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3:42:46

반전 가사/일본

'''
예시 삭제에 대한
이 문서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반전 가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반전 가사/영어권
, 반전 가사/한국
,
,
,
,

노래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음 노래 저음 노래 음역이 넓은 노래
커버(리메이크) 다른 가수가 부를 예정이었던 노래 역주행한 노래
콘서트에서 부르지 않는 노래 원 히트 원더 수능 금지곡
실화를 바탕으로 한 노래 제목이 같거나 비슷한 노래 대한민국에서만 주목받았던 해외 가요
반전 가사 길이가 긴 대중가요 길이가 짧은 대중가요
}}}}}}}}} ||

1. 개요2. 해당되는 곡들
2.1. 0~92.2. あ행2.3. か행2.4. さ행2.5. た행2.6. な행2.7. は행2.8. ま행2.9. や행2.10. ら행2.11. わ행2.12. 기타2.13. A~I2.14. J~Q2.15. R~Z
3. 서브컬쳐 계열
3.1. 애니 삽입곡3.2. VOCALOID3.3. 게임 삽입곡3.4. 스포일러가 포함된 곡들

[clearfix]

1. 개요

일본 노래 중에서 가사에 반전이 들어있는 노래들이다.

아티스트 기준으로 히라가나순으로 정렬한다.[1]

2. 해당되는 곡들

2.1. 0~9

2.2. あ행

2.3. か행

2.4. さ행

2.5. た행

2.6. な행

2.7. は행

2.8. ま행

2.9. や행

2.10. ら행

2.11. わ행

2.12. 기타

2.13. A~I

2.14. J~Q

2.15. R~Z

3. 서브컬쳐 계열

3.1. 애니 삽입곡

3.2. VOCALOID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반전 가사/한국
,
,
,
,
,

3.3. 게임 삽입곡

3.4. 스포일러가 포함된 곡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치유물이 많아보이는건 기분탓

