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0 23:28:27

감찰관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고대 로마의 관직
Cursus Honorum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
황제
Imperator Caesar Augustus
고위 관직
Magistratus
<colbgcolor=#DFFFBF>
평민 관직
Magistratus Plebis
속주 총독
Rector Provinciae
원로원 속주 총독\ A]
Proconsul
황제 속주 총독
Legatus Augusti pro Praetor
황제 속주 행정관
Procurator
원로원 속주 총독\ B]
Proconsul
{{{-3 {{{#!wiki style="margin: -15px -10px" 임페리움(군사 지휘권)을 가진 관직
평민이 취임할 수 있는 관직
밑줄 민회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관직
[A] 아시아와 아프리카 속주에는 전직 집정관이 파견됨.
[B] 이 속주들에는 전직 법무관이 파견됨. 그러나 호칭은 여전히 프로콘술. }}}}}} }}}}}}}}}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 파일:투명.png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 아레나 \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라틴어 Censor

1. 개요2. 기원과 발전3. 역할4. 쇠락5. 여담6. 역대 감찰관

1. 개요

고대 로마의 관직. 로마 시민의 인구조사를 실시하고 공공 도덕을 유지하며 공공 건물을 보수하고 새로운 공공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재정을 관리하는 정무관. 집정관, 법무관과 함께 3대 정무관 중 하나로 취급되었다.

2. 기원과 발전

로마 왕국 시기, 인구조사는 왕이 주관하는 정책이었다. 마지막 국왕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가 축출된 뒤 수립된 로마 공화국 초기에도 국왕의 권력을 대신하기 위해 창설된 집정관이 인구조사를 주도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기원전 443년 플레브스 계급의 거센 요구로 인해 '집정관 권한을 가진 호민관'( 집정 무관)이 설립되어 플레브스들이 고위 행정관에 오를 길이 열리자, 파트리키는 이에 위협을 느끼고 인구조사를 실시할 권한을 집정관에서 빼내어 새로 신설한 관직인 감찰관으로 옮기고, 오직 파트리키만이 감찰관이 될 수 있다고 못박았다고 한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리비우스의 서술은 신빙성이 거의 없다고 간주하고 있다. 기원전 5세기부터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기까지 이어지는 로마 공화국의 최고 행정관 목록을 담은 파스티 카피톨리니(Fasti Capitolini)에 기원전 444년부터 기원전 401년까지 43년간 플레브스는 단 한 명도 없었고, 이후에도 '집정관과 유사한 권한을 갖춘 호민관'에 뽑혔다는 이들 중 플레브스는 소수였다. 학자들은 집정관 2명이 나라를 다스리는 공화정 체제에 익숙했던 리비우스가 과거 로마에서 어느 순간부터 집정관 대신 무관들이 대거 등장한 이유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어서 파트리키와 플레브스의 대립으로 생겨났다는 이야기를 지어냈다고 보며, 집정 무관은 집정관 2명으로는 사방에서 전란이 끊이지 않는 상황을 수습하기 곤란하기에 여러 전선에서 동시에 군대를 통솔할 지휘관의 수를 대폭 늘리기 위해 도입되었다고 추정한다.

많은 학자들은 감찰관이 설립된 것 역시 파트리키와 플레브스의 계급 투쟁의 산물이 아니라 현실적인 필요성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집정관과 집정 무관들이 전쟁을 치르느라 정신없는 와중에 인구조사를 실시할 겨를이 없고, 병력을 항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구조사를 반드시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했기 때문에 이를 전문적으로 맡을 관직을 별도로 창설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창설된 감찰관은 2명의 귀족이 맡았다. 감찰관을 2명으로 정한 것은 이전에 2명의 집정관이 인구조사를 주관했기에 이를 본뜬 것이다. 감찰관은 초기에는 필요할 때만 신설되는 임시 관직이었지만 나중에는 5년마다 켄투리아회(comitia centuriata: 백인대장 민회)의 투표로 선출되었다. 두 감찰관은 같은 날에 당선되어야 했기에, 한 감찰관의 당선이 확정되더라도 다른 감찰관이 당선되지 않은 채 하루가 가 버리면 다음날 선거를 다시 했다고 한다.

