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3:46:18

토요타 캠리

캠리에서 넘어옴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세계 10대 최다 판매 자동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3년 브랜드 차종별 판매량 순위
순위 국적 브랜드명 차종 판매량/전년 대비 판매율
1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테슬라 로고.svg 파일:테슬라 로고 화이트.svg
테슬라
파일:tesla-model-y.jpg
모델 Y
122만 대
+64%
2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2022-Toyota-RAV4-16.jpg
라브4/ 와일드랜더
107만 대
+5%
3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혼다 로고.svg 파일:혼다 로고 화이트.png
혼다
파일:Honda-CR-V-Europe-2s-1024x576.jpg CR-V/ 브리즈 84만 대
+18%
4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2022_Toyota_Corolla_JP_01.jpg
코롤라/레빈
80만 대
-19%
5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2023_Toyota_Corolla_C_01.jpg
코롤라 크로스/프론트랜더
71만 대
+35%
5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11세대 캠리 XSE 전면.jpg
캠리
65만 대
-2%
7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포드 로고 컬러.svg 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포드
파일:2024-ford-f-150-platinum-exterior.jpg
F-150
62만 대
+18%
8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2025 토요타 하이럭스.webp
하이럭스
60만 대
+4%
9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닛산 자동차 주식회사 로고 컬러.svg 파일:닛산 자동차 주식회사 로고 화이트.svg
닛산
파일:2024 닛산 센트라 SR_(1).jpg
센트라/ 실피
53만 대
-1%
10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테슬라 로고.svg 파일:테슬라 로고 화이트.svg
테슬라
파일:BA642CEA-CF06-4221-B8DF-57EA208BB64A.jpg
모델 3
50만 대
+5%
출처: #
틀:세계 10대 자동차 그룹 | 틀:세계 10대 자동차 브랜드
}}}}}}}}} ||
파일:토요타 로고.svg
파일:11세대 캠리.jpg
파일:Camry-logo.png
トヨタ・カムリ[1]

1. 개요2. 역사
2.1. 1세대 (A40/50, 1979~1982)2.2. 2세대 / 1세대 (V10, 1982~1986)2.3. 3세대 / 2세대 (V20, 1986~1990)2.4. 4세대 (V30, 1990~1994) / 3세대 (XV10, 1991~1996)2.5. 5세대 (V40, 1994~1998)2.6. 6세대 / 4세대 (XV20, 1996~2001)2.7. 7세대 / 5세대 (XV30, 2001~2006)2.8. 8세대 / 6세대 (XV40, 2006~2011)2.9. 9세대 / 7세대 (XV50, 2011~2017, 2020)2.10. 10세대 / 8세대 (XV70, 2017~2024)
2.10.1. 캠리 모델리스타2.10.2. 캠리 GR 파츠2.10.3. 캠리 GR 스포트2.10.4. 캠리 TRD
2.11. 11세대 / 9세대 (XV80, 2024~현재)
3. 캠리/셉터 쿠페4. 캠리 솔라라
4.1. 1세대 (XV20, 1998~2003)
4.1.1. TRD 솔라라
4.2. 2세대 (XV30, 2003~2008)
4.2.1. 캠리 솔라라 스포트
5. 배지 엔지니어링6. 제원
6.1. 8세대 / 6세대6.2. 9세대 / 7세대6.3. 10세대 / 8세대
6.3.1. 페이스리프트
7. 북미 시장8. 대한민국 시장9. 여담10. 매체에서
10.1. 영화10.2. 애니메이션10.3. 게임
11. 경쟁 차량12. 둘러보기

1. 개요

토요타에서 생산, 판매 중인 전륜구동 중형 세단. 1980년 토요타에서 팔던 스포츠형 승용차인 셀리카에서 파생된 4도어 후륜구동 세단인 셀리카 캠리[2]로 출시되었고, 불과 2년 만에 모델 체인지하여 셀리카로부터 독립형 모델이 되었다.[3] 구동계도 전륜구동으로 바뀌었다.

토요타에서 미국 시장을 타겟으로 만든 중형 세단인데, 20년이 넘도록 미국에서 세단 판매량 1위를 고수하고 있는 최고 인기 패밀리 세단이다. 미국에서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 2001년, 2009년, 2017년을 제외하고 승용차 부문 베스트셀러 자리를 꾸준하게 지키며 2023년 기준 전체 판매량 6위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2009년에는 토요타 리콜 사태로 토요타, 렉서스의 불신감 때문에 1위를 빼앗겼고[4], 2017년에는 신형 캠리 출시를 앞두고 수요가 신차 예약으로 빠지고 기존 모델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혼다 시빅에 밀리며 2위로 내려왔지만 2018년 다시 1위로 복귀했다.[5] 자동차 관세가 높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고급 중형 세단으로 인기가 많다.

2023년 기준 미국 중형차 시장에서 캠리-어코드-알티마 순으로 1~ 3위를 다루고 있고, 말리부, K5, 쏘나타는 4~6위를 오락가락하고 있다.

캠리의 전륜구동 플랫폼[6] 아발론, 시에나, 하이랜더, 해리어, 벤자, ES, RX, NX 등과 공유한다. 즉, 쏘나타[7]같이 다양한 모델들과 차대를 같이 쓴다. 호주 시장에서는 북미형 캠리 2.5L를 캠리로, 동아시아형 캠리 V6 3.5L를 오리온(AURION)이라는 별도 이름으로 판매했다.[8]

2. 역사

생산별 테크트리가 복잡해져 "/"로 구분. 왼쪽이 내수형, 오른쪽은 수출형이다.

2.1. 1세대 (A40/50, 1979~1982)

파일:Toyota_Celica_Camry_2.0GT_01.jpg
파일:Toyota_Celica_Camry_2.0GT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Toyota_Celica_Camry_Int.jpg
내부
파일:Toyota_Celica_Camry_2.0GT_03.jpg
파일:Toyota_Celica_Camry_2.0GT_04.jpg
}}}
2.0 GT 사양
파일:Toyota_Celica_Camry_1.8XT_01.jpg
파일:Toyota_Celica_Camry_1.8XT_02.jpg
1.8 XT 사양
<rowcolor=#fff> 셀리카 캠리

1979년 12월, 이 모델을 기점으로 아이치현 토요타시에 있는 츠츠미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처음 출시 당시에 동사의 카리나 2세대 A40 차체로 이용하여 셀리카 캠리라는 이름으로 출시하였다. 형제차로 2세대 카리나가 존재했다. 1.6리터 12T-U(TA41) 가솔린 엔진과 1.8리터 13T-U(TA46)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88마력/95마력이다. 모델 등급명은 각각 1600 LT, 1600 XT, 1800 LT, 1800 XT와 1800 XT Super Edition이 있었다.

1980년 8월에는 맥퍼슨 스트럿과, 리어 세미 트레일링 암, 디스크 브레이크, 4륜 독립형 서스펜션을 장착한 최고급 모델을 출시했다. TA57 1800 SX에는 1.8 리터(3T-EU)를 장착하여 출시했다. 이후 토요타는 2밸브 SOHC 21R-U 엔진을 장착한 2000 SE 모델과 8밸브 DOHC 18R-GEU를 장착한 2000 GT 모델을 출시했으며 2000 GT는 각각 RA56, RA55라는 명칭을 부여받았다. 각각 105마력 /135마력을 기록했다. 1세대 캠리는 개발을 급하게 진행함에 따라, 전륜구동이 아닌 후륜구동으로 판매되어 2년간 생산하다 단종되었다.

2.2. 2세대 / 1세대 (V10, 1982~1986)

파일:external/3bc4c2da46076baf3632620a4fa67b921129d5c4912b2c0f4c90ef1c80be659a.jpg
파일:1982_Toyota_Camry_US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2_Toyota_Camry_US_Int.jpg
내부
파일:1982_Toyota_Camry_Liftback_EU_01.jpg
파일:1982_Toyota_Camry_Liftback_US_02.jpg
리프트백 }}}
북미형 L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82_Toyota_Camry_01.jpg
파일:1982_Toyota_Camry_02.jpg
일본 내수형
<rowcolor=#fff> 전기형

1982년에 셀리카의 서브네임을 버리고 당당하게 캠리의 이름을 올린 2세대가 출시하였다. 그리고 형제 모델인 비스타도 함께 출시되었다. 여기에 토요타의 첫 가로배치 전륜구동차라는 의의를 남겼다. 1956년에 제작된 퍼블리카의 프로토타입인 토요타 1A에서 처음 시도하고, 1978년의 토요타 터셀/ 코르사에서 처음 양산한 세로배치 전륜구동에 이어 가로배치 전륜구동을 캠리/비스타를 통해 자사 최초로 데뷔시켰다.

이때부터 수출형 모델까지 생산하여 수출형은 1세대가 되었으니 전륜구동 중형차 간의 춘추전국시대[9]가 열리게 되고 4년간 생산되다 1986년에 단종되었다.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toyota_camry_us-spec_73.jpg
파일:1984_Toyota_Camry_US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4_Toyota_Camry_US_Int.jpg
북미형 LE
파일:1984_Toyota_Camry_EU_01.jpg
파일:1984_Toyota_Camry_EU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4_Toyota_Camry_XS_JP_01.jpg
파일:1984_Toyota_Camry_XT_JP_01.jpg
일본 내수형 }}}
유럽형
<rowcolor=#fff> 후기형

2.3. 3세대 / 2세대 (V20, 1986~1990)

파일:1989_Toyota_Camry_Prominent_Hardtop_JP_01.jpg
파일:1989_Toyota_Camry_Prominent_Hardtop_JP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9_Toyota_Camry_Prominent_Hardtop_JP_Int.jpg
내부
파일:1988_Camry_Prominent_JP_Brochure_01.jpg
파일:1988_Camry_Prominent_JP_Brochure_02.jpg
}}}
<rowcolor=#fff> 하드탑 버전 프로미넌트(일본 내수형)/렉서스 ES(컨버전 북미형)
파일:1989_Toyota_Camry_EU_01.jpg
파일:1989_Toyota_Camry_EU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9_Toyota_Camry_EU_Int.jpg
내부
파일:1987_Toyota_Camry_JP_01.jpg
파일:1987_Toyota_Camry_JP_02.jpg
일본 내수형 캠리 }}}
<rowcolor=#fff> 유럽형

1986년 토요타가 야심차게 캠리 3세대를 내놓았는데, 버블 경제 절정기에 나온 차량 답게 차급을 뛰어 넘는 고급감과 조립품질을 보여주었다. 당시 첨단장비를 탑재하여 고급화로 무장된 미쓰비시 갤랑 시그마와 경쟁하기 위해 캠리 프로미넌트까지 출시한 것도 덤이었고, 과열 경쟁에 그칠 줄 모르다 1990년에 단종되었다.
파일:1987_Toyota_Camry_US_01.jpg
파일:1987_Toyota_Camry_US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7_Toyota_Camry_US_Int.jpg
전기형 LE
파일:1991_Toyota_Camry_US_01.jpg
파일:1991_Toyota_Camry_US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1_Toyota_Camry_US_Int.jpg
후기형 LE
북미형

북미형 캠리는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생산되었다. 1989년에 토요타가 자사 프리미엄 브랜드인 렉서스를 설립하고 북미 시장에 진출하자, 렉서스 LS와 함께 일본 내수용인 캠리 프로미넌트 하드탑 사양을 전환시킨 렉서스 ES를 북미 시장에 판매하기 시작한다. ES는 1991년에 2세대가 출시되면서 일본 시장엔 토요타 윈덤으로 출시가 되며, 2세대부턴 플랫폼만 같고 캠리와는 별개의 차종으로 분리되었다.