[1] 다만, 곡에 따라서는 지나친 비약이나 억지해석으로 인해 멀쩡한 곡이 시궁창이란 오해를 쓰고 이 곳에 올라와 있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대표적으로 아래 나오는 라르크 앙 시엘의 Driver's high. 주인공 오니즈카를 상징하는 이 명곡에 특정 구절만으로 마약중독자의 노래라는 엉뚱한 해석이 붙어있었다. gto를 보면 알겠지만 오니즈카는 마약을 하는 학생이 있다면 두들겨 패서라도 마약에서 손을 끊게 만들 인물이다. [2] 싱어송라이터로 유명해진 후의 곡들과 비교하면 경악스러울정도로 가사의 분위기가 다르다. [3] 유이카는 사랑노래를 주로 만들었는데 처음으로 이별과 미련을 다룬 노래가 나오자 의외라는 반응이 꽤 있다. [4] 묘사된 바에 따르면, 안테나를 주문한 듯 하며, 벼락부자의 딸이고, 14살이며, 정신이 나갔고 안테나 장수가 맘에 든 모양인지 떨어지면 받아주겠다고까지 했다. 그러나 그녀는 결국... [5] 나중에 나오는 불협화음에서는 이게 극대화되어 아예 "지배하고 싶으면 차라리 날 죽여라"라고까지 한다. [6] 제목부터가 粛聖과 粛清의 독음이 같음을 이용한 언어유희이다. [7] 이 노래를 작사한 사람이 착각한 모양인데, 전화를 만든 사람은 토마스 알바 에디슨이 아니라 안토니오 무치이다. [8] 여담으로 일본은 3월까지 빠른년생 분류라, 3월생인 쥬리나는 이 당시 대학 진학이 가능하긴 했다. [9] 요네즈 켄시: "가사만 들으면 밝은 내용이지만 가사를 잘 보면 은근히 자학적인 뉘앙스가 숨어있다." - 요네즈 켄시 스스로 BOOTLEG 앨범 발매 이후의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 [10] 텔레비전, 라디오, 피아노, 바(Bar), 전화, 가스, 기타, 스테레오 오디오, 다도회, 모임, 약국, 영화, 디스코 클럽, 레이저디스크(곡의 시대적 배경은 80년대 중반), 신문, 잡지, 신호등, 전기가 없고, 자동차가 많이 안 달리고, 경찰관만 맨날 돌아다니고, 버스는 하루에 한 번만 오고, 마을엔 젊은이가 자신밖에 없고, 노래방은 있지만 전기가 없어 기계가 안 돌아가는 완전 깡촌이다. TV도 없는 동네에 노래방이 있다는 게 더 놀랍다. [11] 특히 효민의 브릿지 파트. [12] 9집 BABY. 타이틀곡은 바로 이 鏡. [13] 헤어지던 날의 괴로운 기억이 지금의 자신을 살게 해주는 가장 소중한 보물이라든가, 너무 똑같은 성격 때문에 연인과 헤어진 뒤에 "너도 같은 기분이니? 헤어졌는데"라고 한다든가, 헤어진 연인이 꿈에 매일 나온다는 이유로 다시 잘될 거라고 혼자 희망을 갖는다든가. [14] 만화 소라닌의 작가 아사노 이니오가 작사. [15] 영상 라이선스 계약 문제 때문에 일정기간동안만 영상이 나오는 경우가 있기는 한데, Cage의 경우는 16년 동안 계속 나왔던 걸로 봐서 계약 문제가 아니라 영상내용 자체가 문제가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6] 이 밴드 노래중 욕이 가장 많이 들어간다. [17] 즉 딴 남자랑 결혼 함 [18] 닌타마 헥슌 매드는 만들어진 지 5년 넘게 지난 지금까지도 닌타마 매드 중 가장 유명한 매드다. 다만 원작 분위기와는 360도 다르니 감안하고 보길. [19] 곡 마지막엔 그래도 찔리는지 학교 쉬고 놀러가자고 말한다. [20] 노다 요지로 부모의 집까지 찾아가 인터뷰를 하거나, 커플인척하며 미행하다 걸리는 등. [21] 전사자 추모 자체는 괜찮을지도 모르나, 전범까지 추모한다는 게 문제다. [22] 어디까지나 일부 곡. 정확히는 이 사람들의 가사 범위는 거의 자유로운 듯 하다. 다들 그렇겠지만. [23] 뮤직비디오에서는 강도짓을 할 정도로 추락한 주인공이 편의점을 털러갔다가 점원으로 있던 자신의 짝사랑과 재회하면서 나쁜 마음을 접고는 다가가지만 이내 경찰들에게 붙잡혀 발악하다가 바닥에 널브러진 물품을 밟고 머리를 그대로 충돌해서 병원으로 실려간다는 씁쓸한 결말이다. [24] 인체실험, 동공이 풀림, 광기, 두 날개를 빼앗고 족쇄를 채움, 등. [25] 특히 후렴구가 압권이다. Dead End Game 스릴만을 내게 다오, Bad Luck Game 윤리따위는 쳐부숴버려. Dead End Game 위험하다면 가져라. Bad Luck Game 목숨을 갖고 노는 게임. 내가 규칙이다!!. 결국 미코토의 결말은 노래 가사대로 파국을 맞이하게 된다. [26] 1941~2000. 본명은 이노우에 타다오. 일본의 가수 겸 작곡가로 TV판 사일런트 뫼비우스의 주제가인 금단의 팡세를 작곡했고 광전대 마스크맨의 주제가를 작곡하기도 했다. 2000년 5월 30일 망막 질환으로 생긴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향년 58세를 일기로 자결한다. [27] 사실 이 오프닝 하나만 딱히 찝기도 뭐한것이 작사를 한 사람인 카레도 나츠코(枯堂夏子)분이 작사한 음악이 담긴 앨범인 漫謠集를 찾아보면 가사는 대부분 이런 파격적인 걸 쓴게 많다. [28] '나는 당신의 포로', '단단해', '큼직해', '진정한 나를 보여주겠어', '궁합이 맞으면 언제나 함께' [컴파스수록곡]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의 테마곡으로, 이쪽은 게임 삽입곡에도 해당되나 보카로곡에 먼저 기재한다. [컴파스수록곡] [31] 중요 부위만 가린 남성의 알몸이 나오니 주의. [컴파스수록곡] [앨범수록곡] [컴파스수록곡] [컴파스수록곡] [36] 비판곡에 묻혀서(...) 그렇지 평범한 곡도 낸다. 예를 들어 야간항해라든지. [37] 1절의 이러쿵저러쿵 시끄러운데 닥치고 좀 있어봐 [컴파스수록곡] [39] 선정성과 폭력성을 강조한 연극 [컴파스수록곡] [컴파스수록곡] [컴파스수록곡] [43] 현실도피p 문서에도 가 보면 알다시피 원곡자가 현재 별세한 상태다. 영영 가사를 해석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44] Deino 특유의 PV 분위기가 가장 잘 드러난 곡 [45] PV에서 나오는 딱 봐도 미쿠같으면서도 전혀 다르게 생긴 이 생긴 캐릭터는 미쿠 파생캐인 시에이다 [컴파스수록곡] [47] 2절 이후부터 곡 분위기가 갑자기 바뀐다. [48] 중간까지는 어떻게든 사회공포증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보이지만 갑자기 노래의 분위기가 바뀐다. 마지막에는 아얘 자살을 암시하는 가사가 검열삭제되어 나온다. [49] 메인 보컬은 GUMI이지만 하모니로 하츠네 미쿠가 들어갔다. [50] 테러,바이바이 노스탤지카같이 밝은 곡도 있지만 적은 편. 어두운 곡이 많은 편이다. [프로세카수록곡]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오리지널 수록곡으로, 이쪽은 게임 삽입곡에도 해당되나 보카로곡에 먼저 기재한다. [52] 볼테르의 명언을 인용하였다. [53] 그런데 조금 미묘하게 다르다. 그래서 장르가 슈게이(...) [54] 少年ラジオ 명의 [55] 물론 마지막에 와서 이 멜로디마저 붕괴된다. [56] 아내와 딸을 버리면서까지 세상을 구하려 한 에미야 키리츠구를 진심으로 증오한 아이리스필(의 인격복제)과 외롭게 홀로 남고, 아버지가 배신했다고 오해하고 아인츠베른의 도구로 자란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