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한국경제 문서 참고하십시오.상위 문서: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 | 한국의 역사( 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
기타 | 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 지리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수도권 · 충청 (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섬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특별시 · 광역시 · 도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 견종) · 파충류 · 어류( 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 군사 ]
- [ 정치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행정부 (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 경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기초과학
- [ 사회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 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 외교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 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 한국어 (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성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98, '07, '18)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동아시아의 경제 | |||
[[몽골/경제| 몽골]] |
[[북한/경제| 북한]] |
[[대한민국/경제| 대한민국]] |
[[일본/경제| 일본]] |
[[중국/경제| 중국]] |
[[홍콩/경제| 홍콩]] |
[[마카오/경제| 마카오]] |
[[대만/경제| 대만]] |
대한민국의 경제 정보 | ||
인구 | 5,128만 명 | 2024년 4월, 세계 29위 |
명목 GDP | $1조 8,699억 | 2024년 10월, 세계 12위[1][2][3] |
PPP GDP | $3조 2,583억 | 2024년 10월, 세계 14위 |
1인당 명목 GDP | $36,131 | 2024년 10월, 세계 29위 |
1인당 PPP GDP | $62,960 | 2024년 10월, 세계 25위 |
GDP 성장률 | 2.5% | 2024년 2분기 |
무역규모 | 1조 4,151억 달러 | 2022년, 세계 6위 |
GDP 대비 국가채무 | 49.4% | 2022년 |
고용률 | 62.6% | 2023년 |
15-64세 고용률 | 69.2% | 2023년 |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 Aa2(안정적) # | 2023년, 3등위 |
피치 국가 신용등급 | AA-(안정적) # | 2024년, 4등위 |
S&P 국가 신용등급 | AA(안정적) # | 2024년, 3등위 |
1. 개요
대한민국 헌법 제119조[4]
① 대한민국의 경제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
② 국가는 균형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
① 대한민국의 경제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
② 국가는 균형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1960년대 이래로 30여 년 간 가파른 고도성장을 이어왔으며, 2024년 IMF 기준 전 세계 경제규모에서 12위를 기록하고 있다.
2. 역사
광복 이후부터 1997년까지 이룩한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과정은 한강의 기적 문서에서 다루고 있으며, 미국의 경제 원조와 장면 내각 및 박정희 정권의 경제 개발 5개년에 대해서는 경제계획/대한민국 문서에서 다룬다.1994년, UN, IMF, 세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1인당 GDP가 처음으로 1만 달러를 넘었다. 그리고 3년 후 1997년 외환 위기 이후로 GDP 1만 달러에서 잠시 주춤했던 경제는 1999년 곧바로 1인당 GDP 1만 달러를 회복하였고, 이후 7년간 평균적으로 5%대의 안정적이고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다시금 성장 기조를 이어나갔다.[5]
2006년 GDP 1조 달러를 돌파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UN, IMF, 세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1인당 GDP가 처음으로 2만 달러를 넘었다.[6] 코스피 지수는 2007년 7월에 처음으로 2,000 포인트를 돌파했다. 이는 1980년 1월 4일 100 포인트에 비해 스무 배 커진 것이며, 처음으로 1,000포인트를 돌파한 1989년 3월 31일 이후 18년 만의 일이다. 주력 수출산업이 호조를 보이면서 꾸준히 성장하면서 신흥공업국 중에선 가장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었다.
2008년 10월 세계금융위기라는 복병을 만나 환율에 의해 잠시 내려 앉았고, 건설업을 위시한 내수경제가 침체되어 대외적으로 급격한 신장세를 누리는 수출과 대비되어 경제적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2010년 GDP 1조 달러와 1인당 GDP 2만 달러를 재돌파함으로써 2만 달러는 공고화되었다. 2011년 12월 5일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9번째로 무역(수출, 수입 합계)량 1조 달러를 넘는 국가가 되었다. #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 세계금융위기의 후유증으로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들의 성장이 둔화함에 따라. 한국도 2~3%대의 성장세로 가라앉아 사실상 기적이라 할 수 있는 수준의 성장은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대개 2.3~2.5% 정도로 추산되는데, 한국의 저성장 기조가 정착되었으므로 머지않아 연 1% 중반 정도의 일반적인 선진국 성장률에 고착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선진국 반열에 접어들며 저출산 및 고령화,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이제는 산업 전반에 걸쳐 양적 성장에 의한 한계생산물 증가량이 한계에 달하여, 기술 혁신에 의한 생상성 향상에 기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어쨌든 2000년대 이후 한, 두 해를 제외하고는 꾸준히 2퍼센트 대 이상 플러스 성장을 유지한 결과 국내총생산은 2014년 스페인, 2015년 러시아와 호주를 추월하였다. 2년 후인 2017년, UN, IMF, 세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1인당 GDP가 처음으로 3만 달러를 넘었다.[7][8] 1인당 GDP는 세계은행에 따르면 각각 1994년 포르투갈, 2000년 그리스, 2015년 스페인, 2023년 대만과 일본을 최초로 추월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펜데믹에 세계 경제가 얼어붙을 때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 경제보다 선방을 하여 IMF, 세계은행 통계 기준 세계 9위로 올랐었다.
