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NHK(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V | 지상파 채널 | |||||||||||||
[[NHK 종합 텔레비전| |
[[NHK 교육 텔레비전| |
||||||||||||||
위성 채널 | |||||||||||||||
[[NHK BS| |
[[NHK BS 프리미엄 4K| |
[[NHK BS8K| |
|||||||||||||
라디오 | 중파방송 | FM방송 | |||||||||||||
[[NHK 라디오 제1방송| |
[[NHK 라디오 제2방송| |
[[NHK-FM| |
|||||||||||||
국제방송 | TV | 단파방송 | |||||||||||||
[[NHK 월드 JAPAN| |
[[NHK 월드 프리미엄| |
[[NHK 월드 라디오 일본| |
|||||||||||||
(북미 제외 전세계) | |||||||||||||||
기타 | OTT | 제작사 | |||||||||||||
[[NHK+| |
[[NHK 엔터프라이즈| |
||||||||||||||
폐국 | |||||||||||||||
[[조선방송협회| |
[[JSTV| |
[[TV JAPAN| |
|||||||||||||
관련 문서 | |||||||||||||||
프로그램 목록 · 지역 프로그램 목록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
<rowcolor=#808080,#fff>일본방송협회 [ruby(日本放送協会, ruby=にっぽんほうそうきょうかい)] (Nippon Hōsō Kyōkai) Japan Broadcasting Corporation |
}}} | |
도쿄도 시부야구 NHK 본사와 방송 스튜디오(요요기 스튜디오)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국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 |
1924년
11월 29일([age(1924-11-29)]주년) (사단법인 도쿄방송국) |
|||
1950년
6월 1일 (특수법인화, 법인 설립) |
||||
본사 |
도쿄도
시부야구 진난2초메 2-1 (東京都渋谷区神南二丁目2-1) |
|||
링크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표자 | 회장: 이나바 노부오(稲葉 延雄) | ||
법인형태 | 특수법인 | |||
법인번호 | 801100500968 | |||
업종명 | 정보·통신업 | |||
매출액 |
연결: 7,547억 7,700만 엔 (
2016년
3월) 단독: 6,879억 4,423만 엔 ( 2016년 3월) |
|||
영업이익 |
연결: 264억 7,900만 엔 (
2016년
3월) 단독: 189억 4,297만 엔 ( 2016년 3월) |
|||
경상이익 |
연결: 343억 4,600만 엔 (
2016년
3월) 단독: 273억 831만 엔 ( 2016년 3월) |
|||
순이익 |
연결: 324억 600만 엔 (
2016년
3월) 단독: 289억 3,198만엔 ( 2016년 3월) |
|||
순자산 |
연결: 7,827억 5,600만 엔 (
2016년
3월) 단독: 6,879억 5,945만엔 ( 2016년 3월) |
|||
총자산 |
연결: 1조 1,617억 6,800만 엔 (
2016년
3월) 단독: 1조 363억 5,458만엔 ( 2016년 3월) |
|||
직원 수 | 10,333명 ( 2019년) | |||
자회사 |
NHK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99.0% NHK 에듀케이셔널 주식회사 100% NHK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 주식회사 100% 일본국제방송 주식회사 64.1% NHK 플래닛 주식회사 85.4% NHK 프로모션 주식회사 100% NHK 아트 주식회사 100% NHK 미디어기술 주식회사 100% NHK 출판 주식회사 68.9% NHK 비즈니스 크리에이트 주식회사 76.1% NHK 아이테크 주식회사 58.7% NHK 문화센터 88.5% NHK 영업서비스 주식회사 99.0% 일반재단법인 NHK재단[1] 공익재단법인 NHK 교향악단[2] 학교법인 NHK학원[3] NHK 도쿄 어린이 합창단 |
}}}}}}}}} |
[clearfix]
1. 개요
일본방송협회([ruby(日本放送協会, ruby=にっぽんほうそうきょうかい)]) 이하 NHK는 일본의 공영방송이다. 약칭 'NHK'는 '일본방송협회'의 일본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한 \'Nippon Hōsō Kyōkai'의 두문자어이다. 도쿄도 시부야구의 방송센터(본부)를 필두로 일본 전국에 53개의 지역 방송국이 있고 만 여 명의 정직원을 두고 있다. 아카이브는 사이타마현 카와구치시에 있다.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 회원사이다.일본은 전국 모든 지역에 계열 방송국을 갖추고 있는 민영방송 네트워크가 없기 때문에 NHK가 사실상 유일한 전국 방송이자 최대 규모의 방송국이다. 전국 47개 도도부현 중 TBS 테레비의 JNN과 후지 테레비의 FNN/FNS는 각 4개 현, 테레비 아사히의 ANN은 7개 현, 닛폰 테레비의 NNN/NNS는 2개 현, 테레비 도쿄의 TXN은 34개 현에 계열국이 아예 없다. 일부 현에서도 방송국이 2, 3개밖에 송출되지 않는 지역이 있어서 케이블방송 재전송 장사가 잘 된다.
NHK G의 대표 뉴스 프로그램 NHK 뉴스 7, NHK 뉴스 워치 9은 모두 이중 언어를 지원하며, 'bilingual'이란 텍스트가 표시되는 경우, 이중 언어를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NHK E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중 언어는 영어로만 지원되며, 가끔 캐치! 세계의 톱뉴스 등 외국 뉴스를 하는 경우 부음성으로 원어를 송출하기도 한다. 한국어를 포함한 타국어 서비스는 NHK 월드 JAPAN을 이용해야 한다. 다만, NHK+는 일본어 CC(자막)만 제공된다.
NHK는 상업광고를 일절 편성하지 않고 수신료를 꽤 비싸게 받는 특성에다가 프로그램 제작 및 편성 면에 있어서 보수적인 특징을 드러낸다. 다만 방송기술 활용과는 별개로 방송기술 개발 면에서는 NHK가 최첨단을 달린다. 단지 활용도에 있어서 보수적이라는 것이지 일본 정부가 꺼리는 731 부대와 같은 전범행위에 대한 다큐도 만들었을 정도.
2. 역사
1924년에 개국한 도쿄방송국(JOAK)이 그 모체로서 1926년에 도쿄, 오사카(JOBK), 나고야(JOCK)의 3개 방송국이 통합하여 사단법인 일본방송협회를 설립하였다. 원래는 경성방송국(JODK)[4]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내(1929년) 조선방송협회로 분리되어 나갔다.[5][6] 2차대전 후 방송법을 새로 제정하면서 사단법인에서 특수법인으로 전환했다. 현재 쓰이는 'NHK'란 약칭도 이때부터 정식으로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무려 1964 도쿄 올림픽이 끝난 1964년부터 HD 방송 연구를 시작하였고 NHK에서 최초로 송출한 HD 방송이 1988 서울 올림픽 중계방송이다. 다만 1988년부터 2000년대까지 내보냈던 HD 방송은 MUSE 방식 아날로그 HD ( 하이비전) 방송이고, ISDB-T 방식의 디지털 HD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한 건 2003년부터로, 한국(2001년 시작)보다 늦다.[7][8] 일본 최대 공영 방송이자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공영방송이라는 타이틀에 비해 VOD는 뉴스 클립 정도밖에 시청할 수 없었다. 한국의 KBS에서 VOD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1998년이다.[9] 본격적으로 VOD 서비스를 시작한 게 2008년이 되어서부터였다. 일단 계획 상으로 VOD 서비스를 그 이전부터 시작하려 했지만 방송법과 저작권[10] 문제가 걸려서 2007년에 방송법이 개정되고 나서야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었다. KBS에 비해 거의 10년 씩이나 늦은 셈. 거기에 돈을 또 내야 하는 건 물론이고 돈을 내더라도 다시 보기 가능 기간이 짧거나 하는 문제도 있으며 일본 국외에서 시청이 불가능하다. 또한 TV방송의 인터넷 동시전송이 2020년이 되어서야 시작했는데 이 또한 한국에서는 인터넷 초창기인 1996년에야 한 걸 생각하면 매우매우 늦은 것이다. 기술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방방송사의 생존권 문제가 걸려 있어서 서비스를 못 한 것인데 2020년이 되어서야 가능하게 된 것이다.[11]
이미 1960년대부터 막대한 수신료 수입에 힘입은 거대 방송사였음에도 상당 기간 동안 프로그램 보존 면에서 좀 문제가 있는 부분이 있어 1970년대 중반까지의 프로그램 보존이 미비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12], 웬만한 서양 국가에서 1950년대부터 TV 프로그램을 문화유산으로 본 것과 다르게, 일본 방송계에서는 단순히 비용 문제로 비디오 테이프를 한번 찍었다가 나중에 재활용해서 찍는 것이라는 개념이 팽배해있었고, NHK도 마찬가지라서 1980년대 이전의 프로그램 보존이 미비한 것이다.[13][14]
1977년 국제TV아카이브연맹(FIAT)이 세워진 후 1980년대 일본 전국에서 방송자료 보존 운동이 일자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잘 보존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쉬움이 큰 건 사실이다. 그래서인지 NHK아카이브는전2014년부터 시청자나 기관 등을 상대로 '프로그램 발굴 프로젝트'를 아시아 최초로 진행했다. 한국 KBS가 2019년부터 해온 '시청자 영상 공모'도 이를 참고로 한 걸로 보인다.
2021년부터 3년간 총 630억엔의 지출을 줄이고 위성방송과 AM라디오의 채널 일부를 통폐합한다. 위성방송은 현재의 'BS1'과 'BS프리미엄'을 일원화하여 2023년까지 둘 중 하나는 BS4K로 프로그램을 모두 이전한다는 계획과 함께 AM라디오 두 개 채널을 2025년까지 한 채널로 통합할 예정이다. 이는 민영 방송사들이 비용 대비 실익이 없다는 이유로 AM라디오를 포기하고 있는 움직임에 발맞추어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내매체 현지매체 대신 코로나19 위기 국면을 맞아 수신료 7000억원 규모를 감면하도록 했다. # 여러모로 국내에서 수신료를 인상하려는 모습과 대비된다. 다만 NHK의 수신료는 한국 KBS보다는 몇 배는 더 많다.[15][16]
상술한 계획의 일환으로 2023년 12월 1일부터 'BS1'과 'BS프리미엄'은 'NHK BS'로, 'BS4K'는 'NHK BS프리미엄 4K'로 개편한다. 'NHK BS'는 BS1과 BS프리미엄에서 하던 프로그램 대부분을 같은 시간, 한 채널에서 계속 볼 수 있다고 밝혔다. (홍보영상)
3. 역대 회장
NHK의 공식 데이터는 여기를 참조.(PDF)- 이와하라 켄조 (1926~1936)
- 코모리 시치로 (1936~1943)
- 시모무라 히로시 (1943~1945)
- 오오하시 하치로 (1945~1946)
- 타카노 이와사부로 (1946~1949)
- 후루카키 테츠로 (1949~1956)
- 나가타 키요시 (1956~1957)
- 노무라 히데오 (1958~1960)
- 아베 신노스케 (1960~1964)
- 마에다 요시노리 (1964~1973)
- 오노 키치로 (1973~1976)
- 사카모토 토모카즈 (1976~1982) - 최초의 본사 출신 회장.
- 카와하라 마사토 (1982~1988)
- 이케다 요시조 (1988~1989)
- 시마 케이지 (1989~1991)
- 카와구치 미키오 (1991~1997)
- 에비사와 카츠지 (1997~2005)
- 하시모토 겐이치 (2005~2008)
- 후쿠치 시게오 (2008~2011)
- 마츠모토 마사유키 (2011~2014)
- 모미이 카츠토 (2014~2017) - 국내에서는 ”정부가 오른쪽(보수/우파)이라고 말하는데 NHK가 왼쪽(진보/좌파)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정부 뜻을 거역할 수 없다)”, “전쟁을 한 모든 나라에는 위안부가 있었다”는 발언으로 유명하다.
- 우에다 료이치 (2017~2020)
- 마에다 테루노부 (2020~2022) - 역대 회장 중 가장 논란이 되는 인물로 현 자민당 정권의 나팔수로 잘 알려져 있다.
- 이나바 노부오 (2023~현재)
4. 방송파(채널)
※ 라디오 제2방송과 NHK 교육 채널을 제외하고는 24시간 종일방송을 실시한다. ※ 인터넷으로 라디오 제1방송(삿포로/센다이/도쿄/나고야/오사카/히로시마/마츠야마/후쿠오카)/제2방송(전국)/FM(삿포로/센다이/도쿄/나고야/오사카/히로시마/마츠야마/후쿠오카)을 들을 수 있는 실시간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라지루★라지루(らじる★らじる)를 송출하고 있다. 다만, 일본 국내 한정으로 해외에서는 VPN을 통해 접속해야 한다. ※ 2016년 9월 1일부터 도쿄, 오사카, 나고야, 센다이 방송을 포함하여 새로이 삿포로, 히로시마, 마츠야마, 후쿠오카의 방송이 추가되었다. ※ Radiko도 동시송출중이다. |
- 일본 국내 라디오 방송
- NHK 라디오 제1방송: 뉴스 및 스포츠 중계 등 종합 편성. 한국의 공영방송과 비교하면 MBC 표준FM이 종합 편성이라는 점에서 가장 비슷하며 외에도 2000년대 이전의 KBS 제1라디오[17], KBS 제3라디오, YTN 라디오, KFN 라디오 등과 성격이 비슷하다. 영국에서는 BBC Radio 4가 성격이 유사한 편.
- NHK 라디오 제2방송: 어학 및 고교강좌 중심 교육방송, 기상통보, 주식시황을 방송. EBS FM과 성격이 비슷하면서도 다르다.[18]
- NHK-FM: 음악 중심 편성. 그 중에서도 고전음악 위주라는 점에서 영국의 BBC Radio 3, 한국의 KBS 1FM과 성격이 비슷하다. 그외에도 대중음악을 편성한다는 점에서는 BBC Radio 1, KBS 제2라디오, KBS 2FM, MBC FM4U와도 약간의 공통분모점이 있다.[19] 한국의 음악 라디오 및 FM 방송과 다른 점은 뉴스를 1일 3회(7시, 12시, 19시) 편성하고[20] 재해방송 시에는 라디오 제1방송과 동시 방송하거나 피해 현장의 안부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 몇몇 스포츠의 라디오 스테레오 중계를 담당한다.(예를 들어, 월드컵 결승전, 고시엔 결승전 등)
- 일본 국내 텔레비전 방송
- 지상파 - 이 채널들은 한국으로 치면 KBS와 EBS의 지상파 채널이랑 성격이 비슷하다.
- NHK 종합 텔레비전 (NHK G): 영국의 BBC One, 한국의 KBS 1TV랑 성격이 비슷하다.
- NHK 교육 텔레비전 (NHK E): 영국의 CBeebies, 한국의 EBS(구 KBS 3TV)와 성격이 비슷하다.
- 위성 - 이 채널들은 한국으로 치면 KBS 2TV와 KBS N, MBC 플러스, EBS, YTN의 TV채널 부분과 연합뉴스TV, 대한민국의 국영방송 채널이랑 성격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 NHK BS (BS-15): BS는 Broadcasting Satellite의 약자. 매 시각 50분마다 'BS뉴스'라는 10분짜리 뉴스를 편성하는 것이 특징으로[21] 뉴스/시사/스포츠 중계 및 해외 소식 중심으로 편성하는데, 특히 애매하는 비는 시간대에는 월드뉴스라는 이름으로 외신 보도 영상에 일본어 음성만 더빙해 방송한다. 한국 뉴스는 제휴 맺은 방송사가 KBS밖에 없는지 KBS 뉴스만 나온다.[22] ' VJ 특공대'가 현역이던 시절에는 이것도 수입해다 방송해주기도 했다. 그리고 월드 웨이브 아시아나 월드 웨이브, 아침에는 월드 웨이브 모닝, 밤에는 월드 웨이브 투나잇 같은 국제뉴스 프로그램도 방영되는 편이다. 과거 KBS위성1TV[23] 혹은 YTN의 TV채널 부분과 국민방송, 국방TV, 국악방송, 국회방송, 공영쇼핑, 소상공인방송, 연합뉴스TV랑 성격이 비슷하긴 한데 이 채널들 자체가 무궁화 위성 시험 때 KBS 위성 1, 2TV 편성정책[24]을 NHK BS-1, 2에서 벤치마킹한 것이기 때문이다. 2023년 12월 1일부터 NHK BSP와 함께 현 채널명으로 통폐합되었다.
- NHK BSP4K (BS-17): 2016년 8월 1일에 일본판 4K UHD인 NHK/A-PAB 4K/8K 시험 방송으로 시작했다. 2018년 12월 1일, 4K 전용의 현 채널명으로 개국했다. 2023년 12월 1일부터 'NHK BSP 4K'로 개명되었다.
- NHK BS8K(BS-14): 8K UHD 전용 채널로 위에 있는 4K 전용 채널과 함께 2018년 12월 1일에 개국한 8K 전용 채널.
