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08:15:33

북아일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연합 왕국 구성국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북아일랜드|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영국 왕실령
파일:맨 섬 기.svg
맨섬
채널 제도
[[건지 섬|
파일:건지 섬 기.svg

건지 행정관 관할구]]
[[저지 섬|
파일:저지 섬 기.svg

저지 행정관 관할구]]
[[건지 섬|
파일:건지 섬 기.svg

건지섬]]
[[올더니|
파일:올더니 기.svg

올더니섬]]
[[사크|
파일:사크 기.svg

사크섬]]
해외 영토
파일:몬트세랫 기.svg
몬트세랫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파일:앵귈라 기.svg
앵귈라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파일:영국령 인도양 지역 기.svg
영국령 인도양 지역*
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파일:포클랜드 제도 기.svg
포클랜드 제도*
파일:핏케언 제도 기.svg
핏케언 제도
파일: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기.svg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nopad>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nopad> 파일:영국령 남극 지역 기.svg
영국령 남극 지역*
파일:세인트헬레나 기.svg
세인트헬레나
파일:어센션 섬 기.svg
어센션섬
파일:트리스탄다쿠냐 기.svg
트리스탄다쿠냐
*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거나 분쟁 중인 영토 표시
→영연방 }}}}}}}}}
<colbgcolor=#c60c30><colcolor=#fff> 북아일랜드
Northern Ireland
Tuaisceart Éireann
Norlin Airlann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의 국장.svg
<rowcolor=#000> 국기[1][2]
(비공식기)
국장
(1924~1972)
}}}
행정
국가
[[영국|]][[틀:국기|]][[틀:국기|]]
수도 벨파스트
하위 행정구역
11개 구(district)
인문 환경
공용어 영어, 아일랜드어
지역 언어 아일랜드어, 얼스터 스코트어
면적 14,130㎢
인구 1,910,543명(2022)
인구밀도 141명/㎢
종교 가톨릭 42.3%, 아일랜드 장로회 16.6%, 아일랜드 교회( 성공회) 11.5%, 아일랜드 감리회 2.4%, 기타 그리스도교 6.9%, 기타 종교 1.3%, 무종교 17.4%
민족구성 백인 96.77%, 아시아계 1.61%, 흑인 0.58%, 혼혈 0.76%, 기타 0.27% (2021)
정치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단일국가 산하의 자치정부, 의원내각제, 단원제
국가원수 찰스 3세 영국 국왕
행정수반[3] 미셸 오닐
행정부수반[4] 엠마 리틀-펜젤리
ISO 3166-1
NIR, GB-NIR
도메인
없음(.uk 등 사용)
위치
파일:북아일랜드 위치.svg

1. 개요2. 상징
2.1. 명칭2.2. 깃발2.3. 노래
3. 역사4. 대외관계5. 정치
5.1. 자치정부와 자치의회
5.1.1. 구의회 (Parliament of Northern Ireland, 1921~1972)5.1.2. 신의회 (Northern Ireland Assembly, 1999~현재)
5.2. 정당5.3. 영국 내 지위와 아일랜드와의 영토 분쟁
6. 구성과 문화7. 행정구역8. 교통9. 관광10. 교육11. 스포츠12. 기타13. 참고 문서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영국 지역. 아일랜드 섬 동북부[5]에 위치하고 있으며,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와 함께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즉 영국의 구성국 중 하나다. 원래는 아일랜드 섬이 통째로 영국의 구성국이던 시절이 있기 때문에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와 달리 '구성국'(nation)보다는 '지방'(region 또는 province)으로 취급되는 경우도 많다.

서남쪽으로는 아일랜드와 접경하고 있으며 이 국경은 현재 도서 국가인 영국과 아일랜드의 유일한 국경이라 할 수 있다.

이 곳은 아일랜드계 이외에 스코틀랜드에서 넘어온 스코트인도 많이 섞여 살았기 때문에 반영 가톨릭이 주류인 나머지 지역들과 달리 영국 연합주의 개신교가 우세하였고, 이에 아일랜드가 독립할 때 이 지역은 영국에 남는 것을 택할 정도였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영국령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개신교 교세가 빠르게 쇠퇴하는 동안 1960년대부터 가톨릭 교세가 느리게 증가하면서 2020년대를 기해 북아일랜드에서 가톨릭 신자 수가 개신교 신자 수를 역전하였다. 감소한 개신교 교세는 대부분 무종교인과 일부 가톨릭 교인으로 대체되었다.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서유럽 지역에서 드물게 매번 분쟁이 일어나서 항상 혼란스러운 곳이다.

또한 축구할 때도 독립 국가가 아니면서 출전 자격이 있는 지역이지만, 웨일스와 더불어 인적 자원도 적고 인프라도 열악한지라 FIFA 월드컵이고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이고 유럽 예선에서부터도 별로 선전하지 못한다. 사실 바다 건너 스코틀랜드도 도찐개찐이다.

2. 상징

2.1. 명칭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 섬의 지역 구분(four provinces)[6]에 따라 ' 얼스터(Ulster, 아일랜드어로는 Ulaidh)'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아일랜드 섬에서 얼스터 지역은 9개 주(counties)로 이루어져 있고 이 중 영국령 북아일랜드는 6개 주에 해당하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틀린 것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얼스터 = 북아일랜드로 생각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이런 용법을 매우 싫어한다.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북아일랜드의 존재를 아예 인정하지 않아서 북부(the North),[7] '6개 주(six counties)', 더 심한 경우 '점령당한 여섯(the occupied six)' 등으로 돌려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는 일반적으로 분단 국가로 인식되지 않는다. 북아일랜드의 영국 연합주의자들은 구어에서 북아일랜드의 애칭으로 Northern Ireland가 줄어든 논 아이언(Norn Iron)도 사용하고 있다.

영국과 명칭 분쟁이 있었다. 영국에서는 Ireland를 아일랜드 섬 전체로 써서 아일랜드 자유국의 후신인 현 아일랜드를 가리킬 때는 그냥 아일랜드어 표기(단 다이어크리틱은 일반적으로 생략)인 Eire로 지칭하다가 아일랜드가 완전한 공화국이 된 이후엔 꼬박꼬박 Republic of Ireland라고 불렀다. (현재도 아일랜드 섬 전체나 북아일랜드와 명확히 구분하고자 할 때 이 명칭이 사용된다. FIFA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과거 영국은 아일랜드 정부, 대통령 등을 아일랜드 측이 쓰는 Government of Ireland, President of Ireland로 적지 않았고 Irish Government, Irish President로 돌려서 적었다. of Ireland라고 하면 북아일랜드까지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는 아일랜드 측의 용어 혼란 전술에 말려들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아일랜드에서는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라는 영국의 공식 국호를 인정하지 않아서 약칭인 the United Kingdom(UK)만 쓰거나, 북아일랜드를 뺀 지리적 명칭으로 Great Britain이나 형용사 British로 돌려 쓰는 식으로 대응했다. 또는 Northern Ireland 대신 단순 북부 지방을 의미하는 North(예를 들어, in the Northern Ireland 대신 in the North)를 사용했다. 현재는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아일랜드가 북아일랜드 영유권 주장을 중단했기 때문에 양국이 더이상 명칭 분쟁을 일으키지 않고 서로의 표기를 존중해 주고 있다.

2.2. 깃발


북아일랜드의 비공식기 얼스터 배너에 대한 설명. 북아일랜드 깃발 규칙

현재 북아일랜드 내 유일한 깃발은 영국 국기뿐이나 당연히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싫어한다. 그래서 벨파스트 시 의회가 시청에 영국 국기를 거는 날을 국경일로 제한하는 조례를 통과시키기도 했고 이 때 연합주의자들이 폭력 시위를 벌여 난리가 났다.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이 깃발은 '얼스터 배너'라 불리는, 1924년부터 1972년까지 사용된 구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의 문장[8]에서 따온 것이다. 다만 문장 속 방패의 문양에는 튜더 왕조의 왕관이 들어가 있었지만 공식 얼스터 배너의 왕관은 성 에드워드 왕관[9]으로 바뀌었다. 문장과 달리 얼스터 배너 자체가 공식적으로 북아일랜드의 국기로 지정된 건 1953년으로 그 전까지는 비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하필 1953년에 공식 지정된 것은 그 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대관식[10]을 치른 것을 북아일랜드 연합주의자들이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얼스터 배너는 1972년까지 공식적인 국기로 지정되었으나, 구 자치 정부가 해산됨에 따라 국장과 함께 공식 지위를 상실했다. 현재 영국을 지지하는 연합주의(unionist) 진영에서만 사용하고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이 깃발을 싫어해 아일랜드의 국기를 사용한다.[11]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연합주의자들이 주도)이 국제 대회에 나갈 때는 이 기를 사용한다. 커먼웰스 게임에서도 북아일랜드 대표팀이 이 깃발을 쓴다.

