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04:02:45

바르샤바 조약 기구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바르샤바 조약 기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회원국 ]
{{{#!wiki style="margin:-16px -1px"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불가리아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
-알바니아-
*
* 프라하의 봄 유혈 진압에 대한 항의로 1968년 9월 19일 탈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8b,#ddd {{{#!folding [ 참관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8px; font-size: 0.9em"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 중소결렬 이후 탈퇴 }}}}}}}}}}}}
바르샤바 조약 기구
Организа́ция Варша́вского догово́ра
Warsaw Treaty Organization / Warsaw Pact


우호, 협력 및 상호 원조 조약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
Treaty of Friendship,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엠블럼[1]
약칭 <colbgcolor=#ffffff,#191919>ОВД
WTO
WP
PACT[2]
표어 Сою́з ми́ра и соци́ализма
평화와 사회주의의 연합
결성 1955년 5월 14일
해산 1991년 7월 1일
본부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회원국 8개국
공용어 러시아어

1. 개요2. 설립3. 가맹국4.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 합동군5. 역대 총사령관6. 역대 총참모장7. 표준형 장비8. 미디어9.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노래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언어별 명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언어 우호, 협력 및 상호 원조 조약 바르샤바 조약 바르샤바 조약 기구 바르샤바 기구
<colbgcolor=#CCCCCC,#212121> 폴란드어 Układ o Przyjaźni, Współpracy i Pomocy Wzajemnej Pakt Warszawski Układ Warszawski
러시아어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 Варша́вский догово́р Организа́ция Варша́вского догово́ра
Организа́ции Варша́вского догоао́ра
(ОВД)
독일어 Vertrag über Freundschaft, Zusammenarbeit und gegenseitigen Beistand Warschauer Pakt
Warschauer Vertrag
Warschauer Vertragsorganisation
루마니아어 Tratatul de prietenie, cooperare și asistență mutuală Pactul de la Varșovia
Tratatul de la Varșovia
불가리아어 Варшавски договор
슬로바키아어 Varšavská zmluva
Varšavský pakt
Organizácia Varšavskej zmluvy
에스페란토 Traktato pri Amikeco, Kunlaboro kaj Reciproka Subteno Varsovia Traktato
영어 Warsaw Pact Warsaw Treaty Organization
(WTO)
체코어 Smlouva o přátelství, spolupráci a vzájemné pomoci Varšavská smlouva
헝가리어 Varsói Szerződés
}}} ||
정식 명칭은 우호, 협력 및 상호 원조 조약(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이며, 영어로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Warsaw Treaty Organization, WTO)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세계무역기구와 약자가 동일하다보니, 혼동을 피하기 위해 최근 들어서는 Warsaw Pact(WP)라고 부르는 추세다.

경제상호원조회의(Сове́т экономи́ческой взаимопо́мощи)를 군사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맡았다.

2. 설립

1949년 4월에 미국의 주도로 창설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목적은 소련과 공산권의 확장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창설 초기에는 그러한 성격이 명확하지 않았다. 오히려 소련은 유럽의 안보에 이바지하고 싶다면서 1954년 3월에 NATO 가입을 신청했었고, 소련의 가입 신청도 일언지하에 거절된 것이 아니라 당시 회원국 간의 격론 끝에 반려되었다.

이러한 놀라운 일이 일어난 배경에는 소련의 명실상부한 최고 권력자였던 이오시프 스탈린의 죽음이 있었다. 1953년 3월에 스탈린이 후계자를 명확하게 지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급사한 이후, 소련에서는 게오르기 말렌코프를 중심으로 한 집단지도체제가 들어섰다. 하지만 그 밑에서는 스탈린의 후계자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암투가 벌어졌다.

