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단백질 Lck에 대한 내용은
림프구 신호전달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국에서 열리는 다른 라이엇 공식 대회에 대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문서 참고하십시오.
올해 진행되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 |
LoL e스포츠 지역 리그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5대 리그 | |||||||||
대한민국 LCK |
중국 LPL |
아메리카 LTA |
유럽·중동·아프리카 LEC |
아시아 태평양 LCP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LTA 하위 컨퍼런스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
북아메리카 LTA North |
남아메리카 LTA South |
}}} | ||||||||
LCP 하위 리그 | ||||||||||
일본 LJL |
대만·홍콩·마카오 PCS |
베트남 VCS |
||||||||
ERL 인증 리그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파일:LVP_SL_logo.png | |||||||||
프랑스 LFL |
독일 PRM |
스페인 SL |
튀르키예 TCL |
}}} | ||||||
국제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 |
LCK 관련 틀 | ||||||||||||||||||||||||||||||||||
|
<colbgcolor=#1c192b><colcolor=#fff>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정식 명칭 |
|
|
출범 연도 | 2012년 ([age(2012-01-01)]주년) | |
지역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운영 주체 | LCK 유한회사[1] | |
컬러 | ■ ■ ■ ■[2] ■[3] | |
약칭 | LCK | |
표어 |
전설을 만들어 갑니다, LCK WE MAKE LEGENDS |
|
공식 파트너
|
우리은행 | |
스폰서 | CASS, LG 울트라기어, OP.GG, 무신사, JW중외제약, GOLDEN DEW, 로지텍 G, 시크릿랩, 한화생명, CGV, 레드불, 풀무원 | |
중계 | [A] | |
경기장 | 용산 e-Sports 스타디움 (2012~2016) | |
서울 OGN e스타디움 │ 넥슨 아레나 (2016~2018) | ||
LoL PARK LCK Arena (2019~) | ||
최근 우승팀 | Hanwha Life Esports (2024 Summer) | |
최다 우승팀 | T1 (10회) | |
최다 우승자 | Faker (10회) | |
하위 대회 | LCK Challengers League | |
[5] |
1. 개요2. 참가팀3.
역대 기록
3.1. 역대 대회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3.3. 역대 우승자3.4.
역대 MVP3.5.
역대 LCK 어워드3.6.
역대 LCK All-Pro Team3.7. 역대 하위 리그3.8. 역대 결승전3.9.
역대 승강전3.10.
역대 스토브리그3.11. 역대 관계자
4. 특징5. 역사5.1. 구 LoL 챔피언스 (2012~2014)5.2. 풀리그 체제 전환 (2015~2018)5.3. 라이엇 코리아 주최 (2019~2020)5.4. 프랜차이즈 도입 (2021~2024)5.5. 시즌 통합 리그제 (2025~)
6.
시즌별 평가 및 위상7.
비판8.
논란 및 사건 사고9.
LCK 징크스10. 방송 플랫폼 / 다시 보기11. 우승 관련 심볼12. BGM13. 여담14. 세대 분류15. 관련 리그 및 대회16.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We Make Legends |
세계 최초의 LoL 프로 대회이며, 라이엇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LoL e스포츠의 시초로, LoL e스포츠에 속하거나 속한 적 있는 메이저 지역 리그 중 외국인 선수 없이 자국 국적 보유자만 출장하는 유일한 대회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리그[6]이자 중국의 LPL과 더불어 5대 메이저 리그 중 유이한 단일 국가 리그이기도 하다.
e스포츠의 종주국인 대한민국의 대회임과 동시에 세계 최초의 LoL 프로리그라는 상징성, 그리고 LoL 프로리그 중 가장 경기력이 상향평준화 되어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전을 제외한 모든 LoL 대회 중 글로벌 뷰어십이 가장 높으며, 또한 14회의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중 13회에 출전해 9회 우승을 차지한 역사적으로나 경기력으로나 LoL e스포츠의 최고 명문 리그라고 평가된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C192B> |
LCK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Hanwha Life Esports | Gen.G | T1 | Dplus KIA | kt Rolster | ||
BNK FearX | KWANGDONG FREECS | Nongshim RedForce | DRX | OKSavingsBank BRION | ||
LCK C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
2.1. 참가팀 로스터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참가팀 로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3. 역대 기록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1. 역대 대회
LCK 역대 로고 및 명칭 | |||||
대회 출범 ~ 2012 | 2012 ~ 2014 | 2015 ~ 2017 | 2018 ~ 2020 | 2021 ~ | |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LCK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 |||
2012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 ||||
2013 윈터 | 스프링 | 서머 |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2015 스프링 | 서머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 2026 | |
← LCK Cup 역대 대회 |
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 |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역대 우승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스프링 2012 | 서머 2012 | |
MiG Blaze ★ |
Azubu Frost ★ |
||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우승팀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역대 우승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롤 더 챔피언스 우승팀 | ||||
<rowcolor=#fff> 윈터 2012 - 2013 | 스프링 2013 | 서머 2013 | |||
NaJin Sword ★ |
MVP Ozone ★ |
SK telecom T1 ★ |
|||
<rowcolor=#fff> 윈터 2013 - 2014 | 스프링 2014 | 서머 2014 | |||
| | ||||
SK telecom T1 K ★ ★ |
Samsung Galaxy Blue ★ |
kt Rolster Arrows ★ |
|||
역대 LCK 우승팀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롤챔스 우승팀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
SK telecom T1 ★ ★ ★ ★ ★ |
ROX Tigers ★ |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
SK telecom T1 ★ ★ ★ ★ ★ ★ |
Longzhu Gaming ★ |
KING-ZONE DragonX ★ ★ |
kt Rolster ★ ★ |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SK telecom T1 ★ ★ ★ ★ ★ ★ ★ ★ |
T1 ★ ★ ★ ★ ★ ★ ★ ★ ★ |
DAMWON Gaming ★ |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
DWG KIA ★ ★ ★ |
T1 ★ ★ ★ ★ ★ ★ ★ ★ ★ ★ |
Gen.G ★ ★ |
||
<rowcolor=#fff>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Gen.G ★ ★ ★ ★ ★ |
Hanwha Life Esports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정규시즌 1위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GE Tigers2 | SK telecom T11 | ROX Tigers2,1 | ||
<rowcolor=#fff>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
SK telecom T11 | Longzhu Gaming1 | KING-ZONE DragonX1 | kt Rolster1 | |
<rowcolor=#fff>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Griffin2,2 | Gen.G2 | DAMWON Gaming1 | ||
<rowcolor=#fff>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
DWG KIA1,1 | T11 | Gen.G1 | ||
<rowcolor=#fff>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T12 | kt Rolster3 | Gen.G1,2 | ||
<rowcolor=#fff>
|
- [ LCK 2012~2014 시즌별 순위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시즌별 순위 순위 2012 2013 2014 Spring Summer Winter Spring Summer Winter Spring Summer 1 MiG.B AZF NJ SWD MVP.O SKT SKT K SSB KT.A 2 MiG.F CLG.EU AZF CJB KT.B SSO NWS SSB 3 XS NJ SWD KT B SKT #2 MVP.O KT.B SSO SSW 4 OP AZB CJF NWS CJB SKT S 5~8 NJF ST IM KT B CJB XS KT.B NBS CLG CLG KT A SKT #1 JAG.F CJB CJF JAG.S FNC WE MVP.W NJ SWD CTU CJF KT.A NWS MKZ XS CJ NJ SHD NWS SSB SKT K SKT K 9~16 LITT DIG NJ SHD ahq.KR NBS SKT S NBS CJB NeL IM MVP.B KT A MiG.B AWA SKT S CJF SS Na'Vi OP IM #1 MVP.B IM #2 IM #1 IM #2 ST NJ SHD GSG MVP.B XS JAG.F IM #2 JAG.F DDoL RoMg 12팀 체제 IM #1 JAG.S PO KT.B NEB CJ IM #2 NBS FIO IM #1 TH GJR JAG.S NB JAG.F MKZ XD MVP.B XB DarkXS BFM
- [ LCK 2015~2020 시즌별 순위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시즌별 순위 순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Spring Summer 1 SKT ROX SKT LZ KZ KT SKT T1 DWG 2 GET KT ROX KT SKT AFs GRF GEN DRX 3 CJE KOO KT SKT SSG KT AFs KZ DWG DRX GEN 4 JAG CJE JAG SSG MVP SSG SKT KZ DWG SB DWG AF 5 KT NJF AFs KSV GEN SB AF KT T1 6 NJF JAG SSG MVP ROX JAG ROX HLE GEN AF KT 7 IM SSG LZ JAG LZ ROX JAG SKT GEN KZ APK SB 8 SSG ANC CJE LZ bbq MVP bbq JAG AF KT HLE DYN 9 8팀
체제IM SSB ESC JAG bbq MVP KT HLE SB HLE 10 SSB KDM CJE KDM EEW KDM bbq JAG GRF SP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시즌별 순위 | ||||||||
순위 | 2021 | 2022 | 2023 | 2024 |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Spring | Summer | |
1 | DK | T1 | GEN | HLE | ||||
2 | GEN | T1 | GEN | T1 | GEN | |||
3 | HLE | GEN | DK | LSB | KT | HLE | T1 | |
4 | T1 | NS | KDF | DK | HLE | DK | ||
5 | DRX | LSB | DRX | KT | DK | KT | ||
6 | NS | AF | BRO | DRX | LSB | DRX | KDF | FOX |
7 | KT | KDF | LSB | FOX | KDF | |||
8 | LSB | HLE | NS | BRO | NS | |||
9 | AF | BRO | LSB | BRO | DRX | NS | DRX | |
10 | BRO | DRX | HLE | NS | KDF | BRO |
3.3. 역대 우승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 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시즌 | 대회 | 우승팀 | 스태프 |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 ||||
2012 | 스프링 | OnAir · Kezman |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 ||||
2013 | 윈터 | Reach · Sim | ||
스프링 | Dopani · Choi | |||
서머 | L.i.E.S · kkOma | |||
2014 | 윈터 | |||
스프링 | Choi · DoGGi · BanBazi | |||
서머 | FIFAHUN · ZanDarC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2015 | 스프링 | L.i.E.S · kkOma | ||
서머 | ||||
2016 | 스프링 | L.i.E.S · kkOma · PoohManDu | ||
서머 | NoFe · SSONG | |||
2017 | 스프링 | cCarter · kkOma · RapidStar | ||
서머 | Hirai · Supreme · Kim | |||
2018 | 스프링 | Hirai · Supreme · ActScene | ||
서머 | ZanDarC · NoEX · Sonstar | |||
2019 | 스프링 | kkOma · Zefa · Fly | ||
서머 | ||||
2020 | 스프링 | Kim · Comet · Moment | ||
서머 | Zefa · Daeny | |||
2021 | 스프링 | kkOma · PoohManDu · Ares | ||
서머 | kkOma · PoohManDu · Ares · Daeny | |||
2022 | 스프링 | Polt · Moment · Bengi · Gisepa | ||
서머 | Score · Mafa · Museong · J | |||
2023 | 스프링 | Score · Mafa · Museong | ||
서머 | Score · Mafa | |||
2024 | 스프링 | KIM · Helper | ||
서머 | DanDy · Mowgli · Bibra |
3.4. 역대 MVP
자세한 내용은 LCK MVP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tablebgcolor=#131313>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역대 통합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2012-2013 윈터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 |
MaKNooN 윤하운 NaJin Sword | TOP |
Dade 배어진 MVP Ozone | MID |
Faker 이상혁 SK telecom T1 | MID |
||
2013-2014 윈터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
Faker 이상혁 SK telecom T1 K | MID |
Dade 배어진 Samsung Galaxy Blue | MID |
KaKAO 이병권 kt Rolster Arrows | JGL |
||
역대 LCK 정규시즌 MVP → | ||||
역대 LCK 포스트시즌 MV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c1c><tablebgcolor=#1c1c1c>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포스트시즌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 역대 구 롤챔스 MVP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2017 스프링 | |
Easyhoon 이지훈 SKT | MID |
Faker 이상혁 SKT | MID |
Duke 이호성 SKT | TOP |
Kuro 이서행 ROX | MID |
Peanut 한왕호 SKT | JGL |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
Khan 김동하 LZ | TOP |
PraY 김종인 KZ | ADC |
Score 고동빈 KT | JGL |
Teddy 박진성 SKT | BOT |
Clid 김태민 SKT | JGL |
|
역대 LCK 파이널 MV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정규시즌 MVP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 역대 구 롤챔스 MVP | |||
2020년 이전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
Duke 이호성 NJF | TOP |
Ssumday 김찬호 kt | TOP |
Smeb 송경호 ROX | TOP |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
Crown 이민호 SSG | MID |
Kuro 이서행 AFs | MID |
Bdd 곽보성 LZ | MID |
Bdd 곽보성 KZ | MID |
|
2018 서머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
Khan 김동하 KZ | TOP |
Chovy 정지훈 GRF | MID |
Canyon 김건부 DWG | JGL |
||
2020년 이후 |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
Bdd 곽보성 GEN | MID |
ShowMaker 허수 DWG | MID |
Canyon 김건부 DK | JGL |
Peanut 한왕호 NS | JGL |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
Keria 류민석 T1 | SPT |
Ruler 박재혁 GEN | BOT |
Keria 류민석 T1 | SPT |
Lehends 손시우 KT | SPT |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2025 | 2026 | |
Chovy 정지훈 GEN | MID |
||||
2019 시즌까지는 POG 포인트로 MVP를 시상하다가 2020 시즌부터 투표제로 바뀌었다. 2020 시즌부터 POG 포인트 1위에게는 Player of the Split 상을 시상한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파이널 MV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역대 LCK 포스트시즌 MVP |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
Cuzz 문우찬 T1 | JGL |
Nuguri 장하권 DWG | TOP |
Khan 김동하 DK | TOP |
ShowMaker 허수 DK | MID |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
Oner 문현준 T1 | JGL |
Peanut 한왕호 GEN | JGL |
Peyz 김수환 GEN | BOT |
Chovy 정지훈 GEN | MID |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2025 | 2026 | ||
Kiin 김기인 GEN | TOP |
Zeka 김건우 HLE | MID |
3.5. 역대 LCK 어워드
자세한 내용은 LCK 어워드 문서 참고하십시오.LCK 어워드 관련 틀 | ||||||||||||||||||||||||||||||||||||||||||||||||||||||||||||||||||||||||||||||||||||||||||||||||||||
|
3.6. 역대 LCK All-Pro Team
자세한 내용은 LCK All-Pro Team 문서 참고하십시오.LCK All-Pro Team 관련 틀 | |||||||||||||||||||||||||||||||||||||||||||||||||||||||||||||||||||||||||||||||||||||||||||||||||||||||||||||||||||||||||||||||||||||||||||||||||||||||||||||||||||||||||||||||||||||||||||||||||||||||||||||||||||||||||||||||||||||||||||
|
3.7. 역대 하위 리그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c1c><tablebgcolor=#1c1c1c> |
NiceGameTV League of Legends Battl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2 Spring | Summer |
2013 Winter | Spring | Summer |
2014 Winter | Spring | Summer |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55d9><tablebgcolor=#bf55d9> |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5
Spring 1차 |
Spring 2차 Summer 1 | Summer 2 |
2016 Spring | Summer | 2017 Spring | Summer |
2018 Spring | Summer | 2019 Spring | Summer | 2020 Spring | Summer | |
리그 구조 개편으로 CK 폐지, 2군 리그 LCK CL 및 연습생 리그 LCK AS 신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Challengers Leagu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스프링 | 서머 |
2026 스프링 | 서머 |
|
◀ CK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Academy Series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0 시즌 | 2021 시즌 | 2022 시즌 |
2023 시즌 | |||
◀ CK | }}}}}}}}} |
-
2012 ~ 2014 시즌
LCK가 토너먼트로 진행되어 매 시즌 예선전을 통해 본선 진출팀을 정했다. 직전 시즌 성적을 통해 본선 시드를 부여했으며, 프로팀도 본선 시드가 없는 팀은 예선을 통과해야 했다. 예선전에서 탈락한 팀은 하위 리그인 NLB로 진출하게 되었다. - 2012 시즌에는 예선전에서 탈락한 16팀간에 온라인으로 NLB를 진행했다. NLB 우승팀은 LCK 4위팀과 차기 대회 시드 결정전을 진행했다.
