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4:27:03

개명된 캐릭터

1. 개요2. 한국어판
2.1. 일본 창작물 캐릭터
2.1.1. 0~92.1.2. ㄱ2.1.3. ㄴ2.1.4. ㄷ2.1.5. ㄹ2.1.6. ㅁ2.1.7. ㅂ2.1.8. ㅅ2.1.9. ㅇ2.1.10. ㅈ2.1.11. ㅊ2.1.12. ㅋ2.1.13. ㅌ2.1.14. ㅍ2.1.15. ㅎ
2.2. 미국 창작물 캐릭터2.3. 기타 국가 창작물 캐릭터
3. 영어판
3.1. 한국 창작물 캐릭터3.2. 일본 창작물 캐릭터
4. 일본어판
4.1. 한국 창작물 캐릭터
4.1.1. ㄱ~ㅅ4.1.2. ㅇ~ㅎ
5. 실제로 개명한 캐릭터6. 관련 문서

1. 개요

각종 창작물에서 현지화나 기타 이유로, 북미판 등의 외수판(한국판 포함)에서 이름이 다른 캐릭터들을 모아놓은 목록.

캐릭터 이외에 개명된 것들도 포함되며, 현지화된 작품이라도 개명되지 않은 캐릭터는 제외한다.

그러나 국적은 원작의 국적을 따른다.

2. 한국어판

2.1. 일본 창작물 캐릭터

2.1.1. 0~9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1.10.

2.1.11.

2.1.12.

2.1.13.

2.1.14.

2.1.15.

2.2. 미국 창작물 캐릭터

2.3. 기타 국가 창작물 캐릭터

3. 영어판

3.1. 한국 창작물 캐릭터

3.2. 일본 창작물 캐릭터

4. 일본어판

4.1. 한국 창작물 캐릭터

4.1.1. ㄱ~ㅅ

4.1.2. ㅇ~ㅎ

5. 실제로 개명한 캐릭터

작품 외적으로 로컬라이징이 아닌, 작품 내적에서 개명한 사례를 정리한다.