캠리 북미 사양 후기형부턴 1989년에 새롭게 만들어진 동그란 토요타 엠블럼이 적용된다.

2.4. 4세대 (V30, 1990~1994) / 3세대 (XV10, 1991~1996)

파일:1991_Toyota_Camry_Prominent_01(V30).jpg
파일:1991_Toyota_Camry_Prominent_02(V30).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1_Toyota_Camry_Prominent_Int(V30).jpg
하드탑 버전 프로미넌트(일본 내수형)
파일:1990_Toyota_Camry_01(V30).jpg
파일:1990_Toyota_Camry_02(V30).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0_Toyota_Camry_Int(V30).jpg
일본 내수형 캠리 내부
파일:1990_Toyota_Camry_Lumiere_01(V30).jpg
파일:1990_Toyota_Camry_Lumiere_02(V30).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0_Toyota_Camry_Lumiere_Int(V30).jpg
}}}
일본 내수형 캠리 루미에르 }}}
일본 내수형 캠리
<rowcolor=#fff> V30 캠리

원래 글로벌 공통 모델이었으나, 더 큰 차를 희망하던 수출시장 수요에 맞춰 199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캠리가 작은 일본 내수형과 큼직한 수출형으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일본 시장에선 5넘버라고 불리는 크기규격에 맞추다보니[10] 1998년까지 준중형 사이즈의 차가 캠리라는 이름으로 팔려야만 했다.
파일:1992_Toyota_Camry_01(XV10).jpg
파일:1992_Toyota_Camry_02(XV10).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2_Toyota_Camry_Int(XV10).jpg
캠리 솔라라 SLE 내부
파일:1992_Toyota_Camry_Wagon_01(XV10).jpg
파일:1992_Toyota_Camry_Wagon_02(XV10).jpg
캠리 왜건 }}}
전기형
파일:1995_Toyota_Camry_01(XV10).jpg
파일:1995_Toyota_Camry_02(XV10).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캠리 솔라라 SLE 내부
파일:1995_Toyota_Camry_Wagon_01(XV10).jpg
파일:1995_Toyota_Camry_Wagon_02(XV10).jpg
캠리 왜건 }}}
후기형
<rowcolor=#fff> XV10 캠리

해외 시장에서는 크기를 키운 수출형이 판매되었으며,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셉터라는 별도의 이름을 달고 출시되었다. 세단은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다 일본에서 생산하였으며, 쿠페와 왜건은 전량 미국에서 생산하였다.

호주에서는 캠리 본판과 버튼 플랜으로 발매된 홀덴 아폴로가 동시에 판매되었다. 중국의 경우 씬카이라는 업체를 통해 수입되거나 조립 생산되기도 했다.

2.4.1. 셉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요타 셉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5세대 (V40, 1994~1998)

파일:1994_Toyota_Camry(V40).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4_Toyota_Camry_Int(V40).jpg
전기형
파일:1995_Toyota_Camry_01.jpg
파일:1995_Toyota_Camry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5_Toyota_Camry_Int.jpg
후기형
<rowcolor=#fff> 캠리/비스타

이 모델은 해외시장 전용 모델은 없었고 내수 전용 모델만 존재했었다. 그리고 1998년 단종된 후에는 캠리는 캠리 그라시아와 통합되고 형제차인 비스타는 독자적인 모델로 길을 이어 나가게 되었다.

2.6. 6세대 / 4세대 (XV20, 1996~2001)

파일:1997_Toyota_Camry_US_01.jpg
파일:1997_Toyota_Camry_US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7_Toyota_Camry_US_Int.jpg
북미형 XLE
파일:1996_Toyota_Camry_01.jpg
파일:1996_Toyota_Camry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6_Toyota_Camry_Int.jpg
유럽형/일본 내수 캠리 그라시아 세단 내부
파일:1996_Toyota_Camry_Gracia_01.jpg
파일:1996_Toyota_Camry_Gracia_02.jpg
일본 내수 캠리 그라시아 왜건
파일:1996_Toyota_Camry_Sport_01.jpg
파일:1996_Toyota_Camry_Sport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6_Toyota_Camry_Sport_Int.jpg
}}}
캠리 스포트(유럽)/캠리 SE(북미) }}}
캠리 그라시아 세단(일본 내수)/유럽형
<rowcolor=#fff> 전기형

1996년부터는 4도어 세단과 병행 생산해 왔던 4도어 하드탑과 캠리 프로미넌트를 없애고 4도어 세단으로만 생산했다. 일본 내수형 한정으로 캠리 그라시아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11]. 하지만 소형차 전폭 기준 초과로 3넘버 차량[12]으로 나온 탓에 내수시장은 경쟁차이자 5넘버 차량으로 나온 닛산 세피로[13], 혼다 어코드/ 토르네오[14]보다 안 팔렸다. 수출 시장에서는 큰 문제가 없어서 딱 5년 주기를 채우고 모델 체인지되었다.

차량의 내구성 자체는 문제가 없었고 결함 이슈또한 없었으나 내수에서는 그놈의 전폭이 발목을 잡았고, 수출 시장에서도 쟁쟁한 경쟁 차종들이 많았다. 덕분에 저렴한 중고차로 재발굴되는 편이다.

1998년에는 "캠리 솔라라"라는 쿠페와 컨버터블이 나왔고 이후 세대에도 이어져 2008년까지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는 1996년에 진세무역에서 아발론 1세대를 들여왔을 때 4세대 캠리가 함께 수입되어 판매했으나, 아발론에 비해 인기가 적었다. 당시 정부의 수입선 다변화 정책이 시행되던 시절이라서, 둘 다 미국 생산분이었다.
파일:2000_Toyota_Camry_US_01.jpg
파일:2000_Toyota_Camry_US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0_Toyota_Camry_US_Int.jpg
북미형 XLE
파일:2000_Toyota_Camry_01.jpg
파일:2000_Toyota_Camry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0_Toyota_Camry_Int.jpg
캠리 그라시아 세단(일본 내수)/유럽형
<rowcolor=#fff> 후기형

2.7. 7세대 / 5세대 (XV30, 2001~2006)

파일:2002_Toyota_Camry_XLE_01.jpg
파일:2002_Toyota_Camry_X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2_Toyota_Camry_XLE_Int.jpg
XLE 내부
파일:2002_Toyota_Camry_SE_01.jpg
파일:2002_Toyota_Camry_S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2_Toyota_Camry_SE_Int.jpg
}}}
SE }}}
북미형 XLE
파일:2003_Toyota_Camry_Asia_01.jpg
파일:2003_Toyota_Camry_Asia_02.jpg
아시아형
<rowcolor=#fff> 전기형

보수적 디자인의 일본/유럽/북미형, 크롬 장식이 많은 아시아형의 디자인이 분화되었다. 한국에서도 일부 차량들이 수입되어 돌아다니고 있다. 엔진은 I4 2.4L( 2AZ-FE), V6 3.0L( 1MZ-FE), V6 3.3L( 3MZ-FE) 세 가지가 있었으며, 5단 수동, 그리고 자동변속기는 연식에 따라 4단 자동(U241E, U140E) 또는 5단 자동(U250E, U151E)이 있었다.

해당 모델의 정비지침서에는 미션오일 무교환으로 명시되어 있으나, 고속도로에서 고속으로[15] 크루징만 하고 다닐 게 아니라면 미션오일은 주기적으로 교환하자. 변속이 훨씬 부드러워진다. 만약 3~4단 또는 4~5단에서 오르막을 올라갈 때 덜덜 떨리는 증상이 있으면 미션오일을 꼭 교환해야 한다.

미국에서 연간 평균 판매량이 가장 높았던 세대인 만큼 아직까지 고개를 돌리는 곳마다 있을 정도로 매우 흔하다.
파일:2006_Toyota_Camry_XLE_01.jpg
파일:2006_Toyota_Camry_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_Toyota_Camry_XLE_Int.jpg
XLE 내부
파일:2006_Toyota_Camry_SE_01.jpg
파일:2006_Toyota_Camry_S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_Toyota_Camry_SE_Int.jpg
}}}
SE }}}
북미형 XLE(좌), LE(우)
파일:2006_Toyota_Camry_Asia_01.jpg
파일:2006_Toyota_Camry_Asia_02.jpg
아시아형
<rowcolor=#fff> 후기형

2.8. 8세대 / 6세대 (XV40, 2006~2011)

파일:2007_Toyota_Camry_XLE_01.jpg
파일:2007_Toyota_Camry_X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_Toyota_Camry_XLE_Int.jpg
XLE 내부
파일:2008_Toyota_Camry_SE_01.jpg
파일:2008_Toyota_Camry_S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8_Toyota_Camry_SE_Int.jpg
}}}
SE }}}
북미(XLE), 일본 내수형
파일:2007_Toyota_Camry_Asia_01.jpg
파일:2007_Toyota_Camry_Asia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_Toyota_Camry_Asia_Int.jpg
아시아형
<rowcolor=#fff> 전기형

이때부터 북미형과 아시아형이 같은 금형을 쓰되, 앞뒤 디자인을 다르게 해서 내놓았다. 엔진은 2.4 / 2.5 / 3.5L 가솔린 엔진이 있었고 변속기는 5단/6단 수동과 4단/5단/6단 자동이 있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적용되지 않은 라인업도 있다.
파일:2011_Toyota_Camry_XLE_01.jpg
파일:2011_Toyota_Camry_X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1_Toyota_Camry_XLE_Int.jpg
XLE 내부
파일:8세대 캠리 하이브리드 후기형.jpg
파일:2010_Toyota_Camry_Hybrid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_Toyota_Camry_Hybrid_Int.jpg
}}}
하이브리드 }}}
북미(XLE), 일본 내수형
파일:2009_Toyota_Camry_Asia(CN)_01.jpg
파일:2009_Toyota_Camry_Asia(CN)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9_Toyota_Camry_Asia_Int.jpg
아시아형
<rowcolor=#fff> 후기형

2009년에 부분변경을 거쳐 앞 범퍼, 안개등 등의 디테일을 수정했고, 테일램프의 미등/브레이크등이 LED로 점등되는 변화를 줬다.

대한민국에는 2007년에 병행수입 업체를 통하여[16] 북미형 8세대(XV40) 전기형 3.5L 모델이 잠시나마 준수하게 팔렸다가 2009년 10월 20일에 토요타가 한국시장에 정식 진출하며 북미 사양 후기형 모델이 수입되어 판매를 시작했으며, 일본에서 생산된 물량을 들여왔다.

