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0:18:56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9M-MRD에서 넘어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 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 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 2014년 (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
도네츠크 전선
[첨자1]
아르테미우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포위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마리우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일로바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데발체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 경과 요약 · 침공 이전( 쿠데타 시도)
· 2022년(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 1월)
전선 및 전투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 하르키우 전투파일:ongo.png · 쿠퍈스크 전투파일:ongo.png · 이지움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스타로빌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파일:ongo.png · 크레민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루베즈노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시찬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크 전투파일:ongo.png · 졸로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파스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솔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바흐무트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차시우야르 전투파일:ongo.png · 토레츠크 전투파일:ongo.png · 니우요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피스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체레티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크로우스크 전투파일:ongo.png · 셀리도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우크라인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쿠라호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부흘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리우폴 포위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 헤르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미콜라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드니프로강 공방전파일:ongo.png · 멜리토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크마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베르댠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에네르호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폴로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훌랴이폴레 전투파일:ongo.png ) · 오데사 상륙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파일:ongo.png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리히우 전투파일:ongo.png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파일:ongo.png · 크린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흘루히우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쇼스트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 체르니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노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키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호스토멜 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 수미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파일:ongo.png · 쿠르스크 전투(2024년)파일:ongo.png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파일:모호 아이콘.svg · 벨고로드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타간로크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크림 대교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 모스크바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전쟁범죄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흐로자 공습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경제제재와 영향 영향 · 경과 (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
전쟁 당사국 지지

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

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

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

우크라이나 국제군단( 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 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

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 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 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사건 사고 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 2024년 러시아 Il-76 추락 사고 · 막심 쿠즈미노프 피살 사건
기타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 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 나는 살고 싶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025년 1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첨자1]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군/친러반군의 승리 [첨자2] 파일:ongo.png : 진행중,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군의 승리 [첨자3]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군의 공격, 파일:모호 아이콘.svg : 공격주체 미상, 그 외 각주 참조 [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 [A]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 [B]
}}}}}}}}} }}}}}}}}}