2022년에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반도체 수출 부진에 화폐 가치가 절하되고 저성장에 휩싸인 대한민국은 GDP가 12위로 하락하였다.
2024년 6월 한국은행이 국민개정 통계 기준년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개편하면서 2023년 기준 1조 7109억 달러로 세계 14위 규모였던 명목 GDP가 1조 8394억 달러로 호주와 멕시코를 제치고 세계 12위로 두 계단 상승하게 되었다 ¥. 동시에 2023년 3만 3745 달러였던 1인당 GNI 역시 3만 6194 달러로 7.2% 상승하여 대만과 일본을 제쳤다. 한국은행은 환율에 큰 이변이 없는 한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로 1인당 GDP 4만 달러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 GDP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GDP 문서 참고하십시오.4. 경제성장률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경제성장률 문서 참고하십시오.5. 전망
5.1. 긍정적 전망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경제/긍정적 전망 문서 참고하십시오.5.2. 부정적 전망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경제/부정적 전망 문서 참고하십시오.6. 산업 구조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산업 문서 참고하십시오.7. 무역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무역 문서 참고하십시오.8. 1인당 주거면적
|
서울의 1인당 주거면적 #[기타출처] |
서울특별시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10]과 세계 주요 선진국의 수도들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의 비교 결과, 도쿄, 런던, 파리와 비교해도 큰 차이는 없다. 반면 전국 기준으로는 아직도 다른 서구권 선진국들에 비해 협소한 축에 속한다. 미국과는 2배 차이가 넘고, 영국, 일본보다도 작다.
2017년 | |
대한민국 | 31.2 |
영국 | 40.9 |
일본 | 39.4 |
미국 | 65.0 |
2019년 | |
전국 평균 | 32.9 |
수도권 | 29.9 |
광역시 | 33.3 |
도 | 37.3 |
1인당 주거면적은 적정한 크기의 주택에서 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주거의 질 지표이다. 이 지표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를 산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주거면적은 가구당으로도 계산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최근 가구원수가 빠르게 감소하면서 주거의 질 변화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1인당 주거면적이 더 많이 사용된다.
한국의 1인당 주거면적은 2006년 26.2㎡에서 꾸준히 증가해오다가 2012년 이후로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32.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 광역시, 수도권의 순으로 크다. 그러나 수도권과 광역시의 1인당 주거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면서 지역 간 격차는 줄어들었다. 1인당 주거면적은 소득계층별로도 차이가 난다. 저소득층이 중소득층이나 고소득층에 비해 가구당 주거면적은 더 작지만 1인당 주거면적은 더 크다. 이는 저소득층의 평균 가구원수가 중소득층과 고소득층보다 적기 때문이다.
주거면적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서구권 선진국들에 비해 한국은 1인당 주거면적이 낮은 편이다. 한국(32.9㎡, 2019년 기준)의 1인당 주거면적은 미국(65.0㎡, 2017년 기준)의 절반에 불과하며 일본(39.4㎡, 2013년 기준)이나 영국(40.9㎡, 2016년 기준)보다도 작다.