- 국제방송
- NHK 월드 JAPAN: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영어 방송. 한국의 KBS 월드 혹은 Arirang TV랑 비슷하다. 최근에는 일본 정부의 '쿨 재팬' 기조 영향인지 아니메 관련 다큐를 심심하면 틀어준다. 물론 일본 국내용이 아닌 해외전용. 2018년 3월까지는 NHK World TV였으나, '일본의 NHK'를 널리 알리기 위해 동년 4월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 NHK华语视界: 중화권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국제채널로 2019년 1월 15일에 개국했다. 중국어 뉴스와 일본어 강좌 등을 방송하며, NHK World Japan의 프로그램은 간자체 자막을 넣어 내보낸다.
- NHK 월드 프리미엄: 일본 쪽 방송을 일본어 그대로 수중계...하고 있으나 악명 높은 일본의 저작권법 덕에 스포츠뉴스 등에서 일부 화면이 정지영상으로 대체되어 나오기도 한다. 대체로 NHK G(종합)의 프로그램 80%에 NHK교육 프로그램 20% 정도 비율로 수중계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IPTV, 케이블, 스카이라이프 등의 유료SO에서 송출을 하고 있으며, NHK 종합 수중계 채널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도호쿠 대지진 등의 재난방송시 외신들의 주요 소스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KBS KOREA랑 성격이 비슷하다.
-
TV JAPAN: 북미권 국제방송 채널로 NHK 월드 프리미엄과 비슷한 구성이지만 민방 프로그램도 함께 편성되며, 미주와의 시차로 인하여 뉴스 이외의 모든 프로그램이 동시 송출되진 않는다.
JSTV도 영국과의 시차를 고려하진 않던데 - NHK 월드 라디오 일본: 일본어를 포함한 18개의 언어로 제작하는 단파라디오 방송이다. KBS 월드 라디오와 아리랑 TV의 아리랑 라디오랑 비슷하다. 한국어 방송도 있으나 남북관계를 의식한 건지 코리언이라고 하며 여기로 접속하면 된다.
4.1. 폐국된 방송망
- NHK BS 프리미엄 (BS-15): 특별히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가지 마이너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던 채널이다.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지상파 채널이나 BS1에 비해서 드라마나 예능, 애니메이션 등 오락 프로그램의 비중이 좀 더 높은 편이고 종합 채널과 시간차 방송도 한다[25] 과거엔 시사위주이 BS1과 대비되는 오락성 NHK BS2라는 식으로 편성정책이 짜여져 있었고 HDTV 방송용의 NHK BS-hi가 있었으나, HD가 보편화되면서 BS-hi와 BS2를 2011년 3월 폐국, 통합하여 NHK BS 프리미엄으로 재편되었다. 과거 KBS위성2TV[26], MBC 플러스, EBS 1TV와 KBS 2TV랑 성격이 비슷하다. 2023년 12월 1일부터 NHK BS1 및 NHK BS4K와 함께 NHK BS 및 NHK BSP4K로 통폐합되었으며, 한시적으로 BS프리미엄에서 쓰던 103번 채널을 활용해 2024년 1월 9일부터 2024년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 관련 정보를, 다음 날부터 NHK 종합 텔레비전의 가나자와 방송국 송출분[27]을 한시 중계하다 7월 1일부로 폐국.
- JSTV: 유럽권 국제방송 채널로 상기 NHK 월드 프리미엄을 그대로 중계하는 JSTV 2, 민방 프로그램을 함께 송출하며 유럽권 시차에 맞게 편성되는 JSTV 1 채널을 각기 운영중이다. 2023년 10월 이후 폐국.
5. 소속 아나운서
아나운서 수는 500여 명에 달한다.[28] 도쿄에서 근무하는 아나운서만 200여 명 정도 된다. 도쿄 아나운스실에는 120여 명이 소속되어있고, 라디오센터에는 40여 명이 소속되어 있으며[29], 국제방송국, 콘텐츠전략국, 프로젝트센터, 해외총국·지국에도 아나운서들이 소수 있다. 그 외 인원은 일본방송협회(NHK)의 자회사인 NHK재단, NHK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에 파견되어 있다.[30]NHK재단에 파견된 아나운서들은 주 업무인 아나운스·스피치 지도·연수 업무를 주로 수행한다. NHK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에 파견된 아나운서들은 스포츠 중계를 하는 게 주요 업무지만, 아주 가끔씩 TV나 라디오 뉴스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 밖에 지역방송국에서 근무하는 아나운서는 300여명 정도 되는데, 오사카 방송국은 간사이 지방의 거점국이면서 도쿄 본부가 대규모 재해로 인해서 방송을 송출 할 수 없을 경우에 대비해서 백업해주는 역할[31]이 규정되어있기 때문에, 지역방송국 중에서 가장 많은 아나운서가 배치되고[32], 다른 지방의 거점국[33][34]들은 관리직 아나운서를 포함해서 10여명~20여명 정도의 아나운서가 배치된다. 한편, 거점국이 아닌 지역국의 경우, 간토의 지역국[35], 간사이의 지역국[36], 홋카이도의 지역국[37][38], 도카이의 지역국[39], 기타큐슈에는 2명~4명 정도의 아나운서가 배치되고, 이외의 지역국[40]은 5명~7명 정도의 아나운서가 배치된다.
한편, 정년에 도달한 NHK 아나운서 중에서, 계속해서 NHK에 재직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정년 연장 개념인 촉탁직원 신분으로 재직 하는 아나운서들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일부는 TV, 라디오 관계없이 방송 프로그램의 중추 역할을 맡는 경우가 있지만, 대다수의 경우 라디오 프로그램 위주로 출연하거나, 내레이션 등을 주로 담당한다. 정년 연장의 개념인 촉탁직원 신분으로는 만 65세가 정년이고, 이 시기까지는 NHK 소속이다.[41] 만 65세 이후에도 시니어 스태프 형태로 종전대로 계속 근무하는게 가능하지만, 시니어 스태프는 업무 위탁 형태의 계약으로 되어 있어서, 이 시기 부터 더 이상 NHK 소속이 아니다.[42]
5.1. 아나운서 명단
- 다카하시 미스즈(髙橋美鈴) - NHK 아나운스실장[43]
- 노무라 마사이쿠(野村正育)
- 아베 와타루(阿部渉)
- 쿠로사키 메구미(黒崎めぐみ)[44]
- 마츠오 츠요시(松尾剛)
- 타카야마 테츠야(高山哲哉)
- 토요하라 켄지로(豊原謙二郎)
- 이노우에 지로(井上二郎)
- 타카세 코조(高瀬耕造)
- 이토이 요지(糸井羊司)
- 타카이 마사토모(高井正智)[45]
- 슈도 나치코(首藤奈知子)[46]
- 이노우에 아사히(井上あさひ)
- 스즈키 나오코(鈴木奈穂子)
- 타키가와 타케시(瀧川剛史)
- 산죠 마사유키(三條雅幸)
- 이노우에 유우키(井上裕貴)
- 우시다 마유(牛田茉友)
- 쿠와코 마호(桑子真帆)
- 이마이 쇼마(今井翔馬)
- 와쿠다 마유코(和久田麻由子)
- 아카키 노노카(赤木野々花)
- 우에하라 미츠키(上原光紀)
- 호리 사유리(保里小百合)
- 나카야마 카나(中山果奈)
- 하야시다 리사(林田理沙)
- 소에지마 메이(副島萌生)
- 모리시타 에리카(森下絵理香)
- 하타케야마 에미(畠山衣美)[47]
- 에바라 케이이치로(江原啓一郎)
- 카와사키 리카(川崎理加)
- 나카가와 안나(中川安奈)
- 야마우치 이즈미(山内泉)
- 고토 유우키(後藤佑季)[48]
6. 방송 권역
-
NHK 종합 채널
- 홋카이도는 단일 도도부현 중 가장 많은 NHK 방송국을 보유한 곳이다.[49] 그 외의 도도부현 중에서는 후쿠오카현에 후쿠오카, 키타큐슈방송국이 소재하고 있는 바 후쿠오카는 NHK 방송국이 2개 이상 존재하고 있는 유일한 현이다.[50][51]
- 이 중 간토 지방은 이바라키현을 제외한 대부분이 NHK 수도권국[52]이 직접 담당하지만 실제로는 나머지 5현에도 NHK 지역방송국이 있다. 점심 전에 방송하는 간토 지역 교양 프로그램인 히루마에 홋토(ひるまえほっと) 및 6시 지역국 뉴스인 수도권 네트워크에 주로 등장하며 재난방송시에도 가끔 등장한다.
-
NHK 교육 채널
- NHK는 지상파 기준으로 NHK 종합(NHK General, 줄여서 NHK G)과 NHK E테레(エヌエイチケイEテレ)로 나뉜다. 전 명칭은 NHK 교육(NHK E)이나 2010년 이후 변경. E는 EBS의 E 와 같은 Education이다.
- 본항에 기재하는 채널과 주파수에 붙는 단위인 ch.와 kHz, MHz는 생략한다.
- 호출부호의 좌측은 제1라디오·FM방송(-FM)·종합TV(-DTV)에 쓰이며, 우측은 제2라디오·E테레(-DTV)에 쓰인다. 단, 호출부호가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종합TV와 FM방송에만 호출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나머지는 상위 기간국의 채널이므로 호출부호가 없다.
- NHK 각 방송국의 호출부호 중 JODK가 결번인데 조선에 설치되었던 경성방송국 (1929년 이후 조선방송협회)의 호출부호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JOEK 등 여러 개의 결번이 존재하지만, 특히 JODK는 구 경성방송국의 이미지가 뚜렷하기 때문인지 계속 결번으로 두는 모양새이다. 경성방송국 외 조선방송협회 소속 방송소( 부산, 평양, 청진 등)들이 쓰던 콜사인은 JBxK로 일본 국내와는 달랐으며 해방 후 모두 HLKx로 바뀌었다.
- 오키나와의 경우도 미군정 시기 동안 오키나와방송협회(OHK)가 별도로 존재했으며, 미국 호출부호(KSGA, KSGB)를 사용했다.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반환된 1972년 이후 NHK에 합병되어 지금의 NHK 오키나와 방송국[오키나와]이 되었다.
- 방송국의 굵은 글씨는 기간국(KBS의 총국에 해당)이며, 아래에 서술된 방송국을 거느린다.
- 사이타마, 치바, 요코하마 방송국은 평시에는 지역별 FM 방송 송출, 제작을 담당하지만 도쿄 시부야 소재 방송센터가 수도직하지진 등으로 불능상태에 빠졌을 때 도쿄 본국을 대신하여 방송을 제작, 송출하도록 짜여져 있다. 만약 이 방송국들마저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오사카 방송국이 대신하게 된다.[54]
방송국 | 호출부호 | 채널 | 가시청권역 | |||||
TV 채널 | 라디오 주파수 | |||||||
종합 | 교육 | 제1 | 제2 | FM | ||||
방송센터 수도권국[55][56] ( 도쿄 시부야) |
JOAK, JOAB | 27 | 26 | 594 | 693 | 82.5 | 도쿄 도 광역권[57] | |
요코하마 방송국 | JOGP | × | × | × | × | 81.9 | 가나가와현 | |
사이타마 방송국 | JOLP | × | × | × | × | 85.1 | 사이타마현 | |
치바 방송국 | JOMP | × | × | × | × | 80.7 | 치바현 | |
마에바시 방송국 | JOTP | 37 | × | × | × | 81.6 | 군마현 | |
우츠노미야 방송국 | JOBP | 47 | 39 | × | × | 80.3 | 도치기현 | |
미토 방송국 | JOEP | 20 | 13 | × | × | 83.2 | 이바라키현 | |
나가노 방송국 | JONK, JONB | 17 | 13 | 819 | 1467 | 84.0 | 나가노현 북부 | |
↳ 마츠모토 지국 | × | × | × | × | 84.8 | 나가노현 남부 | ||
니가타 방송국 | JOQK, JOQB | 15 | 13 | 837 | 1593 | 82.3 | 니가타현 | |
코후 방송국 | JOKG, JOKC | 21 | 23 | 927 | 1602 | 85.6 | 야마나시현 | |
삿포로 방송국 | JOIK, JOIB | 15 | 13 | 567 | 747 | 85.2 | 홋카이도( 이시카리, 시리베시, 소라치) | |
아사히카와 방송국 | JOCG, JOCC | 15 | 13 | 621 | 1602 | 85.8 | 홋카이도( 카미카와, 루모이, 소야) | |
하코다테 방송국 | JOVK, JOVB | 18 | 14 | 675 | 1467 | 87.0 | 홋카이도( 오시마, 히야마) | |
오비히로 방송국 | JOOG, JOOC | 15 | 13 | 603 | 1125 | 87.5 | 홋카이도(토카치) | |
무로란 방송국 | JOIQ, JOIZ | 24 | 16 | 945 | 1125 | 88.0 |
홋카이도(이부리,
히다카) → 삿포로 방송국과 사실상 통합[58] (2022년) |
|
키타미 방송국 | JOKP, JOKD | 18 | 13 | 1188 | 702 | 86.0 |
홋카이도(
오호츠크) → 아사히카와 방송국과 사실상 통합[59] (2022년) |
|
쿠시로 방송국 | JOPG, JOPC | 33 | 29 | 585 | 1152 | 88.5 |
홋카이도(
쿠시로,
네무로) → 오비히로 방송국과 사실상 통합[60] (2022년) |
|
센다이 방송국 | JOHK, JOHB | 17 | 13 | 891 | 1089 | 82.5 | 미야기현 | |
아키타 방송국 | JOUK, JOUB | 48 | 50 | 1503 | 774 | 86.7 | 아키타현 | |
야마가타 방송국 | JOJG, JOJC | 14 | 13 | 540 | 1521 | 82.1 | 야마가타현 | |
모리오카 방송국 | JOQG, JOQC | 14 | 13 | 531 | 1386 | 83.1 | 이와테현 | |
후쿠시마 방송국 | JOFP, JOFD | 15 | 14 | 1323 | 1602 | 85.3 | 후쿠시마현 | |
아오모리 방송국 | JOTG, JOTC | 16 | 13 | 963 | 1521 | 86.0 | 아오모리현 | |
나고야 방송국 | JOCK, JOCB | 20 | 13 | 729 | 909 | 82.5 | 아이치현 | |
시즈오카 방송국 | JOPK, JOPB | 20 | 13 | 882 | 639 | 88,8 | 시즈오카현 | |
기후 방송국 | JOOP | 29 | × | × | 909 | 83.6 | 기후현 | |
츠 방송국 | JONP | 28 | 44 | 729 | 909 | 81.8 | 미에현 | |
후쿠이 방송국 | JOFG, JOFC | 19 | 21 | 927 | 1521 | 83.4 | 후쿠이현 | |
카나자와 방송국 | JOJK, JOJB | 15 | 13 | 1224 | 1386 | 82.2 | 이시카와현 | |
도야마 방송국 | JOIG, JOIC | 27 | 24 | 648 | 1035 | 81.5 | 도야마현 | |
오사카 방송국 | JOBK, JOBB | 24 | 13 | 666 | 828 | 88.1 | 오사카부 | |
교토 방송국 | JOOK | 25 | × | x[61] | × | 82.8 | 교토부 | |
고베 방송국 | JOPP | 22 | × | × | × | 86.5 | 효고현 | |
오츠 방송국 | JOQP | 26 | × | 945 | × | 84.0 | 시가현 | |
나라 방송국 | JOUP | 31 | × | × | × | 87.4 | 나라현 | |
와카야마 방송국 | JORP | 23 | × | × | × | 84.7 | 와카야마현 | |
히로시마 방송국 | JOFK, JOFB | 14 | 15 | 1071 | 702 | 88.3 | 히로시마현 | |
오카야마 방송국 | JOKK, JOKB | 32 | 45 | 603 | 1386 | 88.7 | 오카야마현 | |
아마구치 방송국 | JOUG, JOUC | 16 | 13 | 675 | 1377 | 85.3 | 야마구치현 | |
마츠에 방송국 | JOTK, JOTB | 21 | 19 | 1296 | 1593 | 84.5 | 시마네현 | |
돗토리 방송국 | JOLG, JOLC | 29 | 20 | 1368 | 1125 | 85.8 | 돗토리현 | |
마츠야마 방송국 | JOZK, JOZB | 16 | 13 | 963 | 1512 | 87.7 | 에히메현 | |
토쿠시마 방송국 | JOXK, JOXB | 34 | 40 | 945 | × | 83.4 | 도쿠시마현 | |
고치 방송국 | JORK, JORB | 15 | 13 |
990(AM) 92.8(FM) |
1152 | 87.5 | 고치현 | |
타카마츠 방송국 | JOHP, JOHD | 24 | 13 | 1368 | 1035 | 86.0 | 카가와현 | |
후쿠오카 방송국[62] | JOLK, JOLB | 28 | 22 | 612 | 1017 | 84.8 | 후쿠오카현[63] | |
키타큐슈 방송국 | JOSK, JOSB | 40 | 42 | 540 | 1602 | 85.7 | 후쿠오카현 키타큐슈시(온가·케이치쿠 및 치쿠호지구) | |
사가 방송국 | JOSP, JOSD | 33 | 25 | 963 | × | 81.6 | 사가현 | |
나가사키 방송국 | JOAG, JOAC | 15 | 13 | 684 | 1377 | 84.5 | 나가사키현 | |
쿠마모토 방송국[64] | JOGK, JOGB | 28 | 24 | 756 | 873 | 85.4 | 구마모토현[65] | |
오이타 방송국 | JOIP, JOID | 15 | 14 | 639 | 1467 | 88.9 | 오이타현 | |
미야자키 방송국 | JOMG, JOMC | 14 | 13 | 540 | 1467 | 86.2 | 미야자키현 | |
가고시마 방송국 | JOHG, JOHC | 34 | 18 | 576 | 1386 | 85.6 | 가고시마현 | |
오키나와 방송국[오키나와] | JOAP, JOAD | 17 | 13 | 549 | 1125 | 88.1 | 오키나와현[67] |
7. 수신료
레이와 5년(2023) 10월 개정 NHK 수신료 | |||
계약종별 | 2개월 | 6개월 | 12개월 |
위성계약 | 3,900엔 | 11,186엔 | 21,765엔 |
지상계약 | 2,200엔 | 6,309엔 | 12,276엔 |
소비세 포함 | |||
오키나와현을 제외한 46개 도도부현에 적용 |
오키나와현 NHK 수신료 | ||||
계약종별 | 1개월 | 2개월 | 6개월 | 12개월 |
위성계약 | 1,815엔 | 3,630엔 | 10,416엔 | 20,267엔 |
지상계약 | 965엔 | 1,930엔 | 5,539엔 | 10,778엔 |
소비세 포함 |
운영 방식이 좀 독특한데, 광고 자체를 전혀 안 하는[68] 공영방송이라는 명목 하에 TV 수상기가 달린 집에 개별로 수신료라는 걸 받아간다. 대략 1개월에 1,100엔 수준이다. 위성 서비스에 가입하면 수신료가 더 올라간다. 원세그 TV수신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TV 수상기가 없어도 수신료를 걷어가려고 한다. 지역별로 차이는 조금 있지만 개중에는 인터넷 연결이 되어도 TV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수신료를 걷어가려고 하는 수금원이 있을 정도. 방송 시청할 환경만 된다면 징수한다는 개념을 갖고 있는 셈. 해약할 시에는, 집에 방송을 수신할 매체기기가 전혀 없음을 증명하는 서류[69]와 해약 신청 내용을 적은 엽서를 보내야 한다. TV가 있음에도 해약 신청을 하겠다고 내면 거부당할 확률이 높다. 우체국, 편의점, 은행을 통해서 납부하거나 신용카드를 이용해서 납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세대주가 장애인[70], 공적 부조 수급자, 사회보호기관 입소자, 저소득 독거 학생(재학 중인 아동/청소년) 등이라면 수신료를 전액 혹은 반액 감면받을 수 있다. 단신부임이나 학업 등으로 인해 2개의 주소지에 계약하는 경우에도 50% 할인해준다. 지진 등 재해가 발생되어 중대한 피해를 입을 경우, 해당 지역에 한해 한시적으로 감면받을 수 있다. #
NHK의 적절한 수신료는 300엔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희망사항일 뿐이므로 의미가 없다.