깃발 한가운데에 있는 문장은 '얼스터의 붉은 손'이라 부르는데 아일랜드의 왕이 되려고 자신의 오른팔을 잘라 바위에 던진 '헤레몬 오닐'의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손바닥은 얼스터 지방의 전통 깃발에서도 보이는 문양인데 얼스터 배너의 손과 다른 점은 엄지 손가락을 손바닥에 붙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얼스터 배너에는 얼스터 지방 깃발과 달리 6각 별이 들어가 있는데 이것은 얼스터 지방을 이루는 9개 주 중에 북아일랜드에 속한 6개 주를 상징하는 것이다. 왕관은 영국 국왕/여왕을 상징한다.

북아일랜드의 온건한 영국 연합주의자들이나 중립을 자처하는 극소수의 주민들 사이에서 북아일랜드의 모든 주민들을 대표할 수 있는 새로운 중립적인 국기를 만들자는 제안이 종종 나오고 있다. 얼스터 배너는 대놓고 잉글랜드의 성 조지 기가 들어가 있고 왕관이 그려져 있어서 영국 연합주의자들의 국가관이 투영되어 전혀 중립적인 깃발이 아니다. 온건파들은 이 부분에 문제를 제기하고 좀 더 중립적인 깃발을 고안하자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강경한 영국 연합주의자들은 유니언 잭과 얼스터 배너 사용을 고집하는 데다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아일랜드 삼색기를 고집하면서 북아일랜드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 들기 때문에 새로운 북아일랜드 국기 제정에 합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결국 공식 국기가 없이 각 진영이 자기가 원하는 깃발을 사용하는 현재 상태가 장기간 유지될 전망이다.

파일:성 패트릭.svg

원래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수립 이후 아일랜드[12]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국기는 세인트 패트릭( 성 파트리치오) 깃발로 현 영국 국기의 빨간색 'X'자 부분을 차지하는 그것이다. 아일랜드 남부가 아일랜드 자유국과 이후 현재의 아일랜드 공화국으로 독립한 이후에도 성 파트리치오 기가 아일랜드 섬 전체와 성 파트리치오를 상징하는 깃발로 쓰이고 있긴 하지만 공식 지위는 없다. 그러나 북아일랜드가 현재 공식 깃발이 없기 때문에 북아일랜드에서 이 깃발을 북아일랜드 깃발 대용으로 쓰는 경우들이 있고 또한 북아일랜드 자치 경찰의 문장에도 이 깃발이 들어가 있다.

이 깃발은 원래 성 파트리치오의 깃발이 아니다. 성 파트리치오는 순교자가 아니었으므로 그의 순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도 당연히 따로 없었다. 십자가는 고대 로마 사형 도구였음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 문양은 전통적으로 잉글랜드 국왕을 대신해서 아일랜드를 통치한 피츠제럴드 가문[13] 문장인데 이걸 억지로 잉글랜드 성 제오르지오(세인트 조지) 기, 스코틀랜드 사도 안드레아스(세인트 앤드루) 기와 짝을 맞춘 성 파트리치오 기로 둔갑시킨 뒤 유니언 잭에 합쳐버린 것이다. 현재 성 파트리치오 기는 아일랜드 섬 내에서 아일랜드 섬 전체와 성 파트리치오를 상징하는 깃발로 취급을 받고는 있으나, 강경한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이런 역사적 경위를 문제삼아 영국의 침략자들이 만든 아일랜드의 상징이라면서 사용을 거부하고 있다.

파일:Ulster_Nationalist_flag.svg

한편 북아일랜드에서는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을 상대로 테러도 서슴지 않았던 소위 충성파(loyalists)라는 이들이 존재하는데 이들 중 일부 분파는 영국 정부의 온건한 태도에 실망하여 북아일랜드를 영국도 아니고 아일랜드도 아닌 독립 국가로 만들자고 주장하고 있다.[14] 이런 주장을 하는 이들을 얼스터 민족주의자(Ulster nationalists)라고 부른다. 이들은 자기들 나름의 얼스터(북아일랜드) 국기를 만들어서 쓰고 있다. 아일랜드의 성 파트리치오 기, 스코틀랜드의 성 앤드루 기, 북아일랜드 6개 주를 상징하는 6각 별(단 얼스터 배너와 달리 금색으로 색칠)과 얼스터를 상징하는 붉은 손을 결합한 것이다. 스코틀랜드의 상징을 집어 넣은 이유는 북아일랜드의 영국 연합주의자, 충성파의 조상이 제임스 1세 때 얼스터로 집단 이주한 스코틀랜드 로우랜드 주민들이었기 때문[15]이다. 그리고 얼스터 배너와 달리 왕관을 삭제해 영국 국왕/여왕에 대한 충성을 거두었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 얼스터 민족주의자들의 깃발은 북아일랜드 주민 다수한테 정치적 극단주의의 상징으로 취급되어 인식이 좋지 못하다.

2.3. 노래

북아일랜드를 상징하는 공식적인 노래는 없다. 친영 연합주의자들은 God Save the King을 부르고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국제 대회에 나갈 때도 국가로 같은 것을 사용한다. 잉글랜드 축구 대표팀과 국가가 같기 때문에 두 팀이 경기를 할 경우 국가를 공동으로 한 번만 연주한다.[16] 하지만 이 노래는 아일랜드 민족주의 진영에서 좋아하지 않는다.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런던데리 노래( Londonderry Air)에 Danny Boy[17]라는 가사를 얹은 것을 국가처럼 간주하고 부르고는 한다. 커먼웰스 게임에서도 북아일랜드 대표팀이 이 노래를 불렀다. 그러나 이 노래는 영국 치하에서 아일랜드인들이 겪었던 고초를 노래한 것이라 이번에는 반대로 친영 연합주의 진영에서 좋아하지 않는다.

3. 역사

본래 북아일랜드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소속 아일랜드, 그 중에서도 동북부 얼스터 지방의 일부였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얼스터 지방은 아일랜드에서 가장 개발이 덜 된 지역임과 동시에 켈트계 세력의 영향력이 가장 강한 지역이었는데, 이 때문에 잉글랜드는 (아일랜드 국왕을 겸하는) 잉글랜드 국왕의 권위에 도전하는 얼스터의 켈트계 가톨릭 영주들의 반란에 자주 시달렸다. 이에 질릴대로 질린 제임스 1세는 1606년부터 북아일랜드 지역에 '얼스터 식민(Plantation of Ulster)' 정책으로 반란을 일으킨 켈트계 영주들의 영지를 몰수해 잉글랜드 북부와 스코틀랜드 저지대[18]의 신교도들에게 불하하며 그들을 얼스터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제임스 1세 이후로도 개신교도 영국인들을 이주시키며 적극적으로 얼스터 지방의 영국화를 시도하였다.

그래서 이 지방은 아일랜드 독립 전에도 친영-개신교 성향이 짙은 지역으로 19세기 말 제안된 아일랜드 자치(Irish Home Rule)에 반대하는 세력의 중심지였으며, 1918년 영국 총선에서 다른 아일랜드 의석을 독립주의자 신페인당이 휩쓰는 와중에도 친영파가 의석을 확보했다.

그래서 아일랜드 독립 전쟁을 끝내기 위해 1920년에 체결된 영국-아일랜드 조약으로 남부 아일랜드의 분리가 확정된 상황에서 북아일랜드의 개신교 신자들은 북부의 확실한 다수파를 차지하기 위해 북아일랜드의 얼스터 지방 9개 주 중에서 유난히 가톨릭 신자들이 많았던 3개 주(도니골, 모나한, 캐번)을 의도적으로 분리시키고 6개 주만으로 영국에 귀속되는 북아일랜드를 만들었다.[19]

1921년 5월 3일 아일랜드 자유국에서 분리된 북아일랜드가 정식으로 성립하였고 2021년으로 북아일랜드 성립 100주년을 맞았다.

북아일랜드 분리 이후 연합주의자들이 대부분의 의석을 독점하였으나, 1968년 이후 북아일랜드 분쟁으로 영국의 화약고가 된다. 1998년 성 금요일 협정(Good Friday Agreement)이 체결되면서 이후로는 어느 정도 정세가 안정되었다.