하지만 서로 경쟁하던 이들이 공통적으로 생각했던 것은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하던 스탈린 시절에서 벗어나자는 것이었다.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및 서방과의 긴장 관계도 풀고, 그동안 등한시했던 농업과 경공업도 양성해서 진짜 사회주의 낙원을 만들어보자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굴라크에 수용된 이들도 석방하고, 북한과 중국을 압박해 한국 전쟁을 휴전시키면서 미국에 화해의 손짓을 보냈다. 소련의 NATO 가입 신청도 이러한 차원에서 진행된 것이었다. 그리고 미국을 비롯한 서유럽 역시 소련의 변화와 개방에 대한 기대를 잠시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라브렌티 베리야가 처형되고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후계자 자리를 차지하자, 소련은 동유럽의 민주화 움직임을 탄압하고 군비를 증강하기 시작했다. 결국 NATO는 재무장을 완료한 서독의 NATO 가입 신청을 5년 만인 1955년 5월 9일에 승인하고, 소련은 이를 맹비난하면서 불과 닷새 후인 1955년 5월 14일 동유럽의 위성국들을 모아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창설하기에 이르렀다.

3. 가맹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8px-Military_power_of_NATO_and_the_Warsaw_Pact_states_in_1973.svg.png
빨간색으로 칠해진 국가가 바르샤바 조약 가맹국이다.
가맹국 합동군 Щит 72 훈련 영상. 가맹국 합동군 Щит 84 훈련 영상.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가맹국으로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폴란드 인민공화국, 독일민주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 루마니아 인민공화국,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알바니아 인민공화국이 있었다. 하지만 알바니아는 프라하의 봄 당시 소련의 진압을 비판하며,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탈퇴했다.

옵저버 국가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민주공화국이 있었으나, 중소결렬 이후에 탈퇴했다. 그리고 1963년에 가입을 신청했다가 불발된 몽골 인민공화국만이 옵저버 국가로 남았다.[3]

같은 동유럽 국가인 그리스 왕국은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라이벌인 북대서양 조약 기구 (이하 NATO)에 가입하였고 핀란드는 중립을 견지[4]하여서 끝까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이후에도 NATO에도 가입하지 않았다가 2023년에 NATO 공식 가입국이 되었다. 이들 두 국가들 모두 소련의 영향을 받지 않은 나라들이기도 하다. 의외로 소련의 영향을 크게 받은 유고슬라비아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물론이거니와 세르비아로 있는 현재까지 NATO에도 가입하지 않았다.

NATO와의 전면전이 일어날 시, 국가인민군이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의 선봉을 담당했다. 그리고 그 뒤를 폴란드 인민군이 지원했으며, 서독 남부는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이 맡았다. 국가인민군은 당시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의 최정예였으며, 폴란드 인민군은 후방에서 강력한 예비대를 형성했다.[5] 그리고 건실한 무기 기술력을 가진[6]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이 버티고 있었다.

헝가리 인민군은 전면전이 일어날 시 중유럽으로 치고 들어가거나, 발칸 반도를 공격할 예정이었다. 루마니아 인민군이 발칸 전선의 주력을 맡았으며, 불가리아 인민군이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군을 지원할 예정이었다.[7] 그리고 당연하게도 이들이 버티는 동안 물주인 소련군이 전선에 증파되는 것이었다.

보통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만으로 NATO의 털끝도 못건드린다고는 하지만, 이들도 공산권 아니랄까봐 군사력과 정치력만큼은[8] 나름 강력했었다. # 하지만 NATO 가맹국들이 자체적으로 다양한 무기 체계들을 개발해 운용할 적에,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들은 자체적인 기술이 부족하여 소련 설계에 기반한 자국산 보병화기를 도입하는 선에서 만족하거나 일부 체코슬로바키아제 무기를 제외하고는 소련제 무기를 주로 운용했다.[9] 거기에 경제적 요건과 지리적 요건으로 인해 자체적으로 강력한 해군을 육성할 수도 없었고, 핵무장은 꿈도 꾸지 못했다.[10]

그리고 사실상 집단방위체제는 형식에 불과했고 #,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소련군이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을 통제하는 수단에 불과했다. 당장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실질적인 목적은 동유럽 위성국에 대한 소련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었고, 조약 기구의 유일한 직접적인 군사 행동은 회원국이 이탈하지 않도록 회원국을 침략하는 것이었다.