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0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명 이상 ]
{{{#!wiki style="margin: -5px -1px; letter-spacing: -0.8px; font: clamp(12px, 1.2vw, 15px)/1.2 serif; font-family: revert;"
참고: 9.11 테러 아프리칸 항공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순위 사고명 [비고] 사고 기종 사망자 수 사고 분류 / 원인 발생일 및 위치
1 테네리페 참사 [1] 보잉 747-121
보잉 747-206B
583명 지상 충돌 / 조종사 과실 1977년 3월 27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3] 보잉 747SR-46 520명 벌크헤드 폭발 / 정비 불량 1985년 8월 12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 차르키다드리 상공 공중 충돌 사고 [4] 보잉 747-168B
일류신 Il-76TD
349명 공중 충돌 / 조종사 과실 1996년 11월 12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 터키항공 981편 추락 사고 [6]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346명 화물칸 도어 폭발 / 기체 결함 1974년 3월 3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 [7] 보잉 747-237B 329명 폭탄 테러 1985년 6월 23일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 사우디아 항공 163편 화재 사고 [8] 록히드 L-1011-385-1-15 트라이스타 200 301명 기내 화재 1980년 8월 19일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9] 보잉 777-2H6/ER 298명 민항기 오인 격추 2014년 7월 17일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8 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 [10] 에어버스 A300B2-203 290명 민항기 오인 격추 1988년 7월 3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9 이란 일류신 Il-76 추락 사고 [11] 일류신 Il-76MD 275명 불명 2003년 2월 19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0 아메리칸 항공 19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273명[12] 엔진 이탈 / 정비 불량 1979년 5월 25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1 팬 아메리칸 항공 103편 폭파 사건 보잉 747-121 270명[13] 폭탄 테러 1988년 12월 21일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2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4] 보잉 747-230B 269명 격추 / 조종사 과실 1983년 9월 1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3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605R 265명[15] 수직꼬리날개 이탈 / 비행규정 미비,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2001년 11월 12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4 중화항공 140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622R 264명 실속 / 조종사 과실 1994년 4월 26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5 나이지리아 항공 2120편 추락 사고 [16] 맥도넬 더글라스 DC-8-61 261명 공중 폭발 / 정비 불량 1991년 7월 11일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6 에어 뉴질랜드 901편 추락 사고 [17] 맥도넬 더글라스 DC-10-30 257명 CFIT[18] / 조종사 과실 1979년 11월 28일
[[남극|{{{#!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018년 알제리 공군 IL-76 추락 사고 일류신 Il-76 이륙 직후 추락 2018년 4월 11일
[[알제리|{{{#!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 애로우 항공 1285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3 256명 실속 / 날개 결빙, 과적, 조종사 과실 1985년 12월 12일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보잉 777-2H6/ER 239명 불명 2014년 3월 8일
인도양 해상(추정)
20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152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220 234명 CFIT / 조종사 과실 1997년 9월 26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1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 보잉 747-131 230명 공중 폭발 / 기체 결함 1996년 7월 17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2 스위스에어 111편 추락 사고 [19] 맥도넬 더글라스 MD-11 229명 기내 화재 / 기체 결함 1998년 9월 2일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3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보잉 747-3B5 228명 CFIT / 악천후,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1997년 8월 6일
[[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어 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 [20] 에어버스 A330-203 실속 /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2009년 6월 1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5 중화항공 611편 공중분해 사고 보잉 747-209B 225명 공중분해 / 정비 불량 2002년 5월 25일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6 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21] 에어버스 A321-231 224명 폭탄 테러 2015년 10월 31일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7 라우다 항공 004편 추락 사고 [22] 보잉 767-3Z9(ER) 223명 실속 / 기체 결함 1991년 5월 26일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8 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 보잉 767-366/ER 217명 자살 비행[A] 1999년 10월 31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9 에어 인디아 855편 추락 사고 보잉 747-237B 213명 실속 / 기체 결함, 조종사 과실 1978년 1월 1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0 중화항공 676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622R 203명[24] CFIT / 조종사 과실 1998년 2월 16일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1 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 [25] 투폴레프 Tu-154B-2 200명 실속 / 조종사 과실 1985년 7월 10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
}}}
}}}
##─────────────────── 2번째 접기문법 위치(▲) ────────
[ 200~150명 ]
||<tablebgcolor=#fff,#1c1d1f><width=9999><-6>참고: 9.11 테러 아프리칸 항공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순위 사고명 [비고] 사고 기종 사망자 수 사고 분류 / 원인 발생일 및 위치
32 TAM 3054편 활주로 이탈 사고 에어버스 A320-233 199명[26] 활주로 이탈[27] /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2007년 7월 17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3 마르틴에어 138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55CF 191명 CFIT 1974년 12월 4일
[[스리랑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4 버겐에어 301편 추락 사고 [28] 보잉 757-225 189명 조종사 과실, 정비 불량 1996년 2월 6일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라이온 에어 610편 추락 사고 [29] 보잉 737 MAX 8 설계 결함, 운항 매뉴얼 교육부족, 정비 불량 2018년 10월 29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6 로얄 에어 모로코 보잉 707 추락 사고 [30] 보잉 707-321C 188명 CFIT, 조종사 과실 1975년 8월 3일
[[모로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7 로프틀레이디드 아이슬란드 항공 00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3CF 183명 CFIT 1978년 11월 15일
[[스리랑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LOT 5055편 추락 사고 [31] 일류신 Il-62M 제조 결함으로 인한 엔진 고장 1987년 5월 9일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9 아비앙카 항공 011편 추락 사고 보잉 747-283B 181명 조종사 과실 1983년 11월 27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0 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1308편 추락 사고 [32] 맥도넬 더글라스 MD-81 180명 CFIT 1981년 12월 1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1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33] 보잉 737-8AS(WL) 179명 활주로 이탈, 조사 중 2024년 12월 29일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2 드니프로제르진시크 상공 공중충돌 사고 투폴레프 Tu-134A
투폴레프 Tu-134AK[34]
178명 공중 충돌 1979년 8월 11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3 나이지리아 항공 보잉 707 추락 사고 보잉 707-3D3C 176명 기어 탈락 / 악천후 1973년 1월 22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자그레브 상공 공중충돌 사고 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3B
맥도넬 더글라스 DC-9-32
공중 충돌 1976년 9월 10일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수리남 항공 764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2 조종사 과실 1989년 6월 8일
[[수리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 보잉 737-8KV(WL) 민항기 격추 2020년 1월 8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7 아에로플로트 217편 추락 사고 일류신 Il-62 174명 원인 불명 1972년 10월 13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8 UTA 772편 폭파 사건 맥도넬 더글라스 DC-10-30 170명 폭탄 테러 1989년 9월 19일
[[차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 투폴레프 Tu-154M 조종사 과실, 실속 2006년 8월 22일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0 케냐항공 431편 추락 사고 [36] 에어버스 A310-304 169명 조종사 과실 2000년 1월 30일
[[코트디부아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1 카스피안 항공 7908편 추락 사고 투폴레프 Tu-154M 168명 엔진 고장 2009년 7월 15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2 멕시카나 항공 940편 추락 사고 [37] 보잉 727-264 167명 기내 화재 1986년 3월 31일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파키스탄 국제항공 268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203 CFIT 1992년 9월 28일
[[네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4 아에로플로트 4225편 추락 사고 투폴레프 Tu-154B-2 166명 마이크로버스트 1980년 7월 8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5 전일본공수 시즈쿠이시 공중충돌 사고 보잉 727-281
노스 아메리칸 F-86F 세이버
162명 공중 충돌 1971년 7월 30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 8501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20-216 조종사 과실 2014년 12월 28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7 중국서북항공 2303편 추락 사고 투폴레프 Tu-154M 160명 정비 불량 1994년 6월 6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웨스트 캐리비안 항공 708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MD-82 조종사 과실 2005년 8월 16일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9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 보잉 747-244BM 159명 불명 1987년 11월 28일
[[모리셔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메리칸 항공 965편 추락 사고 보잉 757-223 조종사 과실 1995년 12월 20일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다나 에어 992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MD-83 159명[39] 조종사 과실, 엔진 고장 2012년 6월 3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2 에어 인디아 익스프레스 812편 활주로 이탈 사고 보잉 737-8NG(WL) 158명 조종사 과실 2010년 5월 22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3 리비아 아랍 항공 1103편 공중충돌 사고 보잉 727-2L5
미그 MiG-23
157명 공중 충돌 / 조종사 과실 1992년 12월 22일
[[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티오피아 항공 302편 추락 사고 보잉 737 MAX 8 설계 결함, 운항 매뉴얼 오류 2019년 3월 10일
[[에티오피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5 인터플루크 450편 추락 사고 일류신 Il-62 156명 기내 화재 1972년 8월 14일
[[동독|{{{#!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파키스탄 국제항공 740편 추락 사고 보잉 707-340C 기내 화재 1979년 11월 26일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노스웨스트 항공 255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MD-82 156명[41] 조종사 과실 1987년 8월 16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8 스판탁스 275편 추락 사고 컨베어 CV-990 155명 악천후 1972년 12월 3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탄손누트 C-5 추락 사고 록히드 C-5A Galaxy 정비 불량 1975년 4월 4일
[[베트남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비아사 항공 742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9-32 155명[42] 과적 1969년 3월 16일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1 터키항공 452편 추락 사고 보잉 727-2F2 154명 CFIT / 조종사 과실 1976년 9월 19일
[[터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마투그로수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보잉 737-8EH(WL)
엠브라에르 Legacy 600
공중 충돌 / 관제사 과실, 조종사 과실 2006년 9월 29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스팬에어 5022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MD-82 조종사 과실 2008년 8월 20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4 팬 아메리칸 항공 759편 추락 사고 보잉 727-235 153명[44] 마이크로버스트, 윈드시어 1982년 7월 9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5 조선민항 Tu-154 추락 사고 투폴레프 Tu-154 152명 버드 스트라이크 1972년 가을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10-324 조종사 과실 2009년 6월 30일
[[코모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어블루 202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21-231 CFIT / 조종사 과실 2010년 7월 28일
[[파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8 저먼윙스 9525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20-211 150명 자살 비행[A] 2015년 3월 24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쿠바나 항공 9046편 추락 사고 일류신 Il-62M 150명[46] 윈드시어, 조종사 과실 1989년 9월 3일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 각주 ]