2023년 10월부로 수신료 인하와 함께 감면 대상이 확대되었다. 혼자 사는 대학생은 증명 서류를 제출하면 수신료를 감면받을 수 있다. #
7.1. NHK 수금원 및 수신료 납부의 강제성
NHK 수신료 납부의 강제성과 NHK 수금원을 퇴치하는 법에 대하여 소개하는 영상도 있다.해당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이들(NHK 수금원)은 NHK의 위상을 실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자들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TV를 보유한 유주택 시청자한테서 NHK 수신료를 뜯어내어 NHK에 바치는 게 이들의 직무다. 그러나 수신료를 미납해도 처벌 할 수 있는 조항이 없기 때문에 버티고 안 내는 경우도 많다. 다시 말해 수신료 미납되었다고 과태료를 내거나 재산 압류하고 경매 붙이는 일은 없다. 수신료 받으러 오면 그냥 돈 주고 마는 경우가 많지만, 안 내고 버티는 사람은 잘도 도망 다닌다. 그래서 안 내려고 집에 찾아와도 무시하는 입주민과, 어떻게든 수신료를 뜯으려고 작정한 수금원 간의 숨바꼭질이 이곳 저곳에서 빈번하게 벌어진다. 일요일 저녁이든 악천후든 가리지 않고 끈질기게 찾아오는 수금원과, 이를 무시하는 시청자간의 대결은 한국인 커뮤니티에서도 종종 올라오는 이야기. 외국인은 과거에는 어눌한 말투로 일본어를 모른다는 식으로 두루뭉술 넘기는 회피 방법[71]도 있었지만 외국어(특히 영어, 중국어, 한국어)로 된 안내문을 들고 다니면서 수금을 시도하는 집념도 보여준다. 이게 대단히 악질인 게 나는 한국인(또는 비(非)일본인)이라는 증명을 해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일본에 체류중인 외국인에게도 예외가 없다는 게 이들의 악질성을 보여주는 일면이다.
오토락이 있는 맨션은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어서 비교적 상대안하고 넘어가기 쉽지만 그렇지 않고 보안 설비가 잘 되지않은 낡은 곳은 알 수 없는 기계를 들고 매달 꼬박꼬박 찾아와서 맨션 안을 샅샅히 배회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이 요금 징수원은 직접적인 NHK직원이 아니라 NHK로부터 징수를 위탁받은 수납업무 회사의 직원들이라고 한다. 이들은 신규 계약 건당 상당한 인센티브를 받는다고 하는데 끈질기고 집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는 듯하다. 특히 일본 거주 외국인들에게 악명이 높은데 TV를 보지도 않는데 찾아와서는 다짜고짜 이거 돈 안내시면 위험하다는 등 위협성 발언을 통해 돈을 뜯어내려는 징수원들인데 이들이 올 경우에는 최선의 방법은 문을 안 열어주는 것이고 모르고 열어줬을 시에는 쫓아낼 때 영어로 TV 안 봐서 필요없다며 문답무용으로 문을 닫아주면 된다.[72] 하청업체 직원들은 인센티브를 위해 눈에 뵈는 게 없어서, TV가 없다고 해도 그런 거 없고 무조건 사인해라, 아무튼 내야 할 의무가 있다, 문 너머로 모니터만 봐도 저거 티비 아니냐, 아무튼 싸인해라고 강요하므로 대화 자체가 안통하기 때문에 아예 안열어주는 게 답이며, 실수로 열어줬다면 아무 말도 하지 말고 닫아버리자. 일본 사정을 잘 모르는 외국인이라 정말 계약 안하면 큰일나는줄 알고 속아서 계약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들에게 외국인 거주자들은 오히려 노리기 좋은 호구에 가깝다. 정말 TV가 있어서 NHK를 시청하고 있다면 모를까, "TV도 없는데 그걸 일일이 증명해야 할 의무도 없고 싸인해라. 안 하면 위법이다. 넌 의무가 있다"고 위협성 발언을 들을 이유도 없다. TV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 있어선 종교 권유 다음으로 악질적인 집단. 다만 NHK 수신 가능한 TV가 있다면 정말 수신료 납부의 의무가 있긴 하다.
디지털 방송에 와서는 시청료 납부를 안 하면 화면에 독촉 메시지가 나온다고 한다. 심지어 방송종료 후 미납자 명단을 방송한다는 말이 도시전설처럼 떠돈다. 한편 공권력의 집행은 불가하나, 매월 미계약자와 미납자 중 일부를 시범케이스로 민사소송을 건다. NHK 수신료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한데 매월 시범케이스를 잡는 모습을 알 수 있다.[73]
이런 수신료의 붕 뜬 위치는 시청자가 NHK를 견제하는 좋은 도구로서 기능하고 있다. NHK에 논란이 발생하면 수신료를 안 내면 되니까. 2004년 NHK 어느 PD가 제작비를 부정 사용했을 때[74] 시청자들은 수신료를 안 냈고, 결국 경찰은 NHK에 조사가 들어가고 그 PD는 경찰에 붙잡혔으며, 회장을 포함한 간부 및 임원 전원이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6개월간 감봉을 당하고 회장은 사과 방송을 하는 일이 있었다. 2005년에 TBS 편성PD 출신의 타하라 시게유키(전 스타채널 전무)가 쓴 < 거대 NHK 붕괴(원제: 視聽者が動いた 巨大NHKがなくなる)>라는 책이 있다.[75]
또한 아베 정권이 임명한 모미이 카츠토(籾井勝人) NHK 회장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군 위안부는 어느 나라에도 있었다"는 취지의 망언을 하자 시민단체들은 시청료 납부를 거부[76]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하였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1Q84에서 남주인공 덴고의 아버지가 NHK의 수금원이었다. 그리고 여주인공 아오마메와 우시카와에게 찾아와(둘 다 티비는 물론 그 비슷한 것도 없는데도!) 수신료를 독촉하는 이상한 수금원도 나온다. 여러모로 수금원이 많이 나오는 소설인데 전자의 경우 자신의 실적을 올리기 위해 미성년자인 아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강제로 주말마다 수금루트에 어린 아들을 끌고 다니는 막장 부모[77]이며, 후자의 경우 나올 때마다 협박과 악담을 퍼부으며 거의 호러물 수준의 공포감을 선사한다. 일본에서 NHK 수금원의 이미지가 어떤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
1994년 이전까지 한국에서도 이러한 방법으로 수신료를 미납하는 게 매우 흔했는데, 특히 1986년 시청료 납부 거부운동 때부터 본격화되었다. 정부 측은 이를 막고자 1985년 한국방송공사법 개정 시 KBS가 기존에 관할 세무서장에게 의뢰한 후 체납액을 징수하던 방식에서 문화공보부장관의 승인 하에 직접 강제징수하는 쪽으로 바꾸었고, 1986년 내무부가 일부 대도시에 '통합공과금 제도'를 도입하면서 수신료도 전기세, 가스요금, 수도세와 묶어 내도록 했으며 1990년대 초까지 소도시로 확산되었다. 1994년 수신료 징수업무를 한국전력공사에 맡기면서 전기료와 합산하도록 바꾸자, 수신료 미납가정의 수가 급감하면서 이러한 일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는데 일본은 구시대적인 수신료 징수방식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78] 이러한 풍습이 존속될 수 있었던 것. NHK의 매출액이 연 6,000억엔(한화 약 6조원)으로 수신료도 받고 광고도 하는 KBS의 3배는 거뜬히 넘는다.[79]
7.1.1. 부작용
방문 징수가 일반적이었던 시절에는 NHK 방문 수금원을 빙자한 강도나 사기 행각이 기승을 부리기도 했고[80], 2019년에는 NHK 수신료 징수 위탁업체 직원이 계약자 명부를 보이스피싱 조직에 유출했다가 적발된 사건도 있었다. # 이 사건의 경우 계약자 명부상에는 연령이 표기되지 않기 때문에 계약자명을 보고 고령의 여성으로 추정되는 23명의 정보를 추려 사기에 이용한 사례로, 실제로 나고야시에서 70대 여성이 약 500만 엔 가량의 피해를 입었다.7.2. 퇴치법
2017년 12월 6일 NHK의 수신료 징수를 명시한 방송법 64조가 합헌이라는 판결이 선고됐다. 기사이러한 수금원의 가장 확실한 퇴치법은 "나는 TV를 가지고 있지 않고 폰은 아이폰[81]이다" 라고 대답하면 된다. 이유는 수신료를 징수하는 근거가 되는 방송법의 조항이 NHK의 전파를 수신 가능한 수상기를 보유한 경우 라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TV나 원세그 단말 등 수상기가 없으면 계약이 불가하며, 따라서 이 두가지를 읊어주면 계약하지 않아도 될 요건을 갖춘게 되므로 어지간히 집요한 수금원이 아니면 보통 포기한다. 일본에서 생활하는 외국 유학생이면서 NHK 시청을 원치 않는 사람이라면 해 볼 만한 시도다.
정 낚여서 계약을 해버렸다면, 전화를 해서 (영구적으로) 귀국하게 되었으니 해약해달라고 하면 해약해준다. 사실상 외국인만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82] 외국인이면서 주소지가 없어지면[83] 법률상 돈을 뜯어낼 수가 없으며, 정말 이사했는지 안했는지 NHK가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 이사가는 거 아니냐, 일본에 친지나 가족 지인 없냐고 물으면 "아 그런 거 없고 아예 완전히 귀국하는 거고, 일본에 가족 친지 지인 아무도 없고 완전히 돌아갑니다" 하면 된다. 낚인 게 아니라 단기 시청을 위해 계약을 했고 수신료를 월별로 납부한 경우라면 완전귀국을 위한 해약신청 전에 가급적이면 TV나 셋톱박스 등 지상파 수신 장치를 모두 처분한 후에 하는 걸 추천한다. 어차피 일본에서 쓰던 TV와 셋톱박스는 일본을 완전히 떠난 후로는 쓸모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신원을 밝히지 않는 사람이 올 때 문을 열어주지 않는 것이다. 방문목적이 떳떳하다면 택배입니다, 우체국입니다 같이 먼저 말을 하고 초인종을 누르게 마련이다. 초인종만 누르고 문을 열어주길 기다리는 사람은 이런 NHK수금원이나 방문판매 뿐이다. 거기다 "NHK 사절"[84], "TV 없음, 휴대폰도 아이폰.", "지상파 수신 수단 없음" 등을 큰 쪽지에 쓴 후 문 앞에 붙이면 금상첨화다.
만약 수금원이 안으로 들어가서 확인해야 한다며 고집부릴 경우에는 그냥 "경찰 부르겠다"고 응수하면 된다. 애초에 수금원에겐 그런 권리가 없을 뿐더러 그런 행위 자체가 범죄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 일본 여행객(외국인)이라면 수신료 징수 의무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애초에 수신료 징수 의무는 TV 등 방송수신 가능 기기를 소유한 일본 국적의 유주택자 한정이기 때문이다.
7.3. 논란이 계속되는 이유
민간인과 NHK의 싸움은 아직까지도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 일본 국회에서도 상당히 말이 많았던 모양이지만 딱히 바뀐 점은 아직 없다. 싸움이 끝나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선택적으로 전파를 거부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85] 인터넷 유료 채널같이 자기가 원해서 수신하고 지불하는 방식이면 아무 문제가 없지만, TV만 있으면 전부 수신하게 해놓고 돈을 내라고 강요하기 때문에, NHK는 안 볼건데 다른 공영 TV는 보고싶은 사람이나 아예 TV는 안 보고 게임용으로 4K TV 등을 산 사람도 보든 안보든 볼 수 있는 수신장치가 있으니 닥치고 내라고 하는 전근대적인 징수 시스템에 있다. 근본적으로 이 구시대식 강제 징수방식이 바뀌지 않는 한 NHK하면 보지도 않고 보고 싶지도 않은데 부당하게 돈 뜯어가려고 하는 돈에 환장한 도둑놈들이라는 인식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86][87]유튜브와 히카리 TV 같은 IPTV, 넷플릭스 등 OTT 서비스 등 선택적 유료 서비스들을 더 싼 가격과 고화질, 다양한 컨텐츠로 즐길 수 있는 2010~2020년대 들어, 일부 극단적인 반 NHK 성향의 시청자들은 이에 대해 "현재 들어 오와콘 소리가 나오고 있는 지상파 TV 방송에 아마존 프라임[88]의 10배 이상, 넷플릭스[89]의 1.5배 이상의 돈을 흔쾌히 낼 사람이 대체 어디 있겠냐?"며 이른바 '지상파 종말론'을 제기하는 상황이었다.[90]
심지어 이제 NHK가 인터넷 기기까지 수신료 걷겠다며 논란이 더욱더 과열되면서, 일부 혐NHK 세력에서는 " 일본을 미국처럼 공영방송이 필요없는 나라로 만들자!", " NHK처럼 돈만 아는 방송국들은 망해야지." 등 과격한 주장을 서슴치 않고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그러거나 말거나 NHK는 일본 방송환경 특성상 여전히 잘 나가고 있지만 말이다.
7.4. 모바일 단말 및 TV 수신카드 역시 수상기로 인정
2016년 8월 26일 사이타마 법원에서 원세그가 탑재된 휴대전화에 대해서 수신료를 징수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던 적도 있으나, 2018년 3월 26일 도쿄고등재판소에서 원세그 방송에 대해서도 수신료를 지불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 사이타마 지방법원에서의 1심 판결 결과는 취소되었다. 아사히 신문 기사(日)게다가 2019년 법원에서 이제는 원세그 탑재 내비게이션이 있는 차량도 수신료를 내야 한다는 판결까지 나왔다. 당연히도 일본에서는 TV수신카드가 장착된 PC 또한 수신료 징수 대상이다.
이러한 상황이 일본 내 아이폰 보급률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원세그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91]이면 수상기로 인정되나 일본에서 시판되는 아이폰은 원세그 기능이 아예 없기 때문이다.[92] 스마트폰 보급 초기에 NHK 수신료 문제 때문에 일제 스마트폰 대신 아이폰을 택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아서, 아이폰이 지금까지 일본시장에서 최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93]
사실 원세그는 화질 문제[94] 등 태생적인 한계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어차피 무선 통신의 기술적 발전에 의해 버려질 과도기적 기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95] 다만, 재난 발생시에 비상 수단으로 쓸 수 있는 등 원세그만의 장점도 있어 거기에 대한 수요가 아직까진 높은 편이다.