- 2012 - 2013 윈터부터 UEFA 챔피언스 리그와 UEFA 유로파 리그의 관계처럼 LCK 본선에서 탈락한 팀들이 NLB에 합류하게 되었다. 먼저 LCK 12강 탈락 4팀이 NLB에 합류하고, 다음 라운드에 LCK 8강 탈락 4팀이 합류하면서 NLB 생존팀과 LCK 탈락팀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되었다. 또한 Worlds 서킷 포인트가 개편되고, NLB 우승팀에게 차기 LCK 본선 시드를 부여하면서 연계 시스템이 강화되었다.
- 2013 서머부터 LCK 조별 리그가 16강으로 확대되면서 먼저 LCK 16강 탈락 8팀이 NLB에 합류하고, 다음 라운드에 LCK 8강 탈락 4팀이 합류하는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5 ~ 2020 시즌
2015 시즌부터 LCK가 풀리그로 바뀌면서 LCK 예선전과 NLB가 폐지되었다. 대신 2부 리그인 롤 챌린저스 코리아(CK)가 신설되고, LCK 하위팀과 CK 상위팀간의 승강전이 신설되었다.
-
2021 시즌 이후
2021 시즌부터 LCK에 프랜차이즈제를 도입하면서 2부 리그인 CK와 승강전이 폐지되었다. 대신 2군 리그인 LCK CL과 연습생 리그인 LCK AS가 신설되었다.
3.8. 역대 결승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결승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 |||
2012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 ||||
2013 윈터 | 스프링 | 서머 |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2015 스프링 | 서머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 2026 | }}}}}}}}} |
3.9. 역대 승강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c1c>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승강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
2018 스프링 | 서머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
리그 구조 개편으로 승강전 폐지 |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승강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2020 시즌을 마지막으로 승강전은 폐지되었다.
3.10. 역대 스토브리그
LCK 역대 스토브리그 |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3.11. 역대 관계자
3.11.1. 역대 중계진
3.11.1.1. 자국
======# OGN #======- 전용준 캐스터(2012 ~ 2018)
- 정소림 캐스터(2012 ~ 2014)[10]
- 성승헌 캐스터(2012 ~ 2014)[11]
- 이동진 캐스터(2013 ~ 2014)
- 김의중 캐스터(2016 ~ 2018)
======# SPOTV GAMES[15] #======
- 강형우 해설 위원(2016 ~ 2017)[17]
- 신동진 해설 위원(2016 ~ 2017)
- 강승현 해설 위원(2017 ~ 2018)[18]
- 하광석 해설 위원(2017)[19]
- 고인규 해설 위원(2018)
- 장민철 해설 위원(2018)[20]
3.11.1.1.1. 라이엇 코리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중계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1C192B> 진행 | 전용준 | 성승헌 | ||
해설 | 고수진 | 이현우 | 임주완 | 정노철 |
3.11.1.2. 글로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Global 중계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rowcolor=#000>
Chobra MonteCristo · DoA |
||||
<rowcolor=#FFF> 2016 | 2017 | 2018 | 2019 | |
<rowcolor=#000>
MonteCristo ·
DoA Achilios · PapaSmithy |
Achilios ·
PapaSmithy Atlus · Valdes |
Achilios ·
PapaSmithy Atlus · Valdes · LS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
<rowcolor=#000>
Atlus ·
Valdes LS · EGym · Wadid |
Atlus ·
Valdes Wolf · Chronicler |
Atlus ·
Valdes Wolf · Chronicler Aux · Huni · Laure |
||
<rowcolor=#FFF> 2024 | ||||
<rowcolor=#000>
Atlus ·
Valdes Wolf · Chronicler Aux · dGon · Wadid |
- Chobra(2012 ~ 2015)[33][34]
- MonteCristo(2012 ~ 2016)[35]
- DoA(2012 ~ 2016)[35]
- Achilios(2016 ~ 2019)
- PapaSmithy(2016 ~ 2019)[37]
- Atlus(2017 ~ )
- Valdes(2017 ~ )
- LS(2019 ~ 2020)
- EGym(2020)
- Wadid(2020, 2024 ~)[38]
- Wolf(2021 ~ )
- Chronicler(2021 ~ )
- Huni (2023 ~ 2024)[분석데스크][40]
- Aux (2023 ~ )
- Laure (2023)[41]
- dGon (2024 ~ )[분석데스크]
3.11.2. 역대 인터뷰어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역대 인터뷰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대 | 2대 | 3대 | 4대 | |
OGN - 민주희 | OGN - 조은나래 | OGN - 임소미 | OGN - 권이슬 | ||
<rowcolor=#fff> 5대 | 6대 | 7대 | 8대 | ||
OGN - 조은정 |
OGN -
김동준&
이현우 SPOTV GAMES - 이현경 |
OGN -
김의중&
이현우 SPOTV GAMES - 연상은 |
OGN -
김의중&
이현우 SPOTV GAMES - 성승헌 |
||
<rowcolor=#fff> 9대 | 10대 | 11대 | 12대 | ||
OGN -
하광석&
이현우 SPOTV GAMES - 김수현& 장민철 |
김민아 | 윤수빈& 이정현 | 윤수빈& 배혜지& 함예진 | ||
<rowcolor=#fff> 13대 | |||||
윤수빈& 배혜지& 이은빈[1] | |||||
● 2019년부터 LCK 인터뷰어들은 분석데스크 아나운서 역할을 같이 겸하고 있다.
|
|||||
|
3.11.3. 역대 분석데스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분석위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9년 | 2020년 |
하광석 · 강형우 · 홍민기 · 현수환[1] | 하광석 · 김배인 · 남태유 · 허원석[2] | |
2021년 | 2022년 | |
하광석 · 강범현 · 이서행 · 신정현[3] | 하광석 · 강범현 · 남태유 · 이서행[4] · 정민성[5] | |
2023년 · 2024년 | ||
강형우, 고수진, 신동진, 임주완 | ||
<colbgcolor=#ffffff,#1f2023> [1] 2019 서머 플레이오프부터 합류. [2] 2020 서머에 합류. [3] 2021 서머에 합류. [4] 2022 스프링 시즌까지만 진행. [5] 2022 서머부터 합류. |
- 김민아 아나운서(2019 ~ 2020)[43]
- 윤수빈 아나운서(2020 ~ )[44]
- 이정현 아나운서(2020 ~ 2022)[45]
- 배혜지 아나운서(2023 ~ )
- 함예진 아나운서(2023)
- 이현경 아나운서(2022)[임시1][47]
- 정노철(2021)[임시2]
- 강범현(2021 ~ 2022)[52]
- 이서행(2021 ~ 2022)[53]
- 신정현(2021)[54]
- 정민성(2022)[55]
- 신동진(2022[임시3], 2023 ~)
간혹 대타로 다른 인물이 초청되기도 한다.[57]
3.11.4. 역대 통역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역대 통역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조한규 | 수지 킴 | 이호민 | 채동희 | 박지선 | ||||
* 2019년부터 통역사는 인터뷰 관련 업무와 분석데스크 관련 통역 업무를 가장 주력으로 담당하고 있다. |
- 조한규(OGN, 2012 ~ 2015)[58]
- 수지 킴(OGN, 2012 ~ 2014)
- 지니 킴(OGN, 2015)[59]
- 임소정(OGN, 2015)[60]
- 이호민(라이엇 게임즈, 2013 ~ 2018)[61]
- 채동희(OGN, 2016 ~ 2017)[62]
- 박지선(SPOTV GAMES → 라이엇 게임즈, 2017 ~ )[63]
역사적으로 때에 따라 중계진 데스크에서
실시간 중계 및
해외 채팅 동향과 같은 소통을 동시에 하거나,
지금까지도 여러 컨텐츠에서 다방면적으로 활동하고 있고, 혹은 아예
영어 소통이
가능한 인터뷰어가 인터뷰를 비롯한 통역 업무를 동시에 담당하는 경우가 간혹가나 있기도 하다.
3.11.5. 역대 옵저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역대 옵저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메인옵저버 | 서브옵저버 | |
MOKUZA[1] JonnaStrong[2] |
Moontoong[3] | ||
[1] 2016년에 메인옵저버를 담당하였다. [2] 2017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메인 옵저버 겸 PD를 담당중이다. [3] LCK 합류 연도는 미상이며 현재 서브옵저버를 담당중이다. |
}}}}}}}}} |
- 모쿠자(OGN, 2016)
- 조나스트롱, 이진세(SPOTV GAMES → 라이엇 게임즈, 2017 ~ )
- Moontoong, 유기산(라이엇게임즈, ? ~)[64]
-
회색시티관장, ?웅(라이엇게임즈, ? ~)
그간 옵저버와 관련해서는 대중들에 잘 알려지지 않았었고, 현재까지 공인으로 알려진 옵저버 인물들이다.[65]
4. 특징
4.1. 장점
LCK의 가장 큰 특징은 리그가 시작된 시즌 2부터 운영과 초반 라인 주도권에 가장 집중하고 몰입하는 리그라는 점이다. 그것도 주류픽이 아닌 비주류나 조커픽이 때에 따라 나오더라도 초중후반 주도권에 환장하는 경기를 자주 펼치는 리그라는 사실로 크게 두드러진다. 또한 시즌 3 ~ 17 시즌까지 계속 국제 대회의 패권을 쥐던 당시에는 전 세계 많은 리그들이 당시의 철저하게 상대를 말려죽이는 LCK의 압도적인 운영 능력을 모방하고자 노력했을 정도로 탁월함을 입증한 사례들도 있고[66] 설명될 최근의 내용들과 같이 대표적으로 꼽을만한 예시들도 있다.- 일례로, 아지르는 챔피언 특성상 긴 사거리를 바탕으로 라인전을 강하게 가져가는 챔피언이지만, 소규모 교전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챔프이기도 하다. 그러나 라인 주도권을 바탕으로 오브젝트 한타를 설계하는 특유의 플레이스타일이 아지르의 특성과 너무나도 잘맞기 때문에 LCK의 아지르 기용률은 4대 메이저 지역 리그, 넘어서 국제전으로 범위를 넓혀봐도 유별나게 높은 편이며 숙련도 또한 궤를 달리한다. 그 중 페이커와 비디디는 소위 '비둘기 사기단'으로 불릴 만큼, 아지르가 메타와 동떨어져있을 때에도 수시로 꺼내들어 캐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67]
- 서포터 챔피언 풀 역시 상당한데 바텀 라인전을 강하게 가져가기 위한 딜포터인 하이머딩거와 애쉬, 변수 창출을 위한 유틸폿인 레나타와 바드를 픽할 수 있는가의 유무에 따라 대회 승패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68]
따라서 LCK는 "4대 메이저 리그 중 선수들의 질은 가장 높은 리그"이면서 "운영에 특화된 리그"라는 점으로 간단 요약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습은 교전 지향적이고, 엄청난 자본력과 인구력에 비해 선수 질이 부족한 옆동네 LPL하고도 정반대인셈. 특히 여기서 말하는 운영적인 부분은 초중후반 운영에서의 강점을 활용해 상대의 변수를 최대한으로 봉쇄하거나, 매우 큰 격차를 내버린다는 점이 기조로 깔려있다.
다른 리그 지역과 나라들에 비해 인구가 절대적으로 적은 편에 속하지만[69] 선수들의 질이 굉장히 높은 리그이기도 하다. 특히나 LCK는 메이저 4대 리그와 마이너를 포함한 모든 리그들 중 로스터에 등록된 팀의 선수들은 대다수 단일 국적으로 이뤄져 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70][71] e스포츠계의 한국인 강세를 방증하는 대표적인 근거는 라이엇 주관 LoL e스포츠 중 유일하게 LCK만이 외국인 용병 제한 규정을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타 메이저 지역 리그인 LCS, LEC, LPL은 모두 2명의 외국인 쿼터를 제한하고 일정 기간 이상 근속한 선수에 대해 로컬 권한을 주는 반면에 LCK는 외국인 용병 기용에 대한 제한이 전혀 없다. 애초에 그럴 일이 만무하기 때문에 규정을 만들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타 스포츠를 살펴봐도 세계 최고 수준의 리그는 외국인 선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애초에 주관 국가의 국적을 가진 선수가 대부분 로스터를 차지하고 있거나, 다른 국가의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하는 것이 오히려 마케팅에 도움이 될 정도로 이미 리그의 근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다. 야구의 MLB, 축구의 EPL이 그렇듯이 말이다.
이로 인해 LCK에서 뛴 외국인 선수는 2부 리그인 CK에 말리스, 티롱, 레클레스 세 명만 사례가 있으며, 감독의 경우에는 2020 시즌 중간 이적 시장에서 LEC에서 활동하던 야마토캐논 전 팀 바이탈리티 감독이 샌드박스 게이밍으로 오면서 첫 사례가 되었다. 또한 우수한 유망주가 끊이지 않고 나오는데다가 세계 최강 혹은 패권을 다투는 리그 및 다른 리그들에 비해 메이저 지역이라는 위상을 그래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고, 해외에도 우수한 선수들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국내에서도 그 못지 않은 잠재력을 가졌거나 선수를 꿈꾸는 유망주들을 비교적 적은 금액으로 충분히 수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굳이 많은 지출과 위험이라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외국인 선수를 영입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기가 힘든 것.[72] 또한 전 세계 서버들 중 가장 치열하다고 평가받는 한국 솔랭의 수준과 PC방을 통한 압도적인 인프라에 기반하여 초창기 시절부터 리그의 경쟁력과 저변력이 지속 유지되고 있다는 점도 주효하다.[73]
특이사항으로 자국 중계와 해외 중계의 리그 시청자 비중이 비슷하고, 비영어권 지역 리그 중 유일하게 글로벌 해설진이 본국에 입국하여 현장에서 중계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페이커를 필두로 한 T1과 Samsung Galaxy White, 구 ROX Tigers, Samsung Galaxy, kt Rolster, Gen.G, DWG KIA, DRX를 비롯한 역대 LCK 소속으로 성적을 내거나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팀들의 스타성이 단순 국내에서만이 아닌 국외에서도 자주 거론되고 있다.[74]
국내와 해외 중계를 동시에 송출하고 있어 국내는 물론 해외팬들을 포함해서 높은 뷰어십을 유지하고 있고, 결승전 오프닝 세레모니와 같은 다채로운 VFX와 무대 연출로 메이저 4대 리그들 가운데서도 가장 높은 퀄리티를 자랑하고 있다.[75]
특히나 리그의 위상이 높은 LCK이고 수많은 잘하는 선수들과 포지션이 있지만 그 중 특히 더 위상이 높은 포지션은 바로 탑. 사실상 탑솔러의 나라라는 말에 대부분 공감할 정도이며, 이는 자국만이 아닌 전 세계 팬들 역시 동의하고 있을 정도로 실제로 막강한 선수 풀과 라인업을 자랑한다.[76]
- 당장 당대 시즌별 LCK 최강 탑솔러의 계보를 정리해보면 레퍼드 - 샤이 - 막눈 - 플레임 - 임팩트 - 에이콘 - 썸데이 - 루퍼 - 마린 - 듀크 - 스맵 - 후니 - 칸 - 큐베 - 기인 - 너구리 - 도란 - 제우스로 이어지고 있고, 이는 자국 리그 자체 내에서의 실력과 인지도면에서는 엄청난 명성을 자랑한다.
- 시즌 2부터 임팩트 - 루퍼 - 마린 - 듀크 - 큐베 - 너구리 - 킹겐 - 제우스를 위시하여 롤드컵(월즈)에서 LCK 팀들이 우승을 차지함으로써, 세체탑을 비롯한 각기 맥락별로 궤를 달리하는 선수 계보를 이어나가고 있다.[77]
- 전체적인 LCK 탑솔러들의 역사를 시즌 2부터 맥락과 상관없이 쭉 나열해보면 막눈, 라일락[78], 래퍼드, 메이, (포지션 변경 전) 건웅, 샤이, 플레임, 엑스페션, 임팩트, 세이브, 루퍼, 에이콘, 썸데이, 마린, 스멥, 듀크, 후니, 큐베, 칸, 기인, 너구리, 라스칼, 칸나, 제우스, 도란, 킹겐까지 있고, 다른 포지션은 월클급 선수가 타 지역에서도 나온다지만, 탑솔러 만큼은 양질면에서 차원을 달리한다는 평이 많다.
혹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 탑솔러 자리에 플랑드레가 들어가며 한국인 탑의 계보가 잠시나마 끊겼음에도, 오히려 미드는 한국인 미드 계보가 이어지며 탑솔러보다도 미드 라이너가 탑보다 더더욱 강세를 띈다는 의견도 등장했다.