정식으로 수입된 모델은 3,490만원의 2,494cc 가솔린 엔진와 6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 사양이 수입되었고, 경쟁차 대비 저렴한 가격 덕분에 나름대로 잘 팔렸다. 또한 4,590만원의 2,362cc 가솔린 엔진+전기모터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사양도 판매됐으며, 앞 범퍼와 테일램프의 차이로 구분 가능하다. 뒤쪽에 가로가 긴 번호판은 극 초기형 소수에 몇대 적용 되었으나 정식 판매가 본격화 된 이후론 적용되지 않았다.

부가적으로 정발할 당시에는 세단임에도 불구하고 아발론과 함께 2열 등받이 각도조절(리클라이닝)이 가능한 차량이다.[17]

2.9. 9세대 / 7세대 (XV50, 2011~2017, 2020)

파일:2012_Toyota_Camry_Hybrid_01.jpg
파일:2012_Toyota_Camry_Hybrid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2_Toyota_Camry_Hybrid_Int.jpg
하이브리드 XLE 내부
파일:9세대 캠리 XSE.jpg
파일:2012_Toyota_Camry_S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2_Toyota_Camry_SE_Int.jpg
}}}
SE }}}
북미(XLE 하이브리드), 대한민국형
파일:2011_Toyota_Camry_EU_01.jpg
파일:2011_Toyota_Camry_EU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1_Toyota_Camry_EU_Int.jpg
일본 내수, 동남아, 유럽형
<rowcolor=#fff> 전기형
Have it All
-대한민국 출시 당시 슬로건

캠리는 일본에서 규격에 의한 파생모델까지 모두 합하면 XV50이 9번째 모델이지만, 일본파생 모델은 일본에서만 판매되었기 때문에 보통 미국에서 출시된 모델을 가지고 세대구분을 한다. 토요타 공식 역사 사이트[18]에서는 XV40을 8세대, XV50을 9세대로 지정했지만, 정작 미국 및 한국의 캠리 오너 및 대리점들은 XV40을 6세대, XV50 7세대, XV50 페이스리프트 7.5세대로 흔히 부르고 있다.

2011년 8월부터 판매를 시작했으며, 2.5L / 3.5L 엔진 외에도 2.0L 엔진이 추가되었다. 북미형은 2.0L 라인업이 없고, 그걸 들려온 대한민국 판매사양도 2.0L 엔진을 지원하지 않으며, 일본에서는 하이브리드 단일 모델로 판매했다. 변속기는 4단과 6단 자동이 있고 하이브리드는 이전 세대처럼 변속기가 들어가지 않는다.

시장별로 디자인에 차별화를 뒀다. 트렁크 부분에 크롬 바가 있고 ㄷ자 형태면 내수형, 미등이 트렁크에 없는 경우 북미형이다.

대한민국에는 2012년 1월부터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한-미 FTA 효과를 업고 켄터키 주 조지타운 현지공장에서 생산된 북미형이 수입됐다. 또한 후면에 가로가 긴 번호판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론칭 당시 광고모델을 배우 김태희가 맡았다.
파일:2015_Toyota_Camry_XLE_01.jpg
파일:2015_Toyota_Camry_X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5_Toyota_Camry_XLE_Int.jpg
북미형 XLE 내부
파일:2015_Toyota_Camry_XSE_01.jpg
파일:2015_Toyota_Camry_XS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5_Toyota_Camry_XSE_Int.jpg
}}}
XSE
파일:2015_Toyota_Camry_Hybrid_01.jpg
파일:2015_Toyota_Camry_Hybrid_02.jpg
북미(XLE 하이브리드), 대한민국형 하이브리드 }}}
북미(XLE), 대한민국형
파일:2014_Toyota_Camry_EU_01.jpg
파일:2014_Toyota_Camry_EU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_Toyota_Camry_EU_Int.jpg
일본 내수, 동남아, 유럽형
<rowcolor=#fff> 후기형

미국 시장에서 경쟁 모델 대비 너무 밋밋한 내외부가 지적을 받아 2014년 4월 파격적인 변화를 거친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했다. 외모에 있어서는 캠리 페이스리프트 역사상 풀체인지에 가까운 변화폭을 갖는데, 사진에서 보이듯이 윈도우 라인을 C필러까지 연장한 모습이다. 부츠가 씌워진 기어노브가 적용됐다.

단, 이 바뀐 디자인이 호평만 얻는 것은 아니라서 디자인이 완전히 산으로 가버렸다거나 코롤라 11세대와 구별이 안 간다는등 새로운 디자인이 싫다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다. 즉, 디자인은 개인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듯 하다. 대한민국에는 2014년 11월부터 후기형이 판매되었다.

2015년형이 디자인만 바뀐것은 아니다. 미국 IIHS에서 2012년부터 신설된 스몰 오버랩 충돌테스트에서 계속해서 Poor 등급을 받아왔다가, 2015년형부터 드디어 Good 등급을 받았다. 내부적으로 안전성 역시 크게 개선되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일본 내수형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한국 제외)에는 2014년 9월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앞/뒤만 크게 바꿨으며, 측면은 큰 차이가 없다.

호주에서 생산한 마지막 토요타 차종으로, 2017년 10월 4일에 진회색 캠리가 마지막으로 출고되었다.( #)

대만에서도 이 세대까지만 현지 생산되었으며, 8세대부터는 일본 수입으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다른 나라와 다르게 8세대가 출시된 후에도 2020년 8월까지 기본형인 2.0 엘레강트만 남겨놓고 병행 판매를 하였다.
파일:external/www.mad4wheels.com/2013_Toyota_Camry_CamRally_001_1800.jpg
파일:external/www.mad4wheels.com/2013_Toyota_Camry_CamRally_003_6798.jpg

참고로 전기형에는 랠리 버전이 있고, 전기형과 후기형 모두 NASCAR에 출전하였다.

2.10. 10세대 / 8세대 (XV70, 2017~2024)

파일:2017_Toyota_Camry_01.jpg
파일:2017_Toyota_Camry_02.jpg
XLE
파일:2017_Toyota_Camry_XSE_01.jpg
파일:2017_Toyota_Camry_XSE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_Toyota_Camry_XSE_Int.jpg
XSE
<rowcolor=#fff> 전기형(2017~2020)

2017년 1월 9일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 정식 공개됐으며, 동년 7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북미형과 아시아형 모두 같은 디자인으로 통일했으나 범퍼 디자인을 중후한 모습의 XLE와 스포티한 모습의 XSE로 이원화한 것이 특징이다.[19] 일본에서는 하이브리드만 발매되며, 이전 모델과 다르게 토요타 코롤라점뿐만 아니라 넷츠점, 토요펫트점 3채널에서 판매된다.

스타일은 최근의 토요타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강렬하고 튀는 편이다. 전면부 그릴은 부담스러울 정도로 커져 호불호가 갈리기는 하지만, 확실히 기존 모델에 비해 강렬한 인상을 준다. 차고가 낮아진 덕분에 쿠페에 가까운 바디라인 실루엣을 만들어냈다[20]. 9세대/7.5세대까지의 '무난한 차'라는 인상은 상대적으로 덜해진 스타일링이라고 할 수 있다. 실내의 경우 이전 세대 모델들 대비 마감품질이나 소재의 선택에 있어서 많이 고급스러워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플랫폼은 새로 개발한 TNGA-K 전륜구동 플랫폼을 적용, 부품 소형화를 실현하여 실내공간과 차고를 효과적으로 낮췄다. 플랫폼은 새로운 반면 가격과 정비성 및 유지관리 비용 등을 고려하였는지, 유럽산 자동차와 다르게 새로운 플랫폼을 적용하고도 새로운 소재보다는 스틸 소재 위주로 차체를 구성하였다.

서스펜션은 전륜 맥퍼슨 스트럿, 후륜 세미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21]을 채용하였다.

엔진은 신 개발 다이나믹 포스 엔진인 2.5L A25A-FXS 직렬 4기통 DOHC 16밸브를 사용하고, 출력은 207마력이다. 근래에 토요타 렉서스에 주로 탑재되는 앳킨슨 사이클 엔진이며, 토요타 직분사 시스템인 D-4S와 함께 멀티홀 직분사[22]라는 연료분사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토요타 자체 발표 기준 최대 41%의 열효율을 달성했다고 한다. 혼다 어코드를 비롯한 경쟁 모델들이 다운사이징 터보를 채용하면서 V6 라인업을 폐지한 반면, 캠리는 3.5L V6 모델을 유지하였다. 하이브리드는 3NM 교류 동기 모터를 조합해 총 시스템 출력 211마력을 낸다. 일반 가솔린 모델의 자동변속기는 전륜형 8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며, 하이브리드는 이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e-CVT라 불리는 모터가 변속기를 대신하는 시스템이 들어간다.(하위 트림 리튬 이온 배터리, 상위 트림 니켈수소 배터리) 그리고 이전세대까지 사용했던 칼럼타입의 EPS가 아닌 랙타입의 EPS를 적용하면서 조향에 대한 품질도 향상시켰다. 또한 안전운전 지원장치인 Toyota Safety P를 적용하고 후진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잡는 리어 크로스 트래픽 자동 브레이크도 장착된다. 하이브리드는 동급최고인 33.4km/L( JC08 모드)를 실현했다. 대한민국 복합 연비는 2.5L DOHC 12.3km/L, 2.5L 하이브리드 16.7km/L.

상급 차종인 아발론 2.5 하이브리드가 출시되면서 엔진 다운사이징을 못한 탓에[23] 하이브리드의 2.5L 엔진을 아발론과 캠리가 공용하면서 캠리의 평판이 점점 떨어졌고,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내비게이션과 후방주차 모니터)가 살짝 하단으로 쏠려있어 시인성이 떨어지는 데다가[24] 패들 시프트는 오로지 XSE 트림만 적용되어 상급트림인 XLE 이상 트림에는 적용되지 않아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17년 10월 19일부터 일본 생산분을 수입해 들여왔으며, 하이브리드는 니켈 수소 배터리만 들어온다. 그리고 토요타의 유럽 전략형 중형차인 어벤시스를 단종시키고 캠리가 유럽시장에 14~15년만에 다시 진출했으나, 영국, 독일, 이탈리아 시장에는 판매 부진으로 부분변경 모델을 내놓지 않고 그대로 철수했다.

그리고 한국 출시 첫 달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토요타의 판매량 상승을 이끌었다. 2017년 두 달만에 3천대 이상 판매를 달성했으며, 2018년 들어서 경쟁모델인 신형 어코드의 출시 등에도 불구하고 9천 대 이상이 판매되는 큰 성과를 이루었다.

2019년 2월 중순에는 하이브리드에 LE 트림을 추가했다. 헤드램프, 테일램프의 방향지시등/후진등이 벌브 타입이며, 스티어링 휠, 시트에 열선이 빠지고 직물시트가 들어가며 카스테레오 스피커도 6개로 감소한다. 가격은 3,740만 원으로 출시되었다. 옵션은 많이 삭제됐지만 선루프가 제외되어 오히려 소음이 덜해졌다는 점은 호평을 얻고 있다.