[1] 항공기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보잉 747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2] 전자 팬암 소속, 후자 KLM 소속 항공기 [3] 단일 항공기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4] 공중 충돌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5] 전자 사우디, 후자 카자흐스탄 소속 항공기 [6] DC-1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7] 항공기 폭파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8] 불시착 후 항공기 전소, L-1011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9] 보잉 77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10] A30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11]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Il-76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12] 탑승자 271명, 그 외 지상 2명 [13] 탑승자 259명, 그 외 지상 11명 [14] 대한민국 항공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15] 탑승자 260명, 그 외 지상 5명 [16] DC-8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17] 화이트아웃으로 인한 추락 [18] 제어 중이던 항공기가 의도치 않게 지면이나 산 등의 장애물을 향해 비행하여 발생하는 사고 [19] MD-11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20] A33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21] A32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22] 보잉 76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A] 부기장의 고의 추락 [24] 탑승자 196명, 그 외 지상 7명 [25] Tu-154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26] 탑승자 187명, 그 외 지상 12명 [27] 활주로 오버런으로 인해 건물과 충돌 [28] 보잉 75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29] 보잉 73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30] 보잉 70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31] Il-62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32] MD-8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33] 대한민국 영토 내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34] 전자 아에로플로트 몰도바, 후자 아에로플로트 소속 항공기 [35] 전자 영국항공, 후자 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소속 항공기 [36] A310 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37] 보잉 72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38] 전자 전일본공수, 후자 항공자위대 소속 항공기 [39] 탑승자 153명, 그 외 지상 6명 [40] 전자 리비아 아랍 항공, 후자 리비아 공군 소속 항공기 [41] 탑승자 154명, 그 외 지상 2명 [42] 탑승자 84명, 그 외 지상 71명 [43] 전자 골 항공 소속 항공기, 후자 전용기 [44] 탑승자 145명, 그 외 지상 8명 [A] 부기장의 고의 추락 [46] 탑승자 126명, 그 외 지상 24명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536717.jpg
사고 당일,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298명의 희생자가 탑승한 사고기의 마지막 이륙 사진[1]
파일:IMG_1526.jpg
사고기의 잔해
말레이시아어 Penerbangan 17 Penerbangan Malaysia
우크라이나어 Збиття Boeing (Боїнга) 777 біля Донецька
러시아어 Катастрофа Boeing 777 в Донецкой области (Рейс 17 Malaysia Airlines)
영어 Malaysia Airlines Flight 17 (MH17)
프랑스어 Vol 17 Malaysia Airlines
네덜란드어 Malaysia Airlines-vlucht 17
독일어 Der Malaysia-Airlines-Flug 17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2014년 7월 17일
유형 민항기 격추
발생 위치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도네츠크주 흐라보베[2]
탑승인원 승객: 283명
승무원: 15명
사망자 탑승객 298명 전원 사망
기종 보잉 777-2H6/ER
항공사 말레이시아 항공
기체 등록번호 9M-MRD
출발지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도착지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1. 개요2. 사고 과정3. 탑승자 국적 및 인원현황4. 수습5. 조사 과정6. 조사 결과
6.1. 추락 원인6.2. 비행 경로6.3. 기타 조사
7. 격추 이후8. 각국의 반응9. 여담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2014071900246_1_99_20140719030114.jpg

2014년 7월 17일[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이륙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향하던 말레이시아 항공 MH17편[4]이 동부 우크라이나 320㎢ 지역에서 이고르 기르킨과 관련된 우크라이나 분리주의( 친러) 반군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9K37 부크 지대공 계열 9M38 미사일로 발사된 9N314M에 격추당한 사건이다.

이 사고로 인해 탑승 인원 298명이 전원 사망했으며, 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7위로 기록되었다.

2. 사고 과정

네덜란드 현지 시간으로 2014년 7월 17일 12시 13분 말레이시아 항공 17편은 예정보다 13분 늦게 네덜란드 스키폴 공항 게이트를 떠나 31분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향해 비행을 시작했다. 비행 경로는 독일, 폴란드, 우크라이나, 러시아를 통과해 카스피해를 거친 뒤 계속해서 말레이시아를 향해 비행할 예정이었다. 비행 계획에는 아무 문제가 없어 보였고 항공기는 곧 우크라이나 상공에 들어섰다. 현지 시각 15시 53분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레이더 관제 센터에 진입하였고 관제소와 통신을 해 이상 없음을 확인하였다.

현지 시각 16시, MH17편은 드니프로 관제소에게 전방에 적란운이 있어 이를 회피하기 위해 항로를 왼쪽으로 변경시켜 달라는 요청을 하였으며 동시에 FL330에서 순항 중이던 고도를 FL340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물었다. 드니프로 관제소에서는 항로 변경을 허가했으나 고도는 FL330을 유지하라고 지시하였다. MH17편은 곧바로 항로를 왼편으로 틀었으며, 5분 뒤 원 항로에서 좌측으로 비껴난 채 평행하게 비행하기 시작하는 것이 드니프로 레이더에 포착되었다. 16시 15분 MH17편은 다시 원 항로로 복귀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틀었다.

현지시각 16시 19분 56초, MH17편은 관제소가 보낸 다음 웨이포인트로의 항로 변경 허가를 수신했음을 알렸다. 그러나 4초 후인 16시 20분 00초, 우크라이나 동부 스니즈녜(Сніжне) 근처에서 발사된 부크 지대공 계열 9M38 미사일이 MH17 조종석 좌상부에서 폭발했다. 그 시간 관제소는 웨이포인트 다음 항로에 대해 허가를 발신했지만 MH17편에서는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 그 뒤로도 17편은 그 어떠한 교신 시도에도 응답하지 않았고, 레이더에서도 사라졌다. 관제소와 말레이시아 항공 17편에서 25km 뒤를 따라가고 있던 싱가포르항공 351편도 애타게 말레이시아 항공 17편을 호출하고 TCAS를 이용해 항공기를 찾으려 했으나 아무것도 포착하지 못했다.[5] 드니프로 관제소는 심지어 러시아측의 민간항공 관제소까지 연락을 해봤지만 말레이시아 항공이 없어져 당황한것은 러시아 민간항공 관제소또한 마찬가지였다. 잠시 뒤 17편은 우크라이나 동부 흐라보베 지역에 추락하였고 인근에 거주하던 주민들은 하늘에서 불붙은 항공기 잔해와 탑승객의 시신들이 추락하는 끔찍한 광경을 목격하였다.