- 대표적인 LCK 최강 미드 계보를 첫 우승 순으로 나열하면 '미드 절대자' 앰비션을 시작으로 빠른별 - 페이커 - 다데 - 폰 - 이지훈 - 쿠로 - 비디디 - 크라운 - 유칼 - 쇼메이커 - 쵸비 - 제카로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자국 리그에서 큰 명성을 가졌던 선수들이고 동시에 국제적으로도 한 이름값 하는 선수들도 포함되어 있다. 거기에다가 2018, 2019, 2021년 월즈 우승을 달성한 LPL 팀의 미드 라이너인 루키, 도인비, 스카웃 모두 한국인 선수이다.
- 특히 2021 월즈에서 출전한 LCK 미드는 시드 순서대로 쇼메이커, 비디디, 페이커, 쵸비로 당시 'LCK 4대 미드'라고 불리는 선수들이었고, 해당 월즈에서 EDG를 제외한 LPL 팀들에 비해 LCK 팀들이 전반적으로 선전한 이유에서 미드에서의 탄탄함이 이유로 지목되며 미드가 강세라는 의견이 힘을 모았다.[81] 이어 2022 월즈에서는 DRX의 첫 우승을 견인한 제카와 2023-24 월즈에서 T1의 연속 우승을 일궈낸 페이커의 행보를 통해[82] 더욱 극적으로 드러났다.[83][84] 아예 2024 시즌부터는 기존의 페이커 + 쇼메이커 + 쵸비 + 비디디의 일명 'LCK 4대 미드'에 이들을 제끼고 POS를 수상한 적이 있는 제카와 클로저까지 더해서, 일명 'LCK 미드 6중 나생문'으로 묶기에 이르렀다.[85]
4.2. 단점
2010년대만 해도 자본력이 좋지 않은 탓에 유망주나 감코진의 유출이 쉽게 일어나는 편이었다. 그런데 프랜차이즈를 하고, 스타크래프트를 보고 자란 젊은 임원들이 여럿 탄생하며 한화생명, SK, KT, 젠지의 투자가 유지되고 농심이 팀 다이나믹스를 인수했으며, 기아[86], KB국민은행, 한국야쿠르트, 광동제약이 각 구단들의 새로운 네이밍 스폰서로 체결됨에 따라 리그 전체적으로 팀들의 자본력이 상당수 올라간 상태이다.[87] 그리고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과거 LCK 리그에서 팀을 해체시키면서 손을 뗐지만 현재에는 T1과 젠지의 각 스폰서로 남아있다.[88]그에 맞춰 선수들의 연봉도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으며, 특히 S급 선수 영입전에서도 LPL과의 자본 싸움이 밀리지 않는 수준까지 올라갔다. 게다가 해외 리그에서도 애매한 한국인 선수/코치를 비싸게 데려오느니 자국 선수를 키우거나 확실한 S급에 투자하기로 기조를 바꾸면서 셀링 리그에서는 많이 벗어난 편이다. 표식, 룰러 등을 제외하면[89] 최근 해외 리그에서 뛰는 한국 선수들이 대부분 오래전부터 그 지역에서 활동했거나 아니면 LCK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 선수들임을 알 수 있다.
과거에 비하면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다소 플레이 스타일이 경직된 면을 보여준다. 달리 말하면 창의적인 쓰로잉이 잘 나오진 않는다는 장점으로 볼 수도 있긴 한데, 상황에 맞는 임기응변보다는 연습을 통해 어느 정도 짜여진 틀 안에서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다보니 국제 대회에서 급변하는 메타를 따라가지 못하고 뒤쳐지는 모습을 보여줄 때가 많다. 단기간 치러지는 국제 대회인 MSI에서 자주 고배를 마신 것도 이 점에서 기인하고, 월즈를 우승할 때도 보면 페이커, 마타, 앰비션, 베릴과 같이 인게임 내에서 상황에 따라 거국적인 판단을 할 줄 아는 선수가 없는 팀은 아무리 슈퍼팀을 꾸리더라도 8강 내지는 4강이 한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5. 역사
5.1. 구 LoL 챔피언스[90] (2012~2014)
구 LoL 더 챔피언스 로고 |
구 LoL 챔피언스 로고 |
OGN에서 2012년부터 개최한 세계 최초의 리그 오브 레전드 지역 리그다. 토너먼트 방식을 채택하여 리그의 첫 시즌인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를 시작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 열리는 가을을 제외하고 1년에 총 3번 대회( Spring, Summer, Winter)가 열렸다.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필요한 서킷 포인트의 경우, 2014 시즌 기준 우승시 400점, 준우승 225점,[92] 3위 150점, 4위 100점이 주어졌다. 4강에 진출하지 못한 팀들은 NLB에 참여하며, NLB의 결과에 따라 별도의 서킷 포인트를 획득했다.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와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는 해외 초청 팀을 포함하여 16강 체제로 운영되었다. 2013 시즌 이후 NLB와의 연계 구조가 강화되고 대륙별 리그 체제가 정착되면서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는 해외 팀 없이 12강 2조 조별 리그, 조별 리그 상위 8팀 토너먼트 체제로 운영되었다. 2013 서머부터 16강 4조 조별 리그로 변경되어 2014 서머까지 같은 방식으로 운영했다.
프로그램 편성표라는 것이 존재하는 TV 방송국에서 중계되는 대회인지라 경기 수가 매우 적었다. 한 팀이 플레이오프 이전까지 30게임 가까이 경기를 치르는 다른 지역 대회의 절반 수준. 덕분에 한 경기 한 경기가 매우 중요하며, 날빌 같은 승부수가 잘 나오지 않았다. 한 경기를 준비하는 데 들어가는 시간도 긴지라 선수들의 부담도 크다고. 선수들의 말을 들어보면 시즌 중에는 사실상 휴식할 틈이 없다는 모양. 때문에 LCK의 경기들은, 특히 상위 라운드로 올라갈수록 안전 지향형이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두고 안티 팬들은 나오는 픽만 나온다고 노잼스라고 부르기도 했다.
트위치 TV를 통해 영어 해설과 함께 중계가 되었는데, 해외 유저들의 평은 매우 좋았다. 경기 수준이 높아 채팅창에는 'OGN을 보고 나니까 LCS 수준이 너무 떨어져서 안 본다' 같은 말이 심심치 않게 올라왔으며, 경기가 자주 중단되고 한 번 멈추면 10분 정도는 그냥 잡아먹는 해외에 비해 OGN의 방송 노하우로 인해 진행이 매끄럽다는 점이 호평을 받았다. 다만 중계 화질과 경기 중계 중 관객 갱킹 문제는 단점으로 지적 받았다. 화질 문제는 당시 트위치 TV의 서버가 한국에서 너무 먼 거리에 있다 보니 전송 속도 문제로 고화질 방송이 어렵다는 모양. 그나마 제일 가까운 서버가 싱가포르에 있었는데, 이 서버의 경우 북미 시청자들이 접속하려면 회선을 한참 돌아가야 했다.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부터 경기 후 경기 MVP를 선정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5.2. 풀리그 체제 전환 (2015~2018)
前 LCK 로고(2015 ~ 2017) |
2015년 12월 7일. 라이엇이 LCK의 상표권을 등록하였고, 이는 협회와 OGN, 라이엇 게임즈로 구성된 3자 협의체에서 대회 주최 및 운영에 대해 논하는 과정에서 생긴 일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당시 반응으로 조만간 라이엇에서 직접 LCK를 운영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조심스럽게 예견되었다.
LCK에서만 진행하던 "마지막 5세트 블라인드 픽" 방식을 폐지, 2016 스프링부터는 적용하지 않는다.[94]
블라인드 픽의 장점으로는 필밴이 풀린다는 것. 그래서 일반 유저 입장에서는 막연히 대회에 못 나오던 픽이 나온다면서 블라인드 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애초에 왜 드래프트 방식과 밴 카드가 도입되었는지 깊게 생각해보면, 게임 자체에 필연적으로 내재된 불균형을 선수가 통제할 장치가 하나도 없는 블라인드 픽으로 최종 승패를 결정한다는 것은 모순이 된다. 또한 막연히 신선한 픽과 전략이 나올 거라는 생각으로 블라인드 픽을 지지하는 경우도 있으나 오히려 GSG의 4미드 전략 같은 것은 드래프트 밴픽이라서 나올 수 있었던 것이고 결국 OP픽 미러전으로 귀결하게 된다. 해외에서도 부러워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그건 같은 수준의 일면만 본 것이고 이미 북미에서는 건의에 대한 커뮤니티 내 갑론을박 끝에 찬성 측이 주장하는 막연한 장점이 논파되어 도입되지 않은 것이다. 단지 LCK는 커뮤니티 내에서의 어떠한 깊은 논의도 없이 순전히 초창기 온게임넷 PD의 즉흥적인 발상으로 도입되었고 그게 이어졌던 것 뿐이다.
그나마 보는 입장에서는 취향에 따라 찬반이 갈릴 수 있으나, 선수 중에 블라인드 픽이 좋다는 선수는 없다. 심지어 인터뷰를 살펴보면 블라인드 픽 승률이 높아서 자신감을 고취해야 할 팀조차도 꺼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수 입장에서 어쩌다 나오는 블라인드 픽을 또 따로 연습해야 하는 것도 문제지만, 연습을 해봐야 변수가 운에 가까울 정도로 너무 커서 성취감도 없고 상대가 서로 피곤하기만 한 계륵 연습이 된다. 또한 픽의 전략성, 다양성보다는 꾸준히 합을 맞춰 연습해왔으나 필밴되던 OP 챔프[95]를 서로 똑같이 고르게 되기 십상이다. 애초에 주류 챔프를 장인급으로 플레이할 줄 알아야 도태 당하지 않는 게 프로이기 때문. 이 때 CS 차이나 갱 개입 등으로 인해 챔프 미러전 격차가 종전의 게임에 비해 빠르고 심각하게 벌어지므로 해당 선수에게 심적 부담이 극심할 뿐더러 역전이 정말 나오지 않는다.
단적인 예로 당대 2인자였던 류는 결승 미러전 패배로 정신적으로 큰 타격을 입고 정글로 포지션까지 바꿨다가 해외로 떠나게 되었다. 결정적으로 블라인드 픽이 나오는 상황은 비슷한 수준의 팀끼리 힘들게 엎치락 뒤치락하며 다다른 대미인데, 막판에 운에 가까운 조합빨 혹은 미러전 격차로 인한 일방적이고 빠른 스노우볼링 끝에 허무하게 끝나게 된다. LCK의 모든 블라인드 픽 경기가 이렇게 초반부터 일방적인 승부로 귀결했으며, 깜짝픽이라고 해봐야 리워크 전 애쉬가 나왔다가 쉔 트위치에 짤리고 게임이 터지는 식이 고작. 극단적으로 말해 LCK의 블라인드 픽은 '페이커 류 제드 미러전 명장면' 딱 하나 건진 거 말고는 남은 것이 없다. 그런데 롤 역사에 길이 남을 메카닉 승부의 장면도 냉정하게 전체적인 게임 내용으로 따져 보면, 역으로 류가 페이커를 죽였어도 승패 결정에 영향을 주기 어려울 정도로 이미 격차가 너무 크게 벌어져 있는 일방적인 상황이었다.
2016 서머부터 SPOTV GAMES가 중계에 참여하게 되었다. 다만 OGN은 이전과 동일하게 온라인 중계를 포함하여 모든 경기를 중계했다. 국내에서는 SPOTV의 빈번한 퍼즈 이슈 문제로 인해 오히려 OGN과 비교당하거나 폄하당하는 일이 부지기수에 가까웠다. 다만 라이엇의 단독 중계 이전까지 단지 게임의 경기력 수준뿐만이 아닌, OGN과 SPOTV GAMES라는 전문 방송국 두 곳에서 끊김 없이 방송이 송출되는 것이 해외에서는 상당히 좋은 평가를 가지고 있었고, 질적인 면에서도 타국보다 낫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2017 시즌부터 라이엇의 정책에 따라 밴카드가 6개에서 10개로 늘어났다. 각팀이 3밴을 하고 3픽, 다시 2밴을 하고 나머지 픽을 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2018 시즌부터 SPOTV GAMES와 OGN 두 중계진 모두 온라인 중계를 하지 않게 되었다.
5.3. 라이엇 코리아 주최 (2019~2020)
前 LCK 로고(2018 ~ 2020) |
OGN의 트레이드 마크 전클동 조합인 캐스터 전용준, 해설 김동준 & 이현우, SPOTV의 메인 캐스터 성승헌, 해설 강승현이 공식 중계진으로 발표되었다.
아울러 과거 OGN이 제작한 영상들이 유튜브에서 저작권 문제로 비공개 처리되었고 라이엇 코리아에서 직접 영상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스타크래프트 때부터 다져진 실력이니만큼 OGN이 제작한 오프닝 등 각종 LCK 제작 영상과 프로그램의 완성도가 라이엇 코리아에서 직접 제작한 것보다 뛰어나다는 의견이 대다수다. LCK의 저작권이 라이엇 코리아로 이관되었기 때문에 OGN에서 제작한 영상들과 경기 중계 영상들은 지금까지 비공개로 남아있다. LCK의 황금기이던 2018년까지의 영상들과 온게임넷 시절에 세워진 LCK의 역사가 통째로 유튜브에서 지워진 셈.
라이엇이 직접 주도하게 되면서 기대되었던 프랜차이즈화는 2020년까지 요원한 상황이었다. 빠르면 2020 스프링부터 도입될 예정이라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었지만, 프랜차이즈화가 되면 없어지게 되는 승강전은 예정대로 2019 월즈 전에 진행되어 그 2020 스프링에서의 참가팀을 선발하였다. 거기다 박준규 라이엇 게임즈 코리아 대표의 인터뷰에서 '프랜차이즈화가 시작되기 1년 전에 고지하겠다'라는 언급이 있고, 2019 월즈 결승전 미디어 데이에서도 존 니덤 글로벌 e스포츠 총괄은 LCK 프랜차이즈화 도입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메이저 지역이 4개로 줄어드는 상황(LCK, LPL, LEC, LCS)에서 유일하게 프랜차이즈화가 되지 않은 리그로 남게 될 전망이었다.
프랜차이즈화가 되지 않는 이유로는 가입과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큰 것, 시장 규모 등으로 볼 수 있었다. LPL, LCS, LEC는 인구 규모도 크고 투자할만한 대기업들도 많지만 저들과 비교해서 LCK는 인구 규모도 압도적으로 열세이고 투자할만한 대기업들도 많이 없는 상황이었다. 당시 참가팀을 후원하고 있는 대기업이 SKT, 한화, KT 정도인데 이마저도 KT는 운영을 개판으로 하고 있었고, CJ와 삼성은 이미 LCK에서 손을 땐게 당시의 현실이었다.
라이엇 코리아가 방송 제작에 처음으로 관여한 2018 월즈 결승부터 운영이 심상치 않더니 첫 해부터 LCK 유튜브를 제외하면[96][97] 운영을 막장으로 하기 시작하더니 기어이 서머 결승전을 말아먹으면서 화룡점정을 찍었고, 2019 시즌 막바지에는 초대형 핵폭탄 사건이 터져버리고 만다.
5.4. 프랜차이즈 도입 (2021~2024)
現 LCK 로고(2021 ~ )[98] |
LCK Brand
2021 시즌부터 LCK도 프랜차이즈제를 도입했다. 가입비는 약 120~130억 원 규모로 예상됐으며, 모든 팀이 2군을 의무적으로 도입[99]하고 1군 선수 최저 연봉은 6000만 원 정도가 된다고 라이엇 코리아에서 밝혔다.
2020년 4월 21일 기사로 이미 10개 이상의 팀들이 프랜차이즈 참가를 확정했다고 하였으며, 2020년 5월 20일 기사에서는 25개 팀이 프랜차이즈 투자 의향서를 제출했다고 하였다. 1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기업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은 다행히 기우에 불과했다.
한 때 기사를 통해 기존 10개 구단(LCK)은 그대로 가되, 라이엇에서 프랜차이즈 입성에 필요한 재원이 부족한 몇몇 팀들에 대해서 스폰서를 연결해 주고, CK 구단들 중 2개 정도를 추가로 투입하는 10+α 방향으로 선회했다고 전해 졌으나 최종적으로 10개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
프랜차이즈 입찰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팀은 총 25팀으로 집계되었다. #
- 기존 LCK 출신
- 기존 CK 출신
-
ESC Shane,
Griffin[X], AWESOME SPEAR, hyFresh BLADE, Element Mystic, OZ Gaming, Jin Air Greenwings, RunAway (이상 2020 CK 서머 참가팀 전원)
6월 25일 최종적으로 21개 팀의 참가 신청이 확정됐다. 25개 투자 의향서 신청 팀들 중 Griffin, NRG, FaZe는 지원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피츠버그 나이츠와 트레저헌터는 프랜차이즈를 신청한 다른 팀과 파트너쉽을 맺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스타트업 게이머 리퍼블릭은 당시 투자 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았으나 프랜차이즈에 지원했다.