4. 대외관계

서유럽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아시아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캅카스
동유럽 · 중부유럽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북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 카리브 · 남아메리카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 · 멜라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 폴리네시아
}}}}}}}}} ||

4.1. 영국, 아일랜드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정치

북아일랜드 제58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rowcolor=#fff> 벨파스트 이스트 벨파스트 노스 벨파스트 사우스 벨파스트 웨스트
가빈 로빈슨 존 피누케인 클래어 허나 폴 머스키
이스트 앤트림 이스트 런던데리 퍼머나&사우스 티론 포일
새미 윌슨 그레고리 캠벨 마이클 질더뉴 콜럼 이스트우드
래건 밸리 미드 얼스터 뉴리&아머 노스 앤트림
제프리 도널드슨 프랜시 몰로이 미키 브래디 이언 페이즐리 주니어
노스 다운 사우스 앤트림 사우스 다운 스트랭포드
스테판 패리 폴 지번 크리스 해저드 짐 섀넌
어퍼 밴 웨스트 티론
클라라 록허트 오플레이스 베글리
}}}
그레이터 런던 · 노스웨스트 잉글랜드 ·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 요크셔 험버 · 웨스트 미들랜즈 · 이스트 미들랜즈
웨스트 미들랜즈 ·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 스코틀랜드 · 웨일스 · 북아일랜드
}}}}}}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역대 북아일랜드 자치정부 수반 및 부수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공석 제2대 제3대
수반
데이비드 트림블
레그 엠페이 (대행)
데이비드 트림블
공석 (2002-2007) 수반
이언 페이즐리
피터 로빈슨
알린 포스터 (대행)
수반
피터 로빈슨
알린 포스터 (대행)
피터 로빈슨
부수반
시무스 말론
마크 더칸
공석 (2002-2007) 부수반
마틴 맥기니스
부수반
존 오다우드 (대행)
마틴 맥기니스
<rowcolor=#fff> 제4대 공석 제5대 공석
수반
피터 로빈슨
알린 포스터
공석 (2017-2020) 수반
알린 포스터
피터 기번
공석 (2022-2024)
부수반
마틴 맥기니스
공석 (2017-2020) 부수반
미셸 오닐
공석 (2022-2024)
<rowcolor=#fff> 제6대
수반
미셸 오닐


부수반
에마 리틀펜겔리

영국 총리 · 스코틀랜드 자치정부 수반 · 웨일스 자치정부 수반 · 북아일랜드 자치정부 수반 및 부수반 }}}}}}}}}


벨파스트 협정에 의해 다시 만들어진 자치의회와 정부는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공동정부 같은 형태로 운영된다. 여기에 민족주의자와 연합주의자간의 대립이 합쳐져 벨기에 연방 정부를 능가하는 무정부 사태가 자주 발생한다.

5.1. 자치정부와 자치의회

파일:북아일랜드의사당.jpg
파일:북아일랜드의회내부.jpg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의 자치의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파일:북아일랜드 자치의회 로고.svg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자치의회
Scottish Parliament
Pàrlamaid na h-Alba
Scots Pairlament
웨일스 자치의회
Cymru Senedd
Welsh Parliament
북아일랜드 자치의회
Northern Ireland Assembly
Tionól Thuaisceart Éireann
Norlin Airlan Assemblie
파일:북아일랜드 자치의회 로고.svg
북아일랜드 자치의회
명칭 Northern Ireland Assembly[20] ( 영어)
Tionól Thuaisceart Éireann[21] ( 아일랜드어)
Norlin Airlan Assemblie (얼스터 스코트어)
의장
알렉스 마스키
Alex Maskey MLA[22] ( 무소속)[23]
주소
영국 Belfast BT4 3ST, 벨파스트
팔리아멘트 빌딩스, 스토몬트
Parliament Buildings, Stormont[24]
최근 선거 2022 북아일랜드 자치의회 선거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Operation of the Assembly
6. At their first meeting, members of the Assembly will register a designation of identity - nationalist, unionist or other - for the purposes of measuring cross-community support in Assembly votes under the relevant provisions above.
자치의회 운영
6. 첫 회의 때 북아일랜드 의회 의원은 위의 적절한 조항 하의 의회 표결에서 cross-community 투표[25]를 판단하기 위해 신원명(민족주의자, 연합주의자, 기타) 등록을 할 것이다.
Executive Authority
18. The duties of the First Minister and Deputy First Minister will include, inter alia, dealing with and co-ordinating the work of the Executive Committee and the response of the Northern Ireland administration to external relationships.
행정 권한
18. 행정수반과 행정부수반의 의무는 그 중에서도 행정위원회의 업무와 외부 관계에 대한 북아일랜드 정부의 대응을 처리하고 조율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벨파스트 협정 중에서

5.1.1. 구의회 (Parliament of Northern Ireland, 1921~1972)

북아일랜드를 포함한 아일랜드 섬에는 19세기부터 자치의회를 세워달라는 목소리가 끊이질 않았다. 아일랜드인들은 영국 통치 하에서 권리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차별받았지만, 그래도 영국 본토처럼 지역에서 선거를 통해 의회에 진출한 사람들이 있었고 이들을 중심으로 아일랜드인들의 여론이 중앙 정치계에 제기될 수 있었다. 이렇게 아일랜드인들의 의사가 중앙 정치계에 전달되자 영국 자유당을 중심으로 19세기 중반부터 아일랜드에 자치를 허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는데, 양원제 의회를 구성하고 아일랜드에 관련된 입법 권한의 많은 부분을 영국 중앙 정부 의회에서 새로 생길 아일랜드 자치 의회에 넘기는 것이었다. 그러나 영국 본토에서는 영국 보수당을 중심으로 이 방안에 대해 연합 왕국을 해체할 것이라며 격렬한 반발이 일었고 아일랜드 내에서도 가톨릭이 대다수인 아일랜드 대부분의 지역과는 다르게 신교도가 주류였던 얼스터 지역은 자치 방안에 대해 결사 반대했다. 결국 자치 논의는 더 진전되지 못했다.

결국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1916년 들어 자치를 포기하고 아예 무장 독립투쟁에 나섰으며, 1918년 영국 총선에서 아일랜드 의석 105석 중 73석을 아일랜드 민족주의 정당인 신페인이 차지하고는 의정활동을 거부하고 자신들끼리 국회를 열었다. 이에 버티지 못한 영국은 1920년 연합주의자들이 많은 얼스터 지역과 나머지 아일랜드 지역을 각각 북아일랜드와 남아일랜드로 분리해 별도의 양원제 자치의회를 세웠다. 그러나 아일랜드인들이 대다수였던 남아일랜드 자치의회는 1921년 5월 선거 결과 역시나 하원의석 128석 중 124석을 아일랜드 민족주의 정당인 신페인이 차지하고는 또 의정활동을 거부하고 독립투쟁에 나섰으며, 결국 영국 정부는 아일랜드 독립운동가들과 타협해 1921년 12월 영국-아일랜드 조약을 맺고 남아일랜드에 영국의 자치령 아일랜드 자유국을 세우고, 남아일랜드 자치의회는 1922년 5월 폐지된다.

반면 북아일랜드에는 1921년 6월 7일 양원제 자치의회(Parliament of Northern Ireland)[26]가 설립되어 영국령으로 남아 자치를 시작했다. 자치의회를 위해 벨파스트 동쪽 스토먼트(Stormont)에 새로 착공한 의사당에는 1932년 11월 16일 당시 웨일스 공 에드워드의 임석하에 준공, 입주했다. 그러나 자치는 처음 시작부터 삐그덕댔다. 북아일랜드는 1인 1표의 보통 선거제가 아니라 보유한 재산에 따라 투표권을 주는 제한 선거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제력에서 게임이 안되는 아일랜드계가 정치적으로도 제대로 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1970년대까지 연합주의자들의 정당이었던 얼스터 통일당은 북아일랜드의 만년 여당으로 군림했고, 신페인과 기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북아일랜드 자치의회의 인정 자체를 거부하여, 선거에만 참여할 뿐 의정활동을 거부했다. 1950년대 북아일랜드 자치정부 수반이 된 얼스터 통일당의 테렌스 오닐(Terence O'Neill) 등 몇몇 연합주의자들이 아일랜드계에 대한 차별 철폐를 약속하고 이를 추진하자 몇몇 민족주의자들이 다시 의정활동에 나서기도 했지만 이에 대해 연합주의자들로부터 반발이 터져 얼스터 통일당은 분열을 겪었다. 이로 인해 차별 철폐가 수포로 돌아가자 아일랜드계는 자치에 대한 믿음을 완전히 저버리고 무장투쟁에 나섰으며, 연합주의자들도 무장 단체를 결성해 맞섰다. 결국 1972년에 영국 중앙정부는 제대로 기능하지 않던 자치의회를 폐지하고 직할 통치했다. 그 뒤로도 자치의회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은 있었지만 연합주의자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의 갈등이 워낙 커서 수포로 돌아갔다.

