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02:50:12

귀네드 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파일:825px-Map_of_Northern_Ireland_within_the_United_Kingdom.svg._2.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위치.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위치.svg
웨일스
파일:잉글랜드 위치.svg
잉글랜드
고대 켈트족
히베르니아
, 게일족,
칼레도니아
, 픽트족,
, 브리튼족,
로만 브리튼
, 이후,
귀네드
왕국
더베드
왕국
앵글족 / 색슨족 / 주트족
앵글로색슨 7왕국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데인로 웨식스
중세 알라퍼
왕국
데허이
바르스
잉글랜드 왕국
웨식스 왕조
북해 제국
노르만 왕조
앙주 왕조
플랜태저넷 왕조
아일랜드 영지
스코틀랜드
왕국
웨일스 공국
잉글랜드 왕국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장미 전쟁)
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현대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윈저 왕조
아일랜드
}}}}}}}}}}}} ||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 파일:투명.png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파일:라바룸.svg 파일:투명.png
로마의 역사
Historia Romae
Ἡ Ἱστορία τῶν Ῥωμαίων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color: #FBE6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32321> 시대 국가
<colbgcolor=#FFF9E3,#1C1D1F> <colbgcolor=#FFF9E3,#1C1D1F>
왕정
<colbgcolor=#A00201> 로마 왕국
공화정
<colbgcolor=#FFF9E3,#1C1D1F> {{{#!wiki style="margin: -15px -10px -20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 로마 공화국
원수정
{{{#!wiki style="margin: -15px -10px -20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 로마 제국
전제정
{{{#!wiki style="margin: -15px -10px -20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 <colbgcolor=#A00201> {{{#!wiki style="margin: -5px -10px -34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00201><tablebgcolor=#A00201> }}}}}}
중세
동로마 제국
{{{#!wiki style="margin: -29px -10px -37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니케아 제국

}}}}}}
동로마 제국
근세
잔존국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6px -1px -11px" 제정 왕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네 황제의 해 플라비우스 왕조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 오현제 다섯 황제의 해 세베루스 왕조 여섯 황제의 해 군인 황제 시대 사두정치 사두정의 내전 콘스탄티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왕조 레오 왕조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왕조 20년간의 혼란 이사브리아 왕조 니키포로스 왕조 아모리아 왕조 마케도니아 왕조 두카스 왕조 콤니노스 왕조 앙겔로스 왕조 라스카리스 왕조 팔레올로고스 왕조 }}}}}}}}}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 파일:투명.png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바르다리오타이 · 투르코폴레스 · 불사 부대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문화 라틴어 ·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서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수다 · 알렉시아스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매체 동로마 제국/매체 }}}}}}}}}

1. 개요2. 역사3. 역대 국왕

1. 개요

귀네드 왕국(Teyrnas Gwynedd[1], Kingdom of Gwynedd, 450년 ~ 1216년)은 로마 제국 게르만족의 대이동과 그에 따른 혼란으로 인해 브리튼 섬에서 군대를 모두 철수하며 브리타니아 속주를 포기하는 과정에서 5세기경 웨일스 북부에 성립된 브리튼인의 국가다.

귀네드는 웨일스의 브리튼인 국가 중 가장 강성한 편에 속했으며, 종종 귀네드 왕이 브리튼인의 왕[2]을 칭하기도 했다. 최초로, 그리고 유일하게 웨일스를 통일한 것도 귀네드 왕국이었다.

2. 역사

귀네드 왕국이 웨일스를 최초로 통일한 것은 13세기의 일로[3] 웨일스의 위대한 군주로 추앙받는 아베르프라우(Aberffraw) 가문의 귀네드 왕국의 왕 허웰린 압 요르웨르스(Llywelyn ap Iorwerth, 혹은 허웰린 대왕-Llywelyn Fawr)가 다른 웨일스 귀족들을 복속시켜 하나로 통합했고 이후 1216년 스스로를 웨일스 공( 프린스 오브 웨일스, Prince of Wales, Tywysog Cymru)이라 칭했다. 그리고 1218년 당시 잉글랜드의 군주였던 헨리 3세는 허웰린이 자칭한 웨일스 공을 정식 작위로 인정해 잉글랜드 왕의 봉신이자 웨일스의 군주로 승인했고 이로써 웨일스 지역에 통일된 국가인 웨일스 공국(Principality of Wales, Tywysogaeth Cymru)이 수립되었다.