2020년 7월 27일, LCK 프랜차이즈 1차 서류 심사가 마무리 된 이후, 각 최종 신청 팀들에 심사 결과가 통보되었고, 28일부터 2차 PT 면접, 인터뷰 심사 등의 과정에 돌입했다. 1차 서류 심사에서는 대부분의 참가 기업들이 통과했으나, 스타트업으로 참가 신청을 했었던 게이머 리퍼블릭이 탈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0년 7월 28일부터 8월 3일까지 20여개 팀을 나누어 1차적으로 구단주 면접을 마친 라이엇 측이 남은 한 달여 기간 동안 2차례 가량 구단주 면접을 추가로 진행하여 팀 육성 계획 및 운영에 대한 방안을 확인할 것이라 하였다.
2020년 8월 21일, 기사를 통해 LCK 프랜차이즈 관련 면접 심사가 끝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프랜차이즈 합격 10개 팀과 예비 합격 5개 팀이 결정된다고 하였다. 이로써 사실상 프랜차이즈 참가팀 TO는 10개팀으로 확정이 되었다. 최종 계약 및 결과 발표는 9월 말로 예정됐다.
2020년 8월 28일, 우선 협상대상 10팀과 예비 협상대상 5팀이 발표되었다. 2020년 서머 참가팀 10개 중 설해원 Prince가 예비 1번으로 가고 그 자리에 hyFresh BLADE가 들어갔다. 라이엇에서는 해당 팀들과의 최종 계약 협상을 진행한 후에 9월 말이 아닌 10월 중순으로 연기한 날짜에 최종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이후 11월 초로 발표 일자가 또 다시 연기되었다.[107]
- 우선 협상대상 10개팀
- 예비 협상대상 5개팀(예비 순위순)
2020년 11월 2일, 라이엇 게임즈의 공식 발표를 통해 2021년부터 LCK에 참가할 최종 프랜차이즈 선정 10개 팀이 확정되었다. 우선 협상 대상 10팀이 그대로 최종 선정 대상팀으로 확정되었으며, LCK에 입성하지 못한 팀들의 로스터를 두고 우선 협상 기한이 적용되어 내년 LCK에 참가하지 못하는 팀에 소속된 선수 및 코칭 스태프들이 더욱 원활하게 LCK 참가팀들과 협상 및 계약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시적 기간을 적용시키기로 하였다.
- 2021 LCK 프랜차이즈 최종 선정 10개팀
2021년 1월 3일, 리브랜딩을 진행하고 브랜드 페이지와 영상을 공개했다.
근본적인 프랜차이즈제 자체에 대한 장/단점은 프랜차이즈제 문서에 정리되어 있다.
2023년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제도를 도입했고, 매주 토요일 1경기에 흥행성과 스토리텔링이 있는 매치를 배치하여 '새터데이 쇼다운'으로 브랜딩하고 있다. 같은 해 서머 시즌 패자조 결승전부터 새로운 밴픽창 디자인이 적용됐다.
5.5. 시즌 통합 리그제 (2025~)
<nopad> |
LCK Cup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문서 참고하십시오.
퍼스트 스텐드가 종료되고 4월에 비로소 LCK 정규시즌이 개막하며, 1~2라운드는 기존 방식대로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른다. 1~2라운드에서 1~6위를 차지한 팀들에게는 MSI 선발전, 일명 로드 투 MSI 출전권을 부여하며, 과거 2020 서머까지 사용했던 계단식 토너먼트로 선발전을 치르게 된다. 차이점이라면 1~2위를 차지한 팀들은 바로 MSI 진출권이 걸린 라운드로 직행하여 승리 팀에게 MSI 1번 시드 출전권을 부여하며, 3~6위는 계단식 토너먼트를 치른 이후 최후의 승자가 1~2위 대결에서 패배한 팀과 대결하여 승리 팀에게 MSI 2번 시드 출전권을 부여한다는 점이다.
MSI가 종료된 이후 3~5라운드는 스플릿 리그제로 실시되며, 1~2라운드에서 1~5위를 차지한 팀들은 레전드 그룹으로, 6~10위를 차지한 팀들은 라이즈 그룹으로 재편성된다.[113] 남은 3라운드는 K리그1의 파이널 스플릿 제도와 동일하게 해당 그룹끼리만 트리플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르게 되며 다른 그룹 팀과는 만나지 않는다.[114] 5라운드가 종료된 이후 1~5라운드 성적을 합산하여 레전드 그룹 1~2위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로 직행하고, 3~4위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로 직행하고, 레전드 그룹 5위 팀과 라이즈 그룹 1~3위 팀은 플레이-인 라운드를 추가로 진행한다. 플레이-인 라운드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승자조 승리팀은 5번 시드로, 패자조 승리팀은 6번 시드로 LCK 플레이오프에 참가하게 된다.
플레이-인 라운드가 종료된 이후 비로소 LCK 플레이오프를 개최하며, LCK 플레이오프 역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시즌을 치뤄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하는 팀이 비로소 LCK 연간 챔피언에 등극하게 된다. 그리고 LCK 플레이오프에서 1~3위를 차지한 팀은 월드 챔피언십 각각 1~3번 시드를 부여받으며, MSI 성적에 따라 4위 역시 4번 시드로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
이번 개편에 따라 모든 팀들은 과거보다 더 많은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극단적인 경우 최소 35경기[115]로 2024 시즌보다 더 적게 치르는 팀이 생길 수도 있지만, 이런 극단적인 경우의 수가 아닌 이상 지난 시즌보다 더 많은 경기를 치르게 되며 상황에 따라서는 LCK에서만 56경기[116]를 치르는 팀도 생길 수 있다.
6. 시즌별 평가 및 위상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시즌별 평가 및 위상 문서 참고하십시오.7. 비판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비판 문서 참고하십시오.8. 논란 및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9. LCK 징크스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징크스 문서 참고하십시오.10. 방송 플랫폼 / 다시 보기
-
(구) OGN 공식 유튜브
2022년 7월로 접어들며 OP.GG가 OGN을 인수하고 저작권 확인 과정에서 과거 LCK 영상 대부분이 비공개 처리 되었다. 저작권 확인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도, LCK의 저작권은 라이엇 코리아로 이관되었기 때문에 공개되지 않았다.[117] 그러나 11월 20일, 커뮤니티를 통해 라이엇 코리아와 논의 중에 있다는 말로 보아 영상이 다시 공개될 가능성이 있다.
-
LCK 공식 유튜브
2021년 스프링 이후로 LCK 리그측과 유튜브간의 협상이 틀어져 공식채널의 실시간 영상 제공이 사라지고 하이라이트와 컨텐츠 영상만 올라오는 중이다. 가장 대중적이고 접근성이 좋은 플랫폼이었던만큼 시청자들의 충격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2022년 이후로 트위치마저 철수하면서 한국어 중계 플랫폼은 아프리카TV와 네이버TV만이 남은 상황인만큼 LCK리그에서도 플랫폼 확보를 위해 노력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23 Mid-Season Invitational이후로 한국어 해설 영상이 제공되고 실시간 영상이 LCK채널에 남는 것으로 봐선 협상이 재개되었거나 타결된 것으로 보인다.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부터 유튜브 중계가 다시 실시되기로 합의된 상황이다. #
여담으로 2019시즌부터 올라오는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의 썸네일이 약 한 사발 빤듯한 미친 센스로 유명하다. - 아프리카TV
-
트위치TV 한국어 해설
트위치의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영상 화질 제한 사건의 여파로 인해 한국어 해설 채널에 실시간 영상과 이전 경기들의 VOD도 내려가게 되면서 사실상 폐업 상태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LCK의 해외 중계를 위해 영어 해설 채널은 살아있지만 한국인 유저 한정으로 1080p 제공이 사라져 720p로만 송출되는 상황이다. 이 여파로 인해 아프리카TV의 주가가 올랐던 소소한 이야깃거리도 존재한다.
-
네이버 e스포츠
LCK 방송사가 라이엇으로 이전되기 전인 2012 ~ 2018 시즌, 특히 당시 방송사가 유튜브를 포기하고 한 때 네이버TV로 잠시 옮겼던 때인 2018 시즌의 한국어 해설을 합법적으로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경로이다. 한 때는 네이버 메인 외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어 아무도 몰랐지만, 2024년 치지직 출시 이후로 모바일 접근성이 약간 나아진 상태.
11. 우승 관련 심볼
우승 트로피 |
12. BGM
특색 있는 BGM으로 유명하다. 일부 롤 유저들은 픽밴할 때 픽밴 BGM을 안 켜면 허전해서 켜 놓는다고 카더라.프랜차이즈제가 시행되면서 기존에 쓰이던 BGM은 모두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아래의 노래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프랜차이즈제가 시행된 후에는 아예 BGM 대부분을 자체 제작하였고, 다른 리그에 비해 BGM이 특색 있다는 장점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2021 LCK OST[118], 2023 LCK OST[119]
- [ 과거 사용 BGM 보기 ]
-
OGN 시절의 메인 BGM. 곡명은 Christian Henson & Joe Henson의 Cutting It. 슈퍼스타K 클로징에 쓰인 곡으로도 유명하다.
OGN 시절 팀 프로필 BGM.
LCK 초기부터 2017 스프링까지 쓰였던 픽밴 BGM. 앞 부분은 Ian Livingstone의 Energy Burst. 동영상의 BGM은 2015 스프링의 것이다. 시즌이 바뀔 때마다 중간 부분 음악이 바뀌는 게 특색이었으나 2017 서머부터는 5년만에 완전히 바뀐 BGM을 사용한다.
2017 서머부터 2018 서머까지 쓰였던 메인 픽밴 BGM.[120]
2019 스프링부터 2020 서머까지 쓰였던 메인 픽밴 BGM.[121]
엔딩 BGM. Spring 2013 시즌부터 동년 윈터 시즌까지 사용했다.
페인 밴드인 '13 Tries'의 'The lie(Tell me)'라는 곡이며, 흔히 '이야이예~'라는 코러스로 잘 알려져 있다.
예선전과 승강전 오프닝 BGM. 'DragondLand'의 'Starfall'. LOL 인비테이셔널,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3 등에도 사용되었다.
예선전과 승강전 선수 소개 BGM. 'DragonLand'의 'In Perfect Harmony'.
예선전과 승강전 경기 종료 BGM. 'DragonLand'의 'To The End of the World'.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3 등에도 사용되었다.
13. 여담
- 리그제 도입과 2015 서머 결승전 이후부터 각 시즌에 대한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있다.
- 2015 서머 결승전: OGN - KEEP OUR HONOR
- 2016 스프링: OGN - THE GAME CONTINUES
- 2016 서머: OGN - BE THE CHAMPION / SPOTV - THIS IS OUR STORY
- 2017 스프링: OGN - REWIND REBOOT
- 2018 스프링: OGN - Beginning of the End
- 2018 서머: OGN - The Fantastic Run, The Legacy Continues / SPOTV - Reveal Yourself
- 2018 서머 결승전: OGN - End of an Era
- 2019 스프링: REBUILD LEGENDS
- 2019 스프링 결승전: PARADIGM SHIFT
- 2019 서머 결승전: BE THE LIGHT
- 2020 스프링 결승전: LCK MUST GO ON
- 2021 스프링: WE MAKE LEGENDS
- 2021 스프링 결승전: ORIGIN & FUTURE
- 2022 스프링: Through the Origin Towards the Future
- 2022 서머: Towards the Future
- 2023 스프링, 2023 서머: OR1GIN AGA1N
- 2024 스프링, 2024 서머: HOUSE OF LEGENDS
- LCK의 총상금은 전액 라이엇에서 지원하며 스폰서비는 모두 OGN이 수령해 간다고 알려졌으나 이후 온게임넷 측에서 "사실과 다르다. 대회 지원비는 전체 운영비의 절반도 채 되지 않으며 나머지는 스폰서비와 컨텐츠 판매비로 충당한다"라며 반박했다.
- 선수들의 현역 수명이 미친 듯이 짧다. AOS라는 장르 자체가 자주 바뀌는 메타 때문에 일정 수준의 기량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편이기도 하지만, 그 중에서도 대규모 개편을 가장 짧은 주기에 가장 크게 벌이기 때문에 선수들이 특정 메타에 적응하지 못하고 나가 떨어지는 경우가 유독 많아서 그렇다. 안 그래도 현역 수명의 평균이 짧은 편인 e스포츠판의 특성, AOS라는 장르적 문제, 게임과 대회 특유의 잦은 대규모 개편이 발목을 잡고, 결정적으로 한국 롤판 자체가 전 세계에서 가장 치열한 아수라장이기 때문에 더더욱 물갈이 주기가 빠른 편이다. 바로 아래 세대 분류 문단을 보면 2~3년 주기로 한 세대가 새로이 등장한다는 점이 이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
2022 스프링 기준으로는 전 시즌 개근자가 한명도 남지 않았다. 다만, 이는 리그 자체가 10년차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과거 스타리그 등 다른 e스포츠들과 비교해보면 이는 딱히 이상할 것이 없는 것이다. 오히려 리그 출범 2년이 약간 안 되는 시점이었던 2014년 2월의 시즌 3 스토브리그 기준으로 은퇴한 선수가 수십 명에 이르렀던 것이 짧은 현역 수명을 잘 보여준다. 어쨌든 초창기 LCK를 빛냈던 1세대 프로들은 20대 후반을 바라보는 초고령이라 언제 기량이 훅 가버려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고 그들의 다음인 2세대 프로들도 20대 중반을 바라보는 고령이라 조금씩 세대교체의 갈림길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2019 시즌 상반기부터는 그리핀과 담원, 샌드박스 등 CK에서 올라온 팀들이지만 어린 선수들이 주축이 된 팀들이 막강한 실력을 보여주면서 LCK를 휩쓸고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편 그렇다고 반드시 롱런의 사례가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니며, 이는 아래
프로게이머 세대 분류를 참조. 특히 LCK 리그를 10년 동안 뛴 선수는 페이커가 최초며 유일하다.
- 초창기부터 2016년까지 OGN에서는 버프걸이라는 마스코트들을 선발했던 적이 있었다. 그리고 이 이후부터는 여러 문제로 인해 없어졌다.
- 초창기에는 경기 관전의 카메라맨이나 다름없는 옵저빙의 수준이 가히 노답이라는 평이 많았다. 솔킬 장면을 놓쳐서 속칭 의문사 장면이 속출했고, 각종 한타 상황에서 포커스를 이상하게 맞춰 결정적인 관전 포인트를 다 날리고 엉뚱한 화면만 잡아준다든가, 경기 흐름 상 중요한 장면임에도 경기 화면을 거르고 뜬금없이 관중석을 비추어 관전을 맥을 끓는 어이없는 행위 등이 많았다. 특히 여자를 비추거나 외국인 관객 반응 보여주기 같은 경우는 매 경기마다 2~3번은 나오기도 했다. 이는 스타리그에 익숙한 옵저빙이 리그 오브 레전드의 급작스러운 교전 발생이나 스타크래프트보다 훨씬 빠른 상황 전개 템포에 익숙하지 못했다는 것이 원인으로 제기됐었다.
위와 같은 비판 사항은 어느 정도 개선되어 2016 스프링부터는 의문사, 뜬금 없는 관중석 비추기, 엉뚱한 포커스 잡기 등 기존에 지적받았던 사항들이 상당수 개선되었으며, 다양한 각도로 경기를 보여주고 기존에 LCK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던 경기 중 선수 카메라 삽입도 도입하는 등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다가 2019 스프링부터 LCK 운영 주체가 라이엇으로 넘어가면서 다시금 문제가 불거졌다. 스프링 초반, 아무래도 담당자나 제작진들이 새롭게 바뀌다보니 직관적이지 않은 인터페이스, 과도한 카메라 워크, 조명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다만 이는 미숙한 것보다는 익숙지 않은 것이 문제였던 것인지 1, 2주만에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 그리고 시즌을 거듭하여 2023년 현재는 호평 받는 수준으로 올라왔다.
