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67c0><colcolor=#fecb00> 집단 안보 조약 기구 Организация Договора о Коллектив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 |||
깃발 | 휘장 | }}} | |
창설일 | <colbgcolor=#ffffff,#191919> 2002년 10월 7일 | ||
회원국 |
6개국(정회원) 1개국(참관국) |
||
공용어 | 러시아어 | ||
사무총장 | 이만갈리 타스마감베토프 | ||
의장 | 니콜 파시냔 | ||
합동참모장 | 안드레이 세르듀코프 상장 | ||
본부 | 러시아 모스크바 | ||
링크 | | | | |
[clearfix]
1. 개요
집단안보조약기구(ОДКБ, CSTO)는 2002년 10월 7일에 창설된 옛 소련의 구성 공화국 6개국의 집단안전보장 조직이다.2. 상세
러시아 모스크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공식 언어는 러시아어이다. 독립국가연합(CIS)에 가입한 러시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이 몰도바 키시너우에서 체결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이 2006년 6월 23일에 가입했지만 2012년 6월 28일에 탈퇴하면서 회원국 현황은 유라시아 연합과 거의 유사하다.[1]원래는 러시아,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이 1992년 5월 15일에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조약을 맺고 여기에 아제르바이잔이 1993년 9월 24일에, 조지아가 12월 9일에, 벨라루스가 31일에 이 조약에 추가로 서명했다. 이 조약은 1994년 4월 20일에 효력이 발생해 조약의 유효 기간은 효력이 발생한 날짜로부터 5년으로 정했다가 1999년 4월 2일에 맺어진 조약의 유효 기간을 5년으로 더 늘리자는 협약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우즈베키스탄이 거부하며 무산되었다. 그렇게 이대로 조약이 사라지는 듯하다가 결국 21세기인 2002년에은 부활했다.
회원국 아르메니아가 엮인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는 나고르노카라바흐는 방어 대상이 아니라서 개입하지 않을 것이고 만약 아르메니아 본토가 공격받을 경우에는 개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22년 새해에 벌어진 카자흐스탄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개입하였다. #
2022년 9월 13일부터 회원국 아르메니아의 본토가 아제르바이잔에게 공격받았고 조약에 따라 러시아가 도와줘야 했지만 사실상 거부당했다고 한다.
2023년 1월 아르메니아 니콜 파시냔 총리는 CSTO의 합동군사훈련 개최를 거부했다. 아제르바이잔과의 분쟁에서 제대로 돕지 않은 러시아에 대한 불만으로 보인다. #, #
2024년 2월, 아르메니아 니콜 파시냔 총리는 ‘아르메니아는 CSTO에서 활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으며, 집단 안보 조약 기구 탈퇴 가능성에 대해서도 배재하지 않았다. # 자유 유럽 라디오 기사
이는 아아전쟁 이후 현재진행형으로 벌어지는 아제르바이잔과의 분쟁에서 러시아와 CSTO가 아르메니아를 제대로 돕지 않았기 때문이다. CSTO와 사이가 멀어진 아르메니아는 2023년 자국 영토에서 미군과 합동 군사훈련을 개최하기까지 했다. #
2024년 6월 12일, 니콜 파시냔 총리는 아르메니아 의회에서 CSTO 탈퇴를 선언했다. 폴리티코에 의하면 탈퇴 선언 배경에는 CSTO 회원국 벨라루스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아제르바이잔에게 비밀리에 무기를 공급한 사실이 원인이 되었다. # 언제 탈퇴할지는 미정이다. # 니콜 파시냔 총리는 동년 12월 6일에도 CSTO와의 단절이 돌이킬 수 없는 지점을 지났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
2024년 11월, 러시아가 회원국에게 핵우산을 가지기로 했다. #
3. 회원국
3.1. 공식 회원국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러시아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세르비아 (참관국) |
3.2. 참관국
3.3. 탈퇴한 회원국
4. 군사
분열 중인 집단신속대응군.[2]
NATO와 마찬가지로 다국적군이 있다. 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서 훈련한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c0000 10%,#fff 10%,#fff 90%,#006600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8C30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 국장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아케메네스 왕조 · 소그드인 · 사만 왕조 · 부하라 칸국 · 코칸드 칸국 · 소련(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상하이 협력기구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 |
경제 | 경제 전반 · 타지키스탄 소모니 | |
국방 | 타지키스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노루즈 · 요리 · 삼사 · 플롭 · 샤슐릭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타지크어 · 관광 · 딜바리 노자닌 · 수그드 역사 박물관 | |
인물 | 루다키 · 이스모일 소모니 · 미르조 투르순조다 · 에모말리 라흐몬 | |
지리 | 파미르 고원 · 이스모일 소모니 봉 · 코르제넵스키 봉 · 레닌 봉 · 페르가나 계곡 | |
사회 | 타지키스탄 마피아 | |
민족 | 타지크(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 파미르인 · 부하라 유대인 | |
기타 | 두스티 광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