이 사고로 승무원 15명과 승객 283명을 합쳐 298명 전원이 사망하였다.

3. 탑승자 국적 및 인원현황

해당 항공편은 KLM 코드셰어한 항공편인데다 KLM의 동일 노선 가격이 IATA 규정상 네덜란드인에게 매우 비싸 외항사를 찾는 전형적인 특성상 네덜란드인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6] 말레이시아 항공에서 공식적으로 공개한 탑승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
탑승객 국적 탑승객 수 이중국적 탑승객 수 비고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193명
[[미국|]][[틀:국기|]][[틀:국기|]] 1명

[[틀:국기|]][[홍콩|]][[틀:국기|]] 1명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1명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1명

[[벨기에|]][[틀:국기|]][[틀:국기|]] 1명

[[베트남|]][[틀:국기|]][[틀:국기|]] 3명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44명
[[호주|]][[틀:국기|]][[틀:국기|]] 1명
유아 2명, 승무원 15명 포함, 말레이시아 단일국적 탑승객 29명

[[호주|]][[틀:국기|]][[틀:국기|]]
27명
[[아일랜드|]][[틀:국기|]][[틀:국기|]] 1명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12명 -

[[영국|]][[틀:국기|]][[틀:국기|]]
10명
[[남아프리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1명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1명

[[벨기에|]][[틀:국기|]][[틀:국기|]]
4명 -

[[독일|]][[틀:국기|]][[틀:국기|]]
4명 -

[[필리핀|]][[틀:국기|]][[틀:국기|]]
3명 -

[[캐나다|]][[틀:국기|]][[틀:국기|]]
2명
[[루마니아|]][[틀:국기|]][[틀:국기|]] 1명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1명 -
합계 298명

4. 수습

비행기가 추락한 위치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국경 인근으로, 당시 정부군 도네츠크 친러 분리주의 반군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간의 교전이 일어나던 지역이었다. 추락 지점은 반군의 통제하에 있었으며 제대로 된 현장 보존이 이뤄지지 않았다. 반군과 주민들이 추락기의 유류품을 막 주워가는 등의 상황까지 벌어졌을 정도. 네덜란드와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조사단이 도착했지만 반군의 방해로 현장에 즉시 접근할 수 없었다. 다행히 즉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유럽안보협력기구(OSCE)로 구성된 3자 회담이 진행되었으며 반군 역시 이틀 만에 조사단의 안전을 보장하였다. 20일부터 시신 수습이 시작됐고 23일에는 반군이 시신과 블랙박스 네덜란드 말레이시아 조사단에 인계하였다. #

23일에는 희생자 시신 40구가 1차로 네덜란드 도착했고 24일엔 희생자들의 시신 74구가 2차로 우크라이나에서 네덜란드로 이송됐다. 그러나 8월 6일 교전 격화로 인해 시신 수습은 중단되었고 이는 10월이 돼서야 비로소 재개될 수 있었다. 11월 17일까지 시신들은 9구를 제외하고 모두 수습했으며 12월 5일까지는 미수습 시신이 6구로 줄어들었다. 15년 4월엔 2구를 제외한 모든 시신이 확인되었다.

5. 조사 과정

사고 당일 우크라이나 항공 사고 조사국(NBAAI)에서는 즉시 사고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였으며 큰 피해를 본 네덜란드와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도 즉시 조사단을 파견했다. 7월 23일엔 우크라이나 정부가 도네츠크 지역 분쟁으로 인해 조사할 여력이 안 되어 조사지휘권을 네덜란드에 이양함에 따라 네덜란드가 주도하고 우크라이나,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미국, 영국, 러시아가 참여하는 국제 조사단이 결성되었으며 즉시 추락 지점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비행 경로 및 기타 부분에 대한 조사 역시 진행되었다.

그러나 국제 조사단이 출범한 지 불과 1주일 만에 현장은 지뢰가 매설되고 화포가 배치되는 위험 지역으로 돌아왔으며 2주일이 지나서는 조사단이 더 이상 추락 현장에서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어 잔해 조사는 물론 시신 수습조차 중단한 채로 떠나야 했다.[7] 몇 차례의 협상이 있었으나 순탄치 않아 잔해 수거 작업은 11월 16일이 돼서야 다시 가능해졌고 1주일 간의 작업 끝에 남겨진 잔해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잔해는 네덜란드에 위치한 조사단에게 보내졌다. 관련 기사 이후에도 2015년 봄 2차례의 수거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이때 조사단의 보호는 UN과 우크라이나군이 담당했지만 휴전협정상 반군도 조사단 근처를 배회하며 감시했는데 조사관들은 반군이 위협은 하지 않았지만 불리한 증거물들을 반군이 수집하는 것을 막을 것을 우려해 비행기 부품이라며 둘러대며 잔해를 수집해야 했다.[8] 더불어 한 도네츠크 주민이 미사일의 파편에 맞아 구멍이 무수히 뚫린 조종석 유리잔해를 몰래 조사단에게 전해 줘 결정적인 증거를 얻었다.

수습된 잔해는 네덜란드의 힐저-레이언(Gilze-Rijen) 공군기지로 보내져 계속 조사되었다. 각각의 모든 잔해는 분류되어 기록되고 사진이 촬영되었다. 격납고 안에 보관된 잔해들은 하나하나 조사되었고 조사가 끝난 잔해는 3차원으로 재현된 항공기 모형에 덧붙여져 추락 당시 모습을 재현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3달 동안의 작업 끝에 조사단은 칵핏과 비즈니스 좌석 일부를 포함한 전방 부분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파일:external/i2.cdn.turner.com/151014122421-mh17-reconstruction-exlarge-169.jpg

잔해 조사 외에도 시신과 유류품에 대한 조사 역시 진행되었으며 비행 경로에 대한 조사를 위해 인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레이더 기록 및 당시 항공규정 등을 수집해 조사하였다.

6. 조사 결과

2014년 9월 9일 네덜란드 안전위원회의 예비 보고서가 공개되었고 2015년 10월 13일에는 최종 보고서가 제출되었다. 아래 내용 대부분은 이 최종 보고서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국제조사단의 조사결과 발표 리포트 요약 영상으로 실제 발표 시에는 유가족들도 참석했다.