- 여타 지역들처럼 LCK에서도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롤 챔피언으로 코스프레한 관객들을 종종 볼 수 있다.
- 2023년 11월 12일[123], 유튜브 채널이 개설 4년 만에 국내 스포츠 리그 최초로 구독자 수 100만명을 돌파했다.
- 경기 중계가 있는 날엔 당일 경기를 끝마치고 중간 순위를 표시하는데, 10개 팀을 2열 종대로 나열해서 보여준다. 1위부터 5위까지는 화면 좌측, 6위부터 10위까지는 우측에 놓기 때문에 ' 동부/서부 리그'라고 비유한다. 서부/동부 리그 드립은 단순히 팬들 사이에서만 쓰이는 은어가 아니라 중계진도 사용하는 표현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나온 단어가 '동부의 왕'으로, 플옵 막차 자리인 6위까지 오를 저력은 있으나 상위권 팀들의 각축장인 서부에 진입하기엔 다소 부족한 팀들을 이르는 말이다.
14. 세대 분류
한때 LCK와 전세계의 리그를 막론하고 선수들이 등장하거나 혹은 실력적인 두각을 드러냈던 시기를 기준으로 프로게이머들의 세대를 분류했었다.먼저 0세대는 LCK 출범 이전의 프로게이머로,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시에는 유일한 한국인인 Locodoco를 제외하면, xPeke, sOAZ, YellOwStaR, DoubleLift를 비롯한 이미 2010년과 2011년부터 먼저 자리를 잡고 이름을 날리면서 롤 역사의 첫 디딤발을 내딛었던 서구권 선수들을 주로 꼽을 수 있다.
1세대는 2012년에 데뷔하면서 LCK 스프링을 뛰었던 초창기의 멤버 선수들로, 리그의 신호탄을 열게 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대표적인 유명 선수들로는 얼주부와 불주부로 대표되는 MIG에서 넘어와 아주부(Azubu)와 훗날 CJ로 넘어가는 계보를 가진 팀의 선수들[124]이 초기 리그를 호령하면서 1세대의 대표 주자로 꼽혔고, 이 밖에도 Impact, MakNoon, Mokuza, Score, Mafa를 비롯하여 미쳐 다 지목되지 못한 선수들 역시 1세대 프로게이머 선수들이었다.
그리고 2012 스프링이 아닌 서머와 윈터부터 데뷔한 선수들의 경우에는 맥락상 1세대로 분류해도 이상하지 않으나 1.5세대로 구분되는 경우가 있었고, 그 중 Shy, Flame, PraY, Ssong, Homme, DanDy, Imp, InSec, Watch, PoohManDu, EasyHoon, Bang, Wolf를 비롯한 여러 선수들도 있었다.
여기서 1세대와 1.5세대의 특기할 점은,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가 신설되며 타 게임 프로게이머에서 종목을 바꾼 이들이 많았고,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게임인 만큼 아마추어와 프로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멘[125], 인섹킥[126], 캡틴잭의 정화[127] 등의 유행어로 대표되는 현재는 흔한 플레이임에도 당시에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플레이를 제시하며 LCK의 태동기와 성장 과정을 이끌어나갔다.
이제부터 새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2013 LCK 서머 결승을 중심으로 한 2세대의 대표 프로게이머 페이커의 활약상을 담은 LCK 10th. 베스트 모먼트 Ep.2. 새로운 시대 중
그러다가 2013년에 또 한번 신인들이 대거 영입되면서, 이들을 2세대 프로게이머라고 많은 사람들이 부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2022년 현재까지 LCK의 대표적인 2세대로 지목되는 선수들 중에서 '마포고 듀오'로 묶여서 자주 불리고 있는
Faker와
Deft가 있고, 이 밖에도 13년도에 데뷔했던 SKT의 첫 월즈 우승 멤버였던
Bengi와
Piglet, 14 삼성 화이트의 월즈 우승 멤버였던
PawN과
Mata가 데뷔 초기부터 이름을 날리면서 2세대를 대표하던 선수들이었다. 혹은 데뷔 당시에는 큰 두각을 못드러내다가 이후 본격적인 커리어와 실력적인 빛을 보게 된 선수들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2015년 월즈에서 MVP를 차지한
MaRin, 2013 윈터 당시 KT에서 데뷔한 이후부터 기록을 쌓은
Duke, 구 타이거즈 멤버로 대표하던
Smeb,
KurO,
GoriilA와 같은 여러 선수들도 같이 언급된다. 또한 2014년 데뷔까지도 2세대로 분류되며, 이를 통해 해당 범주에는 대표적으로 훗날 16-17 삼성 갤럭시의 주역인
Crown와
CoreJJ[128], 2014 서머 우승 이후 LPL로 넘어가 리그의 첫 월즈 트로피를 가져다 주는
Rookie, 무명으로 시작해 첫 우승을 기점으로 은퇴 이전까지 6번이나 LCK를 석권하는 패왕 탑솔러
Khan이 있다. 또한
Huni,
Reignover,
Expect,
Trick의 경우처럼 외국 용병으로 LEC 우승을 차지한 사례들도 존재한다.2013 LCK 서머 결승을 중심으로 한 2세대의 대표 프로게이머 페이커의 활약상을 담은 LCK 10th. 베스트 모먼트 Ep.2. 새로운 시대 중
본론부터 말하자면 2세대는 이전의 대권주자였던 0세대와 1세대를 무너뜨리면서 롤 e스포츠 역사에 분수령이 된 세대이다. 그 예시로 기록의 주축을 담당했던 SKT T1 K가[129] KT를 상대로 2013 서머를 리버스 스윕 끝에 첫 우승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130] 당해 월즈를 LCK 최초로 우승하고 13-14 윈터를 전승 우승하는 대기록을 세우는 과정과 더불어 그 당시 SKT가 우승을 확정짓는 분위기였던 윈터 4강전 승리 이후 경기 총평에서도 나왔던 내용과 같이, 2세대 신예들의 센세이셔널한 등장과 동시에 리그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떠오른 직후부터 이전까지의 프로-아마추어간 경계를 부수고 과거 한 시대를 호령했던 0세대와 1세대 프로게이머들 중안에서도 인기와 나이의 여하를 막론하고 은퇴를 가속화되었다.[131] 이에 따라 어느 누구도 생각치 못한 갑작스런 세대 교체와 더불어 리그의 지위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끼쳤다.[132]
거기에 이후 2014년 SSW가 '탈수기'라 불리는 본인들만의 운영을 창조하고 집대성함과 동시에[133], 2년 연속 월즈 우승을 차지한 LCK에 본격적인 세계 대회와 패권을 주무르고 휘두르는 수준의 왕조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134] 그리고 이는 이후 롤의 기본이 된 전술로써 라이엇 역시 협곡에 강력히 뿌리박힌 요소들을 바꾸고자 부단히 손을 쓸 정도의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였고, LCK가 13, 15, 16년도 월즈 우승팀인 SKT와 14, 17년도 월즈 우승팀인 삼성의 강력함을 통해 무려 2018년 이전까지 15 MSI, 17 Rift Rivals를 제외한 주요 세계 대회를 모조리 석권하는 위력으로 드러나거나[135], 15 MSI 역시 폰-데프의와 같은 한국인 선수들의 영향이 결코 적지 않았음을 생각해보면 한국 2세대 롤 프로게이머의 시대는 13년도부터 17년도까지를 통틀어 또 오랜 롤 e스포츠의 발자취를 통해 실로 독주하면서 다시는 나오지 못할 LCK 역사상 최대의 황금기에 가까운 결론과 총평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데프트의 중꺾마이자 라스트 댄스였던 DRX의 2022년 월즈 우승과 페이커의 T1이 LPL의 사신으로 강림해 이들에게 철퇴를 가하면서 달성한 2023-24 백투백 월즈 우승을 통해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롤 역사에 또 다른 서사를 쓰고 있다는 부분으로 계속해서 어필되고 있다.
여담으로 2세대 해외 선수쪽으로도 견문을 넒혀보면 LPL 역사상 최고의 프랜차이즈 스타인 Uzi와 괄목할만한 성적을 남겼던 Clearlove, Doublelift와 같이 당대 LCS를 호령하던 프랜차이즈 스타 Bjergsen, 전신인 EU LCS 시절부터 LEC까지 프랜차이즈 스타로 오랫동안 활동한 Rekkles[136] 역시 2세대로 간주가 가능하며[137] 국내와 국외의 2세대 프로게이머들은 아주 오랜 기간동안 전 세계 리그의 주축 간판 선수이자 기둥으로 활약했다.
한편 2세대 프로게이머들이 1세대와는 다르게 대부분 오랫동안 LCK에 군림하면서 이후 세대에 대한 내용은 잘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세대별 프로게이머들이 활약했던 시기, 혹은 대형 선수의 등장 등과 같은 여러 기준을 통해 15년 이래로 등장한 프로게이머들을 분류할 수 있다.
해서, 2015년부터 2017년 당시에 등장하게 된 선수들의 경우, 일부를 제외하면, LCK가 세계 최고의 자리와 명맥을 유지하던 최전성기 당시의 1세대, 1.5세대, 2세대 프로게이머를 보고 자라 새로운 피로 수혈되면서 리그가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게 해준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을 가장 큰 의의로써 둘 수 있었던 '2.5세대' 로도 간주가 가능하다. 또한 1.5~2세대의 은퇴가 점점 시작되면서 이후 세대가 새롭게 도래한 상황에서도 계속 명맥을 지키고 있고, Blank와 Peanut을 시작으로 16-17 삼성 갤럭시의 주요 멤버였던 CuVee와 Ruler, 삼성의 식스맨 Haru, 17-18년도 당시 롱주와 킹존 시절을 같이 함께했던 Bdd와 Cuzz, 거기에 2017년에 데뷔하여 2018년 당시 LCK와 아프리카의 가장 큰 수확이자 유일한 위안이었다기 젠지로 넘어가 과거의 아픔을 이겨낸 Kiin, 훗날 T1에서 진가를 발휘해 진에어 시절의 영고라인의 사슬을 끊어낸 Teddy와 중국에서 리턴하여 인상을 각인시킨 Clid, 후에 큰 두각을 드러내면서 승승장구한 Ghost, Nuguri, BeryL[138], 후에 용병으로 중국에 넘어가 리그 우승을 달성한 Ignar, Ben, Loken, 북미로 넘어가 첫 리그 우승을 차지한 IgNar, UMTi, 유럽으로 넘어가 리그 우승을 차지한 Malrang과 같은 선수들이 소위 말하는 LCK와 한국 2.5세대 선수의 대표주자들이다.
LCK의 독주는... 끝났습니다. 이제 새로운 시대가 열린 거에요. 이거는 결과가 이렇게 나왔기 때문에 인정할 수밖에 없는 거죠.
이제는 어떤 지역이 우승해도, 어떤 팀이 우승해도 이상하지 않은 그런 시대가 열렸고, 지난 다년간 계속 LCK 대표팀들 간의 롤드컵 결승 내전이 나왔었고, 4강에 2팀, 3팀 올려 보내면서 "최강 지역은 LCK" 이런 얘기가 당연했는데... 이런 얘기는 해서는 안 되는 거죠.
우리가 바뀌었고, 시대가 변했습니다. 새로운 역사를 Cloud 9이 멋지게 썼고, 3:0 완파했습니다.
(중략) 얼마 전까지만 해도, 따돌리는 그런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따라가야 하는 입장이 되었습니다.
김동준, 2018 월즈 8강 Afreeca Freecs vs Cloud9에서 아프리카의 패배를 끝으로 LCK의 8강 탈락이 확정된 이후 총평.
이제는 어떤 지역이 우승해도, 어떤 팀이 우승해도 이상하지 않은 그런 시대가 열렸고, 지난 다년간 계속 LCK 대표팀들 간의 롤드컵 결승 내전이 나왔었고, 4강에 2팀, 3팀 올려 보내면서 "최강 지역은 LCK" 이런 얘기가 당연했는데... 이런 얘기는 해서는 안 되는 거죠.
우리가 바뀌었고, 시대가 변했습니다. 새로운 역사를 Cloud 9이 멋지게 썼고, 3:0 완파했습니다.
(중략) 얼마 전까지만 해도, 따돌리는 그런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따라가야 하는 입장이 되었습니다.
김동준, 2018 월즈 8강 Afreeca Freecs vs Cloud9에서 아프리카의 패배를 끝으로 LCK의 8강 탈락이 확정된 이후 총평.
The LPL has never won before, but that will change today. The crown-less are finally king! And Invictus Gaming are your 2018 world champions!
LPL은 (월즈) 우승 경험이 없었지만, 오늘 그 역사가 바뀝니다! 무관이던 그들이 마침내 왕좌에 오릅니다! 인빅터스 게이밍이 여러분의 2018 시즌 월드 챔피언입니다!
LCS 캐스터 CaptainFlowers, 2018 월즈 결승 Fnatic vs Invictus Gaming에서 IG의 우승 콜.
여담으로 롤판의 전체 역사로 살펴보면 2.5세대는 이후 LPL에 있어 역사를 바꾼 세대인데. 이 때 등장한 중국인 선수들[139]과 2세대에 해당하는 한국인 선수들이 조화를 이루면서 18-19년 LPL에 월즈 트로피를 가져왔다.[140] 또한 한국인 프랜차이즈 스타인
Scout,
Doinb,
Theshy는 2.5세대로 LPL의 한 시대를 풍미한 선수들이며,
Meiko,
Xiaohu,
Ming 등과 같은 여러 스타들이 등장하면서 롤 e스포츠의 판도를 뒤바꿀 만한 발전을 이룩하게 된다.LPL은 (월즈) 우승 경험이 없었지만, 오늘 그 역사가 바뀝니다! 무관이던 그들이 마침내 왕좌에 오릅니다! 인빅터스 게이밍이 여러분의 2018 시즌 월드 챔피언입니다!
LCS 캐스터 CaptainFlowers, 2018 월즈 결승 Fnatic vs Invictus Gaming에서 IG의 우승 콜.
이러한 흐름은 서양권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면서 많은 유명한 선수들이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특히 LEC가 반등하는 계기가 된 중심에는 16년에 데뷔하여 18년도부터 두각을 드러낸 Caps와 16년도부터 유럽을 평정했던 Perkz와 같은 2.5세대의 대표주자도 있다.[141]
반면 LCK의 2세대, 그리고 LCK의 무소불위에 가까운 독점은 저들이 전성기를 구가하기 시작하면서 끝이 나게 된다. 특히 2016년 SKT, 2017년 SSG가 조화를 이뤄내면서[142] 왕조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하던 LCK는 2018년을 시작으로 이후 크게 뒤쳐지게 되었고, 동시에 많은 1세대, 1.5세대, 2세대 프로게이머들의 대다수 역시 에이징 커브로 인한 부진 속에서 시대라는 요구 사항에 맞게 탈바꿈하거나, 선수 말년 혹은 황혼기까지도 진면모를 보여주는 것과 같은 일부의 특수한 케이스들을 제외하면, 3세대가 등장하는 시기에 맞춰 점점 은퇴와 관련한 절차가 가속화되었다.
이 1.5~2세대 선수들의 시대가 완전히 끝났음을 시사하는 상징적인 사건이 바로 이 시기 선수들 중 최정점의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들을 바리바리 싸모아서 팀을 꾸렸던 슈퍼팀 kt롤스터의 실패이다. 시대를 상징하는 선수들로만 로스터를 채워서 LCK의 다른 월즈 진출 팀이었던 아프리카와 젠지가 완전히 몰락하고, 또 다른 상징적 팀인 SKT가 아예 월즈 진출에도 실패하는 와중에도 나름대로 성적을 올렸지만 결국 8강에서 LPL의 전성기를 상징하던 IG에게 2:3으로 분패함으로써 LCK에도 세대교체가 절실하다는 여론이 주류를 이루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 때부터의 일이었다.
End of an Era(
한 시대의 종말)
REBUILD LEGENDS(전설을 재건하라)
위는 2018 서머 결승전 OGN의 캐치프레이즈, 아래는 2019년 스프링의 캐치프레이즈. 아이러니하게도 OGN에서 라이엇 게임즈로 대회 중계사가 바뀐 이 시기를 기점으로 새로운 전설을 써나가는 3세대가 등장하였고, 동시에 2세대 선수들이 대거 은퇴하며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REBUILD LEGENDS(전설을 재건하라)
위는 2018 서머 결승전 OGN의 캐치프레이즈, 아래는 2019년 스프링의 캐치프레이즈. 아이러니하게도 OGN에서 라이엇 게임즈로 대회 중계사가 바뀐 이 시기를 기점으로 새로운 전설을 써나가는 3세대가 등장하였고, 동시에 2세대 선수들이 대거 은퇴하며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담원과 그리핀은 스크림에서 만질 수도 없는 존재. 세계에서 가장 강한 팀이 월즈에 참여하지 않았다.