5.1.2. 신의회 (Northern Ireland Assembly, 1999~현재)

벨파스트 협정으로 북아일랜드 분쟁을 봉합하고 1999년에 부활한 자치의회는 90석의 의원을 선출하는 단원제 의회이고, 과거와 달리 Northern Ireland Assembly라는 이름을 쓴다. 선거는 의회 해산이 없다는 가정 하에 5년마다 치러지며, 북아일랜드 전역에서 소선거구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통해 선출된다. 원내 모든 의원들은 본인이 영국 연합주의자(Unionist, U)인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Nationalist, N)인지 기타(Other, O)인지 등록해야 하며, 이 때 가장 많은 의석을 가진 진영에서 총리(First Minister)를, 두 번째로 많은 의석을 가진 진영에서 부총리(deputy First Minister)를 지명하고 영국 국왕이 형식적으로 이를 임명한다.

이런 시스템은 양두정(diarchy)과 대연정(grand coalition)을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영국 정부와 스코틀랜드·웨일스 자치 정부의 수반은 영국 정부의 총리(Prime Minister)와 스코틀랜드· 웨일스의 총리(First Minister)로 1명이다. 영국 정부와 스코틀랜드·웨일스 자치 정부에서는 부총리(deputy Prime Minister나 deputy First Minister)[27]가 있을 경우 이들은 명목상 총리 '다음'의 지위를 갖는 사람들이 된다. 하지만 북아일랜드에서는 총리가 의전에 한해 부총리보다 앞설 뿐 법적인 권한은 동등한 공동 정부수반이다. 그리고 제도 설계에 따라 자연스럽게 다수파에서 총리를, 소수파에서 부총리를 배출하므로, 양 진영이 모두 자치 정부에 참여해 두 진영의 반강제적인 타협을 유도함으로써 양측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반대로 양 진영 간의 합의가 잘 이뤄지지 않으면 무력한 정부가 될 위험 역시 크고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났다. 북아일랜드 자치가 재개된 지 얼마 안 된 2002년 10월 15일부터 2007년 5월 8일까지 자치 의회의 갈등으로 자치 정부 내각을 구성하지 못해 자치 정부의 기능이 정지되고 그 기간 동안은 영국 중앙 정부가 대신 직접 북아일랜드를 관리한 적이 있었다. 2017년 민주연합당 신페인의 연립 정부가 깨지고 조기 총선이 치러졌으나 2020년 1월까지 정부 출범을 못한 적 있다.[28]

1970년대까지 있었던 북아일랜드의 자치 정부는 Government of Northern Ireland였고 양원제 자치 의회는 Parliament of Northern Ireland[29]였으나 현 자치 정부는 Northern Ireland Executive, 현 단원제 자치 의회는 Northern Ireland Assembly라고 불린다. 자치 정부의 총리·부총리도 과거엔 Prime Minister와 Deputy Prime Minister였으나 현재는 First Minister와 deputy First Minister[30]다. 총리·부총리 직함의 경우 스코틀랜드·웨일스 자치 정부와의 통일성을 위해 변경하지 않더라도 자치 정부와 자치 의회는 더 정부답고 더 의회다운 Government와 Parliament로 변경할 수도 있지만[31] Government와 Parliament라고 하면 1970년대 이전 자치 정부·자치 의회가 있던 시절의 상황이 연상되기 때문에 그런 움직임은 없다.

북아일랜드 자치의회에는 cross-community vote라는 특유의 표결 절차가 있다. 논란의 여지가 큰 의안(議案)의 표결(법률 제정의 마지막 단계인 본회의 표결 등)은 단순히 의원 다수의 찬성 뿐만 아니라 연합주의자로 등록한 의원 다수의 찬·반과 민족주의자로 등록한 의원 다수의 찬성을 모두 얻어야 가결된다. 한 진영(특히 다수파인 연합주의자들)이 다수로 압살해 버리는 상황을 방지하고 소수파(대개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32] 이 cross-community vote는 모든 의안의 표결에 전부 적용되는 건 아니고 의원 1/3이 요구하면 의장에 의해 해당 의안이 cross-community vote에 회부된다. 본래는 총리와 부총리도 비슷한 방식으로 뽑았는데 이렇게 해놓고 보니 2002년부터 내각 구성이 안 되는 사태가 벌어져 2006년에 지금처럼 바뀌었다.

5.2. 정당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북아일랜드 자치의회 로고.svg 북아일랜드 자치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U
(38석)
N
(35석)
O
(18석)
여당 파일:민주연합당 흰색 로고.svg
민주연합당

26석
파일:신 페인 흰색 로고.svg
신 페인

27석
파일:북아일랜드 동맹당 로고.svg
동맹당

17석
파일:얼스터 연합당 흰색 로고.svg
얼스터 연합당
9석
야당 파일:전통적 연합주의자의 목소리 로고.png
전통적 연합주의자의
목소리

1석
파일:사회민주노동당(영국) 흰색 로고.svg
사회민주노동당

7석
파일:이익보다 먼저 사람들을 로고.png
이윤 이전에 인민

1석
무소속
2석
무소속
1석
⑴ 현직 자치의회 의장은 신 페인 소속이며 위 표의 신 페인 의석 수에 포함됨.
⑵ 자치의회 의원들은 반드시 연합주의자(U, 영국 잔류파), 민족주의자(N, 아일랜드 통일파), 기타(O) 중 하나로 등록해야 함.
⑶ 기타에서 동맹당은 무종파주의자, 이윤 이전에 인민은 사회주의자로 규정된다.
}}}}}}}}}

북아일랜드에서는 현지 기반의 정당들이 주요 정당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그레이트브리튼의 주요 정당들은 별로 힘을 쓰지 못하거나 아예 활동 자체를 하지 않는다. 현재 자치의회의 주요 정당으로는 아일랜드 공화주의 좌익 성향의 신 페인 사회민주노동당, 영국 연합주의 우익 성향의 민주연합당 얼스터 연합당이 있다.

보수당은 선거 때마다 형식적으로나마 북아일랜드에 후보를 내고 있다. 본래 연합주의(Unionist) 정당인 얼스터 통일당(Ulster Unionist Party, UUP)과 자매 관계에 있었으나 1970년대 이후 관계가 틀어져 1980년대 말부터 북아일랜드 현지에 당 조직이 들어서서 선거에 자기 당 후보를 공천하고 있다. 그러나 보수당은 형식적으로만 공천을 했을 뿐 실제론 별 인기가 없었고 UUP는 2000년대 이후 더 보수적이고 강경한 연합주의 노선을 취하는 민주통일당(Democratic Unionist Party, DUP)[33]에게 밀리는 상태다. 2009년 유럽 의회 선거와 2010년 총선에서 다시 부활한 이들의 연대는 2012년까지 유지되다가 해체되었고 이후 북아일랜드에서 치러진 선거에서는 보수당과 UUP가 별도로 공천을 했다. 2015년 총선에서는 UUP가 당세를 조금 회복해 2석을 당선시켜 하원 원내 정당으로 복귀하다가 다시 원외로 돌아선 상태이다.

영국 노동당은 북아일랜드인들의 입당을 받아들이긴 해도 북아일랜드에 공천하진 않는다. 영국 노동당의 경우 창당 당시에는 아일랜드 섬 전체가 영국의 일부였는데 여기를 아일랜드 노동당[34]의 관할 지역으로 취급했기 때문이다. 아일랜드 섬이 둘로 분할되어 북아일랜드만 영국에 남은 이후에도 이때의 방침이 오랫동안 남아서 2000년대까지 영국 노동당은 북아일랜드 사람들의 입당 자체를 막았다가 법적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당원을 받기는 하고 있다. 그리고 북아일랜드 현안은 현지 주요 정당 중 하나로 아일랜드 민족주의 성향인 사회민주노동당(SDLP)과 연계해 처리했던 것도 있다.[35] 다만 SDLP의 경우도 2010년대 이후로는 UUP의 경우와 유사하게 더 강하게 통일을 주장하는 급진좌파 신 페인에 지지를 빼앗기고 민족주의 진영의 제2당으로 밀려났다.

자유민주당의 경우도 북아일랜드에 직접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는데, 대신 북아일랜드의 자매 정당으로 북아일랜드 동맹당이 있다. 이 당은 자민당과 비슷한 정책 지향을 가지고 있고 상징색도 비슷하게 노란색 계열이다. 일부 북아일랜드 동맹 당원들은 아예 자유민주당 당적을 함께 가지고 있다.[36] 참고로 북아일랜드 동맹당은 북아일랜드의 양대 진영인 영국 연합주의(unionism, 북아일랜드의 영국 잔류 지지)와 아일랜드 민족주의(Irish nationalism, 아일랜드과의 통일 지지) 진영 사이에서 중립을 지키는 몇 안 되는 정당이다. 북아일랜드 자치 의회에서도 동맹당 의원들은 기타인 O로 등록한다.