6. 관련 문서



[1] 아이하라 카코 이마무라 소라, 코히나타 타이요우 등은 원작에만 등장한다. [2] 본편은 방영 불발되었다. [3] 한국판은 정체가 드러나기 전과 정체가 드러난 후의 이름이 모두 동일하다. [4] 일본어로 '여섯', '6'을 뜻한다. [5] 일본 성우 와타나베 쿠미코와 한국 성우 양정화의 공통점은 케로로 중사의 목소리를 담당한다. [6] 5기 한정. [7] 번역상의 실수로 인해 개명된 케이스. 덧붙여 원작 코믹스 한정으로, 애니메이션의 경우 당연하게도 대원방송 더빙판과 투니랜드 자막판 모두 원래 이름인 '미사토'로 나왔다. [8] 원작 만화 발매 제목. [9] 한국 코믹스판. [10] 정식 발매판에서마저 개명된 특이한 사례다. [11] 과거에는 오억만. [12] 우타이테 마후마후의 여체화 캐릭터. [13] 만화책이 나올 때부터 혼자 개명된 케이스로 애장판이 나오면서 원판 이름으로 돌릴까 이야기가 나왔지만 이게 너무나도 굳어져서 원판 이름으로 돌리지 않고 개명한 이름으로 그대로 갔다. 만화책에서 개명된 이유는 제목에 일본 이름을 내세울 수 없는 일본 문화 개방 이전이었기 때문으로 추정. [14] 비디오에서 더빙한 1기에서는 오지명이었지만 투니버스가 더빙한 2기로 넘어가면서 카멜로 바뀌었다. [15] 원본 시대순으로는 다이노썬더( 폭룡전대 아바레인저)보다 앞이어야하지만 한국 방영 순서로 치면 엔진포스( 염신전대 고온저)다음이 맞다. [16] 이카리 가이(박재민)를 제외한 나머지 캐릭터는 캡틴포스에서 개명된 게스트 캐릭터다. [17] 후지사키 루미, 미소라 레미는 성만 바꾸고 이름은 그대로 개명. [18] 한국에선 나이든 사람을 가리키는 '노인'이란 단어와 혼동이 올 수 있어 개명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노인이란 이름은 독일어로 숫자 '9'를 뜻하는 Neun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이며, 이 작품의 캐릭터 몇몇이 이렇게 각 나라 숫자표기에서 이름을 따온 경우가 많다. [19] 원판명에서 '히이로'만 뺐다. [20] 일본어 원판에선 오사카. [21] 유카리가 나온 28화는 우주인의 수위 문제로 방영하지 않았다. 더빙명은 43화에서 다시 잠깐 나왔을때 언급된것. [22] 유일하게 애니메이션 자막판( 대원방송)에서도 개명된 이름으로 나온 캐릭터. 아무래도 염라대왕의 아들이라는 설정이 있는데다가 그렇다고 마냥 '소염라'라고 직역하기도 뭐하고, 거기다 이마에 영어로 'Jr.'라는 글씨가 써 있어서 그런 듯 하다. [23] 애니메이션 1기 투니버스 더빙판 한정. [24] 원작 만화에서는 '우치키 이치로'. [25] 한국판 TVA는 리 샤오랑 그대로이다. [26] 모 장난감 회사에서는 '채아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하여 항간에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으나 방송국에서는 '아무'로 표기하였다. [27] 모 출판사에서 나왔던 애니메이션 만화판에서는 '시아나' 라는 이름으로 표기하였다가 증쇄본에서 '세라' 로 변경하였던 적이 있다. [28] 2기 캐릭캐릭 체인지 두근에서는 다이아로 돌아갔다. [A] 구판, 비디오판 한정 [A] [A] [32] 복장 문제로 인해 국내 방영시 미등장 [33] 민화와 마찬가지로 국내 방영시 미등장 [34] 41권부터 다시 레드로 고정된다. [35] 레드와 달리 41권에서 고쳐지지 않았다. [36] 미국이나 한국에 방송할 때 스폰지밥의 이름은 영어 이름 그대로다. 그러나 EBS에 방송할 때만 개명되었다. [37] 라이온 킹 시리즈 내의 다른 캐릭터들은 거의 대부분 그대로 번역되어 나오거나 발음이 나름 비슷하게 번역되는데 어째서인지 얘만 아예 다른 이름으로 개명당했다. [38] 다른 캐릭터들은 일본과는 무관해서( 와사비 같이 이름만 일본과 관계 있는 캐릭터도 있으나 정확히는 본명이 아니다) 한국판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아래에 있는 2명만 일본과 관계 있어서(설정상 일본계 미국인 캐릭터) 한국판만 약간 개명되었다. [39] 1편 한정으로 기본 마을의 심들 전원이 한국식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40] 현지화의 목적이 아니라 액티비전 블리자드 사내 성차별 및 성추행 논란으로 인한 개명이기 때문에 한국판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또한 출판·방영 처음부터 현지에 맞는 이름으로 바뀌어 나오는 캐릭터들과 달리, 서비스 중인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명이 도중에 바뀐 어떻게 보면 가장 실제 개명이라는 개념에 가까운 케이스이다. 작중에서는 제시 맥크리는 가명이고 콜 캐서디가 본명이라는 설정이다. [41] MBC판 한정. [구슬아이스] 원래 이름에는 저글링과 관련된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43] 눈꽃은 영어로 snowflake인데 이를 snow crystal로 바꿔놨다. [44] 밀랍은 영어로 beeswax이며, 재료 자체보다는 양초라는 컨셉에 초점을 맞추어 영어 이름을 지은 것으로 보인다. [45] 들고 다니는 물감총을 보면 원래 검볼이 맞으나 한국에서는 검볼이 생소한 관계로 이름을 버블껌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샤벳-소르베] 둘의 재료명이 서로 바뀌었다. 그러나 소르베와 샤베트는 이름만 비슷하지 엄연히 다른 재료다. [47] 라인 쿠키런 한정. 후속편인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에서는 Red Pepper Cookie. [48] 원래 이름에는 화살(arrow)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49] 미나레트는 이슬람 사원의 첨탑을 가리킨다. [50] 아니타 헤일리는 만화, 바이 그레이손은 극장판의 정식 명칭이다. [51] 아랑: 마크 오브 더 울브스 한정. [52] 작품의 일어판 제목이 '오오 마리아님!'이기 때문에 마리아로 로컬라이징 되었다. [53] 모 웹툰이 일본으로 전파했을 때 현지화 과정에서 코우지란 이름 때문에 '불법또또' 편에 첫등장한 연보라색 머리의 학생과 이름이 똑같다. 그러나 87화에 등장한 코우지의 한자 이름은 중국어판 내용을 통해 '小路'로 표기돼있다. [54] 대부분 이름을 그대로 읽는 캐릭터들이 많지만 일부 캐릭터들은 개명되기도 하였다. [구슬아이스] [샤벳-소르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