前 Fnatic 탑 라이너 Bwipo, 2018 월즈 당시 담원과 그리핀의 스크림 성적에 관한 언급. #
前 Fnatic 탑 라이너 Bwipo, 2018 월즈 당시 담원과 그리핀의 스크림 성적에 관한 언급. #
It’s been a three-year hiatus for the LCK. A drought when it comes to finals appearances. And today DAMWON Gaming will shut down Suning! DAMWON will SILENCE Shanghai. And DAMWON Gaming are your season 2020 world champions!
LCK에 암흑기가 찾아온 지 3년이 되었습니다. 결승에 모습조차 드러내지 못한 끔찍한 가뭄이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담원 게이밍이 쑤닝을 제압합니다! 담원이 상하이를 침묵시킵니다. 그리고 담원이 2020년 월드 챔피언입니다!
LEC 해설 QuickShot, 2020 월즈 결승 DAMWON Gaming vs Suning에서의 우승 콜.
그리고 2018년 이후로 찾아온 LCK의 암흑기 당시부터 등장한 선수들을 3세대로 분류하고 있다. 3세대를 대표하는 단어는 당시 LCK의 하위 리그인 챌린저스 코리아. 일종의 3부 리그인 PC방 리그에서 시작하여 챌린저스 코리아로 승격, 그리고 다시 챌린저스 코리아에서 LCK로 승격하여 2018년 서머와 2019 시즌 사이 승격팀이라 생각할 수 없는 경기력으로 LCK 팬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챌코 삼인방' 그리핀(現 팀 해체), 담원 게이밍(現 디플러스 기아), 샌드박스 게이밍(現 리브 샌드박스)은 3세대를 이끌어나간 주역들 대부분이 포함된 팀이었다. 그들의 팀적인 플레이스타일 및 구성원 선수 개개인 대부분이 리그에서 고평가를 받을 만한 플레이를 보여주며 이전과는 다른 방면에서 새로운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LCK에서 스타일적인 주역임을 입증하며 새로운 세대가 확실해지는 동시에, 결정적으로
MSC에 참여한 팀들 중 담원, DRX, 젠지가 LPL의 스타일을 일부 흡수하여 2020 서머 1~3위를 차지하였고 결국
2020 월즈에서 담원 게이밍이 3년만에 소환사의 컵을 LCK에 가져다주며 LCK 암흑기인 2018-2019년에 데뷔한 선수들이 이전 1.5세대와 2세대 프로게이머들이 얼마남지 않게 된 상황에서 '새로운 세대'로서 칭해지게 되었다. LCK에 암흑기가 찾아온 지 3년이 되었습니다. 결승에 모습조차 드러내지 못한 끔찍한 가뭄이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담원 게이밍이 쑤닝을 제압합니다! 담원이 상하이를 침묵시킵니다. 그리고 담원이 2020년 월드 챔피언입니다!
LEC 해설 QuickShot, 2020 월즈 결승 DAMWON Gaming vs Suning에서의 우승 콜.
그리고 이러한 3세대를 대표하는 주자로 꼽히는 선수들은 상술햇듯 '챌코 3인방' 팀의 선수들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제는 흩어졌지만 cvMax가 감독으로 지휘했던, 18-19 그리핀과[143][144], 담원 게이밍부터 디플러스 기아에 이르기까지 계속 팀을 유지한 ShowMaker와 담원과 젠지에서 고성적을 기록한 Canyon을 비롯하여 이 밖에 뚜렷한 커리어와 임팩트를 남긴 프로게이머로는 유망주로 주목을 받았다가 2022 월즈 우승으로 MVP를 차지한 Kingen을 시작으로, KT 출신의 ucal, SKT에서 19년도 중반부터 20년까지 주전이었던 Effort와 2018 서머 로스터에 등록되어 2019년에 데뷔하여 2020-2021년 반지 원정대와 2023년 슈퍼팀 한화생명 출신이면서 3세대 사파 서포터의 대표주자 Life, CK부터 농심, PSG, DRX에 있었던 Juhan까지 있다.
본래 데뷔 연도를 기준으로 2세대를 2013~2014년, 2.5세대를 2015~2017년으로 잡고, 3세대 선수들의 활약이 2018년 서머 이래로 두드러짐에 따라 3세대는 그들에 비해 훨씬 넒은 연도 폭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런데 일부의 시각에서는 2020년 담원이 LCK에 소환사의 컵을 가져오고, 2021년에는 재차 소환사의 컵을 LPL에 내주게 되었지만 4강에 3팀을 올리는 등, LCK의 수준이 다시금 올라왔다는 점에서, 2018년의 월즈부터 2020년 중반 MSC까지 LCK가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던 시대를 넘어 2020년 월즈 전후를 기점으로 새로운 시대, 그러니까 더 이상 3세대가 아닌 세대가 새롭게 임박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들도 생겨나게 되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2021년 LCK에 프랜차이즈 제도가 도입되며 3세대의 홈그라운드였던 챌린저스 코리아가 사라지고, 대신 10개 팀이 리그에 고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챌린저스 코리아 대신 각 팀의 2군 리그가 활성화되었다. 즉, 강등의 위험을 피해가며 윈나우 기조를 취할 필요가 없어졌고, 동시에 각 팀 입장에서 2군을 육성할 수 있는 환경이 충분해졌다.
The nexus turrets fall! T1, back to the finals in the first time in 5 years, and a team full of home-grown, home-scouted talents, and a stomp in game 4 beating over JDG!
쌍둥이 포탑이 무너집니다! T1에서 스카웃하고, T1에서 키워낸 인재들로 가득찬 팀, T1이 징동을 4세트에서 짓밟아버리며 5년만에 결승으로 갑니다!
LCS 캐스터의 2022 월즈 4강 JDG Intel vs T1 4세트 승리 콜.
그리고 2018년부터 T1 연습생으로 시작하여 긴 후보 기간을 거쳐 2020년 월즈 선발전에서 데뷔, 2021년 스프링부터 베테랑
Teddy와 주전 경쟁을 시작하며 결국 2021 월즈 및 그 이후의 T1에서 주전을 차지하게 된
Gumayusi, 2021 서머 2라운드 이래로 특유의 플레이 스타일을 통해 부동의 주전 자리를 차지하면서 혼란했던 2021 시즌의 T1에서 서머부터 단기간 동안 리그 준우승 및 월즈 4강 진출에 혁혁한 공을 세웠던
Oner, 2021년 데뷔 당시에는 기대만큼의 활약을 하지 못했으나 2023 월즈 파이널 MVP와 2022~23시즌 탑솔러 중 가히 압도적인 임팩트의 시즌을 보낸
Zeus 등 2021 T1의 로스터와 팀의 아카데미를 시작으로 지원과 성장을 거쳐 주전을 차지한 선수들을 필두로 로스터가 확정된 상태에서, 2022 스프링 전승 우승 및 2023-24 월즈 우승이라는 빼어난 성적을 거둠으로써[145][146] LCK가 국제전 경쟁력을 되찾은 이래로 '팀의 2군 및 3군을 통한 육성을 거쳐 주전으로 데뷔한 선수'라는 4세대의 새로운 개념이 확립되었다.쌍둥이 포탑이 무너집니다! T1에서 스카웃하고, T1에서 키워낸 인재들로 가득찬 팀, T1이 징동을 4세트에서 짓밟아버리며 5년만에 결승으로 갑니다!
LCS 캐스터의 2022 월즈 4강 JDG Intel vs T1 4세트 승리 콜.
본래 위키에서는 3세대 선수들이 여전히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 있는 관계로 4세대 선수들을 3.5세대라고 칭하였고, 2021년 프랜차이즈 제도 성립을 그들의 시작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LCK 레전더리스 공식 영상 중 최근 등장한 신인들을 언급하며 '4세대'라는 칭호를 사용하였고 그 예시로 VicLa[147], Croco[148], Oner, Keria[149], Zeus, Delight[150], Peyz[151]를 언급하였다. 여기에서 Keria는 기존 기준에는 맞지 않는 선수인데, DRX 아카데미 출신으로 시작하여 데뷔 후 활약을 통해 LCK에 족적을 남겼다는 점에서는 다른 언급된 선수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LCK 공식적으로는 담원이 소환사의 컵을 되찾은 2020년에 데뷔한 선수부터, 팀의 유스 시스템을 이용해 성장하고 데뷔하여 활약한 선수라는 기준으로 4세대를 칭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기준이라면 2020년에 데뷔하여 3세대의 말엽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되었던 상당수의 선수들 역시 4세대에 속하는데, 2020년 LPL에서 데뷔해 원장 노릇을 하다 2022년 DRX로 이적하여 월즈에서 우승 1등 공신으로 자리잡은 Zeka, 2020년 cvMax의 눈에 들어 DRX에 영입되고 2021 스프링 우디르, 헤카림 유행을 선도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뽐냈으며 이후의 부진을 극복하고 2022년 소환사의 컵을 들어올린 Pyosik, 20년도 T1에서 로얄로더로 커리어를 시작하여 농심, DK 등에 있었던 Canna, 2020 서머 T1이 부진할 당시 구원투수로 출격하여 활약하였고 2021년 T1에서 주전 경쟁을 거쳐 2022년부터 리브 샌드박스의 중추로 활약하고 있는 Clozer 등이 그들이다.
그리고 T1 2군에서 2021 CL 스프링을 우승하고 2022년부터 북미로 이적하여 우승을 차지한 Berserker, DK의 유망주로 2023년 유럽에서 우승을 기록한 Chasy, DRX와 농심을 거쳐 2024년에 북미로 넘어가 우승을 차지한 Quad, 젠지 2군에서 2021 CL 서머 우승을 차지한 이후 리브 샌드박스로 이적하면서 LCK에 2022년부터 주전으로 데뷔하여 당해 서머 시즌 바로 올프로 팀 써드에 들게 된 Kael, 1군 데뷔 경기를 치른 후부터 두각을 드러냈던 BuLLDoG, Jiwoo 등이 4세대에 속할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2023 시즌을 앞두고 LPL의 샐러리캡 제도 도입 및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씬의 연봉이 너무 높아진 것이 아니냐는 LCK 팀들의 내부 의견들의 영향으로 연봉 축소의 움직임이 이어지는 가운데, 2022 T1이 팀 내에서 육성시킨 선수들로 성공하자 육성팀의 기조를 취하는 팀들이 2023 LCK 기준 이전까지는 상상할 수 없던 수준인 3팀으로 대거 등장하였다.[152] 세간에서 긁어볼만한 복권 평가를 듣는 선수들을 모은 광동 프릭스, 보통의 평가보단 팀 내부에서 분석한 지표를 통해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한 선수들 위주로 리빌딩을 진행한 리브 샌드박스, 아예 2021 LCK CL 서머 우승을 거둔 로스터를 그대로 1군으로 콜업한 농심 레드포스 등[153], 각 육성팀의 선수 선발 방법이 여럿으로 나뉨과 동시에 4세대 선수들이 1군에 상당수 정착하게 되고[154] 심지어는 그 과정에서 Andil, Clear와 같이 본래 팀의 계획에는 없었지만 주전 경쟁을 통해 당당히 자리를 꿰차는 선수까지 나타나며 여러 방면에서 새로운 인재 발굴이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이 있었기에 2023 시즌은 4세대의 정립에 있어 중요한 해였다. 그리고 2023 스프링, 기존 네임밸류가 높았던 선수들을 영입하는 기조를 잡았던 팀 중 디플러스, 한화생명, DRX 등이 생각보다 저조한 성적을 낸 가운데, 육성팀 계열의 리브 샌드박스가 사전 예측을 뒤엎는 활약을 선보여 플레이오프 한 자리를 차지하였고 광동은 경기를 거듭할수록 화끈한 플레이로 강팀을 넘어뜨리는 업셋을 저지르기도 했으며, 시즌의 가장 윗자리라고 할 수 있는 승자조 결승 및 최종 결승은 앞서 베테랑에 신인 선수를 수혈하는 방식으로 팀을 꾸렸다고 언급된 T1과 젠지가 차지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Peyz-Delight 듀오가 우수한 성장 과정을 보여주며, Peyz가 2020 스프링의 Canna 이후 3년 만에 로얄로더를 달성함과 동시에 결승 MVP까지 선정되어 사실상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었고[155], 서머 역시 또 다시 젠지와 T1의 결승전에서 젠지가 이기며 비슷한 길을 걷는 와중 결정적으로 4세대의 시작을 알렸던 2022 시즌 T1의 로스터가 그대로 유지된 2023 시즌 T1의 월즈 우승으로 시대의 변화에 방점을 확실하게 찍을 수 있게 되었다.[156]
고로 LCK와 전세계 롤씬의 세대별 분류를 통한 현황을 정리하자면, 0세대가 없는 상황에서 1세대~2세대 현역 선수들 중 정말 극히 일부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157], 2.5세대가 리그별 베테랑 선수로 뛰고 있으며, 세대교체를 통해 2020 시즌 이래로 대부분의 자리를 차지한 3세대, 이전 세대가 그랬듯 데뷔하거나 근래 와서 좋은 경기력으로 재평가가 이루어지며 이제야 서술이 되기 시작한 4세대가 있다는 점으로 내용을 마무리할 수 있고, 현재의 맥락에 따른 세대의 구분은 명백하게 틀이 나뉜 사례들을 제외하면 언제든 상황에 따라 변화될 가능성이 열려 있는 상황이다.
또한 현재까지의 세대 분류로는
- 0세대: LCK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
- 1세대: LCK 태동기
- 2세대: 리그제 이전의 LCK 황금기
- 2.5세대: 리그제가 도입된 LCK 황금기
- 3세대: LCK 암흑기
- 4세대: LCK 중흥기
15. 관련 리그 및 대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
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 월드 챔피언십 | |
2025 |
2015
2016
2017
2018
2019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지역 리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
LoL e스포츠 기타 국제 대회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 Mid-Season Invitational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LCK Challengers League
- LCK Academy Series
- 아시안 게임 e스포츠
- 폐지된 리그 및 대회
16. 관련 문서
[1]
2021년 프랜차이즈 도입과 함께 라이엇 게임즈 코리아에서 LCK 관련 부분 법인 분리.
[2]
LCK Blue
[3]
LCK Red
[A]
영문
[5]
LCK 현장을 찍은 사이트
[6]
초청팀 제외
[무관중]
[무관중]
[무관중]
[10]
2014년 LOL 마스터즈 캐스터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11]
2013 - 2014 윈터 직후
SPOTV GAMES로 이적하였다.
[12]
2012 스프링 이후, 1개 게임만 해설하게 하는 온게임넷의 정책에 의해 하차했다.
[13]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이 시작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하차했다.
[14]
2013 - 2014 LCK 윈터부터 공식 해설자로 데뷔하였다.
[15]
2016 서머 시즌부터
[16]
이적 전에 OGN에서 LCK 캐스터를 담당한 적이 있다.
[17]
2017 스프링 이후 하차하였다.
[18]
2017 서머부터 합류 2018 스프링 이후 해설에서 하차하였다.
[19]
2017 서머 시즌 한정. 이후 OGN 소속 LCK 인터뷰어로 이동
[20]
2018 서머 시즌 한정.
[임시1]
코로나 19 이슈로 인한 대타.
[22]
LCK 스프링 6주차~7주차
[임시1]
[24]
LCK 스프링 6주차~7주차
[25]
2022 LCK 스프링 이후 하차. 추후 복귀 미정.
[스프링2]
스프링 2라운드 온라인 전환으로 인한 합류
[스프링2]
스프링 2라운드 온라인 전환으로 인한 합류
[스프링2]
스프링 2라운드 온라인 전환으로 인한 합류
[29]
LCK 스프링 8주차 이후로, 그리핀과 협상하면서 해설을 중단했고, 정규시즌 종료 후 오피셜이 떴다. 스프링 결승전 분석데스크에서는 중립을 지킬 수 있어서 합류, 이후 그리핀을 나온 뒤로
MSC로 복귀, 이후 글로벌 중계진과 분석데스크 자리를 겸하였다.
[30]
2021 LCK 스프링 이후 하차.
IG의 감독으로 합류. 2023년 해설 재합류.