이 시기까지만 해도 잉글랜드와는 큰 마찰없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1272년 잉글랜드의 헨리 3세가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왕으로 즉위한 에드워드 1세는 명목상으로 잉글랜드의 영토인 웨일스 지방과 봉신 관계라곤 해도 웨일스에 독립된 정권이 있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겼다. 브리튼 섬 통일을 원하고 있던 에드워드 1세는 1277년 웨일스를 공격했다. 웨일스 공국은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패배해 1282년, 웨일스 공이었던 허웰린 압 그리피드(Llywelyn ap Gruffudd)가 전사하였다. 1284년에 그 뒤를 이어 웨일스 공을 자칭한 허웰린 압 그리피드의 동생인 다비드 압 그리피드(Dafydd ap Gruffydd)가 잉글랜드군에 사로잡혀 처형당하면서 독립된 웨일스 공국과 그 군주인 웨일스 공의 지위가 사실상 소멸되었다. 그리고 1301년 웨일스 지역을 완전히 복속시킨 에드워드 1세는 아들이자 왕세자인 에드워드 2세에게 웨일스 공 작위를 수여해 더이상 독립된 웨일스 공국이 아닌 잉글랜드에 완전히 종속된 웨일스로 편입되었다.

앵글로색슨족 웨식스 왕국이 잉글랜드의 전신이라면, 브리튼인 귀네드 왕국은 웨일스의 전신이라고 볼 수 있다.

귀네드 왕국의 공용어는 웨일스어 라틴어, 종교는 웨일스 전통종교와 켈트 기독교[4]였다.

3. 역대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ebe00, #ffda00 20%, #ffda00 80%, #debe00);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쿠네다 왕조
쿠네다 울레딕 에이니온 어르스 카드왈론 라우히르 마엘군 귀네드
룬 히르 벨리 압 룬 이아고 압 벨리 카드반 압 이아고
카드왈론 압 카드반 카다바엘 카도메드 카드왈라드르 벤디가이드 이두알 이두르흐
로드리 몰루어녹 카라독 압 메이리온 커난 딘다에수이 허웰 압 로드리 몰루어녹
마나우 왕조 아베르프라우 왕조
메르번 브러흐 로드리 마우르 아나라우드 압 로드리 이두알 보엘
아베르프라우 왕조
허우엘 다 이아고 압 이두알
이에이아브 압 이두알
허우엘 압 이에이아브 카드왈론 압 이에이아브
디네부르 왕조 아베르프라우 왕조 찬탈 리들란 왕조
마레디드 압 오와인 커난 압 허웰 아에단 압 블레거우러드 허웰린 압 세이설
아베르프라우 왕조 리들란 왕조 마스라발 왕조
이아고 압 이두알 압 메이딕 그리퍼드 압 허웰린 블레던 압 커난
리왈론 압 커난
트라하에아른 압 카라독
아베르프라우 왕조
그리퍼드 압 커난 오와인 귀네드 압 그리퍼드 허웰린 압 오와인 귀네드 다비드 1세
마엘군 압 오와인 귀네드
로드리 압 오와인 귀네드
아베르프라우 왕조 (웨일스 공)
허웰린 바우르 다비드 압 허웰린 오와인 고흐 허웰린 압 그리퍼드
아베르프라우 왕조 (웨일스 공) 마스라발 왕조 (웨일스 공)
다비드 압 그리퍼드 마독 압 허웰린 오와인 라우르 오와인 글린두르
}}}}}}}}}