이들 북아일랜드 정당들은 영국 본토 정당들과 별개기 때문에 영국 의회에도 의석을 가지고 있다. 신페인당은 영국 국회에 의석은 보유하지만 보이콧한다(abstentionism). 신페인당의 이 전략은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것으로 영국의 선거 인프라를 이용은 하지만 주민들의 지지만 증명해낸 뒤 의회 등 해당 조직의 정통성을 부정하기 위해 보이콧하는 방식이다. 아일랜드 독립 전쟁도 영국 총선 신페인 당선자들이 보이콧하고 더블린에 자신들만의 의회를 만들어 독립을 선언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후 영국과 온건 민족주의자의 타협으로 아일랜드 자유국이 성립되고 북아일랜드가 영국에 남게 되자 강경파인 신페인은 아일랜드 자유국(그리고 그 후계자인 현재의 아일랜드)과 북아일랜드의 거의 모든 선거에서 이 전술을 사용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주류 정치권에서 배제되는 상황을 초래했고 세월이 흐르면서 현재의 아일랜드 정부까지 부정하는 게 실익이 없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신페인은 보이콧을 차례로 철회해 현재는 북아일랜드의 영국 하원 의원 의석에 대해서만 보이콧을 상징적으로 시행 중이다.

북아일랜드의 영국 노동당 당원들(대다수가 SDLP나 신페인과 달리 영국 연합주의자다)은 북아일랜드에 당 조직을 만들고 후보를 낼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괜히 SDLP하고 관계만 나빠지고 북아일랜드의 수렁에 빠지기 싫은 중앙당에서 수용하지 않고 있다. 북아일랜드의 자민당 당원들 중에도 자민당 명의로 후보를 내길 희망하는 경우가 있는 듯하나 역시 중앙당에서 자매 정당 동맹당과의 관계를 고려해 받아 들이긴 어렵다. 보수당이 북아일랜드에서 명목상으로나마 활동하는 건 과거 자매 정당이었던 UUP와 관계가 틀어졌다는 특수 상황 때문이다. 반대로 민족주의자들은 아일랜드의 보수 성향의 주요 정당인 피너 게일 피어너 팔에 입당해 두 당에서 북아일랜드에 후보를 내기를 요구하고 있으나[37] 피너 게일과 피어너 팔 중앙당 입장에서도 굳이 이미 외국이 된지 한참 된 북아일랜드 정치에 갑자기 개입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쉽게 성사되지 않는다. 한편 영국독립당(UKIP)은 보수당처럼 북아일랜드에서도 버젓이 활동 중인데 역시 큰 지지를 얻진 못하고 있다.

북아일랜드 현지 주요 정당들 중에 영국 연합주의 정당들은 기본적으로 현 체제의 유지를 지향하기에 보수 성향이고 아일랜드 민족주의 정당들은 진보 성향이다. 반면 진보연합당(Progressive Unionist Party·PUP)처럼 진보임을 자임하는 영국 연합주의 정당들은 극단주의 세력[38] 취급을 받기도 쉽고 어차피 힘도 없다. 반대로 보수임을 자임하는 아일랜드 민족주의 정당으로는 엔투(Aontú)[39]가 있으나 이쪽도 힘없기는 마찬가지. 그래서 북아일랜드의 진보+영국 연합주의자가 영국 노동당에 지지하고 보수+아일랜드 민족주의자가 피너 게일과 피어너 팔을 지지하면서 제발 북아일랜드에서 활동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그 밖에 북아일랜드 군소 정당으로 북아일랜드 녹색당( 아일랜드 녹색당의 지부. 동맹당처럼 O로 등록한다), 전통 연합주의자의 목소리(Traditional Unionist Voice·TUV)[40], 이익보다 인민 우선(People Before Profit·PBP)[41] 등이 자치 의회에 소수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이전에 자치 의회에 의석을 보유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사라진 정당으로 NI21,[42] 북아일랜드 여성 연대(Northern Ireland Women's Coalition·NIWC),[43] 영국통일당(UK Unionist Party)[44]이 있었다. 북아일랜드가 영국과 아일랜드 모두에 속하지 않는 독립국이 되자고 주장하는 소위 얼스터 민족주의(Ulster nationalism) 세력도 있지만 이들은 철저히 소수 극단주의자[45]들로 취급당해서 정계 진출은커녕 군소 정당조차 만들지 못하고 있다.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에 도입된 대연정 제도는 북아일랜드의 영국 연합주의와 아일랜드 민족주의 두 진영 간 극단적 갈등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제도지만 양 진영 모두 온건한 입장의 정당(UUP와 SDLP)에서 더 극단적인 노선을 취하는 정당(DUP와 신페인)으로 주류를 교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공동 집권 상황에서는 목소리가 커야 협상 과정에서 자기 진영에 최대한 이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연정을 강제했더니 두 진영이 싸우다가 아예 자치 정부(정확히는 자치 정부의 내각)가 구성되지 못하는 사태가 계속 일어나고 있다. 그때마다 영국 중앙 정부의 북아일랜드 담당 장관만 바빠진다.

북아일랜드 지역구는 현지 정당이 잡고 있고 이들은 영국 중앙 정부의 내각에 잘 끼지 않기 때문에 자연히 그레이트브리튼 지역구 의원 중에 한 명이 북아일랜드 담당 장관을 맡는데, 스코틀랜드와 웨일스 담당 장관직에 현지 지역구 의원을 앉히는 것과 대조적이다.

5.3. 영국 내 지위와 아일랜드와의 영토 분쟁

영국 '본토'의 개념을 어디까지 잡느냐에 따라 이 곳은 영국 본토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만약 영국 본토가 그레이트브리튼섬만을 가리킨다면 이 곳은 영국 본토가 아니게 되고, 연합왕국이라고 부르는 모든 지역[46]을 가리킨다면 이 곳도 연합 왕국의 구성국으로서 영국 본토에 속하게 된다.

영국의 국민 정서상으론 전자에 가깝지만 정치적으로는 후자의 정의를 따르는 게 대체로 유리하다. 영국 국회의 상원(귀족원)은 하원(평민원)과 달리 지역구 개념이 없다. 그리고 영국의 하원 지역구는 여태까지 전부 '연합 왕국'에 속하는 지역에만 설치되었다.[47]

아일랜드가 분리될 때 북아일랜드를 반드시 데려가야 한다는 강경 아일랜드 독립론자와, 영국과의 합의대로 북아일랜드를 배제하자는 온건 독립론자 간 내전이 생길 정도로 아일랜드 내에서 북아일랜드에 대한 인식은 미묘하다.

아일랜드는 북아일랜드를 언젠가는 되찾아 할 대상으로 보아서 아일랜드 헌법에 북아일랜드 지역을 명목상 자국 영토로 규정하고 영유권을 내세우고 있었다. 1937년 아일랜드의 공화국 선포 당시부터 1999년까지 아일랜드 헌법 2조의 규정이었다. 이하는 해당 규정의 영어 원문.
Article 2 [Territory] The national territory consists of the whole island of Ireland, its islands and the territorial seas.
(제2조 [영토] 영토는 아일랜드 섬 전체와 그 부속도서 및 영해로 구성된다.)
도회근, 「헌법의 영토조항에 관한 비교헌법적 연구」, 『법조』, Vol.58(No.11), 법조협회, 2009.11, pp. 289~333. #
지금은 아일랜드 섬 전체가 아일랜드 영토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1998년 아일랜드 영국, 북아일랜드 내 각 정당들은 북아일랜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벨파스트 협정에서 아일랜드가 헌법의 영토 조항을 삭제하기로 했다. 1999년 아일랜드는 국민 투표를 통해 개헌을 해서 현행 헌법에서는 대신 간접적인 표현(아일랜드 섬에서 태어난 이의 아일랜드 민족/국적 취득권(2조), 평화적 방식과 다수결에 의한 아일랜드 통일(3조))으로 변경되었다. 물론 예외 규정을 통해 아일랜드가 통일되기 전까지는 아일랜드의 헌법이 적용되는 지역은 현재 아일랜드의 실효 지배 지역으로 한정됨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지금도 아일랜드 헌법에서는 북아일랜드 영유권을 염두에 두고는 있으나 대놓고 영토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참고로 위 논문에 따르면 입수 가능했던 190개국 헌법 중 129개국이 영토 조항을 갖고 있으며, 상세한 영토 범위를 정한 경우는 39개국이라고 한다. 대한민국 헌법의 영토 조항은 상세한 편에 속한다고.