2020년 2월에 XSE의 범퍼와 립스포일러를 적용한 캠리 스포츠 에디션이 한국에서 200대 한정 판매되었다. 원톤 및 투톤 2가지가 있었으며, 가격은 2.5L XLE보다 200만원 높다.
파일:2020_Toyota_Camry_XLE_01.jpg
파일:2020_Toyota_Camry_XLE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_Toyota_Camry_XLE_In.jpg
XLE
파일:2021_Toyota_Camry_XSE_Hybrid_01.jpg
파일:2021_Toyota_Camry_XSE_Hybrid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_Toyota_Camry_XSE_In.jpg
XSE
<rowcolor=#fff> 후기형(2020~2024)

2020년에 약간의 부분 변경을 거쳤다. 외관상 LE/XLE는 앞 범퍼 디자인을 약간 수정했고, 실내에는 돌출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며 중앙 송풍구가 하단으로 내려갔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1년 5월 18일에 부분변경 모델이 출시되었다. 2.5L 가솔린 모델은 XLE 단일, 2.5L 하이브리드 모델은 LE, XLE, XSE 3가지 트림으로 들여오다가 일반 가솔린 모델은 2023년 부로 수입이 중단되며 토요타 대한민국 홈페이지에서 삭제되고 하이브리드 모델만 판매했다.

공인 연비는 LE(17인치 휠)가 복합 18.1km/L, XLE와 XSE(둘 다 18인치 휠)가 복합 17.1km/L로 전기형보다 소폭 올랐다.[25]

일본 내수 시장에서 경차, 소형차, SUV, MPV로 인해 저조한 판매량을 기록하자, 결국 2023년 초에 계약을 중단했으며, 동년 12월 말에 10세대를 끝으로 43년 만에 캠리의 판매를 종료했다. 일본에서 판매를 중단하더라도 수출형은 지속적으로 판매하며 일본 공장에서의 생산은 계속 이어간다. # 그리고 일본에서의 캠리의 빈자리는 크라운 크로스오버가 간접적으로 메우게 된다. 한편 2024년 유럽에서는 일본에 있던 재고를 싹 끌어모아 재판매를 하기도 했다.

가솔린 사양의 싱글 머플러는 일본차답게 우측에 위치하나 하이브리드 사양의 싱글 머플러는 주유구와 같은 좌측에 위치돼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같은 플랫폼을 쓰는 아발론 렉서스 ES 300h도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2.10.1. 캠리 모델리스타

파일:camry modellista.webp
파일:camry modellista.jpg
파일:camry modellista(1).webp
파일:Camry-logo.png 파일:모델리스타 로고.png

2.10.2. 캠리 GR 파츠

파일:toyota-camry-gr-sport-1.jpg
파일:toyota-camry-gr-sport-6-black-7nul.jpg
파일:Camry-logo.png 파일:gr parts.png

2.10.3. 캠리 GR 스포트

파일:캠리 GR 스포트.jpg
파일:Camry-logo.png 파일:gr_sport.png

2.10.4. 캠리 TRD

파일:toyota-camry-trd-2021-01-angle--exterior--front--white.webp
파일:Camry-logo.png 파일:logo_01_pc.jpg

2.11. 11세대 / 9세대 (XV80, 2024~현재)

파일:11세대 캠리 XLE 전면.jpg
파일:11세대 캠리 XLE 후면.jpg
파일:11세대 유럽형 캠리 전면 2.webp
파일:11세대 유럽형 캠리 후면 2.webp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4_Camry_XLE_In.jpg
XLE
파일:11세대 캠리 XSE 전면.jpg
파일:11세대 캠리 XSE 후면.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4_Camry_XSE_In.jpg
XSE
북미, 유럽형

현지시각 기준 2023년 11월 14일 오후 10시[26]에 북미형 크라운 에스테이트(시그니아)와 함께 정식 공개됐으며, 2024년 5월부터 2025년형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TNGA-K 플랫폼을 그대로 활용하면서[27] 5세대 프리우스부터 적용된 해머헤드 디자인을 반영했고, 서스펜션과 핸들링 세팅에 중점을 뒀다. XSE는 튜닝된 서스펜션이 장착된다.

인테리어는 수평적인 형태로 바뀌면서 무선 미러링, OTA, 커넥티드 음성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8인치 디스플레이를 기본으로 XLE/XSE에는 12.3인치 대화면 터치 디스플레이가 적용됐으며, 시트 쿠션 길이를 늘리고 모양을 변경해 착좌감을 높였다. USB C타입 단자, 2대의 스마트폰을 연결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능, 앞좌석 열선/통풍시트, 10인치 HUD, 디지털 키,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3.0, 프로액티브 드라이빙 어시스트, 우적감지 레인센싱 와이퍼 등의 편의/안전 사양이 적용됐다. 상위 모델인 크라운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클러스터와 신규 스티어링 휠, 메탈릭 포인트가 가미된 실내 장식 등 고급감을 한층 강화시켜주는 요소들도 엿볼 수 있으며, XLE/XSE는 파노라마 썬루프가 기본 적용됐다.

전 세대처럼 유럽 시장에서도 판매되는데, 캠리의 인기가 어느 정도 있었던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 등 중부 유럽 국가 위주로 판매하며 스코다 수퍼브 등의 차량과 경쟁한다.
파일:중국형 11세대 캠리 LE 전면.jpg
파일:중국형 11세대 캠리 LE 후면.jpg
LE
파일:중국형 11세대 캠리 SE 전면.jpg
파일:중국형 11세대 캠리 SE 후면.jpg
SE
파일:중국형 11세대 캠리 XSE 전면.jpg
파일:중국형 11세대 캠리 XSE 후면.jpg
XSE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형 11세대 캠리 XSE 실내.jpg
중국형

중국 시장용은 2023년 11월 17일 광저우 모터쇼에서 공개됐다. 헤드램프 C자형 DRL 형상이 넓게 바뀌고, 인테리어에 돌출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하고, 센터콘솔 형상이 달라지는 등, 북미형과 차이가 있으며, 동남아시아에도 이 디자인이 적용된다.

파워트레인은 기존 세대들처럼 시장별로 이원화된다. 북미/유럽형은 THS 5로 향상된 2.5L 자연흡기 하이브리드 단일 사양으로만 출시하며, 리튬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다. 전륜형은 10세대에 비해 시스템 출력이 17마력 향상된 228마력을, 후륜 On-Demand AWD 모터가 추가된 E-Four는 235마력을 발휘하며, 중국/동남아형은 시장에 따라 2.0L 순수 자연흡기 및 2.0L/2.5L 하이브리드를 판매한다. 순수 내연기관은 8단 자동변속기, 하이브리드는 유성기어가 결합된 e-CVT가 적용된다. 이로써 캠리도 6기통 라인업이 사라졌다.

일본에서는 전 세대의 판매부진 때문에[28] 출시되지 않지만, 유럽, 호주, 중동 등 해외 수출용으로는 계속 생산 중이다.

미국 현지 가격은 28,400~34,600달러[29]부터 시작하는데, 캠리가 미국에서 전부 하이브리드로 구성했는데도 어코드보단 싸다.[30]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4년 11월 1일부터 사전계약을 받고 11월 26일 정식 출시했으며, 12월 2일부터 고객인도를 시작했다. 가격은 XLE 4,800만원, XLE 프리미엄 5,360만원부터 시작하며, 10세대 XLE 끝물보다 340만원 정도 인상했다. 경쟁 차량인 어코드 하이브리드에 비하면 XLE는 560만원 저렴하고, XLE 프리미엄은 20만원 비싸다.[31] 10세대처럼 일본 생산분을 수입한다. 복합연비는 10세대 18인치와 동일한 17.1km/L.

2025년 북미 올해의 차 최종 후보에 올라 혼다 시빅 HEV 및 기아 K4와 경쟁한다. 현지에서는 이 차의 수상 가능성을 높게 점치는 중이다.

3. 캠리/셉터 쿠페

파일:1992_Toyota_Camry_LE_Coupe_01(XV10).jpg
파일:1992_Toyota_Camry_LE_Coupe_02(XV10).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2_Toyota_Camry_SE_Coupe_01(XV10).jpg
파일:1992_Toyota_Camry_SE_Coupe_02(XV10).jpg
SE }}}
<rowcolor=#fff> LE 전기형
파일:1995_Toyota_Camry_LE_Coupe_01(XV10).jpg
파일:1995_Toyota_Camry_LE_Coupe_02(XV10).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5_Toyota_Camry_SE_Coupe_01(XV10).jpg
파일:1995_Toyota_Camry_SE_Coupe_02(XV10).jpg
SE }}}
<rowcolor=#fff> LE 후기형

수출용 3세대 XV10 캠리 및 일본 내수용 셉터의 쿠페 버전이다. 그러나 캠리 세단 2도어 버전에 불과한 차량이였기 때문에 캠리 세단과 차별화를 두지 못해 저조한 판매량을 유지했고, 일본에서는 다른 중형 FF 쿠페들마저도 인기가 떨어지면서 그대로 단종되었다.[32] 그래서 토요타는 캠리 솔라라라는 별도의 모델을 개발하기에 이른다.

4. 캠리 솔라라

4.1. 1세대 (XV20, 1998~2003)

파일:1997_Toyota_Camry_Solara_Concept_01.jpg
파일:1997_Toyota_Camry_Solara_Concept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7_Toyota_Camry_Solara_Concept_Int.jpg
<rowcolor=#fff> 캠리 솔라라 콘셉트

전작인 캠리 쿠페에서 처참한 실패를 맛본 토요타는 별도의 모델을 만들기로 결심한다. 그래서 1997년에 캠리 솔라라라는 이름으로 콘셉트카를 공개해 캠리 솔라라의 등장을 알렸다.
파일:1998_Toyota_Camry_Solara_01.jpg
파일:1998_Toyota_Camry_Solara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8_Toyota_Camry_Solara_Int.jpg
캠리 솔라라 SLE 내부
파일:1998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1.jpg
파일:1998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2.jpg
SLE 컨버터블 }}}
<rowcolor=#fff> SLE 전기형
파일:2002_Toyota_Camry_Solara_01.jpg
파일:2002_Toyota_Camry_Solara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2_Toyota_Camry_Solara_Int.jpg
캠리 솔라라 SLE 내부
파일:2002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1.jpg
파일:2002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2.jpg
SLE 컨버터블 }}}
<rowcolor=#fff> SE 후기형

토요타 캠리의 쿠페 및 컨버터블 버전으로 1세대는 6/4세대(XV20) 베이스에 캐나다 온타리오주 케임브리지 공장에서 생산했고, 2세대는 7/5세대(XV30) 베이스에 미국 켄터키주 조지타운에서 생산했다.

엔진은 직렬 4기통 2.2ℓ 5S-FE 엔진, 225마력의 V6 3.3ℓ 1MZ-FE 엔진이 장착되었고, 3.3ℓ 버전에는 5단 자동만이 맞물린다. 제로백은 6.9초이다.