임기는 본래 5년을 꽉 채우는 것이 당연했지만 기원전 434년 독재관 마메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가 18개월 내에 임무를 달성하는 것을 권장하는 법안을 반포하면서, 중도에 직임에서 물러나는 사례가 부쩍 늘어났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본래 두 감찰관 중 한 명이 죽으면 다른 한 명이 임기를 이어가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하필 그런 사례가 기원전 390년 브렌누스 로마 약탈 직전에 벌어졌기 때문에 "신들이 감찰관 한 명이 홀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라는 관념이 생겼고, 이후에는 감잘관 한 명이 모종의 이유로 죽어버리면 남은 한 명은 무조건 사임해야 했다고 한다.

또한 감찰관은 오직 파트리키만 맡았지만, 기원전 352년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가 평민 최초로 감찰관에 선임되었다. 많은 귀족이 이에 반발했지만, 루틸루스가 이전에 독재관을 맡아 로마 코앞까지 침투한 에트루리아인들을 물리쳤고 집정관을 4번이나 역임할 정도의 거물이었기 때문에 이를 무마할 수 있었다. 이후 기원전 339년 집정관 퀸투스 푸블릴리우스 필로가 제정한 <렉스 푸블리아 필로니스(Lex Publilia Philonis)>에 의해 감찰관 1명은 플레브스가 반드시 맡아야 한다는 규정이 신설되었다.

감찰관은 본래 인구조사를 실시하는 것 외엔 이렇다할 권한이 없었기에 권위가 떨어졌지만,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가 감찰관에 선임된 후 상황이 바뀌었다. 아피우스는 로마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파트리키 가문으로 손꼽히는 클라우디우스 씨족을 등에 업고 역대 감찰관 중 로마를 획기적으로 바꾼 인물로 손꼽힐 정도로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다. 그는 로마 최초의 포장도로인 아피아 가도, 수도교인 아피아 수도교 건설 및 관리, 감독 그리고 제2차 삼니움 전쟁 수행 과정에서 건의한, 라티움과 캄파니아 전역에 삼니움인과 에트루리아에 대한 공세를 막기 위해 요새화된 로마 식민도시를 건설했다. 또한 로마 시민권을 확대하고 외국인의 귀화조건의 유연화, 평민 투표권 보장, 재판 변호권 보장, 고문 금지, 평민과 해방노예 후손들의 관직 진출 장려 등 계급간의 갈등을 축소하고 로마 사회를 진보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아피우스는 이 광범위한 개혁을 수행하기 위해 5년 동안 직위를 유지했다. 그 후 감찰관은 인구조사 외에도 여러 정책을 독자적으로 수행하게 되었고, 로마 공화국에서 강력한 권위를 누렸다.

3. 역할

감찰관의 임페리움은 군대를 임지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군단을 지휘할 권한이 인정되지 않았고, 수석 조영관, 법무관, 집정관, 독재관 등 다른 고위 행정관들에 비해 릭토르(Lictor)를 한 명도 대동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전성기엔 집정관을 능가하는 권위를 누렸다. 그들은 "신성한 행정관"(sanctus magistratus)으로 일컬어지며 다른 원로원 의원들보다 상위의 대접을 받았고, 집정관, 법무관과 더불어 셀라 큐루일스(sella curulis: 두 쌍의 청동 다리가 받치는 접이식 의자)에 앉을 수 있었고, 보라색 줄무니가 있는 토가인 '토가 프라이텍타(Toga Praetexta)'를 착용할 수 있었다. 감찰관을 지낸 인물의 장례식은 다른 정무관을 지낸 이들보다 훨씬 화려하게 치러졌기에, "감찰관의 장례식"(funus censorium)이란 용어가 생겼다.

감찰관의 기본 임무는 단연 인구조사였다. 그들은 로마와 지방 도시에 있는 모든 로마 시민의 명단을 갱신하기 위해 마르티우스 광장에 세워진 '빌라 푸블리카(Villa publica)' 회랑에서 로마 장정들을 소집했다. 감찰관들은 초기엔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인구조사를 실시했지만, 나중에는 그동안 쌓인 판례를 집대성한 <인구조사법(leges censui censendo)>을 따랐다. 이 법은 인구조사 대상이 되는 여러 종류의 재산과 그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한 특정 규칙을 정했다.