6. 구성과 문화

파일:Northern_Ireland_Religions.jpg
2021년 인구조사에 의하면 가톨릭 42.3%, 아일랜드 장로회( 장로회) 16.6%, 아일랜드 교회( 성공회) 11.5%, 아일랜드 감리회( 감리회) 2.4%, 기타 그리스도교 6.9%, 기타 종교 1.3%, 무종교 17.4%이다.

특이하게도, 가톨릭이 20세기 후반의 서유럽 세속화를 역류하여 교세를 확장한 게 두드러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Districts_of_Northern_Ireland_by_predominant_religion.png

적색은 개신교, 청색은 가톨릭 우세 지역이다. 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본인을 영국인(British)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48.4%, 아일랜드인(Irish)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28.4%, 북아일랜드인(Northern Irish)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29.4%, 잉글랜드인/스코틀랜드인/기타는 5.0%였다. 가톨릭 신자들은 본인을 영국인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12.9%, 아일랜드인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57.2%, 북아일랜드인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30.7%, 기타는 5.2%였다. 반면 개신교 신자들은 영국인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81.6%, 아일랜드인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3.9%, 북아일랜드인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26.9%였다.(복수 응답 가능)

아일랜드의 개신교 신자들은 거의 모두가 공화주의(Republican)인 반면[48] 북아일랜드의 개신교 신자들은 연합주의(Unionist)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가장 큰 개신교파인 아일랜드 장로회는 스코틀랜드의 이주민이 바탕이 된 얼스터 장로회에서 시작되었고[49], 성공회와 감리회는 잉글랜드 이주민을 중심축으로 자리잡아 왔으니 당연한 일이라고도 볼 수 있다. 반면 기존 아일랜드계는 남쪽의 아일랜드처럼 가톨릭에 잔류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아일랜드에서는 개신교 신자라 하더라도 북아일랜드 독립을 지지하는 반면 북아일랜드에서는 개신교 신자들 상당수가 영국 잔류를 희망한다. 그래서 대부분 자신을 영국인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온 것이다. 반대로 가톨릭 신자들 중에서도 어차피 종교의 자유를 허용해 주는데 영국에 잔류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입장이 존재하는데, 이들을 가톨릭 연합주의라 한다. 가톨릭은 공화주의, 개신교는 연합주의일 가능성이 높지만 예외는 존재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Northern_Ireland_Life_and_Times_Survey_constitutional_preference.png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와 얼스터 대학교가 주관하는 연례 여론 조사로 푸른 계열은 영국 잔류, 붉은색은 (아일랜드와는 별개의) 북아일랜드 독립, 녹색은 아일랜드와의 통합, 노란색은 기타 의견, 회색은 관심이 없다는 응답이다.

7. 행정구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2px-Northern_Ireland_-_Counties.png

1921년부터 1972년까지는 위 지도처럼 전통적인 6개 주로 나누었다.
국왕의 대리인인 로드 레프테넌트(Lord lieutenant)는 전통적인 6개 주와 양대 도시인 벨파스트, 데리에 한 명씩 임명되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rthern_Ireland_-_Local_Government_Districts.png

이전의 행정 구분은 현재는 차량 번호판 표시와 같은 한정된 용도로 쓰이고 있고 1972년 이후부터는 26개 지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파일:350px-NI11w.jpg

2005년부터 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해 2015년 11개 지역으로 통폐합했다.

8. 교통

북아일랜드는 교통 인프라가 비교적 낙후된 편으로, 시내 궤도교통으로 벨파스트 노면전차가 있었으나 1954년 2월 10일 철거되었다. 여객 철도는 북아일랜드 철도( NI Railways)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데, 다른 영국 지역들처럼 20세기 후반의 철도 암흑기에 철로가 대거 철거된 역사가 있다.

공항은 벨파스트 국제공항, 조지 베스트 벨파스트 시티 공항, 데리 시티 국제공항 이렇게 3곳이 있다.

해저터널이 아직 없어서[51] 항공편을 제외하면 영국의 본토가 되는 그레이트브리튼섬과의 교통은 배편으로 이루어진다. 연중 승객과 차량이 탑승가능한 페리 노선은 북아일랜드 란(Larne)에서 스코틀랜드 케언리안(Cairnryan)으로, 벨파스트에서 케언리안과 잉글랜드 리버풀로 가는 항로이다. 벨파스트에서 맨 섬으로 가는 항로도 있다. #

9.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북아일랜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국 국장.svg 북아일랜드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얼스터 대학교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영국의 대학 · 아일랜드의 대학 }}}}}}}}}

일부 교육적 특징은 아일랜드와 공유하지만, 전반적인 교육 체제는 GCSE Advanced Level을 시행한다는 점 등에서 잉글랜드와 유사하다. 대학으로는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와 얼스터 대학교가 있다.

11. 스포츠

럭비 국가대표팀은 아일랜드와 함께 단일 팀을 이루어 출전하며, 아일랜드 럭비 풋볼 유니언이 아일랜드섬 전체를 관할한다. 그래서 독립 이후 국가나 국기 문제에 있어 논란이 계속 있어왔는데, 럭비에 한해서 4지방기(IRFU의 깃발파일:IRFU 로고.png )를 내걸기로 하고, 아일랜드 삼색기와 얼스터 지방기(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Provincial flag of Ulster.png )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4지방기는 전통적인 아일랜드 4개의 지방인 먼스터, 렌스터, 코노트, 그리고 얼스터의 깃발을 한데 합쳐 만든 것으로,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과 아일랜드 럭비 대표팀과 같은 몇몇 모든 아일랜드 조직에서 사용하고, 아일랜드 삼색기나 성 파트리치오 기보다 더 가치중립적인 깃발이라고 여겨진다고 한다. 또한, 아일랜드 럭비 국가대표팀은 경기 전 국가가 아닌 Ireland's Call(아일랜드의 부름)이라는 협회가를 제창한다. 특히 아비바 스타디움에서 치러지는 홈 경기 시 아일랜드 국가인 The Soldier's Song(Amhrán na bhFiann)과 Ireland's Call을 모두 부른다. 그리고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이 4개의 대표팀이 연합하여 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라는 최고의 연합 팀을 만들어 남반구 국가이면서 영연방인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매 4년마다 순회하며 럭비 경기를 갖기도 한다. 대표티 주장을 맡았던 로리 베스트가 바로 북아일랜드 출신이다. 그의 소속 클럽 역시 북아일랜드의 얼스터 럭비로, 소속 팀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파일:Map of IRFU provincial branches.png 파일:Ulster Rugby Logo.png
아일랜드 4개 지방의 프로 럭비팀 얼스터 럭비팀 로고
독립한 아일랜드에 위치한 먼스터 럭비, 렌스터 럭비, 코노트 럭비와 함께 북아일랜드에 해당하는 얼스터 지역을 연고로 하는 프로 클럽인 얼스터 럭비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에 참가하며, 좋은 성적과 함께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8강전에서 렌스터 럭비의 홈 경기장인 아비바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하는 얼스터 럭비
축구의 경우 맨유의 레전드 조지 베스트가 여기 출신이고, FIFA 월드컵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까지 총 3회나 출전했다. 1982년 대회에서는 당시 개최국이었던 스페인을 잡는 성과를 내기도 했었다. 참고로 북아일랜드는 1986년을 마지막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UEFA 유로 2008 때는 예선에서 무려 13골[52]을 넣은 데이비드 힐리를 앞세워 홈에서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를 전부 물리쳐서 본선 진출 전망이 밝았다. 그렇지만 도중에 감독 교체 후[53] 원정 경기에서의 패배와 연속된 경기에서 자책골을 넣는 등 부진하면서 결국은 본선에 가지 못했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예선 때는 역시 초반에 1위를 달렸으나, 결국은 떨어졌다. 현역 축구 선수 중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인물은 맨유 유스 출신으로 뛰었던 조니 에반스다. 셀틱 FC 아스톤 빌라 감독을 했던 마틴 오닐 감독도 이 지역 출신인데, 이례적으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정작 마틴 오닐은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마틴 오닐 말고도 브랜던 로저스도 북아일랜드 출신이다.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경기 전, 잉글랜드의 국가인 God Save the Queen을 부른다. 자세한 것은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조.

축구 리그는 NIFL 프리미어십이 운영되고 있다.

골프를 상당히 잘 치는 나라로 손꼽히며 유명 선수로는 로리 매킬로이, 그레임 맥도웰[54], 대런 클라크[55] 등이 있다. 북아일랜드 특유의 예측 불허의 기후도 골프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프로레슬링 선수 중에선 핀레이가 있다. 혼스워글 아일랜드인이 아니라 아일랜드계 미국인이다.