2001년 9월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했다. 내외관의 디자인과 상품성을 개선한 것 외에 성능을 높이고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VVT-i가 추가된 직렬 4기통 2.4ℓ 2AZ-FE엔진을 새롭게 도입했다. 그러나 연비는 그대로다. 2.4ℓ 버전에는 4단 자동(추후 5단으로 변경)과 5단 수동이 장착된다.

일부 지역에선 그냥 솔라라나 Mark V라는 이름로 판매됐다. 전기형 캠리 솔라라는 JBL 스피커가 최초로 장착된 토요타의 차량들 중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전작이었던 셉터 쿠페는 물론 FF 쿠페 자체의 인기의 급감으로 인해 생산하거나 역수입해 판매하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4.1.1. TRD 솔라라

파일:0006_MTRP_01_I_PT-C.jpg
파일:2z6bfz9lxk141.webp
파일:logo_01_pc.jpg 파일:solara.png

4.2. 2세대 (XV30, 2003~2008)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01.jpg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Int.jpg
캠리 솔라라 SLE 내부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1.jpg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Int.jpg
}}}
SLE 컨버터블 }}}
<rowcolor=#fff> SLE 전기형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01.jpg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Int.jpg
캠리 솔라라 SLE 내부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1.jpg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Convertible_Int.jpg
}}}
SLE 컨버터블 }}}
<rowcolor=#fff> SLE 후기형

2세대는 2003년 7월에 출시되었다. 토요타 K 플랫폼을 적용해 전작에서 비판받아왔던 차체 강성을 높였다. 2006년 6월에는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했다. 새로운 LED 램프 및 옵션으로 추가 가능한 블루투스 기능이 포함된 내비게이션이 적용된다. 그러나 캠리를 선호하면서 스포티한 주행을 지향하는 북미 수요층을 타겟으로 삼았다고 한들 주행에 있어선 캠리 세단과 다를 바가 없었다는 평이 많았다. 그래서 2005년부터 심각한 판매 부진에 시달렸으며, 2008년 중에 쿠페 모델이 먼저 판매 중단 및 단종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컨버터블 모델은 쿠페 모델보다 인기가 많았고 어느정도 수요가 있어서 토요타는 2010년까지 생산한다고 발표했지만 그마저도 판매량이 급감하자 말을 바꿔, 동년 12월에 생산 중단에 이르고 재고가 소진될때까지 판매하다 2009년 6월에 최종 단종되었다.

4.2.1. 캠리 솔라라 스포트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Sport_01.jpg
파일:2004_Toyota_Camry_Solara_Sport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4_Toyota_Solara_Sport_Int.jpg
<rowcolor=#fff> 전기형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Sport_01.jpg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Sport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Sport_Int.jpg
내부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Sport_Convertible_01.jpg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Sport_Convertible_0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_Toyota_Camry_Solara_Sport_Convertible_Int.jpg
}}}
컨버터블 }}}
<rowcolor=#fff> 후기형

5. 배지 엔지니어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이하츠 알티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제원

한국토요타자동차에서 판매된 모델 기준으로 정리하였다.[33]

6.1. 8세대 / 6세대

====# 페이스리프트 #====
CAMRY/8세대(F/L)
<colbgcolor=#eb0a1e><colcolor=#fff> 생산지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이치현 토요타시
코드네임 XV40
차량형태 4도어 중형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4,805mm (하이브리드) / 4,815mm (가솔린)
전폭 1,820mm
전고 1,465mm (가솔린) / 1,480mm (하이브리드)
축거 2,775mm
윤거(전) 1,580mm
윤거(후) 1,575mm
공차중량 1,520kg (가솔린)
1,670kg (하이브리드)
연료탱크 용량 65L (하이브리드) / 70L (가솔린)
타이어 크기 215/60R16
플랫폼 토요타 K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듀얼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가솔린
토요타 2AR-FE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94cc 175ps 23.6kgf·m 6단 자동변속기
하이브리드
토요타 2AZ-FXE 2.4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362cc 150ps[34] 19.1kgf·m e-CVT

6.2. 9세대 / 7세대

====# 초기형 #====
CAMRY/9세대
<colbgcolor=#eb0a1e><colcolor=#fff> 생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켄터키 조지타운
코드네임 XV50
차량형태 4도어 중형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4,805mm
전폭 1,820mm
전고 1,470mm
축거 2,775mm
윤거(전) 1,580mm
윤거(후) 1,570mm
공차중량 1,485 ~ 1,545kg (가솔린)
1,600kg (하이브리드)
연료탱크 용량 64L
타이어 크기 215/55R17
플랫폼 토요타 K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듀얼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가솔린
토요타 2AR-FE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94cc 181ps 23.6kgf·m 6단 자동변속기
토요타 2GR-FE 3.5L V형 6기통 자연흡기 3,456cc 277ps 35.3kgf·m
하이브리드
토요타 2AR-FXE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94cc 158ps 21.6kgf·m e-CVT

====# 페이스리프트 #====
CAMRY/9세대(F/L)
<colbgcolor=#eb0a1e><colcolor=#fff> 생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켄터키 조지타운
코드네임 XV50
차량형태 4도어 중형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4,820mm
전폭 1,820mm
전고 1,470mm
축거 2,775mm
윤거(전) 1,585mm
윤거(후) 1,575mm
공차중량 1,515 ~ 1,569kg (가솔린)
1,625kg (하이브리드)
연료탱크 용량 64L
타이어 크기 215/55R17
플랫폼 토요타 K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듀얼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가솔린
토요타 2AR-FE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94cc 181ps 23.6kgf·m 6단 자동변속기
토요타 2GR-FE 3.5L V형 6기통 자연흡기 3,456cc 277ps 35.3kgf·m
하이브리드
토요타 2AR-FXE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94cc 158ps 21.6kgf·m e-CVT

6.3. 10세대 / 8세대

====# 초기형 #====
CAMRY/10세대
<colbgcolor=#eb0a1e><colcolor=#fff> 생산지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이치현 토요타시
코드네임 XV70
차량형태 4도어 중형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4,880mm
전폭 1,840mm
전고 1,445mm
축거 2,825mm
윤거(전) 1,580 ~ 1,590mm
윤거(후) 1,590 ~ 1,600mm
공차중량 1,480 ~ 1,580kg (가솔린)
1,620 ~ 1,655kg (하이브리드)
연료탱크 용량 49.3L (하이브리드)
60.6L (가솔린)
타이어 크기 215/55R17 (LE)
235/45R18 (XLE)
플랫폼 토요타 TNGA-K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가솔린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A25A-FKS)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87cc 207ps 24.8kgf·m 8단 자동변속기
하이브리드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A25A-FXS)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87cc 178ps 22.5kgf·m e-CVT

6.3.1. 페이스리프트

CAMRY/10세대(F/L)
<colbgcolor=#eb0a1e><colcolor=#fff> 생산지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이치현 토요타시
코드네임 XV70
차량형태 4도어 중형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4,880mm
전폭 1,840mm
전고 1,445mm
축거 2,825mm
윤거(전) 1,580 ~ 1,590mm
윤거(후) 1,590 ~ 1,600mm
공차중량 1,560kg (가솔린)
1,620 ~ 1,635kg (하이브리드)
연료탱크 용량 49.3L (하이브리드)
60.6L (가솔린)
타이어 크기 215/55R17 (LE)
235/45R18 (XLE, XSE)
플랫폼 토요타 TNGA-K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가솔린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A25A-FKS)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87cc 207ps 24.8kgf·m 8단 자동변속기
하이브리드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A25A-FXS)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87cc 178ps(엔진), 211ps(합산) 22.5kgf·m 무단변속기(e-CVT)

7. 북미 시장

Jun 2015 % Chg from Jun '14 YTD 2015 % Chg from YTD 2014
Ford F-Series PU 55,171 -8.9 357,180 -2.4
Chevrolet Silverado PU 51,548 18.4 275,822 14.6
Toyota Camry 37,408 -8.0 215,816 -3.0
Dodge Ram PU 33,332 0.6 212,716 4.3
Toyota Corolla / Matrix 30,645 -1.0 190,131 9.0
Nissan Altima 29,418 12.7 172,031 -2.5
Honda Civic 28,727 -11.1 158,301 -5.3
Honda CR-V 28,349 8.5 163,018 5.4
Honda Accord 27,477 -15.0 155,746 -15.9
Hyundai Elantra 26,613 55.0 128,698 14.4
Ford Fusion 25,409 -8.0 153,158 -7.5
Toyota RAV4 24,843 15.1 143,575 22.8
Ford Escape 24,126 -3.9 146,416 -4.2
Nissan Rogue 23,243 54.3 135,397 36.3
Chevrolet Cruze 22,647 -12.9 127,938 -12.0
Ford Explorer 22,549 30.4 122,404 17.2
Ford Focus 22,051 -16.0 117,079 -3.2
Chevrolet Equinox 21,760 0.1 145,685 20.6
Jeep Wrangler 19,159 16.5 102,450 19.5
GMC Sierra PU 18,618 20.8 100,850 8.2

그야말로 미국의 국민 세단이다. 토요타 급발진 사태 덕분에 잠시 세단 판매 1위를 놓친 적이 있으나, 엔화 약세, 2015년 페이스리프트, 토요타 전통의 신뢰성/내구성 등으로 회복해 다시 1위로 뛰어올랐다.

미국 길거리를 보면 그야말로 캠리가 각종 연식과 트림들이 줄지어 가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을 정도이다. 고속도로 3차선에 색깔만 다른 동일 모델 캠리 3대가 나란히 가고 있는건 그다지 특별할 것도 없는 광경이며, 마트 주차장에 가보면 가끔 여기가 토요타 딜러샵인지 마트 주차장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캠리 천국에 나머지 자리는 코롤라, 프리우스가 채운 경우도 있다. 그야말로 가장 많이 팔린 세단이라는 것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고속도로 들어서면 앞 단락에 나열된 연식들은 거의 다 볼 수 있다.

보통 4개 트림으로 나뉘는데, 엔진에 따라 따로 트림이 붙어서 2015년 기준 9가지 트림이었다. 2024년부터는 미국에서 하이브리드로만 팔기 때문에 4가지다.
캠리의 연비는 보통 공인 연비보다 좋게 나온다. 연료가 가득 차 있으면 공인 연비가 나오지만 3/4정도면 공인 연비보다 보통 1 MPG 정도는 오버해서 나오는 게 보통이다. 고속 도로에서 공인 연비가 35 MPG인데, 바람이 거의 안 불고 길 상태가 좋고 오르막길이 거의 없는 고속도로를 주행할 경우 40 MPG를 넘기는 경우도 가끔 있다. 하이브리드는 이 특성이 더 심해서 조금 심한 경우는 10 MPG 가 더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퍼포먼스는 2.5는 별로, 3.5는 되어야 몰만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2.5L 모델도 0 - 100 km/h가 8초 초반이 나오는 수준이다. 가속이 안 돼서 차선을 못 바꾸거나 고속도로 교통을 따라잡지 못 하는 경우는 없다고 보아도 좋다.