7.4.1. 튜너리스 TV
이러한 수신료를 내지 않기 위해 NHK의 전파를 차단하는 필터를 다는 방법이 있었으나 법원에서는 언제든 필터 설치를 해제하고 시청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수신료를 내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반대로 공장 출하시부터 NHK의 방송이 나오지 않도록 가공되어있는 TV에 대해서도 "외부에서 증폭기 등을 이용하면 NHK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이유로 계약 및 수신료를 지불할 의무가 있다고 2021년 2월 도쿄 고등법원에서 판결하였다.[96] 즉, NHK 안 나오도록 설계된 TV라 해도 내장된 튜너가 일본 지상파 방송 규격( ISDB-T)과 호환되는 한 수신료 징수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심지어 설령 방송 규격이 달라서 호환이 안된다 해도 셋톱박스로 해결 가능하기에 마찬가지다.[97]이같은 흐름 속에, 2020년대 들어서는 안드로이드 TV가 설치된 스마트 TV가 인기를 끌고 있다. 튜너리스 TV(チューナーレス TV)라는 명칭 답게 동축 단자 없이 HDMI 등 영상 단자만 달린 것이 특징[98]인데, TVer 등 현지 OTT 서비스 확충으로 이런 시청 패턴이 증가하고 있다는 듯. 기사 또한 TV튜너 기능이 없는 PC, 스마트폰(일본산 제외), 태블릿 등에 대한 관심도 또한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NHK도 NHK+라는 자체 OTT를 출범시켰으니 어떻게든 돈을 받아낼 수단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을 듯하다.
더구나, 튜너리스 TV라 해도 최근에 '지상파 수신 및 HDMI 출력이 가능한 셋톱박스'를 통해 지상파 TV 시청이 가능해진 터라 튜너리스 TV와 PC 모니터도 수신료 납부 의무에 들어갈 가능성이 상당히 커진 상황이다.
7.5. NHK와의 계약 및 수신료 납부가 정말로 필요한 경우
일본에 거주하면서 민방의 상업광고 혹은 수위가 과도한 프로그램을 싫어하거나, NHK의 독점/반독점 프로그램을 원하거나, 부모로서 자녀를 둔 TV 소유자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이다. 우선 수신료로 충당하는 공영방송답게 상업광고가 아예 없다는 점이 NHK의 대표적인 강점이다. 일본 지상파 TV계의 유튜브 프리미엄이자 넷플릭스 스탠다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심지어 가정 한정으로 수신기기 제한이 거의 없어서[99] 가정에서 설치된 TV가 몇 대이든, 원세그를 따로 구비하든, NHK+를 이용하던 상관없이 지상파 수신료 이외의 추가 부담금이 없다는 것도 강점 중 하나다.[100]일본 공교육계의 경우 NHK 교육 텔레비전과 연동되는 경우가 많기에, 이걸 원치 않는다면 학습지 구독 등을 포함한 사교육밖에 답이 없다. 참고로 일본 학습지의 연간 구독비용은 대개 NHK 지상파 수신료를 아득히 능가할 정도로 매우 비싼 편이다. 더구나 민영 TV 방송들 특유의 폭력성/선정성 문제와 더불어 일본의 권장 시청 연령 등급 제도 미실시 등으로 인해 10세 미만의 어린 자녀들의 시청은 부모들의 특별 허락이 없는 한 사실상 NHK 교육 텔레비전의 어린이/교육 프로그램[101] 및 유아 대상 애니메이션[102]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것도 현실.
게다가 2022년에 들어 일본에서 OTT 열풍이 식은 감이 없지 않는데, 특히 일본의 독점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던 넷플릭스가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기로 결정할 정도로 상황이 그다지 녹록지 않다. 또한 OTT을 제대로 즐기려면 사실상 복수 구독이 필수인데다 줄줄이 구독료를 인상하는 중이라 상황에 따라 그냥 편하게 NHK에 계약하여 수신료 내는 것보다 부담이 더더욱 클 수밖에 없다. 거기다 NHK는 이미 수신료를 2개월당 2,200엔으로 인하한 상태다. 일본의 케이블/IPTV 또한 일본의 지리적 특성(지진), 그리고 단독주택 중심의 일본 주거환경 때문에 일부 농촌 및 지상파 난시청 지역이 아닌 이상 힘을 못 쓰고 물리적 한계(악천후에 취약)가 있는 BS 위성방송에도 고전하는 실정이다.[103]
재난 방송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NHK를 대체할 방송국은 현재까지는 지구상에 없는 상황이다. 심지어 한국의 KBS조차 NHK의 재난 방송 앞에선 명함조차 못 내밀 정도다. 뉴스 분야에도 마찬가지로 NHK 뉴스이야말로 일본 지상파 TV 업계에서 몇 안 되는 진짜 뉴스[104]라는 평이 적지 않은데, 실제로 다른 지상파 민영 TV들의 뉴스는 연성화/우경화로 인해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105]
또한 몇몇의 일본 애니메이션 작품들이 NHK 종합/교육/BS위성(BS, BSP4K 등) 채널에서 독점/선행 방영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만약 NHK를 싫어하는 사람이 선호하는 애니가 NHK에서 독점 방영하기로 결정이 날 경우에는 그들은 반드시 "수신료 내고 그 애니를 볼 것인가, 아니면 그냥 포기할 것인가?"라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106]
사실 수신료 징수 방식 논란과는 별개로, 상기와 같은 일은 모두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며, NHK가 공영방송인 이상 모두 일본 국민들이 낸 수신료로 그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 수신료가 한국의 KBS에 비해 비쌀 수밖에 없는 이유도, 그럼에도 한국의 KBS에 비해 비교적 잘 나가는 이유도 바로 그것이다.[107]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애초에 일본의 방송 환경은 한국의 방송 환경과는 달리 여전히 지상파가 주력인 점도 감안해야 하기에 더더욱 그렇다.
7.6. 그 외
2018년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 애니메이션의 첫 방송 직후, 작품의 호평과 함께 '기쁜 마음으로 NHK에 수신료를 낼 수 있다', '그동안 낸 NHK 수신료를 통해 사쿠라가 만들어졌으니 아깝지가 않다', 'NHK가 수신료를 걷기 위한 최종병기를 개발했다'와 같이 NHK 수신료와 결부지은 드립성 의견들이 쏟아졌는데, 그 중 압권은 "카드캡터 사쿠라가 시작했으니까, 이제부터 NHK 수신료를 걷는 수금원이 '수신료 안 내면 사쿠라쨩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다구요?(さくらちゃん見れなくなるよ?)'2021년에는 대형 호텔 체인 토요코인이 20억원대의 NHK 수신료 문제로 소송까지 갔다가 패소했다고 한다.
만신 데즈카 오사무도 NHK 수신료에 학을 뗐는지 철완 아톰의 에피소드 하나는 수신료를 까는 내용이다. 이상한 외계 전파 때문에 로봇들이 이상해졌는데 알고 보니 어떤 외계 행성에서 지구에 수신료를 거두기 위해 TV 전파를 송출했고, 수신료를 받으러 온 수금원 외계인은 TV 프로그램에 맞춰 난동을 부리는 아톰과 우란, 코발트에게 응징당한 뒤 송출을 끊고 빤스런을 한다. 1960년대에 나온 에피소드이니 당시부터 NHK 수신료 문제는 악명이 자자했던 듯하다.
구글 유튜브도 NHK와 그다지 다를 바 없는 짓으로 전세계적으로 비판받고 있다.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 안 하면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기 전이나 혹은 시청 도중에 상업광고를 자꾸 띄워 시청을 방해하는데, 심지어 상업광고를 차단하는 애드블록까지 차단하여 광고 차단을 아예 못하게 만들어 사실상 NHK의 월 수신료 수준의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을 강제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NHK와는 달리 유저에게 선택권이 있기는 하나, 유튜브 프리미엄의 월 이용료(월 1,180엔)가 NHK의 월 수신료(월 1,100엔)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 사실상 도긴개긴이다.
아마존닷컴에서 판매한 적이 있는 이라네치케라는 기계. |
8. 방송 프로그램
자세한 내용은 일본방송협회/방송 프로그램 문서 참고하십시오.9. 재난재해 및 긴급경보방송
|
NHK(일본방송협회)의 재난방송 자료이다. |
일본 기상청과 핫라인이 있어 지진 시작 3초만에 경보자막이 송출되고 30~60초 이내에 바로 뉴스특보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거나 지자체장의 지시에 따라 정규방송을 모두 끊고 긴급경보방송으로 전환한다. 핫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는 특보 원고를 자동으로 작성해주고 전국 각지에 설치된 500여대의 무인카메라가 촬영한 지진 발생 순간이나 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긴급경보방송으로 전환되면 관련되는 정보를 영어와 중국어, 한국어/ 조선어, 포르투갈어로 전달한다. 영어는 물론이고 이웃국가 언어인 중국어와 한국어로 전하는 건 당연할 수 있다고 해도 뜬금없이 웬 포르투갈어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일본인이 가장 많이 이민 간 곳은 브라질로, 일본인 이민사에서 가장 역사가 긴 나라다. 일본계 브라질인들이 80년대 부로 역이민을 오면서 자연스레 포르투갈어도 수요가 늘었다. 일본계 브라질인이 많은 지역의 소규모 관공서 등에서는 영어와 포르투갈어만 대응하기도 한다.
2011년 도호쿠 대지진 당시에는 지진 감지 2초만인 오후 2시 46분 48초에 긴급지진속보 자막을 내보냈고 1분 20초만인 오후 2시 48분 19초부터 특보 방송을 시작했다. 대형 쓰나미(大津波) 경보가 발령된 것은 지진발생 3분여만인 오후 2시 50분 9초였다. 위 영상을 보면 도쿄의 스튜디오에 강한 진동이 와서 혼돈의 카오스가 펼쳐지는 와중에 아나운서는 꿋꿋이 멘트를 하고 있다. 진정한 방송인의 자세가 아닐 수 없다.[108][109]
헬기도 그와 동시에 출발해 지진 직후의 각 지역의 모습들을 생중계로 찍기 시작했는데, 특히 미야기현 센다이시[110], 나토리시를 휩쓴 검은 파도에 건물들이 쓸려나가는 장면은 전세계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었다. 이 장면은 헬기로 쓰나미를 생중계한 영상 중에서는 세계 최초이다. 모든 중계장비를 통틀어서 세계 최초의 쓰나미 생중계 영상은 이와테현 카마이시시의 어떤 다리 밑을 덮치는 거대 파도를 로봇 카메라로 중계한 것이다.
원래는 시민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아나운서가 침착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속보를 전하는 것이 매뉴얼이었다. 하지만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이러한 목소리가 시민들에게 사태가 어느 정도로 심각한지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대피를 지연시키는 큰 문제점이 발견되어 이후 매뉴얼을 변경하였다고 한다. 2012년 12월 7일에 도호쿠 일대에 쓰나미 예보가 다시 내려질 때는 '동일본대지진을 기억하십시오! 목숨을 구하기 위해 조금이라도 빨리 대피하십시오! 뒤를 보지 마십시오! 지금 있는 장소가 안전하다고 절대 생각하지 마십시오!' 라는 단호한 말투와 멘트로 바뀌었다. 이후 2016년 후쿠시마 지진에서도 같은 멘트와 다급한 멘트가 이어졌다.
J알러트나 특별경보[111] 등의 중요한 정보가 뜨면 모든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뉴스센터로 넘긴다.
2017년 9월 15일 북한의 ICBM 미사일 발사 당시. |
2018년 시마네 지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진도 5약 이상의 지진이 정파 방송 중인 새벽에 일어나더라도
이러한 이유로 일본 지진 소식을 국내 방송에서 보도할 때 높은 확률로 NHK의 보도 내용을 인용한다. 특히나 지진과 관련한 재난 상황에서는 NHK를 따라잡을 수 있는 방송사가 거의 없다시피하니 이는 당연하다. 특히 지난 2016년 9월 발생한 경주 지진[112][113]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그 외 폭우 예보 등 중대한 뉴스가 있는 경우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거나 다음 프로그램을 휴방해서 뉴스속보를 편성하거나 정규 뉴스 프로그램 시간을 연장하거나 한다. 해당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서 다음에 방영되는 프로그램 시작시간을 미루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예컨대 뉴스7의 경우 20시 42분에 방영 예정인 '#NHK'(해시태그 NHK)를 휴방하고 해당 방영분량만큼 3분을 연장해 방송하고 19시 30분 이후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3분씩 딜레이하여 송출하는 방식이다. 더 중대한 내용인 경우 19시 30분부터 27분간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휴방한 뒤 해당 프로그램 분량인 27분 연장방송 후 아예 20시부터 정규방송을 진행한다.
사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도 긴급재난문자(에리어메일(NTT)/긴급속보메일(소프트뱅크)) 서비스가 시행 중에 있으나, NHK의 긴급재난방송에 밀려 사실상 콩라인으로 전락된 상태다.[114] 물론 평소에 TV보다 휴대폰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에겐 일본의 긴급재난문자 또한 재난에 대비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10. 反NHK 세력
10.1.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자세한 내용은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문서 참고하십시오.타치바나 타카시가 만든 정당으로 NHK를 부수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수신료 납부 거부 운동과 NHK에서 벌어진 범죄 현황 등을 밝히고 있다.
이름답게 강력한 反NHK를 모토로 요금징수를 피하는 방법부터 재판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 재수없게 NHK로부터 재판에 걸려 곤란해 하고 있는 시민들을 무료로(!) 도와주고 있다. 원래 이 사람이 NHK 직원이었다가 내부 횡령을 고발해 반쯤 강제로 퇴직했고 이때부터 反NHK, 수신료 거부 투쟁을 벌이다가 결국 당까지 만들어 출마하게 된 것. # 이 정치인의 다른영상의 사례지만 재판에서 38만 엔의 미납 수신료에 대해 일정부분은 징수를 인정하나 일정 부분은 인정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와 결과적으로 38만 엔에서 8만 엔으로 줄어든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NHK는 무슨 패기인지 그대로 38만 엔의 납부 통지서를 보내왔다. 빡친 이분은 NHK에 직접 따지러 갔더니 숨어서 아무런 답변도 못해주니 돌아가라고 배째라식 대응을 하길래 못간다, 그럼 경찰을 불러라고 해도 그냥 대꾸도 안하고 얼굴도 안내비치는 치졸함까지 보여줬다. 힘없는 시민들 앞에선 집요하게 돈을 뜯어내려고 하면서 막상 이렇게 힘있고 똑똑한 사람이 나서면 소인배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일본에서 NHK수금원 때문에 골치아픈 사람들은 참고해보면 좋을 듯 하다.
수신료에 대한 반감이 일본 시민들의 공감을 많이 사긴 했는지, 타치바나 타카시의 ' 폭풍의 당'은 2019년 7월 21일에 열린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정당 지지율 2%를 넘어서 의석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2019년 선거에서 N국 소속으로 유일하게 당선된 비례대표 1번 타치바나 타카시 당 대표의 정견발표회 풀영상. 더쿠에서 이 영상을 본 글이 올라왔는데, " 불륜! 노상! 카섹스! 라고요!"[115]를 타치바나 타카시가 여러번 반복(거의 3분에 한 번 꼴로 나온다)하는 것이 웃기다는 반응. 또한 "NHK 수신료 징수원이 집에 찾아오면 내 이름(타치바나 타카시) 대라"라고 한다거나, "타치바나한테 전화합니다?!"를 외치면 NHK 수신료 징수원을 꺼지게 할 수 있다, "NHK 욕하는 방송을 NHK에 출연해서 할 수 있네요" 등의 발언이 화제가 되었다.[116]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최고의 짤방으로 등극한 짤방 |
10.2. 그 외
-
DHC- 한때 존재했던 반NHK 세력이자 혐한 기업. 회장 요시다 요시아키가 "(우리 회사의 인종차별을 문제 삼은) NHK는 일본의 적이다. 때려 부숴야 한다!!"라는 발언을 한 게 그 증거다. # 그러나 해당 발언으로 인해 회장은 오히려 일본 내에서도 '지능적 친한파'이자 '지능적 NHK 홍보대사'라는 욕이란 욕을 다 먹었다. 그럼에도 아직도 정신 못 차렸는지 혐한 마케팅을 일삼아 오다 결국 경영 악화로 인해 친한/친글로벌 금융 기업인 오릭스 그룹에 인수되는 엔딩을 맞이하고 말았다. DHC의 회장였던 요시다 요시아키는 오릭스의 경영진에 의해 해고된 건 물론 덤이다.
11. NHK배
자세한 내용은 NHK배 문서 참고하십시오.12. 여담
- 약칭과 정식 영문 명칭이 따로 노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영어 저작권 표기 등에서도 "NHK (Japan Broadcasting Corporation)[117]"라고 표기하는데, 일본인이라면 자국어 발음을 로마자로 옮긴 뒤 줄인 것임을 바로 알 수 있지만[118] 외국인 입장에서는 NHK가 무엇의 약자인지 어리둥절해질 수밖에 없다.