각 시민은 자신이 속한 부족과 전체 이름, 아버지, 후원자 또는 피후원자, 아내, 자녀 등 가족의 신상명세, 토지, 목초지, 포도원, 노예, 가축 등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재산을 일일이 밝혀야 했다. 인구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자는 시민의 자격이 없는 자로 간주되었다. 최악의 경우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고, 그렇지 않더라도 국가에 의해 노예로 팔릴 수 있었다. 인구조사에 불응한다는 것은 병역 의무를 준수하지 않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여겨졌기에, 전쟁을 일상처럼 치러야 했던 로마 정부로서는 절대로 용납할 수 없었다. 인구 조사가 완료되었을 때 감찰관 중 추첨으로 선택된 한 명이 마르티우스 광장에서 희생양을 제단에 바치고 불로 정화하면서 신들에게 기원하는, 루스타티오(lustratio)로 알려진 종교 의식을 거행했다.

감찰관은 인구조사 과정에서 도덕 기준에 어긋나는 행위를 일삼거나, 세금을 제대로 내지 않거나, 빚이 많아서 현재 계급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이들의 사회적 위치를 강등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강등된 이들은 '아에라리우스(aerarius)'로서 로마 시민 중 최하위 계급으로 낙인찍혔고 다른 시민보다 훨씬 많은 세금을 내야 했다. 이 낙인은 종종 정치적 보복으로 사용되었다. 가령 감찰관의 임기를 18개월로 사실상 축소시킨 마메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는 독재관에서 물러난 직후 감찰관에 의해 아에라리우스로 강등되었다. 기원전 204년 공동 감찰관이었던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마르쿠스 리비우스 살리나토르는 서로를 부도덕한 자라고 비난하며 아에라리우스로 강등시키려 했지만 원로원의 만류로 실패했다.

감찰관은 원로원의 명단을 갱신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그들은 도덕적으로 위배되는 행위를 저질렀거나 사치를 심하게 부려서 빚을 많이 졌거나, 파당을 결성해서 사회에 분란을 일으키는 등 원로원 의원으로서의 자격에 미달한다고 간주되는 자들을 의원직에서 배제할 수 있었다. 이 결정은 절대적인 것이었기에 누구도 번복할 수 없었고, 다른 감찰관이 명단에 다시 넣어주기를 기원해야 했다. 이 권한 때문에, 감찰관과 호민관은 공화정 내내 빈번하게 충돌했다. 보수적인 귀족들이 주로 맡았던 감찰관은 개혁안을 종종 도출하는 호민관을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는 무리'로 간주했고, 호민관 역시 자신이 임기를 마친 뒤 원로원 의원으로 들어가는 것을 좌지우지하는 감찰관을 곱게 보지 않았다. 이로 인해 감찰관이 전직 호민관을 의원직에서 제명해버리고 호민관은 전직 감찰관을 탄핵하는 일이 심심치 않게 벌어졌다.

또한, 감찰관은 에퀴테스 중 누가 국가 소유의 말을 소유했는지를 조사하고, 그들이 부적합하다고 여겨질 경우 말을 압수하고 참정권을 박탈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가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광산, 숲, 강을 포함한 공공 재산을 임대하고, 도로, 도서관, 목욕탕 등 공공 사업을 감독하며, 지방 및 항만세( portoria ) 및 공공 재산( vectigal ) 으로부터의 수익을 징수한 공공 계약자( publicani )와의 계약을 갱신했다. 감찰관이 최고 입찰자에게 계약을 맡길 수 있었고, 때로는 세금 징수권을 경매에 부치기까지 했기 때문에, 감찰관이 이권을 챙기기 위해 부당한 결정을 내리거나 뇌물을 받아먹고, 감찰관 간의 이권 경쟁이 벌어지는 등 여러 부작용이 있었다.