6.1. 추락 원인

MH17편은 러시아제 대공 무기 9K37 부크 지대공 미사일에 의해 격추되었다. 현지시각 16시 20분 03초 9M38 미사일에 탑재된 9N314M 탄두가 폭발하면서 다량의 파편이 콕핏(조종실) 부근을 덮쳤다. 이로 인해 콕핏에 있던 3명의 승무원(조종사, 항법사)[9]은 파편을 뒤집어써 즉사하였고 파편으로 인한 구조 손상으로 항공기의 전방부가 떨어져 분해되었다. 공중 분해된 항공기의 잔해는 약 50km2의 면적에 걸쳐 추락했다.

탄두가 폭발한 위치는 조종석의 전방 좌측 위 부근이었으며 이는 파편으로 인한 손상 패턴을 통해 뒷받침되었다. 잔해를 통해 재현한 항공기는 대부분의 손상이 분명하게 전방 좌측 상단부에 집중되어 있었고 바로 옆의 조종석 우측에는 전혀 손상이 없었다. 또한 조종석 내부 녹음기에 기록된 폭음의 밀리초 단위 시간차를 이용한 폭발 위치 추적 역시 같은 결과를 보였다. 잔해는 하나같이 외부에서 온 충격파로 인해 안쪽으로 찌그러진 형태를 취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 폭발 가능성은 부정되었다.

외부 폭발의 원인이 부크라는 가장 강력한 증거는 기장의 시신에서 나왔다. 시신에서 발견된 파편의 형태는 9N314M 탄두에 사용되는 특징적인 나비와 다이아몬드 형태의 파편과 일치했고 재질 역시 동일했으며 9K37 부크 제조사인 알마즈-안테이사에서 해당 파편은 부크 미사일 탄두에서 나온 것임을 확인해 줬다.

파일:external/i.dailymail.co.uk/2D5F1E6400000578-3271971-The_BUK_missile_exploded_to_the_left_of_the_cockpit_causing_it_t-a-16_1444816899269.jpg
파일:external/ichef-1.bbci.co.uk/_86102301_dsb2.jpg

조사단은 9M38 미사일 및 9N314M 탄두의 제원을 이용해 파편을 시뮬레이션했으며 실제 잔해에서 관찰되는 파편 분포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미사일의 진행 방향 및 위치를 추정해낼 수 있었다. 미사일은 약 1시 방향에서 10도의 상승각을 가지고 날아왔으며 콕핏 좌상단에서 근접센서가 작동해 탄두가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자료를 이용해 미사일의 발사 지점을 추정하였다.

파일:external/big.assets.huffingtonpost.com/mh17.gif
파일:external/ichef.bbci.co.uk/_86096842_mh17_missile_launch_locations_624.jpg

발사 추정 지점. 빗금친 부분이 네덜란드 국립 항공우주 연구소 추정, 널찍한 주황색이 러시아 추정, 갈색이 우크라이나 법과학 전문 연구소 추정 지점, 작은 주황 점이 러시아의 대공 미사일 제조사 알마즈-안테이 추정.

최종 보고서에는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조사단이 추정한 발사 지점은 당시 반군측이 장악 중이던 지역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국제조사단이 비록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러시아에 피격 책임을 물은 셈이라고 해석된다. #

6.2. 비행 경로

당시 MH17편이 비행한 항로는 교전 지역 상공이었기 때문에 관제 당국에서 해당 영공을 폐쇄하여야 했는지 또는 항공사에서 해당 영공을 우회하여야 했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뤄졌다. 특히 해당 지역에서는 군용 헬기와 항공기에 대한 공격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특히 사고 3일 전에는 6,300m 상공을 비행하던 우크라이나군 An-26 수송기가 격추되었고 하루 전에는 6,250m 상공을 비행하던 Su-25 공격기가 격추되기도 하였다. 이들 전투기가 격추된 고도는 기존에 반군이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맨패즈로는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군 당국은 해당 지역에서 중거리 지대공 혹은 공대공 미사일이 배치되어 있음을 인지하였다. 그러나 이는 해당 영공에 대한 민항기 비행 제한으로까지 이어지지 않았다.

교전이 심화되면서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각국은 교전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우크라이나의 군용 항공기가 격추될 때마다 각국은 상황을 예의주시했지만 그 누구도 교전 상황이 민간 항공에 대한 위협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경고를 하지 않았다. 반군이 정부군에게서 노획한 방공 무기 혹은 러시아에서 제공한 방공 무기가 사용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한 자들은 많았지만 그 중 아무도 민간 항공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 지정학적, 군사적인 관점에서 각국의 외교관들은 수없이 많은 논의를 했지만 그 중 아무도 민간 항공 기구도 논의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심지어 한 관련자는 "해당 지역에 민항기들이 날아다닌다는 사실 자체를 생각해 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6월 6일, 우크라이나 당국은 동부 우크라이나 영공을 통과하는 민항기에 26,000ft(7,924.8m)의 고도 제한을 설정하였다. 이는 동부 우크라이나에서 작전하는 군용기들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되는 고도에서 작전하도록 하기 위해 민항기가 통과하는 고도를 그보다도 높인 것이었다. 이어 7월 14일에는 고도 제한을 32,000ft(9,753.6m)로 올렸으며 이는 군용기의 작전 고도와 민항기의 비행 고도 사이에 충분한 완충 지대를 설정하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영공을 폐쇄하지는 않았고 사고 당일에만 무려 160대의 항공기가 해당 영공을 통과하였다. MH17편이 격추되던 바로 그 순간에도 다른 수대의 민항기들이 해당 영공을 비행 중이었는데 이는 캥거루 루트와 관련이 있다. #

이는 곧 항공사들 역시 해당 영공의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말레이시아 항공을 포함해 여러 항공사들은 물론이고 그 어떤 나라에서도 소속 항공사에게 법적으로 항로를 제한하거나 경고를 표명하지 않았다. 비록 대한항공[10], 아시아나항공, 콴타스, 영국항공, 캐세이퍼시픽항공 등 몇몇 메이저 항공사들은 이전부터 피격이나 유사 테러의 위험을 우려하여 우크라이나 상공을 지나는 것을 자제하고 다른 나라로 우회하도록 루트를 조정했지만 # KLM 네덜란드 항공, 루프트한자, 타이항공, 싱가포르항공[11] 등 메이저 항공사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격추 직전까지 해당 영공을 통과하는 경로를 계속 사용하였으며 실제로 해당 공역을 비행한 항공기 수는 교전 상황이 악화되어 갔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변화가 없었다.