SE 계열은 한국에 판매하지 않고 있다. 덕분에 LE 계열이 드라이빙 퍼포먼스 비교에 동원돼서 쏘나타 스포츠형 모델보다 안 좋다고 억울하게 까이는 중(...). 승차감 좋게 하려고 물렁한 서스펜션 장착한 모델을 코너링 테스트로 비교하는 만행은 뭔가...

현대기아 중형 세단인 쏘나타와 K5와 비교하는데 2019년 기준 미국에서 판매되는 258만대의 차량 기준 쏘나타와 K5(수출명 옵티마)의 판매량은 각각 10만 대, 전체 58위와 55위로 중형 승용차급에서는 7위와 6위로 낮은 판매량을 보여주고 있지만, 캠리는 총 34만 대를 판매하며 전체 8위, 중형 승용차급에서 압도적인 1위 판매량으로 미국 내의 기술의 혁신성과 브랜드 경쟁력, 높은 고객 충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출처(전체 판매량), 출처(중형차급 판매량)

8. 대한민국 시장

토요타의 간판 모델이자 굉장히 유명한 차종이지만, 8세대 출시 이전까지 대한민국에서의 인기는 별로였다. 1996년에 미국산 4세대가 잠시 들어왔지만 인기가 없었고, 토요타 대한민국 법인이 출범한 후 렉서스만 팔다가 2009년 토요타 브랜드의 판매를 결정하면서 대한민국 정발과 함께 재상륙했다. 2012년 수입차 판매량 2위를 차지하며 기대를 끌어모았으나, 폭스바겐 파사트같은 독일제 디젤 승용차의 공세와 쏘나타, K5, 말리부 등 국산 중형차들의 경쟁력 강화로 매력을 잃어 2014년 이후 판매량은 10위권 후반대에도 들지 못할 정도로 몰락했다. 심지어 1억원대의 최고급 대형 세단인 S클래스가 캠리보다 4배나 잘 팔리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캠리가 얼마나 안 팔렸었는지 알 수 있다.

7.5세대까지 캠리 판매량이 저조했던 이유는 몇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 첫 번째는 바로 대한민국의 외제차 구매는 리스를 통한 세금 감면 혜택을 위한 구매가 많기 때문이다. 비싸면 비쌀수록 세금 감면 폭이 크고, 실질적으로 업체용으로 구매를 해도 업체 주인이 개인용으로 사용해도 되는 허점 덕분에 기왕이면 비싼 차를 사야 도리어 세금 감면액이 커서 이득이 되기 때문에 비싼 프리미엄 브랜드의 외제차가 더 많이 팔리는 것이다. 한국만이 3시리즈보다 5시리즈가 더 많이 팔리는 요상한 상황이 벌어진 것도 이러한 이유. 게다가 한국에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토요타에서도 저렴한 모델인 LE 트림이 들어오지 않고 무조건 XLE 혹은 하이브리드 XLE가 들어와[35] 동급 현대기아 차량들과 비교하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 한편, 이러한 소비자들은 기왕 세금 감면받아서 구입하는 거 돈을 더 비싸게 주더라도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같은 독일제 프리미엄 브랜드의 차량을 사는 게 당연하다.

2017년 8세대가 출시된 이후로 캠리의 인기는 2012년 못지 않은 수준으로 회복됐다. 2018년 한 해 동안 가솔린/하이브리드를 합해 9,300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수입차 모델 중 전체 4위를 기록했다. 그 이유는 크게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일본 생산 전환 : 8세대부터 미국 생산품이 아닌 일본 생산품 수입으로 변경되면서, 전반적으로 품질이나 완성도 측면에서 개선되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45]

그러나, 일본 상품 불매운동의 타격을 받아 이후 판매량이 폭락했으며, 2020년대 들어서면서부터는 불매운동과 관계없이 모델 자체가 노후화되어 풀체인지, 페이스리프트를 한 경쟁차에 비해 상품성이 떨어저서 불매운동 분위기가 식은 이후에 판매량은 오히려 더 떨어졌다. 많아도 월 판매량 100~200대 수준, 적은 달에는 월 20대 수준만 팔릴 정도로 인기가 없어졌다. 보통 이런 경우에 다른 수입차브랜드 딜러들은 할인, 파이낸스 혜택을 통해 판매량을 유지하는 전략을 취하지만 토요타가 원래부터 할인, 프로모션에 소극적이기 때문에 회복될 기미가 전혀 없다.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1420534180446.jpg
전라북도 전주시의 한 택시 회사에서 9세대 캠리 2.5L 하이브리드를 영업용 택시로 운영한 적이 있다. 캠리 택시는 뉴욕을 비롯한 북미에도 상당히 많으며 대만에서도 나름대로 운행되고 있다. 보통 택시는 승차감이 어느정도 좋아야 하며 승객을 태우므로 내구성과 연비 좋은 차량을 채택해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다. 한국에서 택시를 평가절하하는 이상한 풍조가 있으나, 실상 한국 택시도 쏘나타나 K5가 대다수다.[46] 한국의 택시들은 별도의 LPG 택시 트림이 있고, 이것을 거의 구입한다. 일반 차량 대비 차량 가격도 20%이상 싼 편이고, 택시가 시내 주행을 주로 하기 때문에 연비가 낮아서 연료가격이 운용비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이브리드는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지만, 면세혜택도 못 받는 휘발유 차량을 일반 택시로 운영하는 것은 굉장한 용자짓 중 하나다. 그럼에도 토요타는 프리우스 택시라는 과감한 실험을 해 본 적이 있다. 실제로 LPG 충전소가 적은 지역에서 프리우스는 택시로 조금이나마 팔렸다고 한다. 외산 세단 중에서는 토러스가 택시[47]로 꽤 보이는 편. 물론 대다수는 토러스 3.5L V6 DOHC 모델을 LPG로 개조한다.

파일:부산캠리택시.jpg
10세대도 택시로 운영 중이다. 사진은 부산광역시에서 찍힌 개인택시다.

9. 여담

10. 매체에서

10.1. 영화

10.2. 애니메이션

10.3. 게임

11. 경쟁 차량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B0A1E><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EB0A1E> 마이​크로​카 C+팟 · 아이로드카셰어링 등에 사용된 초소형 전기차 -
경차 아기아/위고 · 비츠 · 픽시스 에포크 아이큐 · 픽시스( 스페이스 · 조이 · 메가) · 스파키 · 아이고
소형차 야리스 · 야리스(XP150) · GR 야리스 · 아쿠아/프리우스 C · 바이오스 · 글랜자/ 스타렛 · 벨타 퍼블리카 · bB · 듀엣 · 코르사/ 터셀 · 윌비·윌 VS·윌 사이파 · 플라츠 · 솔루나 · 알렉스/코롤라 룬스 · 코롤라 루미온 · 어반 크루저(2008 ~ 2014) · 이스트 · 팟소 · 에티오스
준중형​차 코롤라( 악시오 · 필더 · 스포트 · 투어링)/ 레빈/ 프리우스 · 알리온 · 프로박스 스프린터 · 스프린터 마리노 · 트레노-레빈 시리즈( AE86 · AE85) · 매트릭스 · 블레이드 · 코롤라 세레스 · 프레미오 · 석시드 · 프리우스 V/알파/플러스 · 오리스
중형차 캠리 · bZ3 마크 X · 코로나 · 1600GT · 오리온 · 어벤시스 · 마크 Ⅱ · 크레시다 · 크레스타 · 카리나 · 카리나 ED · 베로사 · 브레비스 · 프로그레 · 비스타 · 알테자 · 체이서 · 셉터 · 칼디나 · 코롤라 세레스 · 카발리에 · 코로나 엑시브 · 사이 · 캠리 솔라라 · 오리진 · 클래식 · AA ·
준대형​차 크라운 · 아발론 · 미라이 프로나드 · 아리스토 · 윈덤 · 렉센
대형차 센추리 셀시오 · 크라운 마제스타 · 크라운 에이트
스포츠카 GR 86 · GR 수프라 세라 · 셀리카 · 소아라 · 스포츠 800 · MR 시리즈 · 2000GT · 카렌 · 파세오/사이노스 · 젤라스
레이스카 GR010 하이브리드 · GR GT3예정 7 · 87C · 88C · 88C-V · 89C-V · 90C-V · 91C-V · 92C-V · 93C-V · TS010 · 94C-V · GT-원 · TS030 · TS040 · TS050
경형 SUV 아이고 X -
소형 SUV C-HR/ 이조아 · 러시 · 라이즈 · 어반 크루저 · 야리스 크로스 · 어반 크루저 타이소 · bZ3C · bZ3X · 어반 크루저(2025) 카미 · 블리자드 · 볼츠
준중형 SUV 라브4/ 와일드랜더 · bZ4X · 코롤라 크로스 · 어반 크루저/ 어반 크루저 하이라이더 -
중형 SUV 4러너 · 해리어 · 벤자 하이럭스 서프 · 뱅가드
준대형 SUV 랜드 크루저 프라도 · 하이랜더/ 크라운 크루거/ 크루거 · 포츄너 · 그랜드 하이랜더 -
대형 SUV 세쿼이아 · 랜드 크루저 · 센추리 SUV 랜드 크루저 시그너스
오프로더 랜드 크루저/J70 블리자드 · FJ 크루저
경형 MPV 루미 탱크
소형 MPV 시엔타 · 아반자 · 칼야 라움 · 펀 카고 · 나디아 · 포르테/스페이드 · 락티스 · 팟소 셋테
준중형 MPV 노아/복시 · 루미온 · 벨로즈 입섬 · 위시 · 아이시스 · 코롤라 베르소 · 베르소 · 오파 · 가이아 · 에스콰이어
중형 MPV 이노바/ 이노바 크리스타/ 이노바 하이크로스 끼장 · 마크 X 지오
준대형 MPV 알파드/벨파이어 에스티마 · 시에나(1세대)
대형 MPV 시에나(2세대 이후) · 크라운 벨파이어 · 그란비아 · 그란에이스 -
소형 픽업트럭 - 브리스카 · 스타우트 · 코로나 픽업 · 마크 II 픽업
중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하이럭스 챔프 · 타코마 크라운 픽업
대형 픽업트럭 툰드라 T100
LCV 하이에이스 · 레지우스 에이스 · 프로에이스/프로에이스 베르소 · 프로에이스 시티/프로에이스 시티 베르소 · 타운 에이스 · 픽시스 밴 미니에이스 · 델리보이 · 퀵딜리버리 · 라이트 에이스
경형 트럭 픽시스 트럭 -
소형 트럭 - 하이에이스
준중형 트럭 다이나 토요에이스
중형 트럭 - BM
준중형 버스 코스터 -
준대형 버스 소라 -
택시 전용 재팬 택시/컴포트홍콩 수출 사양명 크라운 컴포트 · 크라운 세단
군용차 고기동차 메가 크루저 · J-603(2DW15L)
토요페트 브랜드 차량 - 크라운 · 코로나 · 마스터 · 마스터라인
일본 황실 의전차량 센추리 로얄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


파일:grmn logo.png 파일:Toyota_GR.svg
파일:gr_sport.png 파일:gr parts.png 파일:gr heritage parts.png


