피지 | 호주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그리스 | 네덜란드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
러시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스페인 |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지위상실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소련 | 티베트 | }}}}}}}}}}}}}}} | ||||||||
관련 틀: 국장 · 국가 · 국호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오성홍기 五星红旗
|
|
<colcolor=#ffff00><colbgcolor=#ee1c25> 국가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채택일 |
1949년
9월 27일 1949년 10월 1일 (공식 채택) 2021년 1월 1일 ( 공식 색상 채택) |
설계자 |
쩡롄쑹( 曾联松 )
|
비율 | 2:3 |
근거 법령 |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41조(국기 명문화) (中华人民共和国宪法 第一百四十一条) 중화인민공화국 국기법(상세법률) (中华人民共和国国旗法)
|
유니코드 | 🇨🇳 |
[clearfix]
1. 개요
오성홍기([ruby(五,ruby=Wǔ)][ruby(星,ruby=xīng)][ruby(红,ruby=Hóng)][ruby(旗,ruby=qí)])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다.2. 역사
전국에서 응모된 약 3,000개의 도안을 심사해서 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선정하였는데 1949년 9월 27일에 현재의 국기 디자인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오성홍기를 디자인한 사람은 저장성 출신 경제학자 쩡롄쑹(曾联松, 1917~1999)이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언하면서 정식 국기로 채택되었다.원래는 중앙의 큰별에 낫과 망치가 새겨져 있었지만 이는 소련 국기와 너무 유사하다는 지적에 따라 별만 남고 낫과 망치는 제거되었다.
3. 특징
큰 별은 중국공산당, 작은 별들은 각각 노동자, 농민, 소자산계급, 민족자산계급을 나타낸다. 붉은색은 공산주의와 혁명, 별의 노란색은 공산주의의 광명을 상징하며 해당 색상은 전통적으로 황제의 색으로 길함의 상징이었다.[1] 4개의 작은 별의 중심에서 뻗은 직선은 큰 별의 중심에서 만나는데 이는 중국공산당의 영도하에 혁명인민의 대단결을 상징한다.큰 별은 한족, 나머지 작은 별은 소수민족( 티베트족, 몽골족, 좡족, 회족)을 가리킨다는 설도 있는데 실제로 그렇게 아는 사람들도 많다. 사실 중화민국 북양정부 시절에 쓰였던 오색기의 오색이 다섯개의 민족을 뜻했는데[2] 신중국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섯 개의 별을 내세웠으니 비슷한 의미로 제정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노란 별은 중국공산당이 홍보용으로 사용한 'Red Star' Over China와 정협의 여러 제안 국기들에서 확인되고 혁명가극 동방홍의 마지막 장면에 인터내셔널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나오는 '붉은 별', 그리고 소련에서 붉은 별 대용으로 베를린 전투 등지에서 사용된 '노란 별' 등을 보았을 때 그냥 공산주의 국가에서 흔히 사용된 붉은 별이다.
색깔의 조합은 이념만 강조된 소련 국기와 판박이지만 공교롭게도 빨간색과 노란색이 역사적으로 중국인들이 선호하던 색상이라 중국 전통과도 별 위화감은 없다. 원래 신해혁명 이후 채택된 중화민국의 첫번째 국기인 오색기에도 빨간색과 노란색이 첫번째 두번째로 들어가 있을 정도로 이 두 색은 중국 전통에서는 선호도로 1, 2위를 다투던 색이었다.
빨간색 항목에도 나오듯 중국 문화에서 빨간색에 여러가지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데 거기 혁명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노란색은 중국 전통의 맥락에서는 행운 또는 고귀함을 상징하며 비주얼 박물관의 국기와 깃발에서도 한족의 색깔도 떠오르게 한다고 나온다.
별 모양은 서양에서 온 것이긴 한데 소련 국기에서 보듯이 이는 공산주의의 승리를 상징하는 것이다.
참고로 특별행정구를 제외하면 지방정부에서도 오성홍기와 중화인민공화국 국장만 사용해야 하며 이외의 성기, 성휘 등 자체적인 상징은 모두 법으로 금지된다. 하나의 중국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집착을 엿볼 수 있다. 다만 상하이시 같은 일부 도시들은 이와는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깃발이나 휘장을 만들기도 한다.