[31]
2021년 분석데스크 및 CK 해설자 합류, 이후 2021 MSI부터 LCK 해설진으로 발탁되었다. 2023 시즌 DWG KIA 코치로 합류하며 하차.
[32]
글로벌 분석데스크와 겸직했다.
[33]
2012년 9월부터 2015 스프링 시즌까지 통역 겸 글로벌 중계진 업무 담당, 이후 ESL로 이동.
[34]
2020 서머 시즌에 오랜간만에 해설(객원)로 초빙되었다.
[35]
2012년 9월부터 2016 월즈까지 글로벌 중계진 업무 담당, 이후 오버워치 관련 글로벌 해설로 이동
[35]
[37]
2016 스프링 시즌부터 2019 서머 시즌 승강전까지 글로벌 중계진 업무 담당. 이후
100 Thieves 단장으로 이동.
[38]
2024 서머 시즌 PO 2라운드부터 재합류.
[분석데스크]
[40]
병역 이슈로 2024 서머 시즌 진행 중에 중도 하차하였다.
[41]
분석데스크 겸 호스트, 2023 스프링 시즌부터 합류 예정이었으나 비자 문제로 서머 시즌에 합류. 이후 2024 시즌부터 다시 LEC로 자리를 옮겼다.
[분석데스크]
[43]
2020 서머 시즌 직전 하차.
[44]
2020 서머부터 합류
[45]
윤수빈 아나운서와 함께 2020 서머부터 합류했으며 2022 시즌을 끝으로 하차했다.
[임시1]
[47]
스포티비 시절 이후 수년만인 2022년 3월 11일 경기에서 윤수빈 아나운서의 공백을 대신하여 깜짝 출연하였다.
[48]
LCK 정규시즌 종료 이후 군 입대로 하차하게 되었다.
[49]
캡틴잭을 대신하여 LCK 플레이오프부터 분석데스크 인원으로 임시 합류하게 되었다.
[50]
LCK 2020 서머부터 분석데스크 인원으로 정식 합류하게 되었다.
[임시2]
분석데스크 인원의 공백으로 인해 잠시 자리를 대체했었다.
[52]
이후 Dplus KIA 코치 합류로 하차
[53]
스프링과 MSI까지 진행한 이후 하차.
[54]
2021 MSI부터 중도에 합류하여 서머부터 정식 분석가로 활동하였으며 2022년에도 정식은 아니지만 때에 따라 등장하였다.
[55]
서머부터 합류
[임시3]
특별 게스트.
[57]
당장 2021 MSI 직후부터 뉴클리어, 2021 스프링 시즌 도중에 노페 해설, 2021 서머 막판부터 와디드, 2022 서머에서 헬리오스가 기존 분석데스크의 공백을 메웠던 적이 있기도 하고, 간혹 대회와 상황에 따라 현역 프로게이머들과 감독들이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기도 하다.
[58]
국제대회 한정. 중계진 통역. LCK 2015 스프링 이후 이적.
[59]
2015 월즈 한정.
[60]
2015 월즈 한정.
[61]
국제대회 한정. 인터뷰 통역.
[62]
2016 MSI ~ 2017 MSI 한정. 중계진 통역.
[63]
SPOTV 시절에는 LCK 해적 방송 및 인터뷰 통역, 라이엇 게임즈 이적 이후 LCK를 비롯한 국제대회 인터뷰 관련 통역.
[64]
와디드-김여뉴 계정 공유 사건의 촉매제가 되었던 휴면 강등 마스터 티어
김배인의 지인이다.
[65]
사실 대다수의 e스포츠 대회에서는 여러명의 옵저버가 존재한다. 상술한 모쿠자의 경우에도 본인이 직접 화면을 잡는게 아니라 여러개의 관전화면 중 무엇을 잡을지 결정하는 직책이었다고.
[66]
2014 시즌에 세계를 제패했던 삼성 화이트식 탈수기 운영 사례가 가장 대표적이다.
[67]
특히 원소 드래곤 도입 후 플레이 스타일이 고착화되기 시작한 2022 시즌부터 경향성이 극도로 강해지게 되고, 2023 시즌에 들어서도 아지르 숙련도의 유무와 승리 여부에 따라 밴픽부터 앞서가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22 DRX와 23 T1이 소환사의 컵을 들어올리는 데에는 각 팀의 미드였던 제카와 페이커가 아지르를 기용하여 승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선수였다는 점도 크게 한몫했다.
[68]
이러한 기조는 2022 월즈부터 시작해 2023 스프링까지 이어지게 되고 아예 진, 바루스, 애쉬, 칼리스타, 트위치, 케이틀린까지 서포터로 기용하려는 시도까지 존재했었다. 심지어 2023 월즈 우승을 차지한 T1은 속칭 한타 고밸류 조합 메타가 판을 지배하던 때에 사장된 줄만 알았던 원딜챔 + 유틸형 서포터 기용으로 상대의 외통수를 치고 잘못된 해석을 유도했다는 점으로도 드러났다.
[69]
단순히 국가의 인구 수가 적을 뿐, LCK와 CK 전체를 한국인으로 채우고도 한때 타국 리그의 절반 가까이를 한국인으로 채우고도 남은 바 있을 정도로 프로게이머 수 자체는 절대 적은 것은 아니고, 오히려 LPL을 제외하면 타국 리그보다도 프로게이머의 수는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70]
4대 메이저 리그들 중 순수 단일 국적 리그로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LCK가 거의 유일한 상황이다. 특히 유럽의 LEC는 필연적으로 다국적 리그일 수 밖에 없고 북미의 LCS도 마찬가지로 LEC와 오세아니아의 LCO에서 주로 선수를 수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시 다국적 리그로 발달하였다. 또한
단일 민족 정신을 강조하는 중국의 LPL은, 대만과 한국 국적의 용병들이 어우러진 리그이고 대권을 노리기 위해 한국 선수를 적극 기용하는 리그인만큼, 단일 국적은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71]
2022 시즌에는 KT의
VicLa 선수가 대한민국/일본 복수국적으로, LCK 초창기 대회 홍보 및 부흥을 위해 초청받았던 외국 팀 선수들을 제외하고 최초로 외국 국적을 가진 1군 주전 선수 타이틀을 챙겼다. 이후 TLong이 계약해지되고 VicLa가 북미로 이적하면서 한동안 다시 단일 국적 리그가 되었는데, 2023년 스토브리그에서 레클레스가 T1에 합류한다는 핵폭탄썰이 터지며 향후 해외 메이저 지역 리그 우승 선수가 LCK에 합류하는 진풍경도 기대해볼 수 있게 되었다.
[72]
클템 개인 방송 중 시청자가 "LCK 팀은 왜 해외 선수를 영입 안하냐? 더블리프트와 같은 선수를 영입할 수 있지 않냐?"고 묻자 '더블리프트? 테디가 훨씬 더 잘한다'라고 했다. 고로 해외에서 최고로 대접받는 선수라고 해도 국내 선수들과 비교하면 상위권 라이너는 될 수 없다고 못박은 셈. 참고로 이 당시 비교군으로 지목되었던 테디는 과거 진에어 시절의 테디를 말한다.
[73]
사실상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전지훈련이 필요없는 e스포츠에서 유일하게 한국만이 전지훈련지로 발탁되는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한국 지역의 랭크 서버는 비단 프로 선수나 연습생이 아니더라도 일반인 아마추어들도 굉장히 높은 수준을 갖고 있으며, 게임의 레벨 자체가 한 단계 높다고 평가받는다. 북미는 선수들이 솔로랭크에서 연습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자 라이엇이 인증한 유저만 이용할 수 있는 챔피언스 큐를 도입해 연습 환경을 조성했고, 중국도 소위 천룡인 서버로 불리는 최상위권 유저 전용 서버를 따로 구축해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수들이 슈퍼 계정을 받는 열의까지 보여가며 한국 서버 진입을 노력하는 것은 단일 서버치고 너무도 높은 경기 수준말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74]
축구의 발상지인 영국과 유럽에서 매우 높은 인기를 차지하면서 개최되고 있는
PL의 세계적인 흥행에 빗대어 LCK가 e스포츠의 종주국인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리그라는 점과 과거 5년간 황금기를 보내는 등 지금까지도 최강과 패권을 노리는 모습이 각인될정도로, 해외 시청자들에게 있어 매우 높은 수준의 리그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이로 하여금 고정 시청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 경우도 있다. 특히나 역대 월즈 우승 팀들이 가장 많이 속한 리그라는 점과 국제전에서의 뛰어난 활약상과 막강한 경기력에 각인되어 해외팬들도 때에 따라 월즈보다 한 수 위라는 평도 존재한다.
[75]
여담이지만 다른 국가들도 각자 체계적인 방송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LCK는 대한민국과 대한민국 방송계가 갖고 있는 노하우들을 기반으로 뼈대가 구축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현행 라이엇 규정과 툴북의 대부분이 LCK 초창기 시절에 만들어졌다. 더 나아가 90년대에 한국 e스포츠가 태동한 이래로 KESPA와 OGN, 더 나아가 MBC GAME과 SPOTV GAME의 협력과 시행착오 끝에 발전되고 완성되었다. 또한 과거 OGN과 SPOTV GAMES에서 롤e스포츠를 담당하던 핵심 인력들 중 LPL과 같은 해외 지역로 스카웃되어 방송의 퀄리티를 끌어올린 사례들도 존재한다. 달리 말해 과거부터 대한민국이 e스포츠의 종주국과 패권국으로써 여러 방면에서 질적으로 크게 관여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76]
당장에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이래로 2020 시즌까지 우승 팀의 탑, 미드는 전부 한국인이었다. 게다가 2018, 2019, 2021 시즌을 제외하면 LCK 팀들이 국내와 국제 대회에서도 우승을 거두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전 포지션에 걸쳐 한국 선수들로 도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77]
또한 2018 ~ 2019 월즈만 보더라도 당시 우승팀인 LPL의 IG와 FPX의 탑솔러 선수였던 더샤이와 김군 역시 모두 한국인이다.
[78]
지옥의 무한 포지션 변경과 실력적인 순식간에 퇴물로 굴러 떨어지는 모습이 각인되면서 과소평가되었던 선수 사례이지만, 라일락은 엄연히 한때 탑솔의 나라 한국에서 초창기 3대 탑솔러로 불렸을 정도로 매우 유명했었고, 일명 라교수님으로도 불렸던 선수였다.
[79]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80]
2015 월즈 통합 MVP
마린,
2022 월즈와
2023 월즈 결승전 MVP인
킹겐,
제우스가 이에 해당한다. 다만 MSI에서도
MVP
수상자가 나온 서포터와는 달리 탑은 아예 MSI MVP 수상자가 전무하다.
[81]
LPL을 살펴보면 2시드 FPX는 도인비의 활약으로 2021 LPL 서머 준우승을 차지하고 우승 후보로 지목받았으나 그 도인비가 부진하자 그룹 스테이지 탈락, 3시드 RNG는 크라인이 약점으로 지목받았으며 결국 끝까지 이를 극복하지 못한 채 8강에서 탈락하였고, 4시드 LNG는 패배한 경기를 살펴보면 1라운드 젠지전, 2라운드 TL전, 타이브레이커 MAD전 등 전반적으로 아이콘이 부진하였고 결국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했다. 고로 EDG의 스카웃만이 4강과 결승 주요 장면에서 활약하며 우승과 동시에 결승 MVP를 차지했다. 이러한 LPL에서의 대조적인 모습이 이 의견에 힘을 실리게 된 주된 배경이 된 것이다.
[82]
2022, 2023, 2024 월즈에서 쵸비, 쇼메이커, 비디디는 각각 그 해의 우승자인 제카와 페이커와 같이 LPL 미드 서열 정리에 참여했다고 보기엔 어려운 면이 있다.
[83]
2022 월즈에서 팀의 그룹 스테이지 탈락을 막지 못한 TES의
나이트를 시작으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제카에게 일격을 맞은 뒤로는 무난하게 8강까지 올라왔다가 일명 '가을' 모드와 함께 미드 차이를 드러낸
8강 T1 vs RNG에서의
샤오후, 시리즈 내내 못했다고 볼 수는 없지만 마지막 세트에서 제카에게 4연 솔킬을 당하면서 무너진
8강 DRX vs EDG에서의 스카웃, 그리고 LPL 최후의 보루 자리에서 바텀과 함께 역량 차이를 드러내며 탈락한
4강 JDG vs T1에서의
야가오와 같은 LPL 소속 미드들의 치부가 모두 드러났다.
[84]
2023 월즈에서는 T1과 페이커 혼자에게 LPL 팀들과 미드들의 치부가 더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그것도 순위와 소속 팀이 바뀐 걸 제외하면 작년에 월즈에 참가했던 선수들이 이전 대회보다 더 확실하게 서열정리를 당했다는 점이 도드라졌다. 거기에다가 24년에는 크램을 소위 대떡을 내고 쵸비를 시작으로 나이트를 상대로 충격에 가까운 경기력과 퍼포먼스에서 역대급에 가까운 초고점을 터뜨렸다.
[85]
공교롭게도 LCK의 플레이오프 진출 순위가 딱 6등까지다.
[86]
참고로 기아는 팀으로는 스폰서가 있지만 자국 LCK의 메인 스폰서가 아닌 LEC의 메인 스폰서로 참가하고 있다. 기아의 주 수출 무대는 유럽인지라 시장 공략을 위해
e스포츠 외에도 유럽 리그에 투자를 많이 하는 편에 가깝다.
[87]
리그 자체에 대한 스폰서는
우리은행을 비롯하여 과거부터 여러 군데에서 받아왔지만 타 지역 리그에 비해서는 규모적으로 부족했다.
[88]
삼성은 젠지에 팀을 넘긴 후에도 젠지에 스폰서를 서다가 2020년에 T1으로 갑자기 옮겼고, LG전자는 IM(현 DRX)에 스폰서를 서주다가 갑자기 지원을 철회해 논란이 일었던 바 있으나 2021년부터 젠지에게 투자를 시작한 상황이다.
[89]
심지어 두 선수 모두 월즈 우승자 출신이다.
[90]
LoL 챔피언스
[91]
출처: 44층 지하던전 - 식만추 리그PD편, 현재 영상은 비공개 처리됨.
영상,
캡처
[92]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시즌부터 준우승 서킷 포인트 점수가 25점 늘고,
NLB 우승과 준우승에 배정된 서킷 포인트 점수가 각각 25점, 10점씩 감소했다.
[93]
다만 시간이 지나며 강팀들이 예비 선수를 포지션별로 한 명씩 채워 사실상 2팀이나 마찬가지로 만들고 내부 스크림을 돌리는 경우가 다시 나오게 되었다. 정식 2팀 체제와의 차이점은 2팀으로 상위 라운드 진출 가능성을 높이거나 한 구단이 우승·준우승을 동시에 하지 못하는 대신, 구단 입장에서 돈이 덜 들어가고 계약 부담도 적다는 것이다.
[94]
LPL에서도 2014 시즌 플레이오프에 잠시 도입했으나 곧 폐지되었다.
[95]
특히 주도권이 중요한 솔로 라인은 더욱 OP픽을 강요받는다.
[96]
이쪽은 오히려 팬들에게 극찬을 받고 있는데, 맛이 간 썸네일과 기가막힌 작명 센스, 영상에 각종 이스터 에그들을 달아놓고 빠른 피드백 등등 팬들에게 대호감을 사고 있다.
[97]
2021년 섬머 기준으로도 유튜브 채널 만큼은 호평을 받고 있는데, 특히 썸네일의 경우, n천 킬 같은 선수의 개인 기록이 수립되면 곧잘 선수의 닉네임에서 숫자를 찾아낸다. Chovy의 1000킬 기록 당시, 닉네임을 해설진들의 “쵸오오오오비” 콜을 연상 시키듯 CHOOOVY로 늘리고 거기서 숫자 1000을 뽑아내는 센스를 선보였다. 가끔은 억지스러운 부분도 있지만 센스 자체는 상당히 걸출하다는 평이 많다.
[98]
첫 공개 당시 반응은 한국과 해외를 막론하고 호불호가 갈렸다. 아무래도 중간에 한 번 디자인이 변경되긴 했어도 리그 출범 이래 8년간 LCK의 상징이었던 독수리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만큼 구리다는 반응이 좀 더 많은 편. 새로운 로고도 날개 펼친 독수리를 표현하려고는 했던 것 같지만 일단 새가 날개를 펼친 형태라는 건 동의하더라도 독수리보다는 갈매기같다는 평이 더 많다.
[99]
KBO와 비슷하게 2군 리그를 꾸리며, 선수를 수시로 올리고 내릴 수 있다.