희생자가 나온 홍콩의 국적기인 캐세이퍼시픽항공은 본사의 유럽노선이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 아조프 해를 경유하지 않고 중국을 종단한 후 내몽골 만주 상공을 거쳐 러시아 영공 깊숙이 우회하고 다닌다고 밝혔으며 싱가포르항공도 동일하다. 두 항공사는 당연히 체첸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이 가까운 캅카스도 경유하지 않으며 시리아 이라크를 지나가야 하는 중동 경유도 안 한다. 싱가포르 - 이스탄불 싱가포르항공 이란 아제르바이잔을 거쳐 튀르키예 영공으로 들어가며 예전에 지나갔던 이라크 모술 상공으로는 지나거지 않는다.

대한민국, 특히 민항기 격추를 2번이나 경험해 본 대한항공의 경우 과거 냉전 시대부터 소련 영공을 침범했다는 이유로 소련으로부터 자국의 여객기가 미사일 피격을 당하고도 그나마 조종사의 기지로 기적적으로 비상 착륙할 수 있었던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아니면 탑승객 전원이 비극적인 죽음을 당했던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같이 어처구니없는 사례들을 뼈저리게 겪어 본 입장이기 때문에 항로 선정과 관련하여 국적 항공사들의 처신도 자연스레 안전 위주로 신중하게 나갔다. 대한항공은 유럽으로 갈 때 우크라이나 북쪽으로 돌아서, 아시아나항공 우크라이나 남쪽으로 돌아서 가기 때문에 만에 하나 있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고 한다. 결국 이 사건은 분쟁지대가 절대 고고도의 민항기에게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을 입증한 셈이다. 반군이 보유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대부분의 무기 체계들은 기껏해야 맨패즈나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이었지 반군이 고고도의 민항기를 위협할 수 있는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보유할 것이라고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고 민항기의 트랜스폰더 등의 식별장치 의무화에도 불구하고 반군 역시 민항기의 통과 가능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무차별적인 격추를 하려다 이 사단이 벌어졌기 때문이다.[12] 결국 군사적인 실수에 의한 항공 사고를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민항기들이 분쟁지대를 피해 다녀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는 셈이다.

다만 이러한 지적들은 시스템의 결함을 드러내 차후 유사한 사고를 피하기 위한 교훈으로서 받아들이기 위함이지 항공사나 우크라이나에 사건의 책임을 지우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격추 자체에 대해서는 이유를 불문하고 전적으로 격추시킨 당사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1983년 9월 1일에 발생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때문에 1984년 개정된 시카고 협약에 의해 민간 항공기에 대한 격추는 영공 침범이나 항로를 이탈했다고 하더라도 금지하기 때문이다.

6.3. 기타 조사

2014년 7월 18일,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은 격추 당시 반군의 통화를 도청했다고 주장하며 녹음 자료를 공개하였다. 해당 녹취록에서는 반군으로 추정되는 자가 비행기가 격추되었으며 민간 여객기로 보인다고 보고하는 내용과 반군 사령관으로 추정되는 자가 러시아 정보장교로 추정되는 자에게 항공기를 격추했다고 보고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대해 반군과 러시아에서는 도청 자료의 신빙성을 믿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기사, 동영상

7월 21일, 러시아 국방부는 MH17편이 우크라이나의 Su-25 전투기가 발사한 공대공 미사일에 의해 격추되었다고 했으나 수호이사의 반발로 MiG-29로 수정되었다.[13]

더불어 해당 지역 근처에 배치되어 있던 우크라이나군 소속 부크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 또 격추 당시 레이더에 포착된 인근 항공기 자료 및 해당 지역 근처에 배치되어 있던 우크라이나군 소속 부크 지대공 포대를 찍은 위성 사진을 공개하였다. # 그러나 러시아가 공개한 레이더 자료는 국제조사단이 수집해 공개한 레이더 자료와 상충되어 부정되었으며, 민간 저널리즘 웹사이트 Bellingcat는 러시아가 공개한 위성 사진과 동일 시각에 동일 위치를 촬영한 위성 사진을 구입하여 분석한 결과 러시아에서 공개한 사진은 격추 당시 사진이 아닌 수달 전에 촬영한 사진임이 입증되었다고 주장하였다. #

7월 22일, 미국 정보당국은 일부 자료를 공개하며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반군이 발사한 부크 미사일 시스템의 미사일에 의해 MH17편이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 해당 자료는 격추 당시 MH17편의 항로와 부크의 발사 지점 및 궤적, 추락 지점 등이 표시되어 있었으며, 그 외에 국경 근방에서 러시아군이 반군을 무장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위성 사진 역시 공개되었다. #

2015년 6월, 러시아의 방위산업체이자 부크 지대공 미사일 발사 시스템을 개발, 생산한 알마즈-안테이 사에서는 MH17편이 부크 지대공 미사일에 의해 격추되었으며, 발사 위치를 추정한 결과 우크라이나군의 통제 하에 있던 자로셴스코예 인근에서 발사되었다고 주장했다. # 그러나 네덜란드 안전위원회에서는 알마즈-안테이에서 계산한 탄두의 기폭 지점은 동체 잔해에 남은 파편 흔적을 잘 설명하지 못하며, 따라서 이 기폭 지점을 바탕으로 한 발사 위치 추정 역시 신뢰할 수 없다고 기각하였다. 그러자 러시아에서는 지상에서 실제 여객기 동체와 부크 미사일 시스템을 격발 시키는 실험을 통해 생성된 파편흔으로 반박하였다. 이러한 논쟁은 최종 보고서의 부록에 수록되었다.