[ GRMN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 iQ · iQ 슈퍼차저
소형차 - 야리스(2022) · 야리스(2018) · 비츠(2018) · 비츠 터보(2013)
중형​차 - 마크 X(2013) · 마크 X(2019)
대형​차 - 센추리(비매품)
대형 SUV - 센추리 SUV(비매품)
스포츠카 - 86

[ GR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 야리스 -
준중형​차 코롤라 -
MPV - 아반자 벨로즈 리미티드
스포츠카 86 · 수프라 -
슈퍼카 슈퍼 스포트 -
레이스카 GT3 -

[ GR SPORT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다이하츠 코펜 · 위고 · 아기아 -
소형차 야리스 · 아쿠아 · 바이오스 -
준중형​차 코롤라 프리우스 PHV · 프라우스 알파
중형​차 캠리 마크 X
스포츠카 - 86
소형 SUV C-HR · 러시 · 라이즈 · 야리스 크로스 -
준중형 SUV 라브4 · 코롤라 크로스 -
중형 SUV - 해리어
준대형 SUV 포츄너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
MPV - 노아 · 복시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 GR PARTS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 GR 야리스 · 야리스 · 루미 -
준중형​차 프리우스 -
중형​차 캠리 -
준대형​차 크라운 -
스포츠카 86 -
소형 SUV 야리스 크로스 -
중형 SUV 해리어 -
MPV 노아 · 복시 -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 GR Heritage Parts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중형​차 AE86 코롤라 레빈 / 스프린터 트레노 -
스포츠카 2000GT · A70 수프라 · A80 수프라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40 · 랜드 크루저 60 · 랜드 크루저 70 · 랜드 크루저 80 -


파일:logo_01_pc.jpg
토요타 TRD
차량 목록


[ TRD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70011><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차 캠리 캠리 솔라라 · 오리온
준대형​차 - 아발론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중형 픽업트럭 타코마 -
소형 SUV C-HR · 라이즈 -
준대형 SUV 포츄너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200 · 랜드 크루저 프라도 -
MPV - 알파드/벨파이어
스포츠카 - 사이언 tC · 86 코우키 · 86 젠키 · 사이언 FR-S

[ TRD Pro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70011><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 SUV 4러너 -
대형 SUV 세쿼이아 -
중형 픽업트럭 타코마 -
대형 픽업트럭 툰드라(북미 전용) -

[ TRD Sport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70011><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차 - 캠리
중형 SUV 4러너 -
대형 SUV 세쿼이아 -
중형 픽업트럭 타코마 -
대형 픽업트럭 툰드라 · 툰드라 리미티드 · 툰드라 플래티넘 · 툰드라 1794 에디션 -

[ TRD Off-Road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70011><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중형 SUV 라브4 -
중형 SUV 4러너 · 4러너 프리미엄 -
대형 SUV 세쿼이아 -
중형 픽업트럭 타코마 -
대형 픽업트럭 툰드라 · 툰드라 리미티드 · 툰드라 플래티넘 · 툰드라 1794 에디션 -

[ TRDEquipped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70011><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 - 사이언 xA · 사이언 xB · 사이언 xD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5951><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밴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에포크 포르테 · 픽시스 메가 · 픽시스 조이
세단 미라이 ·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 코롤라 악시오 마크 Ⅱ · 코로나 · 코르사 · 아발론 · 프로나드[OT] · 프로그레 · 오리진 · 플라츠 · 셀시오 · 카디나 · 벨타 · 어벤시스 · 마크 X · EXiV · 프레미오
왜건/ 해치백 프리우스 알파 · 아쿠아 이스트 · 블레이드 · 오리스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소아러 · 사이노스
SUV 해리어 · C-HR · 라이즈 카미 · 러시 · 하이럭스 서프 · 뱅가드
MPV 알파드 · 에스콰이어 · 시엔타 오파 · 입섬 · 마크 X 지오 · 락티스 · 탱크
LCV/ 상용차 석시드 · 저팬 택시 그랜드 하이에이스 · 투어링 하이에이스 · 석시드 왜건 · 레지우스
오사카 토요페트 한정 토요타 하이에이스 왜건/밴/커뮤터 · 다이나/토요에이스 · 랜드 크루저 · 랜드 크루저 프라도 · 코스터 · 하이메딕 센추리 · 크라운 · 브레비스 · 알리온 · 하이럭스 서프 · 에스티마 · 이시스 · 퀵딜리버리
각주 [ 펼치기 · 접기 ]

[OT] 오키나와 토요페트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2952C5><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조이 · 픽시스 에포크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밴 · 픽시스 메가 픽시스 스페이스
세단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스타렛 세단 · 스프린터 · 스프린터 마리노 · 알테자 · 체이서 · 플라츠 · 아리스토 · 마크 Ⅱ(운전 면허차) · 크라운 컴포트(운전 면허차) · 퍼블리카 · 오리진 · 코로나 2도어 하드탑 · 어벤시스 · 사이
왜건/ 해치백 프리우스 알파 · 비츠 · 아쿠아 스타렛 해치백 · 알렉스/코롤라 룬스 · bB · 볼츠 · 스프린터 카리브 · 알테자 지타 · 스프린터 밴/스프린터 비즈니스 왜건 · 이스트 · 프로박스 · 코로나 밴 · WiLL 사이퍼 · 아이큐 · 오리스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스프린터 트루네오 · MR2 · MR-S · 세라
SUV 라브4 · C-HR · 라이즈 라브4 J · 크루거 · 하이럭스 서프[a]
MPV 탱크 · 스페이드 · 복시 · 벨파이어 · 시엔타 그란비아 · 위시 · 펀 카고 · 알파드 V · 입섬 · 라움
LCV/ 상용차 레지우스 에이스 · 라이트 에이스 라이트 에이스 노아 · 타운 에이스 · 미니에이스 · 델리보이
각주 [ 펼치기 · 접기 ]

[a] 오사카 넷츠점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18901><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조이 · 픽시스 에포크 · 픽시스 메가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밴 -
세단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 코롤라 악시오 퍼블리카 · 터셀 · 셀리카 캠리 · 윈덤 · 셉터 · 코롤라 세레스 · 오리진 · 코롤라 · 벨타
왜건/ 해치백 코롤라 필더 · 코롤라 스포트 · 아쿠아 · 루미 · 팟소 프리우스 알파 · 스페이드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
SUV 라브4 · C-HR · 라이즈 -
MPV 노아 · 시엔타 에스티마/에스티마 HEV
상용차 프로박스 밴 · 타운 에이스 -
다이하츠의 차량[a] 미라이스 · 미라 토코트 · 무브/무브 커스텀/무브 캔버스 · 탄토/탄토 커스텀 · 웨이크 · 코펜 · 아트레이 · 하이젯 카고/하이젯 트럭 · 하이젯 캐디 캐스트
각주 [ 펼치기 · 접기 ]

[a] 일부 코롤라점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토요타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B0A1E><tablealign=center>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EB0A1E> 소형차 <colbgcolor=#fff,#000> - <colbgcolor=#fff,#000> 프리우스 C
준중형차 프리우스 코롤라
중형차 캠리 IS
준대형차 크라운 크로스오버 아발론
스포츠카 GR 86, GR 수프라 -
준중형 SUV 라브4 -
중형 SUV - FJ 크루저, 벤자
준대형 SUV 하이랜더 -
MPV 알파드, 시에나 프리우스 V
}}}}}}}}}
[ 렉서스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colbgcolor=#fff,#000> - <colbgcolor=#fff,#000> CT
중형차 - IS
준대형차 ES GS
대형차 LS -
스포츠카 - RC
그랜드 투어러 LC SC
준중형 SUV UX -
중형 SUV NX, RZ -
준대형 SUV RX -
MPV LM -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현대 자메이카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B40A2D><colbgcolor=#007749> 자메이카 방위군 (1962 ~ 현재)
Jamaica Defence Force
장갑차 <colcolor=#000><colbgcolor=#000> 차륜장갑차 부시마스터 PMV, 캐딜락 게이지 코만도
차량 소형 토요타 랜드 크루저, 볼보 S90, 토요타 크라운, 토요타 코로나, 토요타 하이럭스, 토요타 캠리, 토요타 랜드 크루저 프라도
버스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하이에이스
트럭 토요타 다이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파일:2000 링컨 LS.jpg 파일:2001 크라이슬러 PT 크루저.jpg 파일:2002 포드 썬더버드.jpg 파일:2003 인피니티 G35.jpg 파일:2004 토요타 프리우스.jpg
링컨 LS 크라이슬러 PT 크루저 포드 썬더버드 인피니티 G35 토요타 프리우스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파일:2005 크라이슬러 300C.jpg 파일:2006 혼다 시빅.jpg 파일:2007 토요타 캠리.jpg 파일:2008 캐딜락 CTS.jpg 파일:2009 닛산 GT-R.jpg
크라이슬러 300C 혼다 시빅 토요타 캠리 캐딜락 CTS 닛산 GT-R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올해의 트럭 부문
올해의 SUV 부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11년 2012년 2013년
파일:2011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파일:2012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파일:2013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기아 K5 현대 i40 토요타 캠리
2014년 2015년 2016년
파일:2014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파일:2015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파일:2016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현대 제네시스 기아 카니발 제네시스 EQ900
2017년 2018년 2019년
파일:2017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파일:2018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파일:2019 대한민국 올해의 차.jpg
현대 그랜저 제네시스 G70 현대 팰리세이드
2010년대 2020년대
}}}}}}}}} ||




