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3966f,#3b6051> 고대 | 슬라브족 | 트라키아인 | 고대 튀르크족 |
오드뤼사이 | ||||
아케메네스 왕조 | ||||
아르게아스 왕조 | ||||
리시마코스 | ||||
셀레우코스 | ||||
오드뤼사이 | ||||
로마 제국 | ||||
중세 | 동로마 제국 | 불가르족 | ||
남슬라브족 | ||||
불가르 칸국 | ||||
불가리아 제1제국 | ||||
동로마 제국 | ||||
불가리아 제2제국 | ||||
오스만 제국 | ||||
근현대 | 불가리아 공국 | |||
불가리아 왕국 | ||||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 ||||
불가리아 공화국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D01C1F>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불가리아 제국( 불가리아 제1제국 · 불가리아 제2제국) · 불가리아 공국 · 불가리아 왕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
문화 | 불가리아 요리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키릴 문자 · 불가리아 정교회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부통령 · 총리 · 국민의회( 선거) · 내각 · 행정구역( 틀) | |
경제 | 경제 전반 · 불가리아 레프 | |
외교 | 외교 전반 · 유럽연합 | |
군사 | 모병제 · 불가리아군 · 불가리아 육군 · 불가리아 해군 · 불가리아 공군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
사회 | 불가리아 마피아 | |
민족 | 슬라브 ·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우크라이나인 ·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 불가리아계 미국인) |
불가리아 공국 Княжество България Knyazhestvo Bŭlgariya |
||
국기 | 국장 | |
1890년 당시 불가리아 공국[1] | ||
1878년 3월 3일 ~ 1908년 10월 5일 | ||
성립 이전 | 독립 이후 | |
오스만 제국 | 불가리아 왕국 | |
국가 | 마리차는 전진한다 | |
위치 | 중부 유럽, 발칸반도 | |
수도 | 소피아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 |
국가원수 | 공 | |
정부수반 | 총리 | |
주요 공 |
알렉산더르 1세 페르디난트 1세 |
|
언어 | 불가리아어 | |
종교 | 불가리아 정교 | |
민족 | 불가리아인 | |
주요사건 |
1878년
산 스테파노 조약,
베를린 회의, 1908년 왕국으로 승격 |
|
통화 | 레프 |
[clearfix]
1. 개요
발칸 반도에 있었던 공국으로 수도는 소피아이다. 1878년 산 스테파노 조약과 베를린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속국이며, 불가리아 왕국의 전신이다.2. 역사
1878년 제1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러시아 제국과 기타 슬라브족 독립군의 대승리로 끝난 이후 열린 산 스테파노 조약에서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을 약화시키기 위해 오스만이 지배하던 불가리아 독립을 요구했고 오스만도 어쩔 수 없이 불가리아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불가리아 공국이 성립하였다. 불가리아는 500년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된 계기인 산 스테파노 조약에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였고, 산 스테파노 조약이 수립된 3월 3일을 독립기념일로 지정하며 지금도 기념하고 있다.하지만 이후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러시아 제국의 남하를 우려하면서, 독일 제국의 재상인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중재에 따라 베를린 회의가 개최되었다. 베를린 회의의 결과에 따라 불가리아 공국은 다시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 돌아갔지만, 사실상 독립국이나 마찬가지였다.
이후 알렉산더르 1세는 러시아라는 후광을 받고 불가리아 공국의 초대 공으로 즉위하였고, 팽창주의 정책을 실시하여 1885년에는 세르비아 왕국과 발칸반도 남부의 주도권을 놓고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1886년 친러파의 쿠데타로 알렉산더르 1세가 러시아로 임시 망명하였다. 쿠데타는 진압되었으나 러시아 측에서 알렉산더르 1세의 귀국을 인정하지 않아서 결국 알렉산더르 1세는 불가리아 공국의 공위에서 물러났다. 이후 불가리아에서는 페르디난트 1세가 즉위하여 1908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을 선언하고 불가리아 왕국의 초대 차르가 되었다.