- NHK의 로고는 3번 바뀌었다. 1963년부터 1994년까지 쓰이던 각진 로고도 유명하지만, 1995년부터 2020년 3월까지 썼던 달걀 로고가 압도적으로 유명하다. 워낙 특이한 모양새라서 패러디도 자주 됐었다. 그러나 2020년 3월부터 다시 달걀 모양을 없앴다.
- 아베 내각(특히 2기 내각이후) 들어 햐쿠타 나오키 같은 친정부 우익 인사들을 배치하는 등, 친정부적 성향/우경화/ 국영방송화가 상당히 강해졌다. 특히 아베 내각에서 아베정부를 노골적으로 편드는 행위로 인해 일본 내 보수 언론도 비판을 하고 있다. # 다만, 이는 아베 내각 집권기간 한정이며, 시사/보도와 관련 없는 프로그램은 대개 아무 영향이 없는 듯하다. 정작 그렇게 NHK 장악에 성공했던 아베는 2020년 퇴임했고, 스가 요시히데 총리의 과도기를 거쳐 기시다 내각이 출범한 이후로는 NHK가 다시 중립으로 되돌아간 듯 하다.
- 백괴사전에서는 왜국 포장 협회라고 하고 있는데, 이는 방송(放送)과 포장(包装)이 일본어로 동음이의어(ほうそう)인 것을 이용한 것이다. 내용 또한 상당히 아스트랄한데, NHK가 일본의 택배·통운·포장 이사·도로 포장을 독점하고 있다고 하고, NHK가 꿈의 직장이라고 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도로 포장은 일본어로 舗装(ほそう)라고 하고, 방송과 포장(包装)과 동음이의어가 아니지만 장음 하나 차이로 뜻이 갈린다. 즉 이 경우는 발음의 유사함을 이용한 것.[119]
- 노조의 성향이 강해서, 자민당과 원수였던 시절도 있었다. "방송 중립성을 지키라"라는 말이 자민당 의원들 입에서 나올 정도. 그래서 종종 넷우익으로부터 NHK 민영화론이 제기되곤 하는데[120] 자민당에 우호적인 신문사들( 산케이 신문, 요미우리 신문)도 방송사를 운영중이다. NHK를 민영화시키면 이들 신문사들도 손해를 보기 때문에 앞으로도 NHK가 민영화될 일은 없어보인다. 일본의 인구수는 정체 내지 감소세이고, 경제성장도 정체상태이기 때문에, 광고시장도 정체되어 있다. 그나마 성장하고 있는 분야도 인터넷이나 케이블TV로, 신문광고는 매년 감소세인데다가 지상파와 라디오 광고는 조금씩 하향세를 타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NHK가 갑자기 민영화되면 그나마 줄고 있는 파이를 NHK가 나눠먹기 때문에 기존 민영방송사로써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고, 당연히 진보적인 성향의 신문사가 아닌 보수적인 성향의 신문사라도 NHK 민영화 주장에 대해 우호적일 리가 없게 되는 것이다.
- 몬스터 같으면서도 익살스러운 마스코트 '도모군(どーもくん)'이 유명하다. 어째서인지 영미권 인터넷에서 밈으로도 알려져있다. 토끼할배(うさじい)[121]가 사는 굴[122]에서 식객으로 거한다는 설정이다. 여친은 치타(たーちゃん, 타쨩)다. 단편 애니메이션과 게임('도모군과 이상한 텔레비젼')도 있다. 한국에서는 투니버스에서 한국어 더빙으로 방송하기도 했으며, 이후 니켈로디언에서도 재방영하였다.
- 일본 방송국 중에서 엔드 사인이 인상깊기 때문인지, 아예 2ch에서 어떠한 이벤트 혹은 사건이 끝나버렸다 정도를 의미할 때 쓰이는 AA네타로 정착되어버렸다. 보통 프로그램이 끝날때 終(혹은 히라가나로 훈독 おわり)라는 글자와 함께 밑의 줄 아래로 ' 制作・ 著作 NHK'라는 글자가 새겨진 엔드 사인이 나온다. # 2CH에서 AA로 쓰일 때는 글자가 넓어보이게 하기 위해 終자를 糸冬로 늘여쓴다. 해당 표시는 2021년 4월에 없어졌으며, 이후 제작되는 프로그램부터는 '終' 표기 없이 '制作・著作 NHK'라고만 표시한다.
- 일본 지상파 TV 방송국 중에서 유일하게 방송 시작할 때와 끝날 때 기미가요를 틀어준다.
- 일본 방송계가 저작권, 전송권 등의 문제가 까다롭다보니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지 않다가 최근에서야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했는데, 그것도 일본 내에서만 접속가능. 이는 NHK플러스도 마찬가지. 그래도 Radiko와는 달리 로케이션까지 따지지는 않으므로 VPN만 사용하면 해외에서도 접속 가능하다. 해외에서도 자유롭게 청취할 수 있는 영국의 BBC와 정반대되며[123], 해외에서도 라디오 청취가 가능한 한국의 KBS와도 많이 대비된다.[124] 단, 이 문제에서 국제 단파방송인 NHK 라디오 일본은 당연히 예외. 특히 NHK 월드 프리미엄의 다시보기도 뉴스 프로그램만 제공된다.
- NHK 중파방송의 음질은 중파방송 치고는 수려한 편이다. 컴프레싱 처리가 너무 많이 들어간 서유럽과 KBS의 중파방송과는 다른 대목.
- 골든 위크라는 단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방송국이기도 하다. 심지어는 이니셜인 GW조차 일절 사용하지 않는데, 골든 위크라는 표현이 영화업계에서 생겨난 말인지라 간접홍보의 우려가 있어 골든 위크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 대신 "5월의 대형연휴"라고 일부러 풀어서 쓴다.
- 위와 같은 맥락에서 화학조미료란 단어를 만든 곳도 다름아닌 이 방송국이다. 아지노모도라는 상품명을 쓸 수 없었기 때문에 만든 단어인데, 1980년대 이후 해당 단어가 부정적인 어감으로 바뀌면서 NHK도 결국 '\감칠맛 조미료'(うま味調味料)란 단어로 다시 한번 순화했다. 오히려 지금은 '화학조미료'란 말을 방송국 내에서도 쓰지 못하게 한다.
- 북한 관련 소식에 밝다. 국내 언론 보도에 NHK 보도가 매우 애용되는 수준. 심지어 2006년 월드컵 당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1시간도 되지 않아 뉴스 속보를 전했고 30분 뒤 이를 인용해 SBS가 국내에서는 제일 처음으로 속보 자막을 내보냈을 정도.[125]
- 2016년 2월 7일의 북한의 미사일 발사때에는 발사[126] 3분만인 오전 9시 34분에 뉴스를 시작하고[127] 그로부터 1분후인 오전 9시 35분에 낙하예상지역인 오키나와현 나하시, 미야코지마시, 이시가키시의 항공자위대 기지에 깔린 라이브카메라 영상을 내보내는 위엄을 보여줬다. 자세한 사항은 여길 참고.
- 노홍철이 MBC의 '자체발광'에서 ' 한국어로만 해외여행이 가능할까?'라는 기획을 찍은 적이 있는데, 이때 엉덩이 씨름을 하다가 NHK 시즈오카 방송국의 지역 뉴스에 등장한 적이 있다. 링크는 여기이며, 노홍철은 1분 9초 쯤에 나온다. 초등학생에게 패배했다.[128]
- 2009년 5월, 주일미군 기지인 아카사카 프레스 센터 부지의 일부를 40년간 소유하고 국가에 임차했던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 2013년 아키히토 덴노의 80세 기념 발언들을 일부 편집해 방송하여 일본 내에서 논란이 일었다.
- 2014년 임명된 낙하산 사장의 선례가 아니더라도 NHK는 예산, 인사 등에서 국회의 승인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정치적 관계에서 제대로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 2014년 1월 25일에 모미이 카즈토 본사 회장이 취임사에서 "위안부는 어느 나라에나 있다"라고 주장하여 한국과 중국 등 이웃 나라에까지 파문을 일으켰다.
- 일본 네티즌들 사이에서 NHK의 진심(NHKの本気)이라는 용어와 태그가 존재하는데, 민방이 할 수 없는 일을 한다던지, 쓸데없는 고퀄리티로 다큐멘터리를 내놓는다던지, 카드캡터 사쿠라 같이 불순한 작품을 공영방송에서 방송한다던지, 어쨌든 뭔가 NHK스럽지 않는 행보나 기대 이상의 고퀄리티를 보여줄 때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거 #
- 방송 사이사이에 동일본대지진 피해자/지역의 복구를 응원하는 노래로 나오는 노래인 ‘꽃은 핀다’ (花は咲く) 라는 노래가 있다. 일본의 다양한 가수와 사람들이 다양한 형태로 부르는 걸 지속적으로 방영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야마데라 코이치・ 미즈키 나나가 부르는 버전도 존재한다. 해당 버전은 2022년 시점에는 그렇게 방영 되지는 않는다. 해당 버전은 일단 노래는 둘째치더라도 비디오영상이 역대급 일본 애니메이션 올스타를 방불케 할 정도로 비범하다.[129][130] #
-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긴 한데, 건물 지하에는 천년 전의 옛 배수로 유적이 대거 발견되자, 이를 통째로 보존해버렸다.
- NHK에서 일하던 도사카 준이치 아나운서가 2003년부터 2007년 사이에 급격히 노화되어 주목을 끈 적 있다.
- 2019년 6월을 앞두고 NHK는 조직개편을 추진중에 아베 정권에 대해서 비판적인 제작부서를 손볼려는 의혹을 산적 있었다.. #
- 새로운 연호( 레이와)를 발표할 당시 연호가 쓰여진 액자를 수어 통역 화면으로 가려버리는 대형 사고를 쳤다. 이후 코토덴이 이 사고를 패러디해서 교통카드로 내놓았고, 순식간에 품절되는 등 한동안 놀림거리가 되었다. 당시 영상
- 연봉이 높기로 유명하다. 무려 공무원 보다 연봉이 높다고 하는데 국회에서 어떤 의원이 NHK 간부에게 왜 이렇게 연봉이 높냐고 묻자 어버버 거리면서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라는 답변을 했다. 질문한 의원은 너희들이 공무원보다 우수한 인재란말이냐? 라는식으로 화내자 결국 찍소리도 하지못했다. 일정 년도마다 급여를 삭감하고 있는 듯하지만 그래도 아직 높은 편이다.
- 공영방송이어서 그런지 자사 아나운서를 비롯한 소속 직원들에 대한 사생활 보호가 철저하다. 대표적인 예로, 스즈키 나오코 아나운서가 임신으로 인해 2018년 10월에 뉴스를 잠시 쉰 적이 있고, 2019년 3월 말을 끝으로 출산휴가에 들어갔는데, 누가 봐도 날이 갈수록 배가 불러오는 것이 눈에 보임에도 처음부터 끝까지 스즈키 아나운서가 임신 및 출산으로 뉴스를 쉰다는 발표를 하지 않았다. 소속 아나운서의 SNS 계정 같은 건 금지하진 않지만, NHK 직원 신분인 만큼 NHK에서 정한 SNS에 대한 가이드라인 규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고, 이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131] 이러한 이유로 NHK 아나운서의 경우, 다른 방송사의 아나운서와는 달리 SNS 활동을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132][133] 대외적으로 관심이 많은 이들의 정보는 그래서 주간문춘 같은 황색언론을 통해서나 종종 노출된다. NHK 아나운서 아무개가 결혼했다는 보도를 황색언론이나 스포츠 신문에서 하는데, 그에 대해서 꼭 따라붙는 NHK의 공식 멘트가 '사생활에 대해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라는 식이다.[134]
- 다만, 사내 부부가 생기면 해당 부부를 위해 휴무를 동일하게 지정해 주는 등 일종의 배려를 해 주는 부분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예컨대, 2023년 4월 개편과 맞물려 이노우에 유우키 아나운서와 결혼한 카와사키 리카 아나운서를 와쿠다 마유코 아나운서의 출산휴가 복귀와 함께 평일 NHK 뉴스 7 필드캐스터[135]로 배치한 부분 등.
- NHK의 본부 및 각 지역 방송국은 일본 민영방송과는 달리, KBS처럼 NHK라는 단일조직 내에 있기 때문에, 아나운서는 전국 근무를 전제로 채용한다. KBS처럼 지역 방송국에 1~2년 정도 잠깐 갔다가, 본부로 올라와서 정년퇴직 할 때까지 본부에서만 쭉 근무하는 형태는 거의 없고, 첫 근무지에서 평균적으로 3년~4년 정도(짧게는 1년 정도, 길게는 5년 정도) 지난 이후에 전보된다. 첫 근무지를 경험하고 바로 도쿄에 올라오는 아나운서들이 일부 있지만, 대다수의 아나운서들은 두 번째 근무지 또는 세 번째 근무지를 거치고 나서 도쿄에 올라오는 편이다.[136][137] 도쿄에 올라온 이후, 정년까지 계속 도쿄에서 근무하는 아나운서들이 일부 있지만[138], NHK는 전국 단위 순환근무가 전제이고, 인사 고과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대다수의 아나운서들은 이후에도 계속 전근을 가게 된다.[139]
- 2020년 3월 부터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동시송신 방송을 시범 개시했다. 다만 한국처럼 영화나 일부 저작권이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든 방송이 전부 인터넷으로 재송출 되는 것과는 달리 역시 저작권이 빡센 NHK답게 일부 프로그램은 인터넷 송출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지역국 자체 프로그램[140] 등 NHK 자체 프로그램인데도 송출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역시 일본 거주지 IP에 한해서만 볼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사람은 우회를 통해서 시청을 할 수 있다. 우회 및 NHK 실시간 방송 시청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 링크 다만,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NHK 종합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일부 NHK 교육 텔레비전 및 BS 프로그램이 NHK 월드 프리미엄을 통해 시청 가능하니 유료방송[141]에 가입해서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방법도 있다.
- 2020년에 창궐하고 있는 코로나 19에 대해서 기존 재난방송의 명가 NHK라는 이미지와 정반대로 부실하다는 평이었다. NHK가 아베 정부에 비판적인 내용을 송출하다가 빠꾸를 먹은일을 생각해보면 윗선에서 눈치보기에 급급한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 한국인들에게는 홍백가합전이 가장 많이 알려진 프로그램이다. 일본 내에서는 기업이나 인물의 성공 드라마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한 프로젝트 X가 NHK 답지 않게 공전의 히트를 치면서 5년간 장수하는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적이 있다. 한국에서도 수입돼서 방영 중이다. 근데 이런 류 프로그램의 특성상 애국심이 조금 있는데[142] 이걸 싫어하는 한국인들 때문에 마찰이 좀 있다.
- 히로시마 방송국에서 "만약 75년 전에 SNS가 있었다면?"이라는 주제로 가상인물 트윗을 했는데 여기서 우익들의 날조인 조선진주군 등을 연상시키는 내용(조선인이 전승국 행세를 하고 폭동을 일으켜 사람들을 공격한다는 내용) 등 혐한을 발산하고 있다. # # 이에 민단측에서 인권 구제 신청하였지만, 히로시마 법무국은 "침범 사실이 있었다고까지는 판단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 이후 사과 없이 해당 트윗을 삭제했다. # 사실 종전 전후의 일본은 물론이고 현대까지도 남아있는 소문이므로[143] 어떤 의미에서 보면 고증을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아무런 설명도 여과도 없이 당시 퍼져있던 헛소문을 게시하는 것은 문제의 여지가 크다.
- NHK에서 방영하는 애니메이션은 오프닝·엔딩 크레딧 표기를 제대로 안 하기로 악명이 높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불명이지만 작화감독만 표기하고 총작화감독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으며, 제작위원회 구성원 표기 또한 생략하는 편이다. 원작자 크레딧도 작가 이름만 표기하고 출판사와 연재잡지는 생략한다. 스태프 수가 많으면 일부 스태프 이름을 빼버리기도 한다. 그래서 NHK 애니메이션의 스태프롤 표기는 매우 부정확한 편이다. 특히 2016년 4분기부터 방영을 시작한 종합 TV 심야 애니메이션이 이런 경향이 심한 편이라 아예 오프닝·엔딩 영상을 NHK 방송판과 타 버전(VOD판, BD판, 해외판)으로 이원화하는 경우가 많다.[144]
- 2020년 도쿄 올림픽 개막식에서 와쿠다 마유코 아나운서가 대만 대표팀이 입장하는 순간 갑자기 고조된 억양으로 타이완데스!라고 하는 바람에 중국 내에서 갑자기 송출이 중단되었다. 중국 내에서 텐센트가 도쿄 올림픽 개막식을 독점적으로 송출하였는데 강제로 돌연 송출을 중단하자 시청자들이 텐센트에다 자기네 나라 대표팀이 나오는데 왜 멍청하게 송출을 끊었느냐고 분노하는 바람에 중국 본토 내에서 항의 댓글에 시달려야 했다. # 또, 올림픽 개최 반대자들을 돈을 받는다는 방송을 보내다가 조사에서 조작방송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
- 엔에이치케이 월드 재팬 뉴스 한국어판이라는 것이 있다.
- 산하 조직으로 도쿄 세타가야구 소재 NHK방송기술연구소가 있다. 방송국 산하이면서도 어지간한 전자 대기업 연구소에 맞먹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아날로그 하이비전을 필두로 하여 세계 영상 기술 분야에서 입김이 세다.