브리튼인의 왕을 역임했으면 ☆표시.
이름 왕조 재위기간 비고
쿠네다 압 에데른 쿠네다 401 ~ 440, 450 ~ 460 쿠네다 울레딕 (황제 쿠네다)
에이니온 압 쿠네다 쿠네다 460 ~ 480 에이니온 어르스 (성급한 에이니온)
카드왈론 압 에이니온 쿠네다 480 ~ 534 카드왈론 라우히르 (긴손 카드왈론)
마엘군 압 카드왈론☆ 쿠네다 534 ~ 547 마엘군 귀네드, 라틴어로 마글로쿠누스
룬 압 마엘군 쿠네다 547년  ~ 580년 룬 히르 (키큰 룬)
벨리 압 룬 쿠네다 580 ~ 599
이아고 압 벨리 쿠네다 599 ~ 616
카드반 압 이아고 쿠네다 616 ~ 625
카드왈론 압 카드반☆ 쿠네다 625 ~ 634
카다바엘 압 컨베두 쿠네다 634 ~ 655 카다바엘 카도메드 (전투기피자 카다바엘)
카드왈라드르 압 카드왈론☆ 쿠네다 655 ~ 682 카드왈라드르 벤디가이드 (축복받은 카드왈라드르)
이두알 압 카드왈라드르 쿠네다 682 ~ 720 이두알 이우르흐 (Roebuck 이두알)
로드리 압 이두알☆ 쿠네다 720 ~ 754 로드리 몰루어녹 (대머리와 회색 로드리)
카라독 압 메이리온 쿠네다 754 ~ 798
커난 압 로드리☆ 쿠네다 798 ~ 816 커난 딘다에수이 (딘다에수이의 커난)
허웰 압 로드리 몰루어녹 쿠네다 814 ~ 825 쿠네다 왕조 종결. 커난 딘다에수이의 외손자의 즉위.
메르번 압 구리아드☆ 마나우 825 ~ 844 마나우 왕조 시작. 커난 딘다에수이의 외손자. 메르번 브러흐 (주근깨 메르번)
로드리 압 메르번☆ 마나우 844 ~ 878 로드리 마우르 (로드리 대왕)[5]
아나라우드 압 로드리☆ 아베르프라우 878 ~ 916 아베르프라우 왕조 창시
이두알 압 아나라우드 아베르프라우 916 ~ 942 이두알 보엘 (대머리 이두알)
허우엘 압 카덴☆ 아베르프라우 942 ~ 950 허우엘 다 (좋은 허우엘)
이아고 압 이두알 아베르프라우 950 ~ 979
이에이에브 압 이두알 아베르프라우 950 ~ 969
허우엘 압 이에이아브 아베르프라우 974 ~ 985
카드왈론 압 이에이아브 아베르프라우 985 ~ 986
마레디드 압 오와인 디네부르 986 ~ 999
커난 압 허웰 아베르프라우 999 ~ 1005
아에단 압 블레거우러드 찬탈 1005 ~ 1018 왕위 찬탈자
허웰린 압 세이설☆ 리들란 1018 ~ 1023
이아고 압 이두알 압 메이딕☆ 아베르프라우 1023 ~ 1039
그리퍼드 압 허웰린☆ 리들란 1039 ~ 1063
블레던 압 커난☆ 마스라발 1063 ~ 1075
리왈론 압 커난 마스라발 1063 ~ 1070 블레던과 공동재위
트라하에아른 압 카라독 마스라발 1075 ~ 1081
그리퍼드 압 커난☆ 아베르프라우 1081 ~ 1137 이아고 압 이두알 압 메이딕의 손자
오와인 귀네드 압 그리퍼드☆ 아베르프라우 1137 ~ 1170
허웰린 압 오와인 귀네드 아베르프라우 1170 남동생 다비드 압 오와인에 의해 살해
다비드 1세 아베르프라우 1170 ~ 1195 형 허웰린을 죽이고 즉위
마엘군 압 오와인 귀네드 아베르프라우 1170 ~ 1173 허웰린의 계승을 주장하며 어너스 몬(Ynys Mon)을 통치
로드리 압 오와인 귀네드 아베르프라우 1175 ~ 1194, 1194 ~ 1195 상부 귀네드와 어너스 몬을 통치하다 축출
허웰린 압 요르웨르스 아베르프라우 1195 ~ 1240 오와인 귀네드의 둘째아들 요르웨르스의 아들. 허웰린 바우르 (허웰린 대왕), 1216년 웨일스 공국 성립. 웨일스 공.
다비드 압 허웰린☆ 아베르프라우 1240 ~ 1246 웨일스 공
오와인 압 그리퍼드 아베르프라우 1246 ~ 1255 오와인 고흐 (붉은 오와인), 다비드 압 허웰린의 형 그리퍼드의 아들. 웨일스 공.
허웰린 압 그리퍼드☆ 아베르프라우 1246 ~ 1282 오와인 고흐의 동생. 웨일스 공.
다비드 압 그리퍼드☆ 아베르프라우 1282 ~ 1283 잉글랜드에 웨일스 정복당함. 웨일스 공.
이후는 웨일스 공 문서 참조.

[1] 웨일스어 콘월어로 Gwyn은 '백색, 공평한, 축복받은, 신성한'을 의미한다. 게임 다크 소울 시리즈의 등장인물인 장작의 왕 그윈 역시 이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2]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 7왕국 중 가장 강성한 왕국의 왕을 브레트왈다로 부른 것과 비슷하다. [3] 그 이전에도 '로드리 대왕(Rhodri Mawr)'으로 불리는 귀네드 왕국의 왕 로드리 압 메르빈(Rhodri ap Merfyn)이 웨일스를 통합하기 직전까지 갔던 적도 있다. [4] 켈트 족의 문화와 결합된 기독교로, 켈트 십자가가 대표적인 예다. [5] 비슷한 시기에 웨식스에도 앨프레드 대왕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