7. 격추 이후

2014년 7월 22일, 네덜란드 검찰은 이 격추 사건을 전쟁범죄로 보고 수사를 착수했다고 밝혔다. # 이후 암스테르담 - 쿠알라룸푸르 노선을 운항하는 말레이시아 항공의 항공편은 MH19로 변경됐다.( KLM 코드셰어는 KL 4123) 고로 17번은 영구 결번됐다. 결국 19편도 단항되었다.[14] 2015년 7월 말레이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국제재판소를 열어 격추 사건에 혐의가 있는 자들을 기소하길 요청했으나 안보리 상임이사국 중 하나인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여 묵살되었다. 기사

2015년 10월 13일, 국제조사단의 최종 보고서 발표에 발맞춰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는 러시아 측에 말레이 항공 여객기 피격 사건의 책임자를 규명하기 위한 범죄 수사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 물론 러시아는 이 최종 보고서에 반발하여 재조사를 요구했다. 링크 1, 링크 2 링크 3 다음 날 네덜란드 경찰이 친러 반군이 발사한 미사일에 격추되었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그리고 러시아가 예상대로 반발하였다. #

2017년 12월 8일에 나온 주장에 따르면 합동조사팀이 2016년 9월에 MH 17편 격추에 관여된 "델핀" 과 "오리온" 이라는 코드명의 인물들 사이에 오간 대화 내용을 공개하고 관련 정보의 제보를 요청했는데 확인 결과 "델핀" 의 정체가 바로 러시아군 현역 상장 니콜라이 페도로비치 드가체프 였음이 증명되었다. 참고로 당시 드가체프는 러시아 국경 인근 도시인 크라스노돈에서 루간스크 반군을 조직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고 크라스노돈은 MH17편을 격추한 부크 미사일이 우크라이나로 처음 반입된 곳이다. # 이게 사실이라면 사건의 진상이 (고의 여부는 확인할 수 없으나) 친러 반군의 소행이라는 방향으로 무게가 더 실리게 되는 셈. ...인 줄 알았으나. 국제조사팀은 사고 당시 여객기를 격추한 부크는 6월 23~25일 쿠르스크의 주둔지에서 이동한 러시아군 제53방공미사일여단 소속 차량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 1#, 2#)

2018년 3월 20일에 러시아군에 의해서 MH17편을 격추한 인물로 지목된 우크라이나군 Su-25 조종사 블라디슬라프 볼로신 대위가 자택에서 자살하였다. #

2018년 5월 25일에 EU와 NATO는 중간발표 결과 러시아에 격추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을 촉구했다. # 하지만 러시아측은 반발했다. # 그리고 러시아 국방부는 2014년에 말레이시아항공 소속 MH17 여객기를 타격한 미사일이 우크라이나군 부대가 보유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

2019년 6월 19일에 국제조사팀은 사건에 연루된 4명의 용의자를 발표하고 국제 수배자 명단에 올리자 러시아측은 반발했다. # 7월 17일 말레이시아 여객기 격추 사건 책임자 1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 2019년 9월에 유력 용의자였던 블라디미르 츠마흐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우크라이나 분리주의 반군을 위해 싸운 혐의로 기소됐다. 하지만 예심에 출두하겠다는 서약을 하고 갑자기 풀려났다. #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포로 문제로 추측된다.

2022년 3월 14일 호주와 네덜란드 정부가 러시아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공동 제소했다. #

2022년 11월 17일 네덜란드 법원이 살인 혐의로 기소된 4명 중 3명에 대해 종신형을 선고했다. # 러시아는 당연히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

2023년 2월 8일, 국제사고조사단은 감청 기록 등을 통해 도네츠크 분리주의자 반군들에게 미사일을 공급하도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명시적으로 허가했다는 강력한 징후가 있다고 발표했다. 다만 기소를 하기에는 결정적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덧붙였다.

2023년 6월 24일 호주는 격추 사건에 연루된 전직 GRU 장교 세르게이 두빈스키, 러시아군 대령 세르게이 무치카예프, 돈바스 분리주의 지도자 레오니트 하르첸코에게 금융 제재 및 여행 금지를 부과했다. #

네덜란드 감사원은 보고서에서 2014년 말레이시아 항공 MH17편이 추락한 직후부터 2022년 말까지 희생자 시신 송환, 원인 규명을 위한 국제조사·재판 등에 1억6천600만 유로(약 2천400억원) 이상이 소요됐다. #

8. 각국의 반응

파일:개만도못한반군놈들1.jpg }}}||
파일:개만도못한반군놈들2.jpg
||
파일:개만도못한반군놈들3.jpg }}}||
파일:개만도못한반군놈들4.jpg
||
후일 위와 같은 사진이 인터넷상에서 돌았으나 사실 여부는 불명이다. 신뢰할 만한 출처가 없으며, 무엇보다 기존의 불 타서 재투성이인 잔해 사진과 영상과 달리 배경이 되는 잔해들이 마치 쓰레기장의 그것과 같이 너무 멀쩡하기 때문이다.

9. 여담

말레이시아에서 환승하여 오스트레일리아로 향하는 캥거루 루트 승객들이 많았기 때문에 네덜란드, 말레이시아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 국적의 희생자들이 많았다. 이 중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리는 제20회 국제 에이즈 컨퍼런스에 참여하기 위해 멜버른으로 향하는 승객들이 있었으며 국제 에이즈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국제 에이즈 소사어티도 이번 사건으로 희생된 희생자에 대해 조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컨퍼런스는 취소되지 않고 계획대로 열렸다. #

격추된 비행기에 에이즈 연구 과학자 6명[19]이 탑승하고 있었는데 UN 산하 UNAIDS에서 발표한 2030년이면 에이즈 통제 가능이라는 희망적 관측에 어느 정도 악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그중에는 국제 에이즈 학회의 전(前)회장이자 암스테르담 대학 의대의 세계보건팀장으로서 에이즈 관련 논문을 350여 편을 작성한 저명한 연구원이었던 네덜란드 출신의 윱 랑어(Joep Lange)도 있었다. #

의학자는 아니지만 해당 컨퍼런스에 참석할 예정으로 같은 비행기에 탑승하였던 영국 출신의 세계보건기구의 홍보책임자(media officer)[20]인 글렌 토머스(Glenn Thomas)도 사망하였다. #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과 비슷하게 이번에도 불운을 비껴간 사람들이 있었다. 당시 막 결혼식을 올린 이 호주인[21] 부부는 유럽으로 신혼여행을 다녀왔으며 원래 사고기인 말레이시아 항공 17편에 탑승하고 귀국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월요일 출근을 앞두고 시차적응이 걱정되었던 부부는 계획을 바꿔 하루 일찍 오스트레일리아로 들어왔다. 계획을 바꿔 탑승했던 그 비행기는 남은 좌석이 있는지 불명확한 상태여서 문자 그대로 비행기 이륙 몇 분 전까지 탑승 여부를 알 수 없었다고. #