감찰관이 맡은 임무 중 가장 숭고한 임무로 취급된 것은 단연 공공 도덕을 지키는 것이었다. 그들은 법규를 지키지 않는 것 외에도 도덕에 어긋나거나 미풍양속에 해를 미치는 자들을 처벌할 권한을 보유했다. 기원전 184년 감찰관을 맡은 대 카토는 '사치'와 '타락'이라는 이름의 히드라의 머리를 베겠다고 선언하고, 로마 시민에게 부과되는 소비세를 대폭 인상해 사치품과 가정 노예에 대한 지출을 제한하게 했다. 그는 사람들이 농지를 위해서보다 남성 매춘부를 위해, 농장 노동자들을 위해서보다 식탁의 진기한 요리를 위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현실에 개탄하면서, 자신은 이 잘못된 풍조를 바로잡기 위해 이 법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1500 데나리온 이상의 가치가 있는 의류, 마차, 여성 장신구, 가정용품에 대해 매겨지는 세금이 10배나 폭증했으며, 유사한 세금 부과 방식이 1200데나리온 이상에 구입한 모든 노예에 적용되었다. 이외에도 여러 감찰관이 사치 풍조를 뿌리뽑겠다고 선언하고 사치 금지 정책을 실시했지만, 포에니 전쟁 이후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 로마 사회에 만연해진 사치 풍조는 개선되지 않았다.

4. 쇠락

일설에 따르면, 기원전 82년 술라의 내전에서 승리한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가 감찰관을 폐지했다고 한다. 신뢰할 만한 고대 사료나 공문서 등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기록이 없어서 신빙성이 부족하지만, 술라의 집권 이래 감찰관이 오랫동안 세워지지 않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일부 학자들은 술라와 그를 지지하는 귀족들이 도덕을 엄격하게 준수할 것을 강조하고 원로원 의원직을 좌지우지하는 감찰관을 불편하게 여겼기에 일부러 감찰관을 세우지 않았으리라 추정한다.

기원전 70년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클로디아누스 루키우스 겔리우스가 10여년만에 감찰관에 선출된 뒤 전체 의원의 1/8인 64명을 원로원에서 제명했다. 이는 역대 감찰관 중 가장 많은 수치였다. 테오도르 몸젠은 이에 대해 두 사람이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가 구축한 체제를 해체하고 자신들의 이권을 관철시킬 새 체제를 구성하길 희망했던 당해 집정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의 의중에 따랐을 것이라 추정했다. 또한 두 감찰관은 동맹시 전쟁 중에 공식적으로 로마 시민권을 받은 이탈리아인들을 처음으로 포함시킨 시민 인구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91만 명에 달하는 시민이 확인되었다.

기원전 58년 호민관에 선임된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는 감찰관의 권한을 규제하는 법안을 제정했다. 그는 앞으로는 감찰관의 결정이 원로원의 검토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최근에 원로원에 입성했으나 감찰관에게 추방될 위험이 있는 상당수 사람들의 지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 법은 기원전 52년 집정관 폼페이우스와 메텔루스 스키피오의 시기에 폐지되었지만, 감찰관은 이후로 이전의 권력과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했다. 뒤이은 카이사르의 내전 시기에 감찰관은 선출되지 않았고, 정적들을 물리치고 영구 독재관이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자신의 권력을 제약할 수 있는 감찰관을 두지 않았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사건 후인 기원전 42년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와 가이우스 안토니우스 히브리다가 감찰관에 선임되었으나 자리만 차지했을 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후 20여년 간 세워지지 않던 감찰관은 기원전 28년 로마 내전의 최종 승자인 아우구스투스와 심복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에게 돌아갔고, 기원전 23년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파울루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가 감찰관에 선임되었으나 역시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후 아우구스투스 이래 역대 황제들은 프라이펙투라 모룸( Praefectura Morum: 도덕 장관)을 신설해 미풍양속을 해치는 악습을 단속하게 하고, 인구조사를 자신이 실시하는 등 감찰관의 권한을 온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 이리하여 껍데기만 남은 감찰관은 일종의 명예직이 되어 드문드문 세워지다가 어느 순간 사라졌다.

군인 황제 시대의 황제 데키우스는 249년 10월 필리푸스 아라부스를 무너뜨리고 로마에 입성하여 황제에 오른 뒤 감찰관을 부활시키겠다고 선언했다. 감찰관을 부활시켜야만 공공의 용기, 고대의 원칙과 풍습, 추상같은 법률의 권위를 회복시킬 수 있다며 원로원 의원들에게 감찰관을 부활시킬 것을 건의했다. 그는 원로원에게 감찰관 선출을 맡겼고, 원로원은 만장일치로 발레리아누스를 선출했다. 하지만 발레리아누스는 황제의 크나큰 신임에 감사를 표시하면서도 자신이 무능해 시대의 부패상을 고칠 수 없으며, 감찰관은 황제의 위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신하의 신분으로 그런 엄청난 직무와 권한을 맡을 수 없다며 거부의 뜻을 밝혔다. 데키우스는 2년 후 아브리투스 전투에서 전사했고, 이후 감찰관은 두 번 다시 거론되지 않았다.