결국 소련 붕괴와 동시에 바르샤바 조약 기구도 해체되었다. 그리고 21세기 초부터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들의 상당수가 NATO에 가입했고, 러시아는 동유럽에서 더이상 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이후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집권하고 러시아의 경제 상황이 호전되면서 옛 위성국들을 다시 손아귀에 넣기 위해 여러 방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10년대와 2020년대를 전후하면서 러시아가 그동안 취해왔던 확장 정책의 온갖 부작용[11]이 터지기 시작했고,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가 막대한 경제적, 군사적 피해를 입으면서 사실상 대외적인 영향력을 상실했다. 따라서 앞으로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부활할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4.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 합동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르샤바 조약군/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총사령관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바르샤바 조약 기구 통합군 최고사령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이반 코네프 안드레이 그레치코 이반 야쿠봅스키 빅토르 쿨리코프 표트르 루셰프 }}}}}}}}}

6. 역대 총참모장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바르샤바 조약 기구 통합군 총참모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렉세이 안토노프 파벨 바토프 미하일 카자코프 세르게이 시테멘코
<rowcolor=#ffd700> 제5대 제6대
아나톨리 그리브코프 블라디미르 로보프 }}}}}}}}}

7. 표준형 장비

바르샤바 조약 기구(WP) 표준규격 소화기 탄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lightgray> 권총탄 9×18mm 마카로프
돌격소총탄 7.62×39mm M43
5.45×39mm M74
소총탄
경기관총탄
7.62×54mmR
중기관총탄 12.7×108mm
14.5×114mm
}}}}}}}}}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바르샤바 조약 기구 합동군 표준형 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d0000> 육군 AKM, AK-63, AMD-65, AK-74, RPK, Vz.61, PKM, AGS-17, SVD, RPD, RPG-7, SPG-9, B-10, B-11, 9K11 말륫카, M-160 박격포, 2B9 바실료크, 240mm M240 박격포, PM-36/37/41/43, SPG-9, PT-76, IS-2, T-34, T-54/55, T-62, T-72, ASU-57, ASU-85, BMP-1, BMP-2, BTR, BRDM-1, BRDM-2, MT-LB, OT-64 SKOT,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ShKH vz.77 Dana, 2S4 튤판, 2S7 피온, 100mm BS-3 야포, T-12 대전차포, MT-12, 152mm D-1 곡사포, D-20, D-44, 122mm D-74 야포, 122mm M-30 곡사포, 130mm M-46 평사포, S-23, 2A18, BM-14, BM-21, BM-24, RM-70, ATS-59, UAZ-469, UAZ-452
방공군
대공포 ZPU-4, ZU-23, AZP S-60, KS-19, ZSU-57-2, ZSU-23-4
대공 미사일 9K32 스트렐라, 9K38 이글라, 9K33 오사, 2K11 크루그, 2K12 쿠프, S-75, S-125, S-200, S-300
공군
헬리콥터 Mi-1, Mi-2, Mi-4, Mi-6, Mi-8/17, Mi-9, Mi-14, Mi-24, Ka-25, Ka-27, PZL SM-1
전투기 MiG-15, MiG-17, MiG-19, MiG-21, MiG-23, MiG-29
요격기 MiG-25
공격기 Su-7, Su-17/20/22, Su-25
수송기 L-29, L-39, L-410, Yak-17, Yak-23, Yak-40, Il-12, Il-18, Il-28, Il-62, Tu-2, Tu-134, Tu-154, An-2, An-12, An-14, An-24/26/30
해군 폭스트로트급 잠수함, 위스키급 잠수함, 로미오급 잠수함, 킬로급 잠수함, 스코리급 구축함, 코틀린급 구축함, 카신급 구축함, 리가급 호위함, 코니급 호위함, 포티급 초계함, 파우크급 초계함, 파르킴급 초계함, 타란툴급 초계함, 크론슈타트급 구잠정, 오사급 고속정, P-6급 어뢰정, P-4급 어뢰정, 셰르셴급 어뢰정, T43급 소해함, 바냐급 소해함, 소냐급 소해함, 폴노크니급 상륙함
탄도 미사일 스커드 미사일, 토치카 미사일, 오카 미사일, 2K6 루나, 9K52 루나-M
소련군만 운용한 장비(예: T-64)는 제외한다. }}}}}}}}}