-
NHK for
school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한국에서는 각 교과서 출판사들이 워크시트 및 영상 자료, 지원 프로그램을 직접 제공하는 것과 대비되여 NHK에서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학교의 선생님들이 사용하는 만큼 각 영상 자료와 관련된 워크시트나 영어의 경우 대본, PPT까지 알찬 구성을 제공하는 것은 덤. 학생 또한 이용이 가능하며,
한국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물론 한국에서 이걸 사용하는 사람은 없겠지만일본 내의 모든 교과서가 최신본의 경우 대응한다. # 또한 교육 방송으로 NHK E를 송출 중이다.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강좌 또한 제공하고 있어,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강좌로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공영방송인 만큼 내용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퀄리티가 우수한 편이다. NHK for school 처럼 직접 프린트 해서 할 수 있는 점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반대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일본어 학습 강좌를 서비스 중이다. 이는 NHK에서 직접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NHK의 자회사인 NHK 엔터프라이즈가 제공하는 NHK World Japan[145]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일본어 강의에서도 활용할 만큼 매우매우 충실하다. 무엇보다 듣기 ~ 쓰기까지 모두 제공하며, PDF로 워크북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위에 상술하는 모든 서비스는 무료이다. NHK World Japan 자체는 이러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영어로 제공되는 뉴스나 다큐멘터리, 한국어 VOD 등 많이 제공하니 가능하다면 한번씩 시청해 보는 것도 좋다. # 이 점은 1990년까지의 KBS 3TV처럼 한국에서 KBS와 EBS가 합쳐진 형태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QR코드 사용을 굉장히 좋아한다. 수도권 네트워크나 홋토 간사이등 지역 프로그램 및 각종 교양 프로그램에 해당 QR코드를 인식시켜 NHK+로 다시보기를 하거나, 홈페이지로 접속하라는 등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 NHK 본국(요요기 스튜디오) 건물 옆에는 방송체험 공간인 NHK 스튜디오 파크가 있었으나 코로나19 시국 장기화와 더불어 방송센터 재건축 공사 준비 등으로 인해 2020년 5월부로 조기 폐관되었다. 참고로 원래는 2026년에 폐관될 예정이었다. # 재개장은 신 방송센터 완공 이후(2036년 예정)에야 이뤄지며, 그 전까지는 당분간 NHK 방송 박물관과 NHK플러스 크로스 SHIBUYA가 스튜디오 파크의 기능을 대체한다. #
- 공영방송이란 태생적 한계 때문인지 영상물에 대한 검열과 통편집이 심한 편이다. 대개 폭력성이 높은 장면이 주요 검열 대상이라 한다. 이러한 검열로 피해을 본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빈란드 사가 애니메이션 1기 등이 있다. 이건 다른 나라의 공영방송 ( KBS, EBS, BBC, PBS 등.) 또한 마찬가지.
- 1996년 사이트 아카이브 기록이 남아 있다. 1996년 11월 12일 아카이브
13.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6d6d6><tablebgcolor=#fff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운영 주체 | 방송국 | |
공영 · 공공 | |||
NHK | TV | 종합 · 교육 | |
라디오 | 제1방송 (종합) · 제2방송 (교육) · FM (음악) | ||
민영방송 | |||
닛케이 신문 | TV |
방송망:
TXN (종합) 방송국: 테레비 도쿄 ( 간토 / 키국) · 테레비 오사카 ( 간사이 / 준키국) |
|
라디오 | 라디오 닛케이 ( 단파) | ||
마이니치 신문 ([[TBS 홀딩스|{{{#ffffff TBS 홀딩스}}}]]) |
TV |
방송망:
JNN (종합) 방송국: TBS 테레비 ( 간토 / 키국) · MBS ( 간사이 / 준키국) |
|
라디오 |
방송망: JRN 방송국: TBS 라디오 ( 간토) · MBS 라디오1) ( 간사이) |
||
아사히 신문 | TV |
방송망:
ANN (종합) 방송국: 테레비 아사히 ( 간토 / 키국) · ABC 테레비 ( 간사이 / 준키국) |
|
라디오 | ABC 라디오1) ( 간사이) | ||
요미우리 신문 | TV |
방송망:
NNN (
뉴스) ·
NNS (기타) 방송국: 닛폰 테레비 ( 간토 / 키국) · 요미우리 테레비 ( 간사이 / 준키국) |
|
라디오 | RF 라디오 일본 ( 간토 / 요코하마 소재 독립국) | ||
후지산케이 (산케이 신문) |
TV |
방송망:
FNN (
뉴스) · FNS (기타) 방송국: 후지 테레비 ( 간토 / 키국) · 간사이 테레비 ( 간사이 / 준키국) |
|
라디오 |
방송망: NRN 방송국: LF 닛폰 방송2) ( 간토) · OBC ( 간사이) |
||
기타 | 방송대학3) | ||
TV | 독립방송협 · 민교협 | ||
라디오 |
QR 분카 방송2) 4) JFN ( FM 도쿄 / FM 오사카) JFL ( J-WAVE / FM 802) MegaNet ( InterFM897 / FM Cocolo) 친목단체: 화요회 · 전국 FM 연합 기타: 공동체 라디오 |
||
각주 |
1) JRN, NRN 동시 가맹. 2) NRN 공동 키국 3) 간토 지역에서 지상파 송출 4)후지산케이 소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 }}}}}} |
국제 보도전문채널 | |||
{{{#!wiki style="margin:0px -11px -6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word-break:keep-all" |
CNN International
|
BBC News
|
FOX NEWS
|
Euronews
|
Deutsche Welle
|
France 24
|
|
RT
|
CCTV-4
|
CGTN
|
|
YTN WORLD
|
NHK 월드 JAPAN
|
Al Jazeera
|
|
DD India
|
}}}}}}}}} |
[1]
2023년 4월, NHK 관련단체 개편을 단행하면서, 일반재단법인 NHK서비스센터를 존속법인으로 두고, 일반재단법인 NHK인터내셔널, 일반재단법인 NHK엔지니어링시스템, 일반재단법인 NHK방송연수센터를 흡수합병하는 형태로 발족했다.
[2]
2023년 4월, 일반재단법인 NHK재단 산하의 자법인이 되었다. 원칙대로면 NHK재단에 흡수합병되야 하지만, 공익재단의 독자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흡수합병이 아니라, 재단 산하의 자법인으로서 존속하고 있다.
[3]
2018년 3월까지 정식명칭은 학교법인 일본방송협회학원이었으며, 2018년 4월부터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4]
도쿄 - 오사카 - 나고야 다음 네 번째로 설치된 방송국이라 JODK라는 콜사인이 붙었다.
[5]
이 때문인지 NHK가 가진 호출부호 중 유독 JODK만 콜사인이 아직도 결번이다. 다만 JODK를 제외한 다른 조선방송협회 지방국이 쓰던 JO- 호출부호는 현재 다른 NHK 지방국에 모두 배정되어 있다.
[6]
여담으로 이 4자리 콜사인의 첫 글자인 J는 일본(Japan), 세번째 글자는 개국 순서(A, B, C, D…)를 뜻하는데, 두번째의 O와 마지막의 K에는 딱히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도 무엇의 약어인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고 K는 협회(協会, Kyōkai)를 의미한다는 가설을 제시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다만 라디오를 통해도 소리가 명료하게 잘 들리는 알파벳을 끼워넣었을 뿐이라는 게 정설.
[7]
다만 디지털 분야 기술 또한 여전히 명가의 위치다. 디지털 전송 기술을 제외하고 기존 아날로그 분야의 노하우를 그대로 이식 가능한 분야들이 많기 때문. 디지털 위성방송은 2000년에 BS 디지털로 시험방송을 하긴 했다.
[8]
또한 한국의 경우, 2002년 월드컵을 대비해 HD방송을 2000년부터 일찍 시작한 편이다. 미국(워싱턴 D.C.의 NBC 가맹국 WRC-TV를 선두로 가장 먼저 HD방송 시대를 열었지만 여러 사정으로 전국화 지연)과 유럽(DVB-T 전송 방식인 COFDM의 당시 기술적 한계로 HD방송 개막 지연) 조차도 2004년 쯤 돼서야 본격적으로 HD방송을 시작했다.
[9]
뉴스 클립은 1997년부터 시청이 가능했다.
[10]
일본의 저작권법은 외국에 비해 다소 폐쇄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
NHK 자체적으로도 이 문제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인터넷 송출 초창기인 2000년도에 이미
BS23 같은 국제뉴스 보도에서
BBC 온라인 페이지의 인터넷 송출을 스튜디오에 노트북 갖다놓고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소개했을 정도.
[12]
그래도 뉴스 프로그램이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4만 4천 개나 남았다.
[13]
사실 이 부분은 한국도 마찬가지였는데 1970년대 초, 중엽까지 비디오 테이프의 개당 가격이 비싸다 보니 재활용해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이전까지 TV 프로그램 촬영에 쓰는 비디오 테이프를 다시 돌려 쓰는 것이라는 개념이 팽배해있었다. 그래서 1980년대 이전의 한국의 TV방송 또한 자료 보존이 잘 안 되어 있다.
[14]
그리고 프랑스나 독일같은 몇몇 나라들만 보존을 잘했지, 영국 BBC같은 방송사들 조차 테이프 관리는 생각보다 부실했다. 어쩔 수 없는 아날로그 시대의 문제점이라고 생각해야된다.
[15]
이는 모든 자사 채널에 상업광고를 일절 하지 않고 분리징수가 원칙인 NHK와는 달리
KBS는 1994년 이후로 '수신료(전기료와 합산 청구)+상업광고(2TV)'라는 기형적인 수익구조를 고수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1994년 이전에는 1TV에서 수신료와 (제한적이지만) 상업광고를 함께 받았었다.(이때는 KBS도 수신료 징수 체계가 분리징수 체계였다.) 다만, 2TV의 광고 수입도 나날이 줄어들고
2023년 윤석열 정부가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을 공표한 상황이라 KBS가 이런 기형적인 수익 구조를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16]
또한 프랑스의
프랑스 텔레비지옹은 수신료를 비싸게 받으면서, 상업광고도 동시에 병행하고 있다..."공영방송사"라는 어쩔 수 없는 특성이기도 하다.
[17]
2000년대 이후의 KBS 제1라디오는 뉴스시사 전문 채널로 성격이 변모했다.
[18]
일단 EBS FM에서는 기상통보를 방송하지 않고 있으며 주식시황 프로그램도 없다.
[19]
정확히는 두 채널을 섞어놨다고 봐야 할 것이다. 과거의 KBS 지역국 FM방송과 비슷한 경우.
[20]
대한민국 KBS 2FM에서도 라디오 정보센터 뉴스를 매 56분(광고방송 시행 전 58분)에 편성했었으며 2022년 현재는 일 1회(18시 30분) 편성하고 있다. 1990년대 ~ 2000년대 초까지 MBC FM에서도 30분 광고 후 1분 뉴스를 송출한 적도 있었다.
[21]
초창기는 5분짜리 'BS 55'였는데 초창기 공영방송의 특징이던 '정시에 뉴스를 전한다'는 개념이 BS에도 그대로 들어온 것. BBC의 경우도 이런 흔적이 남아있어서 NewsBeat 같은 프로로 소식을 전하기도 하고, NHK의 경우는 종합채널에서 야구 중계나 스모 중계 중에도 오후 5시만 되면 무조건 중계를 잠시 자르고 뉴스를 내보냈다.
[22]
항공업계의
스타 얼라이언스나
스카이팀처럼 별도의 가맹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공영방송끼리는 복수 협력관계로 얽혀있어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BS1에서 내보내주는 국제뉴스는 대부분 포함이라고 보면 된다. 이 때문에 BBC의 콘텐츠는 한국에서는 KBS, 일본에서는 NHK가 우선협상 대상자가 된다. 특이사항으로 홍콩에서는 네트워크 관계에
TVB 대신
aTV가 들어와있었고, 독일은 DW나
ARD가 아닌
ZDF가 들어와 있다. 반대로 민영들끼리의 네트워크도 있는데,
MBC는 미국
CBS(미국 방송)나 일본
후지TV 등과,
SBS는 미국
NBC(미국 방송)나 일본
닛폰 테레비 등과 제휴하여 느슨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23]
현재는
KBS N으로 방송국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채널이 사라졌다.
[24]
현재 유료SO용 방송국인 KBS N으로 개편되면서 지상파의 1TV/2TV를 중계하는 중이다.
[25]
주로 종합 채널에서 방송하기 1~2시간 전에 BS프리미엄에서 먼저 방송한다.
[26]
현재는
KBS LIFE로 재편되었다.
[27]
해외 드라마 등 외주 제작 프로그램은 제외, 대체 영상을 송출했다.
[28]
정년 연장의 개념인 촉탁직원으로 근무하는 아나운서까지 포함하면, 그 이상으로 있다.
[29]
라디오 프로그램 제작 담당 아나운서가 30여 명 정도, 프로그램 진행을 담당하는 아나운서가 10여 명 정도 된다. 라디오센터 소속 아나운서들은 기본적으로 라디오 프로그램에만 출연하고, TV 출연은 원칙적으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작 담당 아나운서는 2010년 이후부터 NHK 내부 방침에 따라, 라디오 프로그램 제작 담당 인력으로 분류되면서, 아나운스실 공식 홈페이지에 등재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이 라디오 프로그램 제작 인력으로 분류되었다고 해도, 아나운서로서의 역할은 그대로 유지하는 만큼, 실질적으로는 아나운서로 간주한다.
[30]
해당 자회사로의 파견은 어디까지나 파견이고, 정식 소속은 일본방송협회(NHK) 본부 미디어총국으로 되어있다.
[31]
이때는 오사카 방송국이 본부 역할을 하게 된다.
[32]
관리직 아나운서를 포함해서 최대 30명 전후 정도의 아나운서가 배치된다.
[33]
삿포로, 센다이, 나고야, 히로시마, 마츠야마, 후쿠오카
[34]
이들 중 나고야 방송국은 NHK의 발상지인 만큼, 도쿄, 오사카 다음의 규모였고, 아나운서 숫자도 그에 비례해서 2010년대 후반까지 20명대 초반 정도였으나, 현재는 NHK의 기능이나 역할 등이 도쿄, 오사카로 집중되면서, 나고야 방송국의 역할이 줄어들었고, 아나운서 숫자 역시 10명대 중후반 정도의 규모로 배치되고 있다.
[35]
요코하마, 마에바시, 미토, 치바, 우츠노미야, 사이타마
[36]
교토, 고베, 와카야마, 나라, 오츠
[37]
하코다테, 아사히카와, 오비히로
[38]
2022년 3월까지는 무로란, 쿠시로, 키타미에도 아나운서가 배치되었지만, 2022년 4월 홋카이도의 조직개편으로 세 방송국의 아나운스 부문이 각각 삿포로, 오비히로, 아사히카와에 흡수되면서 더 이상 아나운서를 배치하지 않는다. 참고로, 해당 방송국들은 아나운서가 배치되던 시기에 1명~2명 정도의 아나운서가 배치되었다.
[39]
츠, 기후
[40]
아키타, 야마가타, 모리오카, 후쿠시마, 아오모리, 나가노, 니가타, 고후, 가나자와, 시즈오카, 후쿠이, 도야마, 오카야마, 마츠에, 돗토리, 야마구치, 고치, 도쿠시마, 타카마츠, 구마모토, 나가사키, 가고시마, 미야자키, 오이타, 사가, 오키나와
[41]
NHK 본부 이외에도, 정년에 도달하기 이전에 NHK 관련 단체인 NHK 재단이나 NHK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에 파견되어 그곳에서 근무하거나, 정년에 도달하기 전에 해당 관련 단체로 전적(転籍)하여 근무하거나, 정년에 맞춰서 해당 관련단체로 전적(転籍)하여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NHK 본부 규정대로 적용된다.
[42]
단, 업무상으로는 사실상 NHK 소속처럼 근무하기 때문에 프리 아나운서와는 달리 운신의 폭이 넓진 않다. 이러한 부분 때문에, 촉탁직 정년인 만 65세가 되면 그대로 NHK에서 퇴사하는 경우도 꽤 있는 편이다.
[43]
2024년 4월 25일 ~ 현직
[44]
現 일본방송협회(NHK) 이사(2024년 4월 25일 ~ 현직)
, 前 아나운스실장(2024년 3월 5일~2024년 4월 24일)
[45]
부친인 타카이 마사노리(高井正憲)는
테레비 아사히에서 아나운서로 37년간 재직했다.
[46]
부친, 모친은
난카이 방송에서 각각 기자, 아나운서로 근무했다.
이러한 이유로 NHK 마츠야마 방송국에서 두번째로 근무할 당시(2018년 4월~2022년 3월)에는 NHK 마츠야마 방송국과 난카이 방송과의 공동 기획에 참여했다.
[47]
2015년 4월, 영업직으로 NHK에 입사했으며, 2018년 여름부터 아나운서로 전향했다. 참고로 입사 당시 성씨는 우치다(内田)였으며
, 아나운서로 전향한 시점에는 현재의 성씨인 하타케야마(畠山)로 변경된 상태였다. 이에 대해서 본인이 직접 언급한 적은 없다.
