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전투 | 크림 최고 라다 점령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슬로뱐스크 포위전 · 마리우폴 전투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일로바이스크 전투 · 데발체베 전투 · 아우디이우카 전투 |
||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
쿠데타 시도) · 2022년(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전선 및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 하르키우 전투 · 쿠퍈스크 전투 · 이지움 전투 · 스타로빌스크 전투 · 스바토베 전투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 · 크레민나 전투 · 루베즈노예 전투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리시찬스크 전투 · 리만 전투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 슬로뱐스크 전투 · 시베르스크 전투 · 졸로테 전투 · 포파스나 전투 · 솔레다르 전투 · 바흐무트 전투 · 차시우야르 전투 · 토레츠크 전투 · 니우요크 전투 · 아우디이우카 전투 · 피스키 전투 · 오체레티네 전투 · 포크로우스크 전투 · 셀리도보 전투 · 우크라인스크 전투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 · 마린카 전투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 · 쿠라호베 전투 · 부흘레다르 전투 · 마리우폴 포위전 )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 |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 ( 헤르손 전투 · 미콜라이우 전투 · 드니프로강 공방전 · 멜리토폴 전투 · 토크마크 전투 · 베르댠스크 전투 · 에네르호다르 전투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 · 폴로히 전투 · 훌랴이폴레 전투 ) · 오데사 상륙전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 ( 오리히우 전투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 · 크린키 전투 )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 호스토멜 공항 전투 ) · 수미 전투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 쿠르스크 전투(2024년) ) |
각지 특수작전 및 전투 [첨자3]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 벨고로드 공습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 · 타간로크 공습 · 크림 대교 붕괴 사건 · 2023년 모스크바 공습(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항공우주군 공습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크린키 전투 Бои за Крынки[러] Бої за Кринки[우] Battle of Krynky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2023년 6월 26일 ~ 2024년 6월 추정[3] | |
장소 | |
주요 격전지 : 우크라이나 헤르손주 크린키 일대 | |
교전국 |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병력 | |
우크라이나군 우크라이나 해병대 제46공중기동여단 |
러시아 연방군 제810근위해군보병여단 |
피해규모 | |
집계 중 |
집계 중 |
결과 | |
러시아군의 승리 |
[clearfix]
1. 개요
2023년 6월 26일부터 2024년 6월까지 헤르손주 크린키 일대에서 벌어지는 전투이다. 우크라이나군의 자포리자 공세와 함께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우크라이군이 다치 지역을 확보했고 교두보 여러 개를 설치했으며 6월 27일에는 올레쉬키 외곽 지역까지 도달했지만 8월이 되도록 별다른 진격을 하지 못하고 소강상태에 놓여있는 상태였는데 10월 중순에 우크라이나가 다시 크린키 지역일대에 상륙해서 교두보를 확보했다.
러시아는 지속적으로 크린키 교두보를 제거하려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우크라이나군 역시 초반에 확보한 크린키를 제외하면 인근 지역으로 교두보흘 확대하지 못하면서 전선은 정체 상태로 있었다.
우크라이나군이 2024년 6월 전후로 크린키 교두보에 있던 병력을 철수시킴에 따라, 크린키 전투는 러시아의 승리가 되었다.
2. 경과
2.1. 2023년
2.1.1. 6월
|
<rowcolor=#fff> 06.26.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가 드니프로강을 도하하여 올레쉬키 앞의 야지에 상륙하는데에 성공하였다.
- 6월 27일, 우크라이나가 올레쉬키 시내 앞까지 도달하여 M-14/M-17국도와 P-57 국도 분기점을 경계로 러시아군과 대치 중이다.
- 6월 30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측 안토노우스키 대교 잔해에 미사일로 타격하였다.
2.1.2. 7월
2.1.3. 8월
|
<rowcolor=#fff> 08.09. 기준 피드스텝네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의 소규모 특수부대가 드니프로 강을 건너 헤르손주 카자치 라헤리 서쪽 지역으로 상륙해서 교전중이다.