8. 미디어

의외로 NATO와 조약간의 전면전이 일어나기가 힘든 상황이어서 그런지 게임 등의 매체물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거나 등장해도 조약의 맹주인 소련만이 부각되었다.

소설로는 붉은 폭풍이 유명하다.

단순히 소련만이 아닌 바르샤바 조약 기구 전체가 개입되는 게임은 워게임: 유러피안 에스컬레이션, 워게임: 에어랜드 배틀 워게임: 레드 드래곤이다. 사실 그나마도 그 중 군사강국인 소련,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까지만 등장하며, 그 후에 유고슬라비아와 친소 중립국인 핀란드가 공산군으로 추가되었다. 워게임 시리즈 후속작인 WARNO는 1989년을 배경으로 NATO와 팩트의 전투를 다룬다.

Workers & Resources: Soviet Republic에선 교역 가능한 진영으로 나온다.

9.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합군대의 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 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c143c>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흰꼬리수리 · 국호 · 국기 · 국장
역사 <colcolor=#fff><colbgcolor=#dc143c> 국가 역사 전반 · 폴란드 영지 · 폴란드 왕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바르샤바 공국 · 폴란드 섭정왕국 · 폴란드 제2공화국 · 폴란드 망명정부( 자유 폴란드군) · 폴란드 지하국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약사(국가)
사건 폴란드 분할 · 포즈난 봉기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바르샤바 봉기 · 바르샤바 게토 봉기 · 1956년 포즈난 시위
정치 정치 전반 · 행정구역 · 대통령( 선거) · 의회( 상원 · 하원)
외교 외교 전반 · 폴란드 회랑 · 유럽연합( 탈퇴 논쟁) · 비셰그라드 그룹 · 여권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루블린 삼각동맹 · 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경제 경제 전반 · 폴란드 즈워티
국방 폴란드군 ( 육군 · 해군 · 공군 · 특수군)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NATO · 윙드 후사르 · NATO군 vs 러시아군
FB 탄탈/Skbk wz.89 오닉스 · FB 베릴/미니 베릴 · 그롯 · RPG-76 코마르 · 팔라트 유탄발사기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콘투쉬 · 요리 · 보드카 ·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폴란드어 · Ł ł · 라틴 문자 · 매여
교통 LOT 폴란드 항공( 바르샤바 쇼팽 공항, 바르샤바 모들린 국제공항), 폴란드의 철도 환경( EIP, 바르샤바 지하철)
사회 폴란드 마피아
인물 카지미에시 3세 ·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 ·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 마리 퀴리 · 프레데리크 쇼팽 · 조지프 콘래드 · 요한 바오로 2세(카롤 유제프 보이티와) · 레흐 바웬사
민족 폴란드인 · 카슈브인 · 독일계 · 우크라이나계 · 러시아계 · 립카 타타르 · 폴란드 유대인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디아스포라 폴란드계 미국인 · 폴란드계 프랑스인 · 폴란드계 러시아인 · 폴란드계 독일인 · 폴란드계 우크라이나인 · 폴란드계 영국인 · 폴란드계 리투아니아인 · 폴란드계 브라질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캐나다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폴란드계 멕시코인 · 폴란드계 뉴질랜드인 · 폴란드계 네덜란드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국가( 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 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 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 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하위지역) · 니더작센( 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 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 하위지역) · 바이에른( 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하위지역) · 브레멘( 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하위지역) · 자를란트( 하위지역) · 작센( 하위지역) · 작센안할트( 하위지역) · 튀링겐( 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 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 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뒤셀도르프 공항 · 함부르크 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 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 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군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 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 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 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 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 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 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01C1F>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불가리아 제국( 불가리아 제1제국 · 불가리아 제2제국) · 불가리아 공국 · 불가리아 왕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문화 불가리아 요리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키릴 문자 · 불가리아 정교회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부통령 · 총리 · 국민의회( 선거) · 내각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불가리아 레프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군사 모병제 · 불가리아군 · 불가리아 육군 · 불가리아 해군 · 불가리아 공군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회 불가리아 마피아