[X]
프랜차이즈 지원서는 제출하지 않았다.
[X]
[X]
[103]
국내 e스포츠 컨설팅 그룹으로 오버워치 게임단을 운영하고 있다.
[104]
국내
MCN 기업으로 프랜차이즈에 지원한 타 팀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105]
노르웨이의 e스포츠 게임단으로 프랜차이즈 신청 기준으로 창단한 지 약 3개월밖에 안된 신생 팀이다. PUBG팀을 운영중이다.
[106]
NFL
피츠버그 스틸러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게임단. 국내에선
하스스톤 선수인 크라니쉬
백학준 선수의 前 소속팀으로 유명하다. 프랜차이즈 지원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대신 설해원 Princ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107]
한 매체에서는 프랜차이즈 대상 팀이 확정되었다고 보도했다.
# 해당 기사에 따르면, 8월 28일에 발표된 우선 협상대상 10개팀이라고 한다.
[108]
프랜차이즈 결과가 발표되고나서
비하인드 스토리 소식이 전해졌는데, 오마켄 스포츠가 LCK에 참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노르웨이 총리까지 나서서 라이엇 측에 서신을 보냈다고 한다. 그러나 결과는 실패.
[109]
기아자동차의 네이밍 스폰을 받았다. 변경 전 팀명은 DAMWON Gaming.
[110]
KB국민은행의 브랜드 Liiv의 네이밍 스폰을 받았다. 변경 전 팀명은 SANDBOX Gaming.
[111]
프랜차이즈 합격 이후 농심이 인수했다. 변경 전 팀명은
Team Dynamics.
[112]
네이밍 스폰서인 한국야쿠르트의 브랜드가 프레딧으로 바뀌었다. 변경 전 팀명은 hyFresh BLADE.
[113]
하필 그룹 이름들이
이름이
이름이다 보니 이 발표를 보고 '이상혁 그룹'&'강찬밥 그룹'이라는 개드립성 반응들이 나왔다.
[114]
이에 따라 라이즈 그룹 팀이 레전드 그룹 팀의 성적을 넘더라도 순위는 바뀌지 않는다.
[115]
LCK CUP 꼴찌(5경기), LCK 1~2라운드 7~10위(18경기), LCK 3~5라운드 라이즈 그룹 4~5위(12경기)를 했을 경우 나오는 최소 단위 경기 수다.
[116]
LCK CUP 최대 13경기, LCK 1~2라운드 18경기, 로드 투 MSI 최대 4경기, LCK 3~5라운드 12경기, LCK 플레이오프 최대 9경기
[117]
다만, 영어 중계로
LOL eSports 채널에서 2015 시즌부터 일부 영상을 볼 수 있으며, 네이버 스포츠에서 일부 경기는 볼 수 있다.
[118]
2021~2022
[119]
2023~
[120]
원곡은
Network Music Ensemble - Defending Champion
[121]
원곡은
Jeff Cardoni - Escalating Events.
[122]
LPL은
메르세데스-벤츠,
LEC와
LCS는
기아가 리그 파트너 혹은 스폰서 계약을 맺었다.
[123]
2023년 롤드컵 4강 JDG vs T1의 경기가 진행된 날이다.
[124]
MadLife,
CloudTemplar,
RapidStar,
Woong,
FantasyStar,
Helios,
Ambition,
Jack Sparrow,
Lustboy
[125]
MadLife의 그랩 서포터를 이용한 예측 그랩 등의 플레이로 최초의 캐리형 서포터라는 인식을 가졌다.
[126]
Insec을 대표하는 리 신의 궁극기 용의 분노를 이용한 토스 플레이
[127]
Captain Jack의 정화 반응 속도가 유독 빨라서 당시 그는 정화의 대명사로 불렸고, 실제 2022년 신설된 리그 오브 레전드 도전 과제에서는 정화 반응 속도와 관한 도전과제 이름이 Cpt Jack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128]
크라운과 코어장전 모두 시기상 2세대(2014년 데뷔)에 속하면서 이름을 날린 것이 2.5세대(2015년)부터였다.
[129]
13 서머 및 월즈 당시는 SKT T1
[130]
해당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당시 결승전은 1세대와 2세대 프로게이머 사이의 역사적인 분기점으로도 볼 수 있는 대회였다.
[131]
이게 어느 정도였냐면 1세대의 대표주자 중 한명이었던 클템의 경우, 2세대 선수들과의 경쟁이 불가하다고 판단해 그 해에 은퇴를 선언해 해설가로 변신하게 되고, 샤이, 매드라이프. 앰비션은 이 과정에서 크나큰 부진 내지는 방황을 겪었다.
[132]
여기서 LCK 내에서 기존 0세대와 1세대의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던 1.5세대가 2세대와 힘을 합치는 쪽으로 노선을 선회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LCK의 황금기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 분기점이 되었다.
[133]
여기서 말하는 창조란 라이엇에 의해 메타가 만들어진 것이 아닌 여러 과정의 영향을 통해 본인들이 직접 일궈낸 것을 말한다.
[134]
적어도 전통 스포츠와는 맥락이 다르지만 라이엇에서는 2년 연속 월즈 우승을 해야
왕조라는 칭호를 공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5]
13 SKT의 경우 미드-정글 듀오 및 다른 팀원의 압도적인 라인전과 한타 위력을, 14 SSW 역시 팀원의 초중후반을 가리지 않는 압도적인 화력에 운영이라는 것을 정착시켰고, 15 SKT는 전방위적으로 무적함대라 불릴만한 족적을, 16 SKT는 MSI-월즈와 같은 라이엇 주관 하에 펼쳐진 메이저 세계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달성했고, 17 SSG는 월즈 결승전에서 세계적인 절대 왕권과 패권으로 군림하던 SKT 왕조를 무너뜨렸다.
[136]
2021 시즌 종료 이후 1부 LEC 소속이 아닌 2부 리그로 이적하게 되었으나, 또 다시 2023 시즌에 LEC로 복귀하며 커리어를 이어나갔고, 2024년에는 스토브리그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T1 챌린저스 팀으로 이적하였다.
[137]
비역슨과 레클레스는 데뷔 시기로만 따지면 2012년부터 아마추어로 뛰었다는 정황을 가지고 있어 1.5세대로 봐도 무방하지만 이들이 본격적으로 프로에 데뷔하여 이름을 날렸던 것은 바로 2013년과 2014년(2세대 시기)부터였다.
[138]
너구리, 고스트, 베릴은 프로 입단으로는 2.5세대 소속이지만 두각을 드러냈던 시기를 기준으로 봤을때는 3세대의 맥락으로 여겨지고 있다.
[139]
Ning,
JackeyLove,
Baolan,
Tian,
Lwx,
Crisp.
[140]
상술했던 루키는 물론이고,
GimGoon 역시 데뷔 시기가 2세대이지만 본격적인 활약을 나중에서 펼쳤던 선수이다.
[141]
그러나 프로 데뷔 초기(2014년)부터 전성기를 구가했던 선수인
Rekkles와 2.5세대부터 뒤늦은 시기에 빛을 발하면서 2018~2019년 당시에 분명한 수준의 커리어 하이를 찍었던
Hylissang,
Jankos 등은 2.5세대가 아닌 2.5세대와 3세대 당시에 전성기를 맞이했던 2세대 선수로 분류된다.
[142]
16 SKT는 2세대의 중심 선수인 Faker-Bengi와 Duke로 이뤄진 2세대 라인업, 1.5세대 시기에 데뷔한
Wolf와
Bang, 그리고 식스맨으로 톡톡한 활약을 한 2.5세대인
Blank가 조화를 이뤘고, 17 SSG는 무려 1세대인 베테랑 Ambition - 2세대
Crown과
CoreJJ - 2.5세대인 CuVee와 Ruler, 이렇게 총 세 개의 세대가 신구조화를 이루면서 2년 이상동안 오래 지속되던 SKT 왕조를 종결시켜버렸다.
[143]
Doran,
Tarzan,
Chovy,
Viper,
Lehends
[144]
그 중
Sword는 실력적 두각을 뒤늦게 3세대 시기에 드러냈지만 2.5세대 당시에 데뷔한 프로게이머이다.
[145]
심지어 해당 로스터의 Keria도 어린 선수이며 루키 시절부터 촉망받고 DRX 아카데미에서 키워 데뷔시킨 선수인 상황에서, 팀의 노장 Faker의 나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2022~23 T1은 리그 내에서 손에 꼽는 수준으로 평균 나이가 어린 팀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동시에 2022 시즌 기준 팀의 2군에서 성장시켜 2~3년 이내 데뷔한 선수들 대부분이 로스터를 채워 자국 리그 우승과 2023 시즌 국제 대회 우승이라는 큰 성공을 거둔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 한편 데뷔한지 2~3년 선수들이 주축으로 활약하는 로스터라는 점은 아이러니하게도 3세대의 대표격 팀인 2020-2021 담원의 Canyon, ShowMaker가 활약했던 점과 매우 유사한데. 이전의 새로운 세대들의 등장 및 그 신예들의 활약과 두각을 드러내던 양상과도 비슷한 경향을 띄었다. 또한 LCK의 황금기 이래로 2021년 월즈까지는 거의 중견급 선수들이 대거 우승을 향해 경쟁했던 데 반해 2022~24 T1의 사례는 여러 팀들에게 많은 것을 시사하는 모범 사례가 되었다. 이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밈이
닌자거북이 짤. 원작 만화에 기반하여 해석하면
전설의 도움과 함께 루키들이 크게 성장하여 같이 나아가고 있다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
[146]
또한 단순히 T1이 잘했다는 이유만으로 이 기준이 됐다기보단 애초에 상술했던 이유들로 "구마유시 혹은 오너를 기점이나 종점으로 세대를 분류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해당 문서에 적혀있는 등 꽤 언급되기도 했다. 때문에 그들의 활약상에 따라 세대가 분류될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2022~24 T1에서 그 결실을 냄으로써 이러한 결론이 주어진 것이다. 또한 본래 2020년대 초반부터 '믿고 쓰는 T1산'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팀의 네임밸류 덕에 여러 걸출한 루키들이 배출되어 여러 팀에 수혈된 바도 있기에 LCK 팀 내에서 유스를 콜업해 만든 팀으로 가장 먼저 주목받는 것이 T1이 된 것은 어쩌면 예견된 수순이기도 했다.
[147]
KT에서 2022 스프링에 데뷔해 서머 때 큰 활약을 펼쳐 2022 LCK Rookie of the year를 수상하고 LCS로 이적했다.
[148]
LCK 레전더리스 영상에서는 Gumayusi, Oner, Delight 등의 당대 쟁쟁한 경쟁자를 뒤로 하고 2021 LCK Rookie of the year를 수상하였으며, 샌드박스 시절 당시에 신인임에도 뛰어난 상체 교전력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라 평가하였다.
[149]
데뷔 때부터 역천괴로 주목을 받았고 그에 맞게 2020 스프링 Young Player 선정, 서포터 최초 정규시즌 MVP를 비롯한 뛰어난 개인 및 팀 커리어를 써내려가고 있다.
[150]
강퀴가 영상에서 브리온의 선봉대장 역할을 맡아 눈여겨보았고 젠지로 간다는 소식을 듣고 성공할 것 같다고 말했으며 실제로 2023 LCK 스프링과 서머를 모두 우승하고 한층 스텝업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151]
2023년부터 젠지의 프랜차이즈 스타
룰러의 자리를 대신 맡게 된 젠지 아카데미 출신 선수로 2023 LCK 스프링과 서머를 모두 우승해내며 어느 정도 룰러의 존재감을 메꾸고 대중들의 평가가 '뛰어난 선수' 축에 드는 데에 성공했다. LCK 레전더리스 영상에서는 그의 장점으로 경험을 쌓은 어느 순간부터 미드에서 잘리거나 팀원에게 휩쓸리는 신인 원딜러들의 흔한 실수를 하지 않는다며 좋은 평가를 남겼다.
[152]
프랜차이즈 제도 이전에는 육성팀은 곧 강등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상상할 수 없었다. 다만 프랜차이즈가 도입되고 나서 2021, 2022 시즌에도 육성팀이 있기는 했다. 2021 DRX, 2022 한화생명이 그들인데, 2021 스프링 DRX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2021 서머부터 2022 서머까지 이 두 팀이 10위를 나눠가졌기에 육성팀은 이름만 육성이지 사실상 욕을 먹는 탱킹팀이라는 좋지 않은 인식이 생겨나고 있었다. 그런데 롤판 상황과 더불어 육성으로도 적절한 조화를 거쳐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 2022~23 T1이 이 인식을 반전시킨 것.
[153]
사실 이들이 단순히 2022~23 T1의 성공 사례 및 전반적인 롤판의 기조뿐만 아니라, 전 시즌에 일종의 슈퍼팀으로 큰 실패를 거둔 농심, 소위 말하는 고티어 선수 인재가 잘 모이지 않았던 광동, 모기업의 지갑 사정으로 돈을 쓸래야 쓸 수 없던 샌드박스 등 각 팀의 내부 사정이 주를 이룬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상술한 이야기들이 복합적인 작용을 했을 것이라는 추측에는 많은 팬들이 고개를 끄덕이고 있다.
[154]
앞서 언급한 세 팀의 4세대 중 상술되지 않은 선수로는 한화-젠지 아카데미 출신으로 2021, 2022년 젠지의 서브 선수 역할을 하다가 광동에서 주전이 된
YoungJae, 광동 성골 출신 유망주
BuLLDoG, 상술한 각주에서 언급된 '망한 육성팀' 2021 서머 DRX의 바텀 듀오로 활동하며 cvMax의 눈에 들어 기회를 얻은
Taeyoon-
Jun 듀오, 2022 서머에 데뷔한 광동의
Moham, 2021년 데뷔하여 초반에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음에도 이후의 폼들에 따라 평가는 다소 갈리지만 명문팀 젠지, 담원에서 뛴 경험으로 샌드박스에서 활약 중인
Burdol, 2021년 데뷔 당시에는 평가가 갈렸지만 2023년 리브 샌드박스로 이적 이후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Willer, Kael과 함께 콜업되었다가 어려움을 겪어 주전에서 밀려났지만 2023년 다시 기회를 잡은 2021 CL 서머 퍼스트 원딜러 출신
Envyy,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대부분 2022년에 찍어먹기 수준으로 LCK를 경험했다가 단체 콜업으로 기회를 갖게 된 농심의
DnDn,
Sylvie,
FIESTA,
vital이 있다.
[155]
단순히 플레이오프 뿐만 아니더라도, 리브 샌드박스와 광동의 활약을 차치해도 작년의 사례를 통해 처음으로 4세대 대표의 문을 연 것으로 언급된 T1은 여전히 강력하여 준우승팀임에도 불구하고 결승전 이전에는 사실상 적수가 없는 수준으로 취급되었으며, 젠지 역시 사전에 정규시즌 4위 정도를 차지하고 서머를 바라보지 않을까 하는 예측이 대부분이었지만 신인 듀오의 성장 속도가 생각보다 빨라 시즌의 대부분을 2위 자리에서 보낼 수 있었고 끝내 그 자리를 지켜냈을 뿐더러 그에 힘입어 우승까지 차지했다.
[156]
특히 2023 월즈는 2022 광저우 아시안게임의 영향으로 기간이 많이 늦춰져 월즈에 미참여했거나 탈락한 여러 강팀들은 바로 스토브리그에 들어갔다보니 녹아웃 스테이지에서의 스크림 상대가 마냥 많지는 않았는데, 상술했던 2023-2024년 육성팀을 이룬 광동, 샌드박스, 농심 등이 이를 기회삼아 T1, 웨이보 게이밍 등과 스크림을 했다는 소식이 각종 인터뷰나 선수들 방송 등을 통해 전해졌고 그 과정과 성과에 대한 썰을 육성팀의 주전 선수들이 이야기하기도 하며 여러 4세대 선수들이 언급되는 기회를 받기도 하였다.
[157]
대한민국 국적에서는 임팩트, 페이커, 데프트, 피넛, 코어장전, 루키, 스카웃 등이 대표적인데, 이들 모두 2012~15 년에 데뷔한 이래로 2020년대까지 오랜 시간 대형 선수로 활약했고, 2023 시즌에서도 현역의 자리를 지키면서 프로로서 데뷔 10~11년차를 맞이하게 되었다.
[158]
다만 당시에 데뷔한 선수들이 어느 시기에 활약하는가는 또 별개의 문제기 때문에 완전한 일대일 대응은 아니다.