- 8월 12일, 친우 오신트에 의하면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 건너에 있는 코자차 라헤리 외곽에 교두보를 확보했다고 한다. #
2.1.4. 10월
산발적으로 전투가 지속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11여단이 전과를 올리기도. #
|
<rowcolor=#fff> 10.01.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10월 18일, 친러 성향 공개정보 소식통 '라이바'가 우크라이나 병력 일부가 도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
<rowcolor=#fff> 10.20.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러시아 소식통들은 이번 주 초 우크라이나가 드니프로 강을 건넜다는 보도를 적어도 두 곳에서 부분적으로 확인했다.
- 우크라이나는 이전에도 러시아군이 점령한 강가에 있는 진지를 급습하기 위해 건널목을 설치한 적이 있다.
|
<rowcolor=#fff> 10.20. 기준 포이마 전선 지도 |
|
<rowcolor=#fff> 10.20. 기준 크린키 전선 지도 |
|
<rowcolor=#fff> 10.24.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rowcolor=#fff> 10.24. 기준 포이마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드니프로 강의 남쪽 제방에서 추가 위치를 차지했다.
2.1.5. 11월
|
<rowcolor=#fff> 11.09. 기준 크린키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드니프로 강 동안에 위치를 잡고 크린키에서 지배권을 확장했다.
- 11월 15일,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 안드리 예르막은 우크라이나군이 드니프로강 동쪽 기슭에 주둔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그러면서 크림 반도로 진격하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하지만 막상 기사를 작성한 가디언지는 사실상 실패한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에 대해 서방의 지원을 유지하려고 노력의 일환으로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더구나 우크라이나 관리들이 밝히기론 불과 수십 명에서 수백 명의 병력만이 주둔하고 있으며 그들은 러시아 드론 공격과 포격에 직면해 있다고 한다. #
|
<rowcolor=#fff> 11.19. 기준 크린키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크린키 정착지 내 드니프로강 남쪽 강변을 따라 통제권을 확장했다.
|
<rowcolor=#fff> 11.26. 크린키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이 크린키에서 교두보 통제를 계속 유지하면서 드니프로강 남쪽 기슭의 회색지대로 통제권을 확장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이 비록 크린키 강변 일부를 점거하고 있지만 전력적으로 가치가 전혀 없는 지역이고 무엇보다도 전진을 전혀 못하고 있다.
2.1.6. 12월
- 푸틴 대통령이 12월 14일 기자회견에서 게라시모프 참모총장에게 크린키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지 말라고 지시했다.우크라이나군이 더 많은 병력을 투입해 소모시키는 것이 러시아에게 유리하다는 것이다. #
- 뉴욕타임스가 16일에 드니프로 강을 건너 크린키 전투에 참여한 우크라이나 해병대원 6명과 인터뷰한 내용을 보도했는데, 우크라이나 정부 당국자들의 긍정적인 전황 보고와는 달리 드니프로강의 전투는 잔혹하고 끔직한 자살임무였다고 한다. #
2.2. 2024년
2.2.1. 2월
- 2월 3일: 우크라이나군이 크린키 교두보를 유지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러시아 군사블로거는 크린키 주변 지역을 우크라이나군 드론들이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군이 크린키를 점령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증언했다. #