민족 슬라브 ·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우크라이나인 ·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 불가리아계 미국인)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D1D1D,#e2e2e2
<colcolor=#fcd116><colbgcolor=#ce1126>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로마 제국 · 다키아 · 왈라키아 공국 · 몰다비아 공국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루마니아 대통령 · 루마니아 총리 · 루마니아 의회( 루마니아 원로원 · 루마니아 대의원)
외교 외교 전반 · 유럽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루마니아 레우
교통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 부쿠레슈티 아우렐블라이쿠 국제공항, 철도 환경 · 부쿠레슈티 지하철
국방 루마니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루마니아 정교회
언어 루마니아어 · 라틴 연합 · 프랑코포니
사회 루마니아 마피아 · 행정구역
민족 루마니아인( 헝가리계 · 독일계 · 러시아계) · 루마니아계 미국인 · 루마니아계 우크라이나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 루마니아계 캐나다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11457E 31%,transparent 31%),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D7141A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11457e>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대 모라비아 왕국 · 보헤미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평의회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체코 사회민주당 · 체코 대통령 · 체코 총리 · 체코 의회( 원로원 · 대의원)
외교 외교 전반 · 비셰그라드 그룹
경제 경제 전반 · 체코 코루나
국방 체코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요리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체코어
인물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 카렐 4세 · 바츨라프 하벨 · 얀 지슈카 · 얀 후스 · 안토닌 드보르자크 · 카렐 차펙 · 알폰스 무하
민족 체코인 · 체코계 미국인 · 체코계 캐나다인 · 체코계 러시아인
기타 체코 조병창 · Railjet · 엑스칼리버 아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E1C25>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대 모라비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평의회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슬로바키아 대통령 · 슬로바키아 총리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외교 외교 전반 · 비셰그라드 그룹 · 유럽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슬로바키아 코루나(폐지) · 유로
국방 슬로바키아군 · 육군 · 공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관광 · 슬로바키아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슬로바키아어
민족 슬로바키아인 · 슬로바키아계 미국인 · 슬로바키아계 세르비아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436F4D>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호 · 국장 · 성 이슈트반 왕관
역사 역사 전반 · 마자르족 · 헝가리 대공국 · 헝가리 왕국 · 트란실바니아 공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헝가리 왕국(1920~1946)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헝가리 공화국( 제1공화국 · 소비에트 공화국 · 제2공화국 · 헝가리 인민 공화국 · 제3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입법부
외교 외교 전반 · 유럽 연합 · 비셰그라드 그룹
경제 경제 전반 · 헝가리 포린트
지리 헝가리/행정구역 · 푸스타 · 다뉴브강 · 티서강 · 카르파티아산맥 · 벌러톤호
교통 철도 환경 · 부다페스트 지하철
국방 헝가리군 · 육군 · 공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헝가리 신화 · 요리 · 구야시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 헝가리어 · 헝가리 그랑프리
민족 헝가리인 · 세케이인 · 헝가리계 미국인 ·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브라질인 · 헝가리계 러시아인 · 헝가리계 루마니아인 · 헝가리계 캐나다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헝가리계 영국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colbgcolor=#ff0000> 상징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알바니아 공국 · 알바니아 제1공화국 · 알바니아 왕국 · 알바니아 민주정부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1997년 알바니아 금융사기 사건
정치 정치 전반 · 알바니아 대통령() · 알바니아 의회 · 벡타쉬 교단의 주권 국가
외교 외교 전반 · NATO · 유럽안보협력기구 · 알바니아와 코소보의 통일
경제 경제 전반 · 알바니아 레크
국방 알바니아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알바니아/관광 · 알바니아어
인물 스컨데르베우 · 조구 1세 · 엔베르 호자 · 마더 테레사
지리 발칸반도 · 아드리아해 · 일리리아 · 오흐리드 호수 · 티라나
사회 카눈 · 알바니아 마피아
민족 알바니아인 · 알바니아계 미국인
}}}}}}}}} ||