5. 여담

로마인 이야기 한국어 번역판에서 감찰관(censor)이 재무관으로, 재무관(quaestor)이 회계감사관으로 번역된 일종의 오역이 존재한다. 그 탓에 이후 출간된 공화정 시절 로마를 다룬 서적 번역본이나 나무위키 내에도 이 두 명칭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6. 역대 감찰관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833em; letter-spacing: -0.35px"
기원전 443년 기원전 435년 기원전 430년 기원전 418년 기원전 403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무길라누스 가이우스 푸리우스 파쿨루스 푸수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크라수스) (불명)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루키우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 마르쿠스 게가니우스 마케리누스 푸블리우스 피나리우스 (마메르키누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무길라누스 마르쿠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레길렌시스
기원전 393년 기원전 389년 기원전 380년 기원전 378년 기원전 366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 마르쿠스 푸리우스 푸수스) 스푸리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레길렌시스 스푸리우스 세르빌리우스 프리스쿠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페티쿠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율루스 (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무길라누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카메리누스 퀸투스 클로엘리우스 시쿨루스 ( 포스투미우스 레길렌시스 알비누스)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말루기넨시스 (보결)
기원전 363년 기원전 351년 기원전 340년 기원전 332년 기원전 319년
마르쿠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그나이우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 임페리오수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스푸리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카우디누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롱구스
루키우스 푸리우스 메둘리누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퀸투스 푸블릴리우스 필로 (불명)
기원전 318년 기원전 312년 기원전 307년 기원전 304년 기원전 300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크라수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사베리오
가이우스 마이니우스 가이우스 플라우티우스 베녹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소푸스
기원전 294년 기원전 289년 기원전 283년 기원전 280년 기원전 275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르비나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구르게스) (불명)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켄소리누스 ( 스푸리우스 카르빌리우스 막시무스) 퀸투스 카이디키우스 녹투아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막시무스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스키누스
기원전 272년 기원전 269년 기원전 265년 기원전 258년 기원전 253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프라이텍스타투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블라시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루키우스 포스투미우스 메겔루스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켄소리누스 가이우스 두일리우스 데키무스 유니우스 페라
기원전 252년 기원전 247년 기원전 241년 기원전 236년 기원전 234년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코르비누스 메살라 아울루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 아티쿠스 마르쿠스 파비우스 부테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카우디누스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소푸스 아울루스 아틸리우스 카이아티누스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퀸투스 루타티우스 케르코 가이우스 아틸리우스 불부스
기원전 231년 기원전 230년 기원전 225년 기원전 220년 기원전 214년
티투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켄토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푸블리우스 푸리우스 필루스
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마르쿠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페라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기원전 210년 기원전 209년 기원전 204년 기원전 199년 기원전 194년
루키우스 베투리우스 필로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디베스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 마르쿠스 리비우스 살리나토르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파이투스 섹스투스 아일리우스 파이투스 카투스
기원전 189년 기원전 184년 기원전 179년 기원전 174년 기원전 169년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누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루스쿠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마르쿠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 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
기원전 164년 기원전 159년 기원전 154년 기원전 147년 기원전 142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루푸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켄소리누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아카이쿠스
기원전 136년 기원전 131년 기원전 125년 기원전 120년 기원전 115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 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발레아리쿠스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 또는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달마티쿠스
퀸투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 퀸투스 폼페이우스 루키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라빌라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프루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기원전 109년 기원전 108년 기원전 102년 기원전 97년 기원전 92년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에부르누스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카프라리우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대 마르쿠스 리비우스 드루수스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게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기원전 89년 기원전 86년 기원전 70년 기원전 65년 기원전 64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클로디아누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불명)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마르쿠스 페르페르나 루키우스 겔리우스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 카피톨리누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기원전 61년 기원전 55년 기원전 50년 기원전 42년 기원전 28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니게르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 이사우리쿠스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 가이우스 안토니우스 히브리다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기원전 22년 기원전 8년 14년 46년 73년
파울루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베스파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비텔리우스 티투스 카이사르 베스파시아누스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