12. 기타

13. 참고 문서

14. 둘러보기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1em"
{{{#!folding [ 정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상징 유니언 잭 (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 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말버러 공작 · 케임브리지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 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 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 영국의 경찰제도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가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스코틀랜드 경찰청 · 영국 철도경찰 · 영국 국방부경찰 · 영국 원자력경찰대
정당 정당 · 보수당( 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 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 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 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 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 외교 전반(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JUSCANZ · 브렉시트( 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역사 전반 역사 전반()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영국 통일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시대 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엘리자베스 시대 · 찰스 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국가 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왕조 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세력 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경제 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 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 하위지역) · 스코틀랜드( 하위지역) · 웨일스( 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 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 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 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 영국인 · 잉글랜드인( 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 게일인) · 웨일스인( 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영국계 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 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 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 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 그리니치 천문대( 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 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TERF의 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종교 · 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 장로회( 스코틀랜드 교회) · 영국/관광
예술 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로빈 후드 전설 · 마더 구스 · 캔터베리 이야기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언어 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어리 · 콘월어 ·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음식 요리( 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 애프터눈 티) · 홍차 · · 아침식사 · 피시 앤드 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스포츠 축구(어소시에이션 풋볼) · 프리미어 리그 · FA( 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 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 대표팀) · NIFL · IFA( 대표팀) · 럭비( RFU · SRU · WRU · IRFU) · 프리미어십 럭비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 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 · 윔블던 · 영국 그랑프리 · F1
서브컬처 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영국인 캐릭터
기타 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킬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군사 전반 국방부( 국방위원회) · 영국군( 스코틀랜드군) · 해외 주둔군 · 계급 · 전투식량/영국군 · 징병제(폐지) ·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 · NATO · 군기분열식
장비 군복( 레드 코트) · 군장/영국군 · 군함( 1차대전 · 2차대전 · 현대전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항공기( 2차대전) · 핵무기( 튜브 앨로이스, AWE)
부대 육군( 연대 · 제3사단 · 제1사단 · 왕립 독일인 군단 · 원정군 · 블랙와치 · 사관학교) · 통합해군( 해군 · 해병대 · 함대 보조전대 · 대함대 · 본토함대 · 사관학교) · 공군( 제617비행대대 · 독수리 비행대대 · 사관학교) · 전략사령부 · 근위대 · 특수작전부대( E Squadron · SAS( 제21SAS연대) · SBS · SRR · SFSG · JSFAW · 제18정보통신연대) · 코만도 · 구르카 · 레인저연대 · 낙하산연대 · 연합합동원정군 }}}}}}}}}}}}

파일:서유럽 아이콘.png 서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파일:웨일스 국기.svg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맨 섬 파일:영국 원형.png 채널 제도 파일:영국 원형.png 아일랜드
프랑스 모나코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

파일:Banniel_Keltia.svg
켈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족
<colbgcolor=#b4d0bf,#1d2d26> 도서 켈트족 <colbgcolor=#b4d0bf,#1d2d26> 게일인 아일랜드인 | 하이랜드 스코틀랜드인 | 맨인
브리튼인 웨일스인 | 콘월인 | 브르타뉴인 | 컴브리아인 † | 픽트족 †(논란)
대륙 켈트족 † 갈리아인 | 갈라티아인 | 켈트이베리아인 | 갈라이키아인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 파일:맨 섬 기.svg 맨섬 | 파일:attachment/콘월/cornwall-flag.png 콘월 | 파일:브르타뉴 깃발.svg 브르타뉴
언어 및 문화
언어 켈트어파
신화 켈트 신화
문화 켈트족의 축제 | 드루이드
사상 범켈트주의( 켈트 연맹) }}}}}}}}}