- 2월 20일 ~ 2월 22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크린키를 러시아군이 점령했다는 주장을 2월 20일 반복했다. 2월 21일 ISW는 러시아가 크린키 방면에서 소폭 진격한 것을 확인했다. # 2월 22일 러시아 군사블로거가 크린키 외곽을 방문해 러시아 국방부의 주장처럼 크린키를 점령했다고 입증하려 했으나 포격 위협을 이유로 마을에 들어가지 않고 철수했다. ISW는 러시아가 크린키 방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주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
- 2월 28일: 러시아 군사블로거는 우크라이나군이 크린키 남서쪽 마을 피샤니우카-피드스테프네를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
2.2.2. 4월
- 4월 2일, 우크라이나군 남부 작전 사령부 대변인인 나탈리아 후메뉴크 대령은 러시아군이 중장비 손실로 인해 크린키에 대한 공격에 장갑차를 사용할 수 없으며, 러시아군은 공격 사이에 드론 공격과 포병 공격을 수행하는 동안 하루에 2~3회의 우크라이나 진지에 대한 공격을 수행하고 있다고 반복해서 말했다. 러시아 군사블로거는 크린키에서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이 실패하고 있지만, 러시아 포병 사격으로 인해 정착지에서 추가 영토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 4월 25일 크린키에서 교전이 보고되었다. #
2.2.3. 5월
- 5월 14일, 러시아군이 크린키 교두보를 포함한 헤르손 강둑 인근 지역을 공격했다. #
- 5월 28일, 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는 크린키에서 4차례의 교전이 벌어졌으며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의 공격을 막아냈다고 밝혔다. #
2.2.4. 6월
- 6월 10일 ~ 11일: 크린키 주변에서 교전이 벌어졌으나 전선 변동사항을 일어나지 않았다. #
- 6월 16일: 크린키에서 교전이 벌어졌으나 해당 전선에 변동사항은 없었다. #
- 6월 18일 ~ 6월 19일 사이 크린키 인근에서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 사이의 교전이 보고되었다. #
2.2.5. 7월
- 7월 5일, 크린키 주변 지역을 포함해서 전투가 벌어졌지만 전선 변화는 없었다. #
- 7월 10일, 크린키 전투에 참전한 러시아군 810여단이 하르키우 전선으로 이동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 #
- 7월 17일, 타브리아 군대 대변인 드미트로 리코비이가 키이우 인디펜던트와 인터뷰에서 크린키에 있는 우크라이나군 주요 진지 대부분이 파괴되었다고 밝혔다. # 전쟁연구소는 우크라이나군이 크린키에서 철수한 것을 간접적으로 인정했다고 평가했다. #
3. 우크라이나가 올레쉬키 방면 공격을 시도한 이유
올레쉬키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중 하나이다. 올레쉬키는 크림반도의 아르미얀스크와 직결되는 고속도로가 있는 곳으로, 러시아 입장에서는 크림반도와 연결되는 우크라이나 방향 고속도로는 M-17 고속도로와 M-18 고속도로밖에 없다. 올레쉬키의 M-17 고속도로를 따라 브릴리우카와 칼란차크를 지나면 그대로 크림반도와 직결되어 있는 곳이라 이곳이 뚫리면 우크라이나군이 드니프로강을 지나 크림반도에 진입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드니프로 강이 바닥을 보일 정도로 말라버려서 도하 난이도가 매우 낮아졌다. #, # 하지만 반 년이 넘도록 우크라이나군은 크린키 주변 지역으로 교두보 확장을 실패했고, 러시아가 이 지역을 2024년 7월 기준 드니프로 강 하구 지역에 주둔하는 군사 병력을 2023년 말 6만 4천명에서 10만 - 12만명으로 증원하는 걸로 대응했고 2024년 초 미국 지원이 몇 달 간 지연으로 인해 장비 부족까지 겹쳐 크린키에서 철수하게 되었다. #원래 2023 우크라이나 대반격 작전의 주요 공격 루트는 자포리자와 도네츠크 방면(바흐무트 인근)이었고 헤르손 지역은 처음부터 공세 지역이 아니었으나 개전 이후 무턱대고 해병대 몸집을 불려 4개 여단 규모로 늘려다가 모조리 헤르손 지역으로 몰아넣었지만 정작 조디악 보트 말곤 도하수단이 없어 찔끔찔끔 건너다 차례대로 박살나는 결말을 맞았는데, 헤르손 건너편 교두보를 마련하고 반대편에선 러시아령 자포로제를 제압하고 합쳐서 크림반도로 진격하겠다는, 서방의 우크라이나 지지자들에게 보여주고 지원을 이끌어내려는 다분히 정치적인 메시지 때문에 무리한 루트를 선택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러]
러시아어
[우]
우크라이나어
[3]
우크라이나 군 소식통은 2024년 7월 17일 언론에 보도되기 몇 주전 크린키에서 철수했다고 밝혔다.
https://suspilne.media/792101-zsu-vidijsli-z-krinok-na-hersonsini-dzere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