9. 주요 기업
순위 | 기업 |
시가 총액 (USD) |
산업 |
1 | 삼성전자[11] | 3,864억 | 전자 |
2 | SK하이닉스 | 761억 | 반도체 |
3 | LG에너지솔루션 | 740억 | 에너지 |
4 | 삼성바이오로직스 | 409억 | 제약 |
5 | 쿠팡 | 370억 | 전자상거래 |
6 | 포스코홀딩스 | 309억 | 지주회사 |
7 | 현대자동차 | 301억 | 자동차 |
8 | 기아 | 280억 | 자동차 |
9 | 네이버 | 272억 | IT |
10 | LG화학 | 259억 | 화학 |
11 | 셀트리온 | 239억 | 제약 |
12 | 에코프로비엠 | 234억 | 에너지 |
13 | 삼성SDI | 233억 | 에너지 |
14 | 포스코퓨처엠 | 202억 | 에너지 |
15 | 카카오 | 189억 | IT |
16 | 삼성물산 | 177억 | 무역 |
17 | 현대모비스 | 158억 | 자동차 |
18 | KB금융지주 | 157억 | 금융 |
19 | 신한금융지주 | 145억 | 금융 |
20 | 에코프로 | 133억 | 지주회사 |
2024년 1월 기준 |
10. 기타
- TICKs: 2016년 1월에 브릭스를 대신할 새로운 이머징마켓을 일컫는 용어로 등장한 틱스( 타이완, 인도, 중국, 대한민국)에 포함되었다. # 이들은 모두 첨단 과학기술이 중시되는 산업에서 강세를 보이는 국가들로서 앞으로는 브릭스나 산유국들처럼 원자재가 아닌 첨단 과학기술을 보유한 국가들[12]이 국제경제의 성장을 이끌 것이라는 주장이다.
- MIKTA: 틱스 말고도 BRICs 용어의 창시자인 짐 오닐이 MIKT라는 용어를 만든 적이 있는데, 여기에 호주가 참여해 MIKTA라는 실제 국가협의체도 발족하였다. 참여국은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튀르키예, 오스트레일리아이다.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조.
11. 관련 문서
- 대한민국/GDP
- 대한민국/경제성장률
- 대한민국/무역
- 대한민국/부채
- 대한민국/환율
- 대한민국/물가
- 대한민국/실업
- 대한민국/소득
- 대한민국/산업
- 대한민국/기업
- 한류/통계
- 1997년 외환 위기
- 2002년 가계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
- 갈라파고스화/한국
- 경제민주화
- 자유무역협정
- 남북통일/경제 문제
- 남북통일/이점
- 투자보장협정
- 기업 관련 정보
- 금융투자 관련 정보
- 국가별 경제
- 통계 관련 정보
- 대한민국/과학기술력
- 한강의 기적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한국무역협회
- 중국 위협론
- 2018년 미중 무역 전쟁
- 소득주도 성장론
- 낙수효과
- 혁신성장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 4차산업혁명위원회
[1]
IMF 기준이며, 대한민국보다 상위에 위치한 나라는 순서대로
미국,
중국,
독일,
일본,
인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브라질,
러시아.
[2]
또한 역대 대한민국 GDP 최고 순위는 9위인데 IMF에 따르면 2020년에 9위를 달성했다고 한다.
[3]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큰 나라들은 캐나다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한국보다 인구수가 많은 나라들이다.
[4]
1987년 10월 29일 전부 개정
[5]
태국이 1997년에
IMF 관리체제에 들어간 뒤 2003년 되어서야 겨우 1997년의 수준을 회복한 것에 비하면 한국은 빠르다고 할 수 있다.
[6]
단, 24년 6월에 발표된
개편된 기준에 따르면, 2000년부터 소급적용이 되어서 "2005년"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7]
원래는 2018년이지만 기준이 바뀌어서 2017년으로 수정이 되었다.
관련기사
[8]
또한, 24년 6월에 발표된
개편된 기준에 따르면, 2000년부터 소급적용이 되어서 "2014년"으로 한 번 더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출처]
【서울】 국토교통부, 2014,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 2014년 기준 / 【도쿄】 http://www.e-stat.go.jp/SG1/estat/List.do?bid=000001056226&cycode=0, 市区町村 第13表(e-stat 홈페이지) ; 2013년 기준 / 【베이징】 北京市统计局, 2013, 8-1인민생활기본정황(1978~2010年), 北京统计年鉴 2013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http://www.teoalida.com/singapore/hdbstatistics(Teoalida 홈페이지, HDB 자료 재인용) / 【런던】 London Data Store 내부자료 ; 2014년 기준 / 【파리】 http://www.directmatin.fr/france/2015-04-28/paris-un-habitant-vit-en-moyenne-dans-31-m2-703598(Direct Matin 홈페이지, INSEE 자료 재인용) ; 2015년 기준
[10]
Average Housing Space per Person
[11]
우선주 포함.
[12]
실제로 석유와 원자재 가격의 폭락으로
브라질과
러시아가 경제에 치명타를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