[1] 얼스터기 드버그 가문의 십자가 기 연합왕국을 상징하는 왕관을 덧붙이고, 배경의 노란색을 흰색으로 바꾸는 등 수정을 가한 깃발이다. 혹자는 드버그 가문의 십자가 기가 아니라 잉글랜드의 국기와 얼스터기를 합한 것이라고도 한다. [2] 북아일랜드 깃발 규칙에서는 지정된 기관 혹은 장소 그리고 날짜에 영국 국기를 게양한다고 적혀 있다. 법적으로 공식 깃발은 영국 국기 하나뿐이지만 민간에서는 연합주의 진영 외에는 이 깃발을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깃발 문단을 참고. [3] First Minister [4] Deputy First Minister [5] 얼스터 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6] 아일랜드 섬은 크게 렌스터(동부, 더블린이 여기에 있다.), 코노트(서부), 먼스터(남부), 얼스터(북부, 북아일랜드가 여기에 속한다)로 나뉜다. 모두 아일랜드에 있었던 옛 왕국들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7] 마찬가지로 독립국 아일랜드는 남부(the South)라고 부른다. 한국의 남한, 북한 구분과 비슷하게 간주하는 것이다. [8] 북아일랜드의 국장(國章)으로 간주되었다. [9] 영국에서 자국 왕실의 왕관 중 대표격으로 취급하는 그 왕관이다. [10] 즉위 자체는 부왕 조지 6세 사망 직후 자동으로 이루어졌지만 대관식은 그 다음 해에 실시됐다. 영국 국왕은 대관식을 1년 정도 시간을 두고 치른다. [11]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범 아일랜드 단체에서는 아일랜드 섬 전체의 깃발을 아일랜드의 삼색기로 쓰기도 한다. 어차피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북아일랜드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12] 현 독립국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모두 포함 [13] 가문의 선조는 노르만계지만, 아일랜드로 이주하고 빠르게 켈트 문화에 동화되어 현재도 '아일랜드인보다 더 아일랜드인같은' 가문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14] 북아일랜드의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북아일랜드 독립 운동가'가 아니다. 이들의 목표는 영국에서 이탈하여 독립국 아일랜드와 통일을 하는 것 통일운동가이지 북아일랜드라는 존재의 독립을 주장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북아일랜드라는 존재의 존속을 주장하는 것은 그들의 반대 진영(친영 연합주의자들)이고 그중에서 북아일랜드를 아예 독립시키자는 주장을 하는 이들도 민족주의 진영의 반대파 중 극단파(충성파) 내 일부 그룹에 속한다. [15] 스코틀랜드의 국왕이었던 제임스 6세가 제임스 1세라는 이름으로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국왕까지 겸하게 된 다음에 자기 지지 세력을 만들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얼스터 지방의 아일랜드인들의 토지를 빼앗아 스코틀랜드인들한테 하사했다. 그래서 스코틀랜드인들이 집단 이주하게 되었고 이들이 아일랜드의 지배 민족으로 군림하게 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분쟁의 시작이 된다. 한편 이때 이주한 스코틀랜드인들은 주로 스코틀랜드의 중심지였던 로우랜드 주민들이었고 깡촌 취급당하던 하이랜드 주민들은 무시당했다. 이들의 후손들을 오늘날 얼스터 스코틀랜드인(Ulster Scots)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미국 영어로는 스코틀랜드계 아일랜드인(Scotch-Irish)이라고 불리는데 이들 중 일부가 미국에 다시 이주해 스코틀랜드계 아일랜드계 미국인(Scotch-Irish Americans)이라는 집단을 이루고 있다. [16] 이 곡은 리히텐슈타인의 국가와도 동일하지만 가사가 다르기 때문에 잉글랜드 대 리히텐슈타인 또는 북아일랜드 대 리히텐슈타인의 경기가 치러질 경우 같은 곡이 두 번 연주된다. [17] 한국에서 대니 보이, 아, 목동아라고 알려진 그 노래이다. [18] 예로부터 스코틀랜드의 중심이 된 저지대는 잉글랜드와 동계인 게르만 계열 민족의 세력이 우세했다. 반면 켈트계가 우세했던 고지대는 깡촌 야만인들이라며 무시당했다. [19] 만약에 얼스터의 나머지 3개 주가 북아일랜드의 영역에 포함되었을 경우 개신교 신자들과 가톨릭 신자들의 인구 비율은 가까스로 개신교 신자들이 우세하기는 하나 다수파로서의 의미와 다소 거리가 먼 1:1에 근접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3개 주를 제외한 나머지 6개 주에서의 인구 비율은 약 3:2로 이 경우는 개신교 신자들이 다수파로서의 기득권을 차지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20] 북아일랜드라는 명칭의 존재 자체를 싫어 하는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그냥 (the) Assembly라고 부른다. [21] 티놀 후어스캬르트 에런 [22] Member of the Legislative Assembly(아일랜드어: Comhalta den Tionól Reachtach·CTR, 얼스터 스코트어: Laa-Makkan Forgaitherar·LMF). 북아일랜드 자치의회 의원. 북아일랜드 자치의회 명칭에 포함돼 있지 않은 Legislative라는 단어가 의원 직함에 추가되니 주의. [23] 의장이라 무소속이다. 본래는 신 페인 소속이었다. [24] 자치의회의 위치가 스토몬트에 있기 때문에 언론에서는 북아일랜드 정부를 스코틀랜드의 경우와 비슷하게 스토몬트라고 부른다. [25] cross-community support=cross-community vote [26] 상원은 Senate, 하원은 House of Commons [27] 웨일스는 부총리직이 상설직이 아니라서 정부 성향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데 지금은 없다. [28] 이 때의 북아일랜드의 평시 무정부 기간은 벨기에 무정부 기간을 가볍게 넘어버렸지만, 북아일랜드 정부가 주권정부가 아니기 때문에 기네스 북의 평시 최장 무정부 타이틀은 여전히 벨기에가 갖고 있다. [29] 상원은 Senate of Northern Ireland( 영국 의회의 상원인 귀족원·House of Lords와 이름이 다르니 주의), 하원은 House of Commons of Northern Ireland. 구 자치 의회 의사당을 현 자치 의회가 재활용 중이기 때문에 현재 자치 의회는 이름이 Northern Ireland Assembly임에도 여전히 건물의 이름은 Parliament Buildings, 그 건물이 들어선 지역은 Parliament Hill이라고 불린다. [30] 첫 글자를 소문자로 써서 deputy라고 써야 하는지 대문자로 써서 Deputy라고 써야 하는지에 대해 합의가 불명확해 양자가 혼용되고 있다. 벨파스트 협정문에서는 대문자를 썼다. [31] 스코틀랜드 자치 정부는 Scottish Executive라는 이름으로 출발했다가 이후 Scottish Government로 바꿨다. 자치 의회는 처음부터 Scottish Parliament였다. 이것은 스코틀랜드의 자치 정부와 자치 의회가 영국 중앙 정부와 의회(국회)에 버금가는 기관임을 명시하고자 한 것이다. 웨일스 자치 의회는 National Assembly for Wales였으나 결국 위상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Senedd Cymru - Welsh Parliament로 변경하였다. 웨일스 자치 정부는 원래 웨일스 자치권이 미약한 관계로 자치 의회의 위원회로 출발했는데 이후 자치 의회에 딸린 정부라는 뉘앙스의 Welsh Assembly Government를 출범시켰다가 현재는 독립성을 더 강화해 Welsh Government로 변경한 상태다. 반면 북아일랜드의 현 자치 정부와 자치 의회는 스코틀랜드와 웨일스와 달리 다소 우회적으로 돌려 쓴 느낌이 강하다. [32] 북아일랜드 자치 의회의 cross-community vote 절차는 영국 의회에서 통과시킨 1998년 북아일랜드법에 규정되어 있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 절차를 폐지하거나 수정하려면 북아일랜드 자치 의회가 아니라 영국 의회에서 이 법을 개정해야 한다. [33] 이언 페이즐리가 前 당수이자 설립자였다. [34] 현재 아일랜드의 주요 정당 중 하나다. [35] 영국 노동당이 이들과 연대했던 이유는 영국 노동당은 1990년대 초까지 북아일랜드가 영국에서 벗어나 독립국 아일랜드와 통일 아일랜드를 이루는 걸 지지했었기 때문이다. 1990년대 초반에 영국 주요 정당들은 북아일랜드 문제에 대해 확정적인 당론을 없애고 현지 주민들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그러나 제57회 영국 총선 보수당이 단독 집권을 할 수 없게 되어 친영 민주통일당(DUP)의 지원을 받아 정부를 지탱하게 되면서(신임과 보완, confidence and supply) 북아일랜드는 영국에 남아야 한다는 입장을 다시 채택했다. 강경한 영국 지지 정당인 DUP가 보수당에 신임과 보완을 약속하는 대가로 그 입장의 복원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36] 영국에서는 복수 당적을 보유하는 것이 합법이다. 단 각 정당이 내부 규정을 두어 당원들의 복수 당적을 금지하거나 허용하는 정당을 제한할 수는 있다. [37] 영국과 아일랜드의 정당법에 따라 국경을 넘어서 활동하는 건 합법이다. 계속 언급한 신페인이 그러고 있고(아예 북아일랜드 자치 의회 의원과 아일랜드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경우도 있다) 아일랜드 녹색당, 엔투도 그러고 있다. [38] 아일랜드 민족주의 진영을 상대로 테러도 서슴지 않았던 소위 충성파(loyalist) 성향인 벨파스트 거주 노동자들이 이 당을 지지하고 있어서 이런 부정적 평가가 따라 다니는 것이다. [39] 2019년 신 페인에서 분리된 아일랜드 섬 전체에서 활동하는 정당으로, 사회보수주의, 낙태 반대, 연성 유럽회의주의 성향을 띈다. 아일랜드 달 에런과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지방의회에서 의석을 소수 보유중이다. [40] 2007년에 DUP와 신 페인의 자치정부 연립 내각 참여에 반발한 짐 앨리스터(Jim Alister)가 DUP에서 탈당해서 세운 정당이다. 강경하다고 알려진 DUP보다도 더 강경한 성향을 띈다. [41] 아일랜드 섬 전체에서 활동하는 극좌 트로츠키주의, 유럽 회의주의 정당. 아일랜드 통일에 찬성하나 민족주의보다 계급 의제를 우선시한다는 입장으로 의회에는 중립(O)로 등록되어 있다. [42] 진보+영국 연합주의 정당이었다. 2016년에 중립(O)으로 바꿨지만 당의 세력이 미약해 그 해에 없어졌다. [43] 역시 중립 성향인데 페미니즘 정당이었다. [44] 연합주의를 주장하는 북아일랜드의 중도우파 정당이었다. 다만 북아일랜드 진영 간 갈등을 지양하고 서로 화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45] 정확하게는 충성파(loyalist)라고 불리는 연합주의보다 극단화되어 반대 진영에 테러도 서슴지 않는 진영 중 일부다. [46] 영국의 속령(왕실 직할령과 해외 영토)들은 '연합 왕국 바깥에 가진 땅'이라는 관점을 취하기 때문에 연합 왕국이라고 안 부른다. 영국의 속령들은 연합 왕국의 바깥에 딸려 있는 즉 연합 왕국이 지배하는 지역일 뿐 연합 왕국 그 자체의 구성 요소는 아닌 것이다. [47] 단 영국(연합 왕국) 국회의 전신 중 하나인 잉글랜드 국회(잉글랜드가 독립국이던 시절의 의회)에 예외적으로 잉글랜드 바깥의 영토였던 칼레(현 프랑스 영토) 지역구가 설치된 적이 있다. 칼레는 영국에서 가장 가까운 프랑스 땅으로 백년전쟁 종전 이후에도 100년 정도 잉글랜드 지배 하에 남아 있었는데 지역구가 설치되어서 거의 잉글랜드 본토의 한 지역처럼 취급되었다. 다만 메리 1세 여왕 말년에 프랑스 왕국에 칼레를 영구히 빼앗겨 해당 지역구는 폐지되었다. [48] '개신교 공화주의'라 하는데 수적으로는 적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아일랜드 독립 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었고 남북 아일랜드 분단 이후에도 몇몇 개신교 공화주의자들이 북아일랜드 해방과 남북 아일랜드 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49] 아일랜드 장로회의 장로회 교인들 일부는 아예 아일랜드 장로 교회에서 떨어져 나가서 자유장로교회를 설립했다. 이언 페이즐리 박사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전 각주에는 이들의 신앙은 보수적이기에 근본주의와 연관된 친영파라는 뉘앙스로 서술되었지만, 아일랜드 장로교회의 기원인 얼스터 장로교회 자체가 아일랜드와는 정체성이 오래 전에 달라진 스코틀랜드 이주민들이었다. 이들의 독립 이유는 아일랜드 장로회가 사교모임은 유치하면서 연합집회는 막는 세속화의 기조를 보인 것이 그 이유였고 반아일랜드 정서는 아니었다. [50] 개신교도는 런던데리, 가톨릭교도는 데리라고 부른다. 1613년 제임스 1세의 칙허장으로 런던이라는 이름을 앞에 달게 되었다. 일단 정식 명칭은 런던데리다. [51] 아일랜드 공화국에도 없다. 관련 구상은 해당 문단을 참조바란다. [52] 유로 예선 개인 최다골 기록이다. [53] 상승세를 이끌었던 로리 산체스 감독이 예선 도중에 풀럼 FC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산체스는 풀럼에서 성적 부진으로 도중에 경질되고 말았다. [54] 2010 US 오픈 우승. [55] 2011년 브리티시 오픈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