농담삼아 오성홍기의 큰 별은 중국을 상징하며 작은 별 4개는 같은 중화권인 대만,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4. 도안법
<colbgcolor=#F5F5F5,#2D2F34> 도안법 | ||
색상 | RGB | CMYK |
238, 28, 37
#EE1C25 |
0, 88, 84, 7
|
|
255, 255, 0
#FFFF00 |
0, 0, 100, 0
|
5. 기타
5.1. 제안된 도안
오성홍기의 베타 버전 |
여기를 보면 많은 후보작을 볼 수 있다. 청천백일만지홍기와 비슷한 색상 배치도 있다. 다만 모양은 청천백일이 아닌 단순 별 모양인데 주더 원수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와 비슷한 배치이기도 하며 라이베리아 국기에서 줄을 빼면 똑같다.
5.2. 대만에서
대만은 중국을 적국(반란집단)으로 간주해 1980년대까지는 오성홍기의 게양을 금지했는데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대만 선수단은 역도 동메달 1개가 딴 메달의 전부였고 이 체급의 우승자가 중화인민공화국 선수였다. 당시 대만의 방송에서는 시상식을 중계할 때 오성홍기 부분의 화면을 가렸다. 1990년대부터는 오성홍기 게양을 특별히 금지하지 않으며, 2010년대부터는 대륙에서도 청천백일만지홍기를 어느정도 풀어주는 추세이다. 그리하여 2015년 베이징에서 열린 중일전쟁 승전 70주년 열병식에는 청천백일기가 나왔다.현재 없어진 중화민국 공산당도 오성홍기를 대놓고 정식 당기로 쓴 적이 있다. 하지만 이 당은 대만인들의 지지를 얻지 못해 해산되었다.
중국국제항공 비행기는 겉에 오성홍기가 그려져 있는데, 대만 노선을 운행하는 비행기는 오성홍기를 가린다. 그 이유가 대만 당국의 요구 때문인지 스스로 논란거리를 안 만들기 위해서인지 불명.
5.3. 반중 집회 관련
튀르키예에서 위구르족을[3] 중국이 탄압하는 것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반중시위가 일어났을 때 튀르키예인이 이 깃발을 소각한 적이 있다.
친중화민국 세력에게는 북한 인공기와 같은 취급으로 여겨지며 청천백일만지홍기를 "중국"의 국기로서 사용한다.
5.4. 붉은색과 혁명
오성홍기의 붉은색은 전술한 대로 공산주의와 혁명을 상징하는데, 중국 주석 마오쩌둥은 "오성홍기의 붉은색에는 조선 혁명가들의 피도 함께 녹아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4]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하던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이 항일무장투쟁 과정에서 중국공산당에 참가해 동북항일연군 또는 팔로군 소속으로 일본군과 싸웠던 역사 때문이다. 이 말은 현재 북한이 중국과의 ' 혈맹' 관계를 강조하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5.5. 독특한 국기 게양식
중국을 비롯한 제2세계 국가의 열병식에는 한국 사람들이 보기에 독특한 특징이 하나 있는데 깃대에 국기를 매단 후 게양이 시작되면 위로 힘차게 날린다.[5] 시각적으로 역동적인 효과를 낸다. 이는 중요 국가 행사의 개최시, 북한, 베트남, 라오스, 카자흐스탄 등에서 흔히 보인다.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폐회식에서 다음 대회 개최국 자격으로 게양된 태극기도 그런 식이었다. 한편 예외적인 사례로 보이나, 대한민국 군가인 ' 육군, 우리 육군'의 영상에서도 비슷한 동작이 포착되었다. 영상
5.6. 국기모독죄 (대륙, 홍콩, 마카오)
2021년부터 국기를 거꾸로 들어도 처벌받는다. # 이는 홍콩 및 마카오도 적용된다.5.7. 게임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중국 서버에는 오성홍기를 디자인 모티브로 한 ‘홍기’라는 카트가 존재한다.
[1]
명나라 황제의 곤룡포는 황색을 입었고 청나라
팔기군에서 황색깃발을 쓰는 정황기와 양황기는 황제 친위부대였다.
[2]
붉은 색이 한족, 노란색은 만주족, 파란색은 몽골족, 흰색은 위구르족, 검은색은 티베트족을 뜻했다.
[3]
저 바탕색만 다른 푸른색 터키 국기는 사실 위구르 독립세력이 내세우는 깃발이다.
[4]
저우언라이의 발언이라는 설도 있다.
[5]
깃대에 기를 매달 때는 한 손으로 국기의 가장자리를 잡고 있다가 게양이 시작되면 약간의 기다림과 이내 위로 펼쳐 휘날리는 동작이다.
천안문 구역을 담당하고 있는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의 국기
의장대는
CCTV 다큐에서 본 동작 시연을 위해 팔을 위로 펼치는 아령운동부터 쇠로 된 깃대를 손에 피가 흐를 정도로 치는 모습까지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