[48]
2022년 입사. 입사 전에는 NHK에서 패럴림픽 관련 프로그램의 리포터를 맡았으며, 대학 졸업 후에는 IT회사에서 근무를 했다.
참고로, 어린 시절부터 청각장애가 있었고, 인공와우 수술을 받았다고 한다. 주로 장애인 관련 프로그램의 취재 및 보도 등을 담당하고 있다.
첫 부임지는 오사카 방송국이고, 2023년 11월에 도쿄 아나운스실에 부임했다.
[49]
이전에는
홋카이도에 9개 방송국이 존재했지만, 1988년 7월 22일 부로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홋카이도의 방송 권역을 7개 방송국 체제로 개편했고, 기존의 2개 방송국(오타루, 이와미사와)은 지국보다 격이 낮은 보도실로 강등되어 삿포로 방송국의 하부 조직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2015년 NHK가 조직개편을 하면서, 각 방송국에 있는 보도실을 지국으로 일괄 승격하면서 오타루 보도실, 이와미사와 보도실은 오타루 지국, 이와미사와 지국으로 승격되었다.(다만, 보도실에서 승격된 지국들은 기존의 업무(취재 및 보도 등)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만큼, NHK 내부적으로는 원래 방송국이었다가 강등된 지국과는 별도로 구분하고 있다.) 사실 1988년 당시, 홋카이도의 조직개편은 두 개의 방송국(오타루, 이와미사와)을 보도실로 강등하는 선에서 끝내는 게 아니라, 오비히로, 무로란, 키타미 세 곳의 방송국을 각각 쿠시로, 삿포로, 아사히카와 세 곳의 방송국으로 통폐합하고 각각의 방송국의 하부조직인 지국으로 강등하려고 계획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실행하지 못하고 7개 방송국 체제로 개편하는 선에서 조직개편이 마무리 되었다. 30여년이 지난 후 홋카이도 지역에서 방송 권역을 재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4개 권역으로 재편하면서 방송국도 4개로 축소하려고 했지만 관할 지역이 넓어진다는 점,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인해서, 방송국은 명목상으로 존치하되 아나운서부문, 편성부문을 4개 권역에 맞춰서 통폐합했다. 다만, 30여년과 다른 점이 있다면, 당시 쿠시로 방송국은 오비히로 방송국을 흡수하는 계획이었고 당시에는 쿠시로시의 인구가 22만명 6천명, 오비히로시는 16만 5천명 정도여서 쿠시로가 우위에 있었다. 하지만, 30여년이 지난 후, 두 지역의 인구는 오비히로시가 16만 1천명이고 쿠시로시는 15만 5천명이 되면서 오비히로의 우위로 역전되었다. 게다가 쿠시로는 바다와 가까운 곳이라서 거대지진이 발생하게 될 경우 대처하기 어렵다는 점이 단점으로 부각되었고, 결국 쿠시로 방송국은 오비히로 방송국에 아나운서 부문, 편성 부문을 완전히 넘겨주고 명목상의 방송국으로만 남게 되었다.
[50]
이전에는
야마가타현,
나가노현,
아이치현,
시즈오카현,
기후현,
효고현,
히로시마현,
돗토리현,
야마구치현,
나가사키현에 해당 도도부현청 소재지를 포함해서 2개의 방송국이 존재했고,
후쿠시마현,
아오모리현에 해당 도도부현청 소재지를 포함해서 3개의 방송국이 존재했다. 해당 방송국들은 1970년대 초반까지 일반적인 방송국처럼 운용되었지만 1970년대 중반~1980년대에 걸쳐서 아나운서부문, 편성부문, 제작부문이 해당 도도부현청 소재지의 방송국으로 통폐합되어 명목상의 방송국으로만 존재하다가 1988년 7월 22일 부로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지국으로 강등되었다. 기존 방송국으로 있던 사옥들은 강등 이후에도 지국 사옥으로서 활용되거나 NHK 문화센터가 입주해 있다. 다만, 일부 지국 들은 기존 사옥의 노후화(지국으로 강등되기 이전에 방송국으로서 지어진 사옥이라서 최소 50여년 이상된 사옥들이 대부분이다.) 및 NHK의 경영 합리화, 지국의 기능 축소 등으로 인하여 기존 사옥(부지 포함)을 민간에 매각하고, 해당 지역의 중심지에 있는 건물의 일부를 임대하여 입주해있다.
[51]
방송국이었다가 강등된 지국의 경우, 1988년 조직개편 직후에는 지국장 직책을 두었으나, 2007년 6월, 인사이동를 거치면서, 지국장 직책을 폐지하고, 지국장 직책을 상위기관인 방송국장이 겸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52]
이전까지는 간토·고신에츠 지방의 총괄기능을 NHK 방송센터(본부)의 각 부·국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다가, 2020년 8월 3일자 조직개편으로 본부의 간토·고신에츠 지방의 총괄 하는 거점방송국으로서 방송총국(현·미디어총국) 아래에 있는 부서가 아니라, 외부부국으로서 수도권국이 신설되었다. 다만, 다른 거점방송국과는 달리, NHK 방송센터(본부)와 같은 사옥을 쓰고 있고, 본부와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 만큼, 일부 기능은 종전처럼 NHK 방송센터(본부)의 각 부서에서 담당한다.
[오키나와]
나하 시에 있지만 유일하게 소재지 도시명을 쓰지 않는다. 물론 도미구스쿠 소재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
[54]
이 때문에 요코오 타이스케(横尾泰輔) 아나운서를 오사카로 보냈다는 이야기가 있다. 요코오 아나운서는
동일본대지진때 초기 보도를 담당한 적이 있는 베테랑 아나운서이기 때문.
타케타 신이치의 오사카 이동 때에도 이를 명분으로 삼기도 했다.
[55]
이전에는 간토·고신에츠 지방의 총괄 기능을 방송센터(본부)의 각 부·국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왔고, 특히 방송총국(현 미디어총국)의 내부부서였던 수도권 방송센터는 자체 방송 범위 및 프로그램 등을 포괄하고 있었고, 간토 지방 및 간토·고신에츠 지방 범위의 지역 프로그램을 총괄해왔다. 이후, 권역 방송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 2020년 8월 3일자 조직개편으로 기간국으로서 기능을 보유한 수도권국을 방송총국(현 미디어총국) 휘하의 국(局)이 아니라, 다른 거점 방송국과 마찬가지로 외부부국으로서 신설했다. 이후, 2021년 7월 2일자 조직개편으로 수도권 영업부문 역할을 하는 부서인 방송센터(본부)영업국 휘하 수도권 영업추진센터가 수도권국으로 이관되었다. 참고로 NHK 수도권국은 도쿄도의 다른 구에서 별도의 사옥으로 운용되는 방식이 아니라, NHK 방송센터(본부) 내에 위치해 있다.
[56]
다만, 다른 거점 방송국과는 달리, 일부 기능이 제외되어 있는데, 특히 아나운서부문(정규직 아나운서 한정. 계약직 아나운서는 수도권국에서 채용하고 관리를 한다.), 송수신기술부문은 수도권국에서 관리하지 않고, 종전처럼 방송센터(본부)에서 관리한다고 한다.
[57]
594kHz는 KBS 제2라디오 603kHz 전파가 송출되지 않는 새벽 3~4시 사이에
서울 남부(
영등포,
강남),
경기 서남부,
인천에서도 수신이 가능하다. 그 이외의 시간은 어마어마한 603에 의한 전파 간섭때문에 TECSUN PL-380과 같은 일부
DSP 라디오(대역폭을 1kHz로 설정시)가 아니고서는 수신불가. 다만 서울이라 해도
강북 지역은 603kHz 신호가 그리 강하지 않으므로 선택도가 우수한 수신기라면
KBS 제2라디오 정파시간이 아니더라도 NHK 제1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다.
[58]
무로란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삿포로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
[59]
키타미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아사히카와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
[60]
쿠시로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오비히로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
[61]
원래 621kHz였으나 2015년 2월 2일 1시를 기해 종료했다.
링크한 자료는
오사카 방송국 주파수로 일원화 했음을 알리는 내용이다.
[62]
1930년 개국 당시부터 1992년 6월 4일 이전까지 로컬국이었고, 조직개편으로 1992년 6월 5일 이후부터는
규슈 지역을 총괄하는 기간국이 되었다. 사실, 1957년 규슈지역 방송관계 업무가
구마모토 방송국에서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이관된 상태였고, 전후를 기점으로 규슈지역의 중심축이 구마모토에서
후쿠오카로 넘어간 상태였다. 그렇지만, 방송관계 업무를 제외한 규슈 지역의 다른 총괄 기능은 여전히 구마모토 방송국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여전히 로컬국의 위치에 있었다. 이후 1992년 6월 5일 조직개편으로 다른 총괄 기능까지 구마모토 방송국으로부터 완전히 넘겨 받으면서 정식으로 기간국이 되었다.
[63]
AM라디오 한정으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거제시의 해안가에까지 전파가 닿는다. 야간에는 일부 내륙지역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부산은 야간에 연제구까지도 확대된다고 확인해본결과 전라남도 여수시에서도 선명하게 잘들린다.
[64]
1928년 개국 당시부터 1992년 6월 4일까지 규슈지역을 총괄하는 기간국이었다가, 1992년 6월 5일 조직개편으로 규슈지역의 총괄기능(방송관계 업무 제외)을 전부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양도하면서 기간국에서 로컬국으로 변경되었다.
[65]
AM라디오 873kHz의 경우에는 대출력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야간에 서울에서도 잡히기도 한다. 심지어
KBS 제2라디오 남양송신소 보다도 잘들리는 경우가 있다.
[오키나와]
나하 시에 있지만 유일하게 소재지 도시명을 쓰지 않는다. 물론 도미구스쿠 소재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
[67]
549kHz는 2010년대 초반까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500kW로 송신했던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의 라디오 마야크(Радио Маяк)와 주파수가 같다.
[68]
다만,
AC 재팬의 공익광고는 "AC·NHK 공동 캠페인"으로 나간다. AC의 광고를 모두 방송하는 것이 아니라 AC가 만든 공익광고와, NHK가 만든 공익광고를 NHK나
민영방송에서 내보낸다는 것. 이 경우 기본 AC 재팬의 징글은 빼고, "공공방송 NHK" 표기로 바꾼다. 이 기획은 그다지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69]
수상기를 처분한 기록 등
[70]
비과세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전액 감면, 과세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인과 시/청각 장애인은 반액 감면된다.
[71]
한국 코미디언
이봉원이 일본 유학을 갔던 시절에 이에 대한 일화가 있었다고 해피투게더 방송에서 말한 바 있다.
# 그는 유학온 지 어느 정도 지나서 일본어를 잘 하던 상태였지만, 수금원이 찾아오자 돈 안 내려고 계속 한국어만 말하면서 못 알아듣는 척했고 그 효과로 결국 수금원이 포기해서 돌아가려 했는데, 이봉원이 문을 닫으면서 자기도 모르게 유창한 일본어로 '감사합니다 항상 수고하세요' 라고 하는 바람에 가고 있던 수금원이 순간 분노에 가득차 뛰어와서 문을 다시 열려고 하며 '아케로! 아케로!'(열어! 열어!)라고 했다는 이야기이다. 이봉원은 본인도 당황했지만 어차피 이렇게 된 거 돈 내지 말자고 생각하여, 끝내 문을 안 열어주고 버텼다고 한다. 참고로 開けろ(아케로)는 명령형인데 일본에서는 부하직원이나 자식에게 명령할 때조차 명령형을 쓰지 않을 정도로 강한 표현이다. 하물며 수금원이 TV 시청자, 즉 고객한테 명령형을 썼다는 건 엄청나게 분노해서 다 내던지고 달려들었다고 볼 수 있다.(일본에서 일상적으로 명령형은 상당히 급한 일이나 스포츠에서 응원할 때나 쓴다. 참고로 스포츠 응원은 여자도 1인칭으로 오레를 쓸 정도로 일상생활과는 괴리가 심하다.)
[72]
이들 대부분은 위탁직원들에 외국어 구사가 불가능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일본어 못하는 외국인임을 연기하면 그냥 물러간다.
[73]
エヌエイチケイ受信料の窓口 - お知らせ一覧, NHK홈페이지
[74]
NHK 홍백가합전 제작도 한 양반이 이런 짓을 했다.
[75]
2006년 도서출판 차송에서 정발되어 당시 MBC PD이던
송일준(전 광주MBC 사장)이 번역했으며 원 저자의 한국어판 인사말까지 있다.
[76]
「일 시민단체 “망언 NHK회장 퇴진 안하면 수신료 거부”」, 2014-04-22, KBS
[77]
이러한 행태는 작중에서
여호와의 증인 같은 사이비 종교에 비교되며 여증(작중에서는 증인회) 가정에서 자라며 주말마다 가정방문 전도에 동원되던 어린시절 아오마메와 덴고 사이의 동질감을 부여한다.
[78]
사실 이런 징수방식의 징수율이 그리 나쁜 수준은 아니라 굳이 방식을 전환해야 할 동기가 없고, 무엇보다 징수방식을 못 바꾸는 것에 가깝다.
[79]
KBS의 수신료는 월 2,500원으로 NHK의 6분의 1이다.(참고로
EBS는 월 70원) 1980년대 한국에서도
땡전뉴스로 대표되는 편파보도와 오락 위주의 우민화 방송, 징수원들의 폭력적인 강제 징수행위, 그 외 각종 논란과 삽질이 겹치면서 시청료 징수 거부 운동이 일어났다. 이에 정부와 KBS는 징수원과 공권력을 동원해 물리력으로 운동을 탄압하고 대도시에 통합공과금제를 마련하여 이를 막으려 했지만, 이로 인해 KBS 수신료 징수율은 1988년에 40%대까지 급락한 바 있다. 1994년에 1TV 상업
광고가 폐지되고, 전국에서 전기료와 합산징수가 되어서야 이 현상이 해소되었다. NHK와 달리 KBS는 상업
광고를 편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당시엔 적자를 보지는 않았다.
[80]
이 경우는 주로 도시보다는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삼았다.
[81]
혹은 DMB 기능도 없는 최신의 갤럭시 S 시리즈 등의 스마트폰도 괜찮은 선택이다. 일본산 스마트폰만 아니면 다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라도 상관없기 때문이다.
[82]
다만 일본인이어도 해외이민 등을 한다고 하면 비슷한 방식으로 써먹을 수 있다.
[83]
외국인은 공항 등에서 출국시 출국심사관에서 완전귀국이라고 이야기 하거나, 재류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기간갱신이나 자격변경 신청을 하지 않으면 일본의 주민등록이 말소된다.
[84]
한국에서 한때 흔히 볼 수 있었던 "
XX일보 사절" 팻말(쪽지)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신문사절과는 달리 계약 전에 거부 의사를 밝히는 거라 효과적일 수 있다.
[85]
이는 지상파 TV의 한계이기도 하다.
[86]
오죽했으면
NHK당이라는 정당이 만들어져서 원내 정당까지 되었을 정도다.
[87]
한국도 이러한 방식인지라 KBS수신료가 아무리 부족하다 한들 정치인들이 함부로 수신료를 올리기 힘든 구조이며, 실제로 TV를 떼버리고 전화하면 작은 수상기 유무까지 악착까지 물어본다. 다만 한국은 DMB까지는 징수대상이 아니다.
[88]
다만, 아마존 프라임은 컨텐츠들은 대부분 멀티 플랫폼이다.
[89]
그런데 넷플릭스도 2020년대 중순부터 전 세계적으로 월 이용료를 인상한 상태다. 게다가 넷플릭스가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투자를 줄일 정도로 과거에 비해 넷플릭스 독점작의 질이 나날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90]
물론 이런 식의 주장들은 2022년 이후에 들어 OTT 열풍이 식어가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논파되었다.
[91]
외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원세그가 없지만, 예외적으로 삼성전자는 일본시장 현지화의 일환으로 원세그를 탑재해오다가 한국 내수용에 DMB가 들어가지 않을 시기에 탑재가 중단되었다.
[92]
아이폰은 (일부 예외도 있었지만) 전세계 동일 사양 제품 출시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당연히 전세계 동일 방송 규격이 아닌 원세그 튜너를 탑재할 이유가 없었다.
[93]
한국에서도 수신료 문제 때문에는 아니지만(지상파 DMB, OTT는 수신료를 따로 받지 않는다.) 모바일 게임 등 퍼포먼스 때문에 아이폰을 사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다만, 한국 업무용으로는 여전히 통화녹화 기능이 탑재된 삼성 갤럭시 S 시리즈가 강세다.
[94]
실제로 원세그는 DVD 비디오(SD, Standard Definition/480p) 보다 화질(LD, Low Definition/240p)과 프레임(15FPS)이 매우 낮다. 특히 스포츠 중계방송에서 이런 문제점이 더더욱 부각된다. 사실상 본격적인 TV 시청용으로는 적합치 않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화질을 보강한 개량 규격인 ISDB-Tmm이 나왔으나 출시 시기가 너무 늦은 바람에..
[95]
퀄컴이 MediaFLO를 집어던진 이유이기도 하다. 사실 고정적으로 수신료를 받는 원세그를 제외하면 모두 마땅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했다는 것도 앞선 기술들이 몰락한 이유 중 하나였는데 그 정도로 2004~6년에 나왔던 모바일 TV 기술들은 "과도기적 기술"이란 평가를 받으며 역사속으로 사라지거나 사라질 위기에 있다.