3. 역대 총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1c1f, #d01c1f 20%, #d01c1f 80%, #d01c1f);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불가리아 공국| 공국 ]]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토도르 부르모프 | 클리멘트 터르노보스키 | 드라간 찬코프 | 페트코 카라벨로프 | |
제5대 | 제6대 | (제3대) | (제4대) | |
요한 에른루트 | 레오니드 소볼레프 | 드라간 찬코프 | 페트코 카라벨로프 | |
(제2대) | (제4대) | 제7대 | 제8대 | |
클리멘트 터르노보스키 | 페트코 카라벨로프 | 바실 라도슬라보프 |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 |
제9대 | (제8대) | 제10대 | 제11대 | |
스테판 스탐볼로프 |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 디미터르 그레코프 | 토도르 이반초프 | |
제12대 | (제4대) | 제13대 | (제12대) | |
라초 페트로프 | 페트코 카라벨로프 | 스토얀 다네프 | 라초 페트로프 |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디미터르 페트코프 | 디미터르 스탄초프 | 페타르 구데프 |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 |
[[불가리아 왕국| 왕국 ]]
|
||||
(제17대) | 제18대 | (제13대) | (제7대) | |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 이반 에브스트라티예프 게쇼프 | 스토얀 다네프 | 바실 라도슬라보프 | |
(제17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 테오도르 테오도로프 |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 알렉산더르 찬코프 | |
제22대 | (제17대) | 제23대 | 제24대 | |
안드레이 랴프체프 |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 니콜라 무샤노프 | 키몬 게오르기에프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펜초 즐라테프 | 안드레이 토셰프 | 게오르기 쿄세이바노프 | 보그단 필로프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24대) | |
도브리 보질로프 | 이반 이바노프 바그랴노프 | 콘스탄틴 무라비에프 | 키몬 게오르기에프 |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인민 공화국 ]]
|
||||
(제24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키몬 게오르기에프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바실 콜라로프 | 벌코 체르벤코프 |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
안톤 유고프 | 토도르 지프코프 | 스탄코 토도로프 | 게오르기 필리포프 | |
제39대 | 제40대 | |||
게오르기 아타나소프 | 안드레이 루카노프 | |||
[[불가리아| 공화국 ]]
|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
안드레이 루카노프 | 디미터르 포포프 | 필리프 디미트로프 | 류벤 베로프 |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
레네타 인조바 | 잔 비데노프 | 스테판 소피얀스키 | 이반 코스토프 |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
시메온 삭스코부르고츠키 | 세르게이 스타니셰프 | 보이코 보리소프 | 마린 라이코프 | |
제52대 | 제53대 | (제50대) | 제54대 | |
플라멘 오레샤르스키 | 게오르기 블리즈나슈키 | 보이코 보리소프 | 오그냔 게르지코프 | |
(제50대) | 제55대 | 제56대 | 제57대 | |
보이코 보리소프 | 스테판 야네프 | 키릴 페트코프 | 걸러프 도네프 | |
제58대 | 제59대 | |||
니콜라이 덴코프 |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1대 | 토도르 부르모프 | 1879.7.17 | 1879.12.6 |
2대 | 터르노보의 클리멘트[2] | 1879.12.6 | 1880.4.7 |
3대 | 드라간 산코프 | 1880.4.7 | 1880.12.10 |
4대 | 페트코 카라벨로프 | 1880.12.10 | 1881.5.9 |
5대 | 요한 에른루트[3] | 1881.5.9 | 1881.7.13 |
6대 | 레오니드 소볼레프[4] | 1882.7.5[5] | 1883.9.19 |
재선 | 드라간 산코프 | 1883.9.19 | 1884.7.11 |
재선 | 페트코 카라벨로프 | 1884.7.11 | 1886.8.21 |
재선 | 터르노보의 클리멘트 | 1886.8.21 | 1886.8.24 |
3선 | 페트코 카라벨로프 | 1886.8.24 | 1886.8.28 |
7대 | 바실 라도슬라보프 | 1886.8.28 | 1887.7.10 |
8대 |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 1887.7.10 | 1887.9.1 |
9대 | 스테판 스탐볼로프 | 1887.9.1 | 1894.5.31 |
재선 |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 1894.5.31 | 1899.1.30 |
10대 | 디미타르 그레코프 | 1899.1.30 | 1899.10.13 |
11대 | 토도르 이반초프 | 1899.10.13 | 1901.1.25 |
12대 | 라초 페트로프 | 1901.1.25 | 1901.3.5 |
4선 | 페트코 카라벨로프 | 1901.3.5 | 1902.1.4 |
13대 | 스토얀 다네프 | 1902.1.4 | 1903.5.19 |
재선 | 라초 페트로프 | 1903.5.19 | 1906.11.5 |
14대 | 디미타르 페트코프 | 1906.11.5 | 1907.3.11 |
대행 | 디미타르 스탄초프 | 1907.3.12 | 1907.3.16 |
15대 | 페타르 구데프 | 1907.3.16 | 1908.1.29 |
16대 | 알렉산다르 말리노프 | 1908.1.29 | 임기 중 국체 변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