반대로 오버부킹 때문에 MH17편을 못 타고 뒷 비행기였던 KLM 항공 809편을 탄 영국인 부부와 아기도 있었다. 정상적으로 말레이시아 항공에서 탑승권을 결제했음에도 오버부킹 때문에 탑승하지 못하고 KLM의 여객기를 탔는데 오히려 오버부킹 때문에 목숨을 건졌다고. 부부는 “사망한 탑승자 298명과 유가족들을 위해 기도하겠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으로 아들 부부를 잃은 오스트레일리아의 한 노부부는 이 사건으로 넉 달 만에 의붓 손녀 부부를 또 잃는 비극을 겪어 말레이시아 항공과 원치 않은 악연을 이어가야 했다.[22] #

18년 전, 이날에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말레이시아 총리의 의붓할머니도 탑승해 있었다고 한다. #

코르 판(Cor Pan)이라고 하는 네덜란드인 탑승객이 3월에 일어난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때문인지 비행기에 탑승하기 전 자신의 SNS에 비행기 사진과 함께 "Mocht hij verdwijnen, zo ziet hij d'r uit.(만약 내가 사라지면 그 비행기는 이렇게 생겼어.)"라고 농담으로 글을 남겼다. 결국 불행히도 그 비행기는 약 7시간 후에 격추되었고 네티즌들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그의 글을 공유했다. #

MH370과 더불어 같은 기종에서 두 번이나 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 PTSD가 되었는지 말레이시아 항공은 결국 보유하던 보잉 777을 전량 퇴역시켜 버렸다. 그리고 주문했던 보잉 737 MAX도 전량 취소해 버린 건 덤. 이후 에어버스제 광동체들을 줄창 도입하고 구형 A330들을 대체하기 위해 A330neo까지 주문했다. 심지어 그 안 팔린 A330F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면 말레이시아 항공의 트라우마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 수 있다.

네덜란드는 당연히 격분하며 벼르고 있었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하자 물심양면으로 우크라이나를 돕고 있다. 또 F-16의 우크라이나 공여를 처음으로 공식 확정했다.

10. 관련 문서


[1] 참고로 이 사고 전에 일어난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도 실종 하루 전 마지막 착륙을 촬영한 사진이 있다. [2]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그라보보
[3] 공교롭게도, 이 사고가 일어나기 7년 전 이날에 TAM 3054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해 탑승객 187명이 전원 사망하고, 지상 인원 12명이 사망해 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30위에 랭크되었고, 18년 전 이날에는 대한항공 184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해 탑승객 52명이 전원 생존하였고, 184편 사고와 같은 날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가 일어나 탑승객 230명이 전원 사망해 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20위에 랭크되었다. [4] 기종은 보잉 777-200ER. KLM 코드셰어 편명은 KL4103. [5] 아래쪽 조사 결과 발표 영상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싱가포르 항공 351편 말고도 주변에는 에바항공 88편, 에어 인디아 113편도 있었다. 다르게 말하자면 미사일을 발사한 쪽이 작정하고 항공기를 더 격추하려고 했으면 싱가포르 항공, 에바항공, 에어 인디아 또한 똑같이 대참사가 발생했을 것이다. [6]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때 한국인이 많았던 것, 아시아나항공 214편 착륙 사고 때 중국인이 많았던 것과 같은 이유다. [7] 그나마 다행히 블랙박스는 사고 직후 수습되었다. [8] 이때 결정적인 증거자료 중 하나인 부크 미사일 탄체의 잔해는 우회배기구라고 속여 수집했다고 당시 조사관이 항공 사고 수사대에서 회고하기도 했다. [9] 원래 777기는 운항 승무원이 2명이다. 근데 항법사가 탑승했다. [10] 대한항공은 1983년 007편 격추 사건 1978년 902편 격추 사건에 대한 트라우마 때문에 우크라이나 정세가 심상치 않자 일찌감치 우크라이나를 피해서 다녔다. [11] 하지만 싱가포르항공은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뒤에서 불과 25km 떨어진 지점을 날아가고 있었고 말레이시아 항공이 사라졌다는 소식에 애타게 탐색을 시도했다. [12] 실제로 미국은 보스니아 전쟁 당시 세르비아에 공습을 하기 위해 해당 공역을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했는데 세르비아는 이에 날아다니는 모든 것을 격추하려는 명령으로 대응했다. 반군들도 자신들이 공군이 없으니 비슷한 결정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13] Su-25의 일반적인 상승고도는 약 7700m이며 최대 상승고도가 당시 MH17편이 '순항' 중이던 10000m이다. 최대란 말에서 보여주듯 뭘 격추할 수 있을 정도로 기동도 할 수 없고 머무는 시간도 매우 짧다. 이런 점으로 수호이사가 반박했는데, 사실 이건 러시아의 자폭성 발언인 게 만일 진짜 Su-25가 MH17편을 격추할 정도로 높고 큰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러시아군에서만 보유한 Su-25M3이나 Su-39같은 기종밖에 없다. 다른 나라 Su-25는 구소련 시절에 제작되어 엔진출력도 낮고 여객기를 격추시킬 만한 공대공 무기도 보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4] KLM은 쿠알라룸푸르행에 보잉 777-300ER을 투입한다. [15] 네덜란드는 KLM이 연관된 테네리페 참사를 겪은 적도 있다. [16] 해당 영상의 1분 10초 부근 [17] 성호를 긋기 전에 모자를 벗었고 이후 고개를 절래절래 흔드는 것을 보면 추모의 의미인 것은 확실하다. [18] 누군가가 써 놓은 댓글의 번역에 따르면 이렇다. "우린 그 쓰레기들이 누굴 격추한 건지 알았으면 좋겠군요, 보이십니까?"(그들은 아이들이었습니다.) [19] 당초 100~108여 명으로 발표되었으나 학회에서 개별국가에 전부 접촉하여 취합한 결과 6 +a 명으로 정정되었다. [20] 일부 언론사에서는 대변인으로 해석했지만 남성 대변인은 spokesman으로 표기한다. [21] 애들레이드 거주자라고 한다. [22] 참고로 한 재미교포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으로 남편을 잃은 후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여동생을 잃으며 대한항공과 원치 않는 악연을 이어가야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