[96]
1심 도쿄 지방법원에서는 계약 의무가 없다고 판결하였던 것이 2심에서 뒤집힌 것이다.
[97]
이건 모든 나라가 똑같다. 과거에는
멀티시스템 수상기나 유선방송(NTSC-J의 경우..)으로 맞춰서 채널을 검색하면 수신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수신료 면제따윈 없다.
[98]
이 때문에 "대형 스마트 모니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99]
참고로
넷플릭스의 스탠다드 요금제는 장치 2개까지 동시 시청이 가능하며, 프리미엄 요금제로 전환해야 그나마 동시 시청가능 장치가 4개로 늘어난다.
[100]
다만, NHK의 BS위성방송의 경우 위성방송 수신료를 추가로 내야 한다. 참고로 위성방송+지상파 통합 수신료는 기존 지상파 수신료보다 2배 정도 비싼 편인데, 이미 지상파 수신료를 내고 있다면 위성방송 환경을 구축한 후 위성방송 수신료만 추가로 내면 된다. 또한, 회사나 상업시설에서는 구획(객실, 각 부서실 등과 같이 벽, 창문, 현관문 등으로 완전히 분할된 장소)마다 계약을 따로 해야 할 수 있다. 즉, 헬스장이나 슈퍼마켓 같이 한 공간만 있는 시설은 계약 한 번만으로 충분하지만, 숙박시설이나 사기업 같이 여러 구획(객실)으로 구성된 시설은 한 구획마다 계약을 따로 해야 한다는 소리다.
[101]
특히 해당 분야에서는 '천재 테레비 군'(테레비 도쿄의 '오하스타'와 경쟁 중)같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사실상 NHK가 독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야말로 일본 지상파 TV 업계 한정
무주공산의 대명사. 사실 과거에는
후지 테레비,
테레비 아사히(구 NET 테레비) 등 일부 지상파 민방이 한때 어린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편성하여
NHK 교육 텔레비전과 경쟁한 적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저 옛날 얘기일 뿐이다.
[102]
물론 다른 민방에서도 유아용 애니메이션을 방영하고 있다. NHK 쪽에 비해 그 수가 적을 뿐.
[103]
다만, 일본 내 BS/CS 위성방송의 시장 점유율은 그나마 케이블/IPTV보다는 나은 수준이다. 또한 하늘을 통해 전파를 받기 때문에 난시청 지역이 적다는 등 지상파에 비해 유리한 점이 존재한다는 점도 강점이라면 강점이다. 그럼에도 지상파에 비해 점유율이 낮은 이유는 언급한 위성방송 특유의 물리적 한계 이외에 초기 구성 비용 및 위성방송 수신료의 장벽이 높기 때문인 걸로 보여진다.
[104]
KBS 뉴스를 비롯해 대다수의 뉴스가 경성 뉴스인 한국 방송과는 대조적으로 현재 일본 방송에서 거의 유일한 경성 뉴스는 NHK 뉴스밖에 없기 때문이다.
[105]
다시 말해, 그저
나무위키처럼 재미로만 봐야 할 정도라 보면 된다. 한국에서도 과거에는
SBS와
종편의 우경화로 말이 많았었지만 당시에도 신뢰도에 영향을 끼칠 정도로 연성화되어 있지는 않았다.
[106]
그나마 NHK 독점이 아닌 NHK 선행 방영작의 경우라면 사정이 나은 편이다. 좀 늦더라도 다른 채널에서 보면 되기 때문이다.
[107]
여담이지만,
일본에서는 한국과는 달리
가성비 논리가 절대로 통하지 않는 나라다. 일례로 일본의 고속도로 요금과 신칸센(고속열차) 이용요금은 한국보다 비싸기로 악명높다.
[108]
이 위 영상에서 가장 먼저 속보를 전한 아나운서는 이토 켄조(伊藤健三) 씨로 평소에는 라디오 방송을 주로 진행하다가 이번 지진때 TV로 얼굴을 비추게 되었다. 그리고 이 경보방송으로 일본의 모든 방송사를 통틀어 가장 먼저 동일본대지진 소식을 전한 아나운서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109]
지진발생당시 민영방송사들은 NHK보다 2~5분 늦게 속보방송을 편성했다. 이 때문에 오사카에 스튜디오가 있는 미야네야(닛테레 계열 YTV 제작·송출)는 당초 예정되어 있었던
이시하라 신타로 당시
도쿄도지사의 기자회견 중계를 위해 도쿄도청 중계화면을 틀때까지 지진 소식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110]
촬영지점이 센다이시와 나토리시 경계 지점인 나토리강 상공이었다.
[111]
대규모테러, 항공경보, 게릴라, 특수부대 등
[112]
경주 지진 당시 시코쿠와 큐슈 일부 지역에도 흔들림이 있었는데, 역시 재난 방송의 대가답게 신속하게 전했다.
[113]
경주시에 발생되었던 지진 당시 한국은
종합편성채널,
EBS(그 쪽은 자막으로 일찍 내보냄),
YTN,
연합뉴스TV,
OBS경인TV가 KBS, MBC, SBS보다 먼저 속보를 전하였으며 경주권에 예속된 지역 지상파 방송사인
대구방송이 최초로 지진 보도를 한 적이 있다.
[114]
이는 택배운송 분야에서
야마토 운수에 밀려
일본우정이 콩라인이 된 것과 비슷한 이치다.
[115]
3년전
NHK 사내에서 유명 남성
아나운서 사이토 타카노부와 여성 아나운서 하야카와 미나 간의 노상 카섹스 사건이 적발된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건이다. 불륜 사건 적발 당시 NHK 사내 규정에 따르면 불륜 등 성추문 사건에 연루된 인원은 직권면직으로 퇴사이다. 그러나 여기서 계약직이었던 여성 아나운서만 강제 퇴사를 당하고 남성 아나운서는 NHK 사규를 고친 다음에 소급 적용해 해당 남성 아나운서를 그대로 유임시켰다! 이 남성 아나운서는 2019년까지도 NHK 주말 아침 뉴스를 진행했다. 그래서 타치바나 타카시가 정견발표회에서 3분마다 한 번씩 불륜! 노상! 카섹스! 라고요!를 외친 것. 참고로 사이토 타카노부는 2024년 현재 NHK 방송문화연구소 여론조사부에서 연구원으로서 재직중이지만, 하야카와 미나는 해당 사건 이후로 방송계를 완전히 떠났고, 2024년 현재 근황조차 아예 모르는 상황이다.
[116]
다만 공당의 DNA라 할 수 있는 강령이란게 오직 反NHK 하나밖에 없어서
타치바나 타카시 본인의 반중,반한 우익성향은 물론 혐한 극우 활동가를 지원하기도 하는 등, 자민당이 NHK 없앨테니 개헌하자 그러면 찬성할 사람이다. 다만 이 당 소속으로 기초의회에서 활동하는 의원들은 상당수가 개헌 반대파.
[117]
영칭이 영국 공영방송
BBC의 풀네임인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과 유사하다.
[118]
한국으로 치면
한국방송공사를 KBS가 아닌 HBG(Hanguk Bangsong Gongsa)로 표기한 격이라 볼 수 있다.
[119]
장음 하나 차이로 뜻이 확 바뀌는 일본에서는 이런 개그도 가끔씩 한다.
[120]
NHK를 민영화시키면 NHK 직원들의 불상사도 줄어들고 수신료도 내지 않으니 개이득~이라는 논리다.
[121]
가끔 도모군과 같이 등장하는 안경쓴 회색 토끼 마스코트. 목소리는 처음에 마츠무라 타츠오(
남자는 괴로워의 숙부 역을 맡기도 했던 배우)가 연기했다가 마츠무라 사후 타니 케이(谷啓), 차후린(茶風林) 등이 연기하고 있다.
[122]
박쥐도 2마리 살고 있다. 이름은 시노부(엄마박쥐)와 모리오(아들박쥐)
[123]
다만 TV 스트리밍은 저작권, 전송권 문제 때문에 영국 내에서만 시청가능
[124]
마찬가지로 지상파, 케이블 TV 스트리밍은 저작권, 전송권 문제 때문에 한국 내에서만 시청가능하도록 제한을 걸고 있다.
[125]
「방송사, 첫 보도 소홀」, 2006-07-06, 중앙일보
[126]
오전 9시 31분에 발사된 것으로 전해졌다.
[127]
당시 NHK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인 일요토론에서는 아마리 아키라 경제재생담당대신의 사임 이후의 국회논쟁격화를 주제로 토론이 벌어지고 있었는데 그 와중에 J-알러트가 발령되어 방송이 끊겼다. 일요토론은 이후 오후 4시 10분에 다시 방송했다.
[128]
원래는 사전 신청을 통해 참가해서 토너먼트 식으로 순위를 결정하는데, 특별히 난입 참가해서 어린이부 우승자와 대결해서 졌다.
노홍철이 재밌어서 주목을 받았다기보다는 '난입 참가자도 있었습니다'라는 정도의 내용이다.
[129]
수록된 애니메이션:
밀림의 왕자 레오,
마루코는 아홉살,
원피스(만화),
시끌별 녀석들,
빨강머리 앤,
우주전함 야마토,
에반게리온,
강철의 연금술사,
나루토,
케이온!,
기동전사 건담,
명탐정 코난,
도라에몽,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루팡 3세,
사이보그 009,
과학닌자대 갓챠맨,
크레용 신짱,
내일의 죠,
아노하나,
거인의 별,
두 사람은 프리큐어,
AKIRA,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마크로스F,
드래곤볼 Z,
공각기동대,
사스케,
요괴워치,
닌자보이 란타로,
진격의 거인,
얏타맨,
러브라이브,
플랜더스의 개,
불새(만화),
철완 아톰,
미래소년 코난,
포켓몬스터 순.
[130]
보통 이런 경우는 공익적 목적을 위해 토호, 토에이 등 대형업체를 끼고 캠페인 식으로 십시일반 들어간 것이다. 도호쿠대지진이 일본사회에 얼마나 큰 충격을 주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이기도 하고, 사실
이 회사를 껴도 저 리스트 중 2/3은 한방에 해결된다.
[131]
NHK는 소속 직원(아나운서 포함)이 규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사안의 경중에 따라 처분을 내리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처분인 엄중주의 처분이라 할지라도 그저 말뿐인 주의, 킹중주의, 갓중주의 수준이 아닌 생각 이상으로 센 처분이라 생각하면 된다. 게다가, 해당 SNS 가이드 라인 규정은
직원의 복무규정에 관한 준칙과도 연관되는 부분이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132]
일부 아나운서는 SNS 활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영업직 출신인
NHK 뉴스 워치 9의 필드 캐스터 리포터인
하타케야마 에미, 선데이 스포츠의 메인 캐스터인
나카가와 안나(中川安奈)
# 등. 특히,
나카가와 안나(中川安奈) 아나운서는 아예 인스타그램에 인증 배지까지 붙어있고, NHK 아나운서 치고는 굉장히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편이었지만,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일부 게시물에 대해서 NHK (상층부의)관계자에게 한소리를 들었는지, 2024년 상반기(대략 2월~3월 정도) 무렵부터는 업로드를 하지 않고 있다가 2024년 8월 19일이 돼서야 인스타그램에 업로드를 재개했다.
# 한편, SNS 활동을 하는 아나운서들은 주로
X(옛 트위터)에서 활동하는 편이고, 인스타그램 계정이 있는 아나운서도 일부 있긴 한데,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SNS 활동을 하는 경우는 적은 편이다.
[133]
다만 SNS 활동을 하는 경우도 모든 내용은 개인의 의견입니다라는 문구를 프로필에 반드시 붙여놓는다.
[134]
이노우에 유우키 아나운서와 결혼한
카와사키 리카 아나운서처럼 대부분 결혼 이후 남편 성이 아닌 결혼전 구성을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로, 기혼 여성 아나운서들이 결혼 전 구성을 그대로 쓰는게 보편화 된건 1990년대 초중반 이후부터 이고, 1990년대 초반까지는 결혼 이후 결혼한 남편의 성씨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135]
원래 카와사키 아나운서는 2023년 3월까지 뉴스 7 주말 메인캐스터를 맡고 있었다.
[136]
여자 아나운서는 첫 번째 근무지를 거치고 바로 도쿄로 올라오는 경우가 있지만, 주로 두 번째 근무지를 거치고 나서 도쿄에 올라오는 편이고, 남자 아나운서는 두 번째 근무지를 거치고 도쿄로 올라오는 경우가 있지만, 대다수는 세 번째 이후 근무지를 거치고 나서 도쿄로 올라오는 편이다. 연령대로 놓고본다면, 여자 아나운서는 늦게 입사하지 않는 이상 대부분 20대 중후반쯤에 도쿄에 올라오는 편이다. 반면, 남자 아나운서의 경우 20대 중후반쯤에 도쿄에 올라오는 경우는 적은 편이고, 아무리 빨라도 30대 초반 정도에 도쿄에 올라오게 되고, 일반적으로는 30대 중후반 이후에 도쿄로 올라오는 편이다.
[137]
다만, 전국 근무를 전제로 채용된 아나운서들 전부가 도쿄로 올라올 수 있는 건 아니라서, 특히, 남자 아나운서들의 경우 지역국에서만 근무해온 아나운서들도 꽤 있는 편이다. 그렇다고 해서 지역이라는 테두리에 한정되어 있다는건 아니다. 참고로 일본은 국토 면적이 넓기 때문에, NHK 본부 소속 스포츠 중계 담당 아나운서만으로는 전국의 모든 스포츠 중계를 맡는게 거의 불가능해서, 해당 지역의 스포츠 경기 중계는 해당 지역의 거점방송국(또는 거점방송국과 인접한 방송국) 소속의 아나운서가 중계 캐스터를 담당한다.(수도권인 간토 지방에서 경기가 있으면, 본부 또는 인접 방송국 소속 아나운서가 담당하는 방식이고, 간사이 지방에서 경기가 있으면, 오사카 방송국 또는 인접 방송국 소속 아나운서가 담당하는 방식이다.) 지역 방송국에서 스포츠 중계 경험을 쌓고 나면,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국제대회 개최 시 혹은 매년 홀수 달마다 하는 스모 대회 개최 시, 고교야구 대회(봄 대회, 여름 고시엔 대회 등), 각종 스포츠 대회 개최 시 NHK 본부에서 이들을 우선적으로 차출하기 때문에, 지역 아나운서라고 해서 기회 자체가 없다거나 그런 경우는 거의 없는 편이다.
[138]
이동 없이 아나운스실에서 계속 근무를 하는 경우가 있고, 중간에 한번 정도 라디오 센터 또는 국제방송국으로 이동하거나, NHK 재단(코토바 커뮤니케이션 센터)이나 NHK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로 파견돼서 일정 기간 근무하다가, 이후 아나운스실로 복귀하는 경우도 있다. 라디오센터는 한국 방송국 심의부서 비슷하게 고연차 아나운서들이 많이 가는 편이다.
[139]
다만, 기혼 여자 아나운서의 경우, 임신, 출산, 육아라는 요소로 인해서 전국 이곳 저곳 전근을 가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 때문에, 다른 부서(주로 라디오 센터)로 이동하거나, NHK 관련단체(NHK재단 코토바 커뮤니케이션 센터, NHK 글로벌 미디어 서비스 등)로 이동하거나, (수도권 범위 내에 있는)도쿄도 인근 도도부현에 소재한 방송국으로 전근을 가거나, (배우자가 NHK 직원(아나운서 포함)인 경우) 일정 기간 동안 배우자와 근무지를 동행하거나, 출신지에 있는 방송국으로 전근을 가게끔 배려를 해주는 부분이 존재한다.
[140]
본방 후 일주일간 다시보기는 제공된다.
[141]
케이블TV나 IPTV를 위시한 유선방송, 스카이라이프 위성방송
[142]
소니 편에서
일장기를 올리고 눈물을 흘렸다는 장면이라든가.
[143]
한국인들 입장에서야 한국(조선)의
전쟁 부역국 취급에는 반발하지만 승전국이나 연합국 편입 여부는 별로 주목받는 논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런 헛소문들 때문에 일본 넷 우익들은 '한국의 승전국 행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국인들이 임시정부의 무장투쟁이나 대일 선전포고를 기념하는 것도 '승전국 행세'로 규정할 정도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참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한국을 패전국측으로 분류하는 억지까지 부린다. 물론 2차대전 전시에는 한국이란 나라자체가 없었기에 연합국으로 취급되지 않은 것 뿐이지 조선인들은 일제내에서 정치적 주권도 없었고 연합국이 한국에게 전쟁배상을 요구하지도 않았으므로 굳이 따지자면 한국은 승전국도 아니지만 패전국도 아니다. 임시정부 역시 합법정부로 인정받지 못했을 뿐이지 2차대전에 조직단위로 참전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144]
교육 TV나 BS 프리미엄 방영작은 현지 방영판과 해외 동시방영판이 동일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 차회예고나 엔드 카드에 NHK 특유의 '終' 표기가 그대로 나오기도 한다.
[145]
KBS World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