[1] 프라하의 봄 이후에 만들어졌기에 알바니아가 빠져있다. [2] Warsaw Pact [3] 몽골은 중공, 북괴, 베트남 등 아시아 사회주의 국가와 달리 소련의 영향력이 매우 강했기 떄문이었다. [4] 다만 소련의 간섭을 받아서 친소 중립국가로 분류되었다. [5] 폴란드 인민군은 불가리아 인민군과 함께 소련군의 전술핵 공유를 받았으며, 폴란드 인민군의 MiG-21, Su-22는 핵폭탄 투하가 가능했다. 그리고 전시에 폴란드 인민군이 운용하는 스커드 미사일 토치카 미사일에도 소련군의 핵탄두가 탑재될 예정이었다. [6] Vz.58 OT-64, ShKH vz.77 Dana, L-39와 같은 자국산 장비들도 개발했으며, 면허생산한 수출형 T-72는 소련에서 만들어진 수출형 차량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들었다. [7] 불가리아 인민군은 폴란드 인민군과 함께 소련군의 전술핵 공유를 받았으며, 루마니아 인민군의 MiG-21 MiG-23에는 RN-28 핵폭탄을 탑재할 수 있었다. # 추가로 불가리아군은 소련을 제외한 가맹국들 중에서 유일하게 MiG-25를 운용하였다. [8] 물론 마셜 플랜의 수혜를 받은 NATO 가맹국들과는 달리, 이전부터 2류 국가였던데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소련이 이식한 공산주의 독재 체제의 한계로 경제적으로는 NATO 가맹국들에 비해 매우 부족했다. [9] 바르샤바 조약기구군 비소련 회원국의 전차 대부분은 1세대 전차인 T-55 T-54였다.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소련에서 T-62를 직도입해 T-55와 T-72M과 함께 운용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공업 기반이 어느정도 잔존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서 50년대 조약기구 창설 때부터 회원국들의 원활한 무장을 위해 T-34/85등의 소련제 대전기 전차를 라이센스 생산했으며,T-55와 T-72의 후속 생산이 이뤄졌기 때문이었다. 루마니아 같이 소련과 관계가 미묘한 회원국은 보유 전차 전량이 T-55였고 동독, 폴란드 인민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등은 T-72M을 보유하되 80년대까지도 수천대에 달하는 T-55를 퇴역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10] 폴란드가 1970년대 이후 일본의 지원을 받아 핵개발을 시도했다가 소련에게 조인트를 까이기는 했다. [11]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대한 서방 국가들의 대러시아 경제제재에 더해 내부의 부정부패가 겹쳐, 러시아의 산업 구조를 뜯어고칠만한 자금과 시간을 모조리 날려버렸다. 결국 러시아의 경제와 산업 구조는 전형적인 중진국 함정에 빠져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