[1] 왕관이라는 뜻의 일본어 '간무리'( 冠(かんむり), 갓 관)에서 따왔다. 특히, 일본 천황이 쓰는 것이다. 참고로 코롤라, 크라운도 왕관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일본어로 왕관이라는 뜻으로 지어진 태풍 간무리가 있었는데 2019년 필리핀에 심각한 피해를 입혀 제명되었다. [2] 당시에 판매되던 4도어 세단인 카리나의 형제차라고 볼 수도 있다. 셀리카도 어차피 카리나의 플랫폼으로 만든 쿠페형 형제차이기 때문. [3] 여담이지만 셀리카 캠리를 1세대로 보면 V10 캠리는 2세대 모델이, 셀리카 캠리를 제하고 캠리 독자적인 역사를 따지면 V10이 1세대가 된다. [4] 토요타 급발진 사태 덕분에 2009년에는 YF 쏘나타, K5 1세대가 차지했다. 하지만 이후 미국에서 쏘나타, K5의 인기는 크게 추락하여 2018년 현재 준중형, 중형 세단급에서 각각 13위, 14위에 불과하며, 현대차가 쏘나타의 빠른 세대교체를 단행하게 된 주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5] 혼다 시빅은 대한민국의 차량 구분 기준으로는 준중형이기 때문에 중형으로만 제한한다면 2017년에도 캠리가 미국 시장에서 1위를 유지한 셈이다. [6] K 플랫폼, TNGA-K 플랫폼. [7] Y 플랫폼, N 플랫폼, N3 플랫폼 [8] 그러나 호주 시장에 토요타가 공장을 철수하면서 오리온이 단종됐고 캠리로 흡수됐다. [9] 당시 태생부터 전륜구동이었던 혼다 어코드/비거를 비롯하여, 후륜구동에서 전륜구동으로 전환된 미쓰비시 갤랑 시그마/에테르나 시그마과 마쓰다 카펠라 그리고 닛산 블루버드 맥시마가 있었다. [10] 일본 시장에서 자국차가 95%에 달하는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이같은 일본 고유의 까다로운 자동차 등록 제도 때문이다. 사실상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어서 미국에서의 불만이 많은데, 역으로 이 제도 때문에 2010년대 들어 일본 내수 시장이 경차, 소형차, MPV를 제외하고 죄다 침체해 버리는 현상이 벌어지게 됐다. 그리고 그 중에서 안 그래도 인기가 없던 세단이 큰 직격탄을 맞아버리고 말았다. [11] V40 캠리가 단종된 뒤인 1999년부터는 캠리로 판매되었다. [12] 일본에서는 자동차세 기준이 차량 크기 기준이고, 5넘버 규격에서 한 부분이라도 초과되면 바로 3넘버로 넘어가버린다. 일본은 승용자동차 자동차세 단계가 3단계로 구성되어있어 5넘버와 3넘버의 세금 액수 차이가 크다. [13] 북미를 비롯한 해외 시장에선 맥시마로 판매되었고, 인피니티 브랜드로도 출시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는 삼성 SM5로 출시되었다. [14] 어코드의 일본 전략형 모델로 별도 출시되었다. 어코드와 토르네오 둘 다 일본에서 출시되었고, 일본인 입맛에 더욱 맞춘 토르네오 쪽이 더 잘 팔렸다. [15] 고단 기어는 락업 클러치 덕분에 미션오일이 열을 훨씬 적게 받는다. [16] 같은 시기에 3세대 아발론(XX30)도 병행수입 되었다. [17] 하지만 아발론과 캠리가 풀 체인지가 된 이후부터 삭제되었으며, 한때 토요타 생산차종중 내수시장에 한하여 마크 X와 프레미오 그리고 알리온이 2열 등받이 각도조절 가능한 차량으로 남게되었다. 그런데 셋마저도 생산이 중단되었다.(마크 X: 2019년, 프레미오/알리온:2021년. [18] # [19] 나스카 출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은 듯 하다. [20] 캠리 치프 엔지니어인 카츠마타 마사토(勝又正人)는 개발 과정에서 '무난함과 따분함'을 벗어나는 것을 제일 큰 목표로 삼았다. 부품의 배치나 높이를 낮추고 조금 더 후륜구동차에 가까운 느낌을 내기 위한 설계를 추구하다 보니, 디자인 또한 크게 변화하게 되었다고 한다 [21] 토요타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더블 위시본 혹은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 기반 더블 위시본라 표기하는데, 하체를 떠보면 위시본은 간데 없고 세미 트레일링 암과 3개의 링크로 구성된 서스펜션이다. 기존에 캠리에 사용되던 듀얼링크 맥퍼슨 스트럿보다는 비싸지만, 더블 위시본이나 더블 위시본 기반 멀티링크보다 저렴한 셋업이다. 한국 한정으로 프리우스에도 똑같이 표기했다가 오토기어에게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정작 북미에선 멀티링크 서스펜션이라고 제대로 표기하고 있다. [22] 디젤 엔진의 CRDi와 비슷한 개념으로 여러번의 연료분사를 통해 연료를 무화시켜 공기와 잘 섞이도록 해준다. [23] 동급 경쟁차량인 혼다 어코드와 쉐보레 말리부 그리고 현대 쏘나타와 기아 K5는 2.0L 엔진 위주로 내놓고 있으나 이 차에는 그런 거 없다. [24] 이미 출시하여 상급 차종인 아발론과 이제 앞으로 출시할 예정할 하위 차종은 코롤라도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가 상단으로 배치되어 인지도에 흠집날 수 있기 때문이다. [25] 그러나 같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고 사륜구동+21인치 휠에 공차중량이 더 무거운 크라운 크로스오버가 공인 복합 17.2km/L로 기록돼 있는 것을 봐선 캠리의 공인 연비(미국 환경보호청 바탕)가 너무 적게 측정됐다는 말이 있다. [26] 한국 시각으로 11월 15일 오전 12시. [27] 이번 11세대 캠리의 변화가 풀체인지보단 대규모 페이스리프트에 가깝다는 것을 가장 잘 드러내는 요소이다. 단순히 플랫폼만 그대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 외장의 경우 도어를 비롯해 일부 부위는 기존 10세대의 금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28] 애초에 일본 시장에서는 세단 자체가 비인기 차종인데다가, 아랫급인 코롤라/ 프리우스와 윗급인 크라운이 워낙 인기가 좋았던 탓에 캠리가 의도치 않은 팀킬을 당한 측면도 있다. 즉, 캠리를 살 바에는 코롤라나 프리우스를 사고 돈을 절약하든지, 반대로 돈을 좀 더 보태서 크라운을 사는 사람들이 더 많았던 것. 심지어 크라운이 잘 팔리는 것은 순찰차 등의 플릿 수요가 있는 것도 한 몫 한다. [29] 한화 약 3,880~4,738만원 [30] 어코드는 1.5T가 28,295~30,560달러(3,870~4,180만원), 2.0L 하이브리드가 33,655~39,300달러(4,600~5,380만원)이다. [31] 단, XLE 프리미엄에는 어코드에 없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 디지털 리어 뷰 미러, 파노라믹 썬루프(XLE는 일반 썬루프), 후석 선쉐이드, 후석 컨트롤패드, 후석 파워 리클라이닝 등 여러 고급 편의장비들이 들어간다. 이 중 볼드체 처리된 것은 렉서스 ES 300h에도 없는 것이다! 첨언하자면 XLE에 달려나오는 것 중 일부는 어코드에 없다. XLE에는 없는 안개등도 들어간다. [32] 반대로 옆동네 어코드는 프렐류드의 디자인을 채용해서 세단과는 다른 인상이 되었다. [33] 대한민국에는 8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부터 수입을 시작했다. [34] 총 시스템 출력은 196ps [35] 다만 디젤게이트의 영향으로 하이브리드의 수요가 커지자 하이브리드 LE 트림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36] 북미에서는 흔한 일이다. [37] 2013년에 V6 3.5L DOHC 모델을 출시했으나, 판매량 저조 및 아발론과의 판매 간섭 등으로 페이스리프트 때 다시 삭제됐다. [38] 이는 대배기량 엔진을 선호하는 미국 시장에 맞춘 모델을 한국에 그대로 출시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점이다. 만약 일본 내수용을 한국에 맞게 개량하여 출시히면 2.0L 엔진이 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판매량도 급증할 것이 뻔하다. 그당시 대한민국에서 파는 동급 차량 중 2.0L 엔진이 있는 일본차는 혼다 어코드 2.0L 하이브리드 뿐이었다. 2.5L 엔진을 넣은 중형차는 설령 그 차가 쏘나타나 K5라도 안 팔린다. 쏘나타는 실제로 그런 트림을 보유했던 역사가 있어서 증거가 있다. 한국에서의 대중지향 세단은 예로부터 최대한 넓은 공간에 세금이나 유류비가 덜 들고 차체를 끄는 데 모자람이 없는 수준에서 최대한 적은 배기량이여야 선택받는다. 이를 바꿔말하면 2.0L 급, 즉 1,998cc가 소비자 인식상 상한선이다. [39] 쏘나타와 K5를 보면 수출형에는 당연히 2.4L DOHC도 있고, 내수용으로 내놓았던 적도 있다. 결국 내수에서 2.4L 모델이 2.0T로 대체됐다. [40] 엄밀히 따지면 이것은 세금을 덜 내기 위해서 배기량을 줄인 것이 아니다. 전세계적으로 엔진 배기량을 줄이는 추세며, 기존의 2.4~2.5L급 자연흡기 엔진을 대체하는 것이 바로 1.6T 엔진인 것이다. 즉, 1.6T는 2.4~2.5L 급에 해당된다. 물론 세금은 낮다. [41] 말리부 1.5T 역시 기존의 말리부 2.4~2.5L를 대체하는 다운사이징 엔진이다. 1.6T가 일반적이나, 쉐보레는 특이하게도 1.5T를 채택했다. [42]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본래 이 급의 미국용 중형차는 미국에서 고급차가 아닌 대중차로 취급되며, 따라서 내장재의 질도 떨어지고 편의장비도 부족하다. 그런데, 한국에 들어오면 배기량이나 가격 면에서 한 단계 위의 고급차인 그랜저급과 실질적으로 경쟁하게 되니, 많은 것이 부족하게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43] 다만 내장재 품질을 쏘나타나 말리부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다. 그랜저와 비교하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44] 물론, 하이브리드 쪽이 트림이 2개라 선택폭이 넓고 토요타코리아 측에서도 하이브리드 쪽으로 마케팅을 집중한 영향도 있다. 실제로 최근 전시장에는 하이브리드 모델들만 전시되어 있거나 가솔린과 같이 전시되어 있더라도 하이브리드는 아주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45] 한국에 수입되는 일본 브랜드 차량 중 미국 생산품은 일본 생산품에 비해 품질이 떨어진다는 편견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일본 생산품으로 바뀌며 캠리는 이 편견에서 어느정도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토요타가 이러한 시선을 인지하고 있고 글로벌 판매에 있어서 토요타가 캠리에 거는 기대가 상당함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자국에서는 팔지도 못하는 좌핸들 차량을 본토에서 생산해서 수출하는 것인데 이 물량을 기존 북미생산분처럼 팔려면 육로로 운송하면 되던 때보다 운송 코스트가 붙어서 마진이 안 맞기 때문에 사실상 이웃국가인 한국이나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 빠지는 물량이라고 봐야한다. 설령 이를 극복하더라도 미국은 '수입브랜드가 자국영토 내의 공장에서 생산한 생산분'이 아닌 '해외에서 제조를 마치고 바다 건너서 들어오는 완전수입차량'에 대한 과세가 강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일본 생산분이 북미에 손해없이 들어가는 건 불가능하다. [46] 과거엔 지역 특성을 맞춘답시고 모닝 택시나 포르테 하이브리드 택시 등 소형, 준중형 차들도 있었으나 결과는 모두 안 좋았다. [47] 주로 모범택시 [48] 코롤라 - 캠리 - 크라운으로 이어지는 세단 라인업들의 이름은 모두 머리에 쓰는 관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이름들이다. 코롤라는 화관(花冠)이라는 뜻의 라틴어 Corolla에서, 크라운은 왕관을 뜻하는 영단어 Crown에서 유래한 것이다. 덤으로 지금은 단종되었지만 20세기 일본 시장에서 주력 준중형차로 활약한 토요타 코로나도 스페인어로 왕관이다. [49] 실제로 배경인 미국에서의 북미형 캠리는 차폭등이 있어야 하지만 촬영을 호주에